KR102330895B1 - 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 Google Patents

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895B1
KR102330895B1 KR1020210015596A KR20210015596A KR102330895B1 KR 102330895 B1 KR102330895 B1 KR 102330895B1 KR 1020210015596 A KR1020210015596 A KR 1020210015596A KR 20210015596 A KR20210015596 A KR 20210015596A KR 102330895 B1 KR102330895 B1 KR 10233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unit
wire
wheel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정숭
Original Assignee
전정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숭 filed Critical 전정숭
Priority to KR102021001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8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8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76Ri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andcart having a braking means, which performs steering and braking functions based on an improved structure where wheels at both sides can be independently braked, thereby ensuring greatly enhanced operability and safety and additionally has a structure where a braking state can be selectively locked or released to maximize convenience of steering and operation and allow a publicity panel or an advertising panel to be readily attached at various locations thereof. The multi-functional hand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ading unit (10) for accommodating a cargo; wheels (20)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loading unit; a pair of left and right gripping units (30) extended horizontally from a rear side of the loading unit; a pair of lever units (40) installed respectively on each of the gripping units; a wire (50) connecting the lever unit to the wheel to be withdrawn or led in dependent on whether the lever unit operates or not; and a braking unit (60) having a pair of braking pads in a shape of tongs, which are disposed at both rims of the wheel and connected to the wire to pressurize the wheel dependent on whether the lever unit operates or not, thereby inducing braking.

Description

제동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리어카{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본 발명은 인력에 의해 적재된 화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리어카의 기술사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 차륜을 개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는 구조적 개선에 기인하여 조향과 제동 기능이 발휘됨에 따라 조작성과 안전성이 적극 향상될 뿐 아니라 제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락킹 또는 해제 가능한 구조를 부가 채택함으로써 조향 조작의 편의성이 극대화되고, 아울러 홍보성 패널이나 광고성 패널을 다양한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 가능한 제동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리어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cal idea of a rear car that can conveniently transport cargo loaded by manpower, and more particularly, as the steering and braking functions are exhibited due to the structural improvement that can brake both wheels individually In addition to actively improving operability and safety, the convenience of steering operation is maximized by additionally adopting a structure that can selectively lock or release the braking state. It is about a multifunctional rear car.

통상적으로 리어카(Rear car)는 자전거 뒤에 결합하여 적재된 화물을 쉽고 편리하게 운반하는 용도로 제작되었으며, 상황에 따라 사람이 직접 끄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리어카는 매우 낮은 속도로 주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향 장치나 제동 장치가 필요치 않았다.In general, a rear car is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loaded cargo easily and conveniently by combining it with the back of a bicycle, and in some cases, a person can pull it direc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Because these rear cars travel at very low speeds, a separate steering or braking system is not required.

최근 들어 이동수단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리어카는 폐지를 수거하는 노인들이 주로 이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젊은 사람들에 비해 힘이 부족한 노인들은 빗길이나 눈길 또는 경사로가 동반된 도로 등에서는 리어카를 제어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eans of transportation, the rear car has come to be mainly used by the elderly who collect waste paper. However, it was somewhat difficult for the elderly, who lacked strength compared to the younger ones, to control the rear car on rain, snow, or roads with slopes.

이에 따라 위급 상황 발생시 리어카를 제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749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리어카의 차륜 후방에서 접촉패드를 포함한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동장치는 리어카 손잡이에 구비된 작동레버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며 작동레버의 조작에 기인하여 회동함으로써 지지대의 접촉패드가 차륜에 접촉하여 제동시키는 기술이다.Accordingly, a technology capable of braking the rear car in case of an emergency has been developed, and as an exampl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3749 "rear car brake device" is published. In this technology, a support including a contact pa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ear car wheel, and the braking device is connected to an operating lever provided on the rear car handle by a wire, and the contact pad of the support rotate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It is a technology that brakes by contacting the wheel.

하지만, 상기 기술은 접촉패드가 차륜의 지반 마찰면을 가압하여 제동이 걸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동력이 좋지 않아 제동 거리가 길고, 더불어 접촉패드와의 마찰에 의해 차륜의 마찰면이 마모되면서 주행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동반되었다.However, in the above technology, since the contact pad presses the ground friction surface of the wheel to apply braking, the braking force is not good and the braking distance is long. It was accompanied by several problems.

한편, 제동장치를 구비한 리어카와 관련한 기술 중 다른 일례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26862호 "리어카의 제동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리어카 프레임의 전후방 하측에 오일실린더를 설치하고 이의 피스톤로드 하단에 롤러를 설치하여 리어카 프레임을 기울임에 따라 발생되는 유압이 유압브레이크에 공급되어 제동력을 얻는다. 또한 해당 기술은 타이어 회전축에 래칫휠과 래칫에 의하여 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되, 래칫의 위치를 반전시킴에 따라 회전이 불가능한 방향으로 회전시킬수 있는 기술이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xample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a rear car equipped with a braking system,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26862 "Brake system for a rear car", the technology installs an oil cylinder on the front and rear lower sides of the rear car frame And by installing a roller at the bottom of the piston rod,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by tilting the rear car frame is supplied to the hydraulic brake to obtain braking force. In addition, this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prevents rotation in one direction by a ratchet wheel and a ratchet on the tire rotation shaft, but can rotate in a direction that cannot be rotated by reversing the position of the ratchet.

상기 기술은 차륜을 직접적으로 제동하지 않고, 프레임을 기울임으로써 프레임 전후방에 배치된 유압브레이크가 지반에 의해 가압되면서 제동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주행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려는 차륜의 힘과 프레임의 기울기에 의해 리어카가 전복될 가능성이 클뿐 아니라,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749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와 마찬가지로 제동력이 좋지 않아 제동 거리가 길고, 유압브레이크가 요철이 많은 지반에 직접적으로 마찰되기 때문에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동반되었다.The technology does not directly brake the wheel, but by tilting the frame, the hydraulic brakes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are brak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ground. In this wa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rear car will overturn due to the force of the wheels and the inclination of the frame to continuously rotate due to driving. Because the distance is long and the hydraulic brake is directly rubbed against the uneven ground, it is accompanied by problems such as severe wear.

따라서, 본 발명은 우수한 제동력을 갖되 기존과 달리 제동 과정에서 차륜의 마모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반 구조를 개선하고, 더욱이 편리하고 수월하게 조향을 조작할 수 있는 리어카를 개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rear car that has excellent braking power, but can improve the overall structure to minimize wheel wear or damage during the braking process, and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manipulate steering.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749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3749 "Rear car brake system"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26862호 "리어카의 제동장치"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26862 "Rear car brake system"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륜 또는 이를 커버하는 타이어가 훼손되지 않고도 뛰어난 제동력을 발휘하여 안전 사고를 적극 예방할 수 있는 다기능 리어카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more a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main task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rear car that can actively prevent safety accidents by exhibiting excellent braking power without damaging the wheels or the tires covering the same. .

또한, 본 발명은 제동장치의 조작 구조를 개선하여 제동 상태를 락킹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편리한 제동 조작과 수월한 조향 조작이 가능한 다기능 리어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rear car capable of convenient braking operation and easy steering operation by providing a function to lock or release the braking state by improv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brak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은 광고용 판넬이나 식별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홍보 효과가 발휘됨은 물론 먼거리에서도 해당 리어카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적극 도모할 수 있는 다기능 리어카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rear car that can actively promote the safety of users by not only exhibiting various promotional effects by configuring the advertisement panel or identification member in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ut also identifying the vehicle from a distance. It is another solution.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동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리어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 rear car equipped with a braking mean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리어카는 화물이 수용되는 적재부(10)와, 적재부 양측에 구비되는 차륜(20)과, 적재부 배면에서 수평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파지부(30)와, 각 파지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버유닛(40)과, 레버유닛과 차륜을 연결하며 레버유닛의 조작 여부에 따라 인출 또는 인장되는 와이어(50)와,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2개 1조의 제동패드가 차륜의 양측 림에 배치되고, 와이어와 연결되어 레버유닛의 조작에 따라 차륜을 압박하여 제동 유도하는 제동유닛(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part 10 for accommodating cargo, wheels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part, a pair of left and right gripping parts 30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oading part, and each gripping part A pair of installed lever units 40, a wire 50 that connects the lever unit and the wheel, and is drawn out or stretched depending on whether the lever unit is operated, and two sets of brake pads in the form of tong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heel. It is arranged on the rim,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braking unit (60) that is connected to a wire and induces braking by pressing the whe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unit.

또한, 상기 제동유닛(60)은 차륜(20)의 내측에 배치되며 와이어(50)와 연결되어 레버유닛(40)의 조작에 따라 차륜의 내측 림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제1제동부(61)와, 제1제동부와 힌지 결합되며 차륜의 외측에 배치되어 레버유닛의 조작에 따라 차륜의 외측 림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제2제동부(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aking unit 60 is disposed inside the wheel 20 and is connected to the wire 50 to apply a frictional force to the inner rim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unit 40. A first braking unit 61 is provided. and a second braking unit 62 that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braking unit a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wheel to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outer rim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unit.

또한, 상기 레버유닛(40)은 파지부(30)와 결합되며 와이어(50) 일부를 태엽 형태로 권취 내장하는 바디부(41)와, 바디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동 조작에 따라 와이어를 권취 또는 풀림되게 하는 조작부(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ver unit 40 is coupled to the gripping part 30 and includes a body part 41 that winds and embeds a part of the wire 50 in the form of a mainspring, and is rotatably installed from the body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wire for rotation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anipulation unit 42 that allows the wire to be wound or unwound according to the.

또한, 상기 적재부(10)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 홍보용 판넬(8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ading unit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motional panel 80 is installed on one or more sides.

한편, 상기 바디부(41)는 조작부(42)의 작동에 기인하여 와이어(50)를 권취 또는 풀림되게 하는 클러치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70)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롤러(71)와,권취롤러 상단에 밀착 설치되어 권취된 와이어를 정렬시키는 플레이트(72)와, 플레이트 상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권취롤러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치형(73a)을 구비하는 권취기어(73)와, 권취기어와 인접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치형에 걸림 방향에 따라 권취기어를 회전 또는 제동시키는 클러치(74)와, 클러치의 양측 회동 방향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회동된 클러치를 지속적으로 원상복귀시키는 한 쌍의 스프링(7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art 41 further includes a clutch part 70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5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42 , and the clutch part 70 is a winding in which the wire is wound. A winding having a roller 71, a plate 72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winding roller to align the wound wire, and teeth 73a formed in one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upled to the winding roller in a state disposed on the plate top. Gear 73, a clutch 74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ake-up gear and rotates or brakes the take-up gea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ngagement by the teeth, and is installed and rotated in a tensioned stat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clutc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ir of springs (75) for continuously returning the clutch to its original state.

또 한편, 상기 권취기어(73)는 외주면을 따라 치형(73a)이 형성되어 클러치(74)의 연쇄적인 걸림이 유도되는 고정구간(73-1)과 일정 범위 치형이 제거되어 클러치의 걸림 해제와 동시에 권취기어의 변향(變向)을 유도하는 풀림구간(7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winding gear 73, teeth 73a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section 73-1 in which the chain engagement of the clutch 74 is induced, and the teeth in a certain range are removed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clutch.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unwinding section (73-2) for induc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winding gear.

또 한편, 상기 치형(73a)은 시계방향을 기준으로 상면은 곡면부(73a-1)와, 하면은 직각부(73a-2)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러치(74)는 선단 상측 변이 직각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권취기어(7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서로 교합하여 고정시키는 직각돌기(74a)와, 선단 하측 변이 곡면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권취기어가 시계역방향으로 회전시 상호 곡면을 타고 지속 회전을 유도하는 곡면돌기(74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73a is formed of a curved portion 73a-1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of a right-angled portion 73a-2, and the clutch 74 includes a right-angled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tip and When the winding gear 73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right-angled projection 74a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tip has a curved surface when the winding gear 73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urved protrusion (74b) that induces continuous rotation on the rid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유닛이 차륜의 양측 림을 가압하여 제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타이어가 마모되거나 훼손되지 않아 장수명을 보장하고, 나아가 타이어의 마찰 부위가 적극적으로 보존되어 안전 주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braking unit presses both rims of the wheel to brake, the tire is not worn or damaged to ensure long life, and furthermore, the friction part of the tire is actively preserved to ensure safe driving. possibl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클러치 방식을 활용한 제동방식에 기인하여 선택적으로 제동 상태를 락킹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어 편리한 제동 조작은 물론 조향 조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등 조작에 편의성이 적극 향상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effect of active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such as convenient braking operation as well as steering operation, because the braking state can be selectively locked or released due to the braking method using the clutch method. .

또한, 본 발명은 적재부에 광고용 판넬 또는 식별부재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홍보 효과는 물론 먼거리에서도 해당 리어카의 파악이 가능하여짐에 따라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an advertisement panel or an identification member to the loading part, there is another effect of promoting safe driving as the rear car can be grasped from a long distance as well as various promotional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리어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어카의 측면도.
도 3은 파지부와 레버유닛의 상세 정보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버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파지부와 레버유닛의 측면도.
도 6과 도 7은 레버유닛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적재부에 광고용 판넬 또는 식별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car configur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rear ca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grip portion and the lever unit.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r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grip portion and the lever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of the use state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ever uni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vertisement panel or an identifica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loading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action and effec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serve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인력에 의해 적재된 화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리어카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with respect to the technical idea of a rear car capable of conveniently transporting cargo loaded by manpower.

무엇보다 본 발명은 양측 차륜을 개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는 구조적 개선에 기인하여 조향과 제동 기능이 발휘됨에 따라 조작성과 안전성이 적극 향상될 뿐 아니라 제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락킹 또는 해제 가능한 구조를 부가 채택함으로써 조향 조작의 편의성이 극대화되고, 아울러 홍보성 패널이나 광고성 패널을 다양한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 가능한 제동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리어카에 관련됨을 주지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ctively improves operability and safety as steering and braking functions are exhibited due to structural improvement that can brake both wheels individually, but also selectively locks or releases the braking stat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venience of steering operation is maximized and that it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rear car equipped with a braking means capable of easily attaching a promotional panel or an advertisement panel to various pos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리어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어카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car construc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 rear ca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리어카(100)는 화물이 수용되는 적재부(10)와, 적재부 양측에 구비되는 차륜(20) 및 적재부 배면에서 수평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파지부(30)로 구성되고, 특히 주행 중 선택적으로 차륜에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각 파지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버유닛(40)과, 레버유닛과 차륜을 연결하며 레버유닛의 조작 여부에 따라 인출 또는 인장되는 와이어(50)와,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2개 1조의 제동패드가 차륜의 양측 림에 배치되고, 와이어와 연결되어 레버유닛의 조작에 따라 차륜을 압박하여 제동 유도하는 제동유닛(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rear c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part 10 in which cargo is accommodated, a wheel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part,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gripping part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oading part. (30), in particular, a pair of lever units 40 installed in each gripper to selectively apply braking force to the wheel while driving, and the lever unit and the wheel, and connect the lever unit to the wheel, depending on whether the lever unit is operated or not. A brake unit (60) in which a wire 50 to be drawn out or tensioned and two sets of brake pads in the form of tongs are disposed on both rims of the wheel and connected to the wire to press the whe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unit to induce braking ) is further included.

상기 적재부(10)는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를 수차례 절곡시켜 육면체의 리어카 기초 프레임을 형성하고, 기초 프레임의 정면과 상부를 제외한 측면과 배면 그리고 저면에 각각 얇은 판재를 설치함으로써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구조를 말한다. 한편, 상기 적재부(10)는 저면에 가로 방향의 축이 구비되어 아래 후술한 차륜(20)의 설치를 유도한다.The loading part 10 bends a round or square pipe several times to form a hexahedral rear car base frame, and by installing thin plates on the side, back, and bottom surfaces except for the front and top of the base frame, respectively, the cargo can be accommodated. It refers to a structure that has secured space. On the other hand, the loading part 10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axis on the bottom surface to induce the installation of the wheel 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차륜(20)은 철재로 이루어진 원형의 휠과 휠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고무로 이루어진 타이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적재부(10)에 마련된 축에 의해 양측에 각각 1개소씩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반으로부터 구름동작이 시도되어 적재부의 원활한 위치 이동을 유도되게 한다.The wheel 20 is made of a combination of a circular wheel made of iron and a tire made of rubber surrounding the edge of the wheel,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e place on each side by the shaft provided in the loading part 10, A rolling motion is attempted from the ground to induce a smooth positional movement of the loading part.

상기 파지부(30)는 적재부(10)와 동일 소재인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적재부의 배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파지를 유도한다. 사용자는 파지부(30)를 파지한 상태로 리어카를 밀거나 끌어당겨 주행을 시도한다. 상기 파지부(30)는 적재부(10)의 배면에서 상단 좌측 모서리를 기점으로 설정 거리 수평 연장되며, 다시 우측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적재부의 폭만큼 연장되고, 또 다시 우측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적재부의 배면 상단 우측 모서리에 연결된다. 전체적으로 '⊃' 형태로 구성된다.The holding part 30 is made of a circular or square pip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loading part 10, and as it is install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oading part, the user's grip is induced. The user attempts to drive by pushing or pulling the rear car while holding the gripper 30 . The holding part 30 extends horizontally for a set distance from the upper left corn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ading part 10, and is again bent at right angles to the right side to extend as much as the width of the loading part, and is again bent at right angles to the right side to load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back of the part. It is composed in the form of '⊃' as a whole.

그리고 도면과 같이 파지부(30) 양측에는 각각 레버유닛(40)이 설치되고, 양측 차륜(20)에도 각각 아래 후술할 제동유닛(60)이 설치되며, 상기 각 레버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50)가 제동유닛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진 리어카(100)는 레버유닛(40)의 조작 여부에 따라 와이어(50)가 인장 또는 인출되면서 제동유닛(60)의 가압 또는 원위치가 이루어져 차륜(20)이 제동된다.And as shown in the figure, lever units 4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gripping part 30, respectively, brake units 6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on both wheels 20, respectively, and wires 50 extending from the lever units ) is combined with the braking unit. In the rear car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the brake unit 60 is pressurized or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the wire 50 is pulled or pulled out depending on whether the lever unit 40 is operated, and the wheel 20 is braked.

도 3은 파지부와 레버유닛의 상세 정보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grip portion and the lever unit.

도 3과 같이 상기 레버유닛(40)은 파지부(30)와 결합되며 와이어(50)를 태엽 형태로 권취 내장하는 바디부(41)와, 사용자의 가압 조작으로 바디부에 권취된 와이어를 풀림 또는 원상복귀되게 하는 조작부(42)로 구분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lever unit 40 is coupled to the gripping part 30 and the body part 41 for winding and embedding the wire 50 in the form of a mainspring, and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to unwind the wire wound on the body part. Alternatively, it is divided into an operation unit 42 that allows it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바디부(41)는 파지부(30)와 클램프 방식으로 결합되며, 바디부와 체결되는 클램프 영역에 마련된 고정 볼트에 의해 파지부와 견고하게 구속되고, 상황에 따라 고정 볼트를 느슨하게 조절하여 바디부의 설치 위치와 설치 각도를 견고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body part 41 is coupled to the gripping part 30 in a clamping manner, and is firmly constrained to the gripping part by a fixing bolt provided in the clamp region to be fastened to the body part, and by adjusting the fixing bolt loos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body It can be used by firml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ngle of the part.

상기 바디부(41)는 파지부(30)와 결합되는 클램프 형태의 연결대(41a)와, 연결대 하단에 형성되어 와이어(50)를 관통 수용하며 관통된 단부를 조작부(42)로 전달하는 공급대(41b)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대(41b)는 내부에 아래 후술할 클러치부(70)가 내장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부에 의해 관통된 와이어(50) 일부가 태엽 형태로 권취 수용된다.The body portion 41 includes a clamp-type connecting rod 41a coupled to the gripping unit 30 , and a supply stand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to receive the wire 50 penetratingly and deliver the penetrating end to the operation unit 42 . (41b) consists of. The supply stand 41b has a built-in clutch unit 70 to be described below, and a portion of the wire 50 penetrated by the clutch unit is wound and accommodated in the form of a mainspring.

상기 조작부(42)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디부(41)의 배면에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42)는 바디부(41)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급대(41b)에 권취된 와이어(50)의 끝부분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부(30)와 함께 조작부(42)를 움켜쥘 경우 조작부는 시계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조작부의 회동에 의해 와이어가 당김되면서 최종적으로 제동유닛(60)이 제동 동작을 실시한다.The manipulation unit 42 is made in the form of a handle that can be stably gripped by a user, a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unit 41 .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body part 41 , the manipulation unit 42 has the end of the wire 50 wound on the feeder 41b coupled with it,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anipulation unit 42 together with the holding unit 30 . ), the control unit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as the wire is pulled by the rotation of the control unit, the brake unit 60 finally performs the braking operation.

상기 와이어(50)는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적인 와이어로써 일측 단부가 레버유닛(40)의 조작부(42)에 구속되고, 공급대(41b)를 관통하되 공급대에 내장 설치된 클러치부(70)에 의해 일부 태엽 형태로 권취되고, 공급대를 관통한 와이어는 적재부(10)의 기초 프레임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제동유닛(60)의 제1제동부(61)를 관통하여 제2제동부(62)에 결합 구속된다. 상기 와이어(50)는 조작부(42)의 가압 조작에 의하여 소정 거리 당김이 이루어지고, 와이어의 당김이 클러치부(70)의 작동과 동시에 제동유닛(60)을 작동시켜 차륜(20)의 좌우 림을 압박한다.The wire 50 is a general wire sold on the market, one end of which is constrained by the operation unit 42 of the lever unit 40, passes through the supply stage 41b, but is installed in the supply stage by the clutch unit 70 built-in. The wire wound in the form of a part of the mainspring and passing through the feeder passes through the base frame of the loading unit 10 in a close contact state and fin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braking unit 61 of the braking unit 60 to pass through the second It is coupled and constrained to the braking unit 62 . The wire 50 is pulled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42, and the pulling of the wire operates the brake unit 60 at the same time as the clutch unit 70 operates to operate the left and right rims of the wheel 20 press the

상기 제동유닛(60)은 레버유닛(40)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50)와 연결 결합하며, 레버유닛의 조작부(42)의 조작 여부에 따라 와이어가 당김 또는 풀림되면서 작동하여 차륜(20)을 제동시킨다. 상기 제동유닛(60)은 차륜(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제동부(61)와, 차륜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제동부(62)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동부와 제2제동부는 서로 회동 가능한 집게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차륜의 양측 림을 압박한다.The braking unit 60 is connected to and coupled to the wire 50 extending from the lever unit 40, and operates while the wire is pulled or released depending on whether the operation part 42 of the lever unit is operated to brake the wheel 20. make it The braking unit 60 includes a first braking unit 61 disposed inside the wheel 20 and a second braking unit 62 disposed outside the wheel, and the first braking unit and the second braking unit 60 are provided. The brake un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the form of tongs that can rotate with each other and presses the rims of both sides of the wheel.

상세하게는 도 2의 제동유닛(60) 확대도를 참고할 수 있으며, 차륜(20)의 내측 림에 배치되면서 와이어(50)가 관통되는 제1제동부(61)와, 차륜의 외측 림에 배치되면서 제1제동부를 관통한 와이어의 끝부분을 구속하는 제2제동부(62)로 구성된다. 당연하겠지만 조작부(42)를 가압 회동시킬 경우 와이어(50)에 의해 제2제동부(62)가 제1제동부(61)로 당김되어 차륜(20)의 양측 림을 압박하는 구조로 차륜을 제동시킨다.In detail, reference may be made to an enlarged view of the braking unit 60 of FIG. 2 , the first braking unit 61 being disposed on the inner rim of the wheel 20 and through which the wire 50 penetrates, and disposed on the outer rim of the wheel and a second braking unit 62 that restrains the end of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king unit. Of course, when the operation unit 42 is pressed and rotated, the second braking unit 62 is pulled by the first braking unit 61 by the wire 50 to press the rims on both sides of the wheel 20 to brake the wheel. make it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버유닛의 분해 사시도로써, 특히 본 발명은 레버유닛의 제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동 상태를 락킹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제동 유지 기능을 부여하였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r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vided a braking maintenance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ively lock or release the braking state through improvement of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lever unit.

도 4와 같이 상기 바디부(41)는 조작부(42)의 작동에 기인하여 와이어(50)를 풀림 또는 원상복귀시키는 클러치부(70)가 내장 설치된다.As shown in FIG. 4 , the body part 41 has a built-in clutch part 70 for loosening or returning the wire 5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part 42 .

상기 클러치부(70)는 와이어(50)가 소정 권취되는 권취롤러(71)와, 권취롤러 상단에 밀착 설치되어 권취된 와이어를 정렬시키는 플레이트(72)와, 플레이트 상단에 배치되며 권취롤러와 결합되여 권취롤러의 회전을 유도하는 권취기어(73)와, 권취기어를 선택적으로 제동시키는 클러치(74)와, 동작이 완료된 클러치를 상시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75)으로 구성된다.The clutch unit 70 includes a winding roller 71 on which the wire 50 is wound by a predetermined amount, a plate 72 tha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winding roller to align the wound wire, and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plate and is coupled to the winding roller It is composed of a take-up gear 73 for inducing rotation of the take-up roller, a clutch 74 for selectively braking the take-up gear, and a spring 75 for always returning the clutch after the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상기 권취롤러(71)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심부에 축이 관통되어 공급대(41b)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50)는 권취롤러(71)의 양측면을 편심되게 관통한 후 관통된 끝부분이 조작부(42)에 구속된다. 상기 권취롤러(71)는 와이어(50)가 편심된 상태로 관통되기 때문에 조작부(42)를 조작시 와이어가 당김되고, 이때 권취롤러에 회전력이 부과되면서 와이어의 권취 또는 풀림 현상이 이루어진다. 또한, 와이어(50)는 상시 장력이 유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조작부(42)의 조작력이 해제될 경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권취롤러의 회전 위치가 즉시 원상복귀된다.The winding roller 71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upply table 41b through a shaft penetrating the center in a circular plate shape. After the wire 50 eccentrically penetrates both sides of the winding roller 71 , the penetrating end portion is restrained by the manipulation unit 42 . As the winding roller 71 penetrates the wire 50 in an eccentric state, the wire is pulled when the operation unit 42 is operated. In addition, since the wire 50 is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is always maintained, when the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unit 42 is release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winding roller is immediately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tension of the wire.

상기 플레이트(72)는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권취롤러(71) 상단에 배치되어 권취된 와이어(50)를 정렬시킴과 동시에 와이어의 원치않는 풀림을 방지한다. 상기 플레이트(72)는 권취롤러(71)와 결합되는 것이 아닌 권취롤러 중심부에 형성된 축에 단순 끼움되는 형태로 권취롤러와 동반 회전하지 않는다.The plate 72 is made in the shape of a disk, and is disposed on the winding roller 71 to align the wound wire 50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unwanted loosening of the wire. The plate 72 is not coupled to the winding roller 71, but is simply fitted to a shaf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inding roller and does not rotate together with the winding roller.

상기 권취기어(73)는 플레이트(72) 상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권취롤러와 결합하여 동반 회전하고, 특히 외주면에는 일방향으로 형성된 치형(73a)을 구비한다. 상기 권취기어(73)는 아래 후술할 클러치(74)와의 조합으로 권취롤러(71)의 회전과 구속을 제어한다. 상기 권취기어(73)는 외주면을 따라 치형(73a)이 형성되어 클러치(74)의 연쇄적인 걸림이 유도되는 고정구간(73-1)과, 일정 범위 치형이 제거되어 클러치의 걸림 해제와 동시에 권취기어의 변향(變向)을 유도하는 풀림구간(73-2)으로 구성된다.The winding gear 73 is coupled with the winding roller in a stat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plate 72 to rotate together, and in particular, has teeth 73a formed in one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winding gear 73 controls rotation and restraint of the winding roller 71 in combination with a clutch 74 to be described later. The winding gear 73 has a fixed section 73-1 in which a chain engagement of the clutch 74 is induced by forming teeth 73a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redetermined range of teeth are removed to take up the clutch simultaneously with the engagement release. It is composed of a loosening section (73-2) for inducing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gear (變向).

특히, 상기 권취기어(73)의 치형(73a)은 시계방향을 기준으로 상면은 곡면부(73a-1)와, 하면은 직각부(73a-2)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tooth shape 73a of the winding gear 73 includes a curved portion 73a-1 on the upper surface and a right angle portion 73a-2 on the lower surface in a clockwise direction.

상기 클러치(74)는 권취기어(73)와 인접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치형(73a)과의 걸림 방향에 따라 권취기어를 회전 또는 제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클러치(74)는 선단 상측 변이 직각부(73a-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권취기어(7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서로 교합하여 고정시키는 직각돌기(74a)와, 선단 하측 변이 곡면부(73a-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권취기어가 시계역방향으로 회전시 상호 곡면을 타고 지속 회전을 유도하는 곡면돌기(74b)로 구성된다.The clutch 74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ake-up gear 73 and serves to rotate or brake the take-up gear according to the engagement direction with the teeth 73a. The clutch 7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distal end right-angled portion 73a-2, and includes a right-angled protrusion 74a that engages and fixes each other when the winding gear 73 rotates clockwise, and a lower distal end curved portion. It is composed of a shape corresponding to (73a-1) and is composed of a curved protrusion (74b) that induces continuous rotation on a mutually curved surface when the winding gear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스프링(75)은 클러치(74)의 양측 회동 방향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회동된 클러치를 지속적으로 원상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75)은 클러치(74)의 상단과 공급대(41b)의 내측 상부에 연결되어 클러치의 상향 회동에 대한 탄성력이 부여됨에 따라 상향 회동 후 상시 원상복귀를 유도하는 제1스프링(75a)과, 클러치의 하단과 공급대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클러치의 하향 회동에 대한 탄성력이 부여됨에 따라 하향 회동 후 상시 원상복귀를 유도하는 제2스프링(75b)으로 구성된다.The spring 75 is installed in a tensioned stat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clutch 74 and serves to continuously return the rotated clutch to its original state. The spring 75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lutch 74 and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upply stand 41b, and as an elastic force for the upward rotation of the clutch is given, the first spring 75a induces normal return after upward rotation. and a second spring (75b)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lutch and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upply table to induce a normal return after the downward rotation as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clutch.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파지부와 레버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6과 도 7은 레버유닛의 조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5 is a side view of the holding part and the lever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diagrams in use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ever unit.

도 5 내지 7과 같이 본 발명의 리어카(100)는 레버유닛(40)의 가압 조작 정도에 따라 제동력이 강화되거나 또는 제동력이 유지되거나 또는 제동력이 해제될 수 있다.5 to 7 , in the rear c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ing force may be strengthened, the braking force may be maintained, or the braking force may be relea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lever unit 40 .

도면과 같이 레버유닛(40)의 조작부(42)를 가압할 경우 와이어(50)가 점차 당김되어 권취롤러(71)와 권취기어(73)가 시계역방향으로 동반 회전한다. 상기 도 5 및 6과 같이 조작부(42)를 가압할 동안 권취기어(73)의 치형(73a)은 클러치(74)의 곡면돌기(74b)를 타고 시계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지속적으로 와이어(50)를 권취한다. 따라서 제동유닛(60)의 제2제동부(62)가 제1제동부(61)로 지속 당김되어 차륜(20)에 마찰력을 부과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operation part 42 of the lever unit 40 is pressed, the wire 50 is gradually pulled, so that the winding roller 71 and the winding gear 73 rotate together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tooth shape 73a of the winding gear 73 rides the curved protrusion 74b of the clutch 74 and rotates counterclockwise while the operation part 42 is pressed while the wire 50 is continuously rotated. ) is wound. Accordingly, the second braking unit 62 of the braking unit 60 is continuously pulled by the first braking unit 61 to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wheel 20 .

이 후 조작부(42)의 가압 조작을 해제할 경우 상기 권취기어(73)의 치형(73a) 중 직각부(73a-2)에 클러치(74)의 직각돌기(74a)가 서로 교합되기 때문에 권취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와이어(50)가 원치않게 풀림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클러치부(70)에 와이어(50)가 권취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동유닛(60) 역시 차륜(20)을 가압하는 제동력이 유지된다.After that,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42 is released, the right angle projection 74a of the clutch 74 meshes with the right angle part 73a-2 among the teeth 73a of the winding gear 73, so that the winding gear By blocking the clockwise rotation, the wire 50 is prevent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unwound. As a result, since the wire 50 is wound around the clutch part 70 , the braking unit 60 also maintains the braking force for pressing the wheel 20 .

한편, 도 7과 같이 조작부(42)를 파지부(30)와 맞닿을 정도로 가압조작을 시도하면서 와이어(50)가 허용하는 최대 범위만큼 당김되면서 권취기어(73)를 시계역방향으로 회동시키고, 권취기어의 고정구간(73-1)에 위치하던 클러치(74)가 권취기어의 풀림구간(73-2)으로 변경되어 직각부(73a-2)와 직각돌기(74a) 간의 교합력이 완벽하게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while attempting a press operation to the extent that the manipulation unit 4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unit 30 , the winding gear 7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hile the wire 50 is pulled within the maximum allowable range, and the winding The clutch 74, which was located in the fixed section 73-1 of the gear, is changed to the unwind section 73-2 of the winding gear, so that the occlusal force between the right-angled portion 73a-2 and the right-angled projection 74a is completely released. .

그리고 조작부(42)의 가압 조작을 해제하면 차륜(20) 레버유닛(40)간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던 와이어(50)에 의해 권취기어(7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권취기어의 치형(73a)은 클러치(74)의 곡면돌기(74b)와 마주하게 되면서 걸림없이 지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져 최초의 위치로 원상복귀되고, 당연하게도 최종적으로 제동유닛(60)의 제동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리어카(100)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And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42 is released, the winding gear 73 is rotated clockwise by the wire 50 maintaining uniform tension between the wheel 20 and the lever unit 40. At this time, the tooth shape of the winding gear As the 73a faces the curved protrusion 74b of the clutch 74, continuous rotation is made without jamming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 can be driven.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적재부에 홍보용 판넬 또는 식별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romotional panel or an identifica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loading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리어카(100)는 적재부(10)의 모든 면에 홍보용 판넬(80)을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리어카(100)를 주행하는 행위만으로 다양한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rear c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romotional panel 80 attached to all surfaces of the loading unit 10 . Accordingly, various promotional effects can be expected by simply driving the rear car 100 .

한편, 본 발명의 리어카(100)는 홍보용 판넬(8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별부재를 부착하여 주행할 수 있으며, 특히 식별부재로 야광성 부재를 채택함으로써 주야 상관없이 차량으로부터 리어카와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c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by attaching various identification members as well as the promotional panel 80, and in particular, by adopting a luminous member as an identification member, the rear car and the user using the same can be safely secured from the vehicle regardless of day or night. to secur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리어카(100)는 제동유닛(60)이 차륜(20)의 양측 림을 가압하여 제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타이어가 마모되거나 훼손되지 않아 장수명을 보장하고, 나아가 타이어의 마찰 부위가 적극적으로 보존되어 안전 주행이 가능하다.Since the rear ca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in which the braking unit 60 presses both rims of the wheel 20 to brake, the tire is not worn or damaged to ensure a long lifespan, and furthermore, the tire The friction area is actively preserved, enabling safe driving.

또한, 클러치 방식을 활용한 제동방식에 기인하여 선택적으로 제동 상태를 락킹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어 편리한 제동 조작은 물론 조향 조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등 조작에 편의성이 적극 향상된다.In addition, due to the braking method utilizing the clutch metho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lock or release the braking state, thereby active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such as convenient braking operation as well as easy steering operation.

또한, 적재부(10)에 홍보용 판넬(80) 또는 식별부재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홍보 효과는 물론 먼거리에서도 해당 리어카(100)의 파악이 가능하여짐에 따라 안전한 주행을 도모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omotion panel 80 or the identification member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ading unit 10, various promotional effects as well as the identification of the rear car 100 from a long distance are possible, thereby promoting safe driv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made clear.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적재부 20. 차륜
30. 파지부 40. 레버유닛
50. 와이어 60. 제동유닛
70. 클러치부 80. 홍보용 판넬
100. 리어카
10. Loading part 20. Wheel
30. Gripping part 40. Lever unit
50. Wire 60. Braking unit
70. Clutch 80. Promotional panel
100. Lear Car

Claims (5)

화물이 수용되는 적재부(10)와, 적재부 양측에 구비되는 차륜(20)과, 적재부 배면에서 수평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파지부(30)와, 각 파지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버유닛(40)과, 레버유닛과 차륜을 연결하며 레버유닛의 조작 여부에 따라 인출 또는 인장되는 와이어(50)와,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2개 1조의 제동패드가 차륜의 양측 림에 배치되고 와이어와 연결되어 레버유닛의 조작에 따라 차륜을 압박하여 제동 유도하는 제동유닛(60)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유닛(40)은 파지부(30)와 결합되며 와이어(50) 일부를 태엽 형태로 권취 내장하는 바디부(41);와, 바디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동 조작에 따라 와이어를 권취 또는 풀림되게 하는 조작부(42);로 구성되는 리어카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41)는 조작부(42) 작동에 기인하여 와이어(50)를 권취 또는 풀림되게 하는 클러치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70)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롤러(71)와, 권취롤러 상단에 밀착 설치되어 권취된 와이어를 정렬시키는 플레이트(72)와, 플레이트 상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권취롤러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치형(73a)을 구비하는 권취기어(73)와, 권취기어와 인접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치형의 걸림 방향에 따라 권취기어를 회전 또는 제동시키는 클러치(74)와, 클러치의 양측 회동 방향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회동된 클러치를 지속적으로 원상복귀시키는 한 쌍의 스프링(75)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기어(73)는 외주면을 따라 치형(73a)이 형성되어 클러치(74)의 연쇄적인 걸림이 유도되는 고정구간(73-1) 및 설정 범위 치형이 제거되어 클러치의 걸림 해제와 동시에 권취기어의 변향(變向)을 유도하는 풀림구간(73-2)을 포함하되, 상기 치형(73a)은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상면은 곡면부(73a-1)와, 하면은 직각부(73a-2)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러치(74)는 선단 상측 변이 직각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권취기어(7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서로 교합하여 고정시키는 직각돌기(74a)와, 선단 하측 변이 곡면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권취기어가 시계 역방향으로 회전 시 곡면을 타고 지속 회전을 유도하는 곡면돌기(74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리어카.
A loading part 10 for accommodating cargo, wheels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part, a pair of left and right gripping parts 3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oading part, and a pair installed in each gripping part The lever unit 40, the wire 50 that connects the lever unit and the wheel and that is drawn out or tensioned depending on whether the lever unit is operated, and two and one set of brake pads in the form of tongs are arranged on both rims of the wheel and the wire and a braking unit 60 connected with the lever unit to induce braking by pressing the whe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unit, wherein the lever unit 40 is coupled to the gripper 30 and winds a part of the wire 50 in the form of a mainspring. In the rear car consisting of; and the body part 41 to be built-in;
The body part 41 further includes a clutch part 70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5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42 , and the clutch part 70 includes a winding roller 71 on which the wire is wound. ), a plate 72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winding roller to align the wound wire, and a winding gear 73 having teeth 73a formed in one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upled to the winding roller in a state disposed on the top of the plate. ), a clutch 74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ake-up gear and rotates or brakes the take-up gear according to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tooth shape, and the clutch 74 installed in a tensioned stat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clutch and rotated continuously It is formed of a pair of springs 75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e winding gear 73 has teeth 73a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remove the fixed section 73-1 in which the chain engagement of the clutch 74 is induced and the teeth within the set range are removed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clutch and at the same time as the winding gear. and a loosening section 73-2 for inducing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 and the clutch 7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right-angled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tip, and a right-angled protrusion 74a that engages and fixes each other when the winding gear 73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a curved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tip. A multifunctional rear car equipped with a brak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d is composed of a curved projection (74b) that rides on a curved surface and induces continuous rotation when the winding gear rotates counterclockwi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유닛(60)은,
차륜(20)의 내측에 배치되며 와이어(50)와 연결되어 레버유닛(40)의 조작에 따라 차륜의 내측 림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제1제동부(61);
제1제동부와 힌지 결합되며 차륜의 외측에 배치되어 레버유닛의 조작에 따라 차륜의 외측 림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제2제동부(6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리어카.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ing unit 60,
a first braking unit 61 disposed inside the wheel 20 and connected to the wire 50 to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inner rim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unit 40;
a second braking unit 62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braking unit a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wheel to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outer rim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unit;
A multifunctional rear car equipped with a brak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2)는 바디부(41)와의 기어 결합에 의해 다단 회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제동상태가 락킹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리어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42) is a multi-function rear car equipped with a brak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ing state is selectively locked or released while rotating in multiple stages by gear coupling with the body part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 홍보용 판넬(8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리어카.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ing part (10) is a multifunctional rear car equipped with a brak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motional panel (8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KR1020210015596A 2021-02-03 2021-02-03 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KR1023308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596A KR102330895B1 (en) 2021-02-03 2021-02-03 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596A KR102330895B1 (en) 2021-02-03 2021-02-03 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895B1 true KR102330895B1 (en) 2021-11-24

Family

ID=7874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596A KR102330895B1 (en) 2021-02-03 2021-02-03 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89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862U (en) 1996-11-13 1998-08-05 김영귀 Front frame
KR19990031139U (en)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Automatic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parking brake cable
KR20120010347A (en) * 2010-07-26 2012-02-03 한사도 A anti twist type brake device for kart
KR200473749Y1 (en) 2014-04-28 2014-07-24 김일록 Brake system for handca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862U (en) 1996-11-13 1998-08-05 김영귀 Front frame
KR19990031139U (en)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Automatic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parking brake cable
KR20120010347A (en) * 2010-07-26 2012-02-03 한사도 A anti twist type brake device for kart
KR200473749Y1 (en) 2014-04-28 2014-07-24 김일록 Brake system for handc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697A (en) Shopping cart automatic dual brake
US5236066A (en) Foot operated wheel brake
CN106821627B (en) A kind of wheelchair and electronic parking mechanism
JP3195395U (en) Pushed electric carriage
GB2272237A (en) Vehicle recovery aid
KR102330895B1 (en) 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CN101264719A (en) Wheeled support device
JP2008087539A (en) Motor-driven carrier
CN106892146A (en) Automatic band-retracting tightening machine
JP2001327543A (en) Drum brake with retreat preventing device for wheelchair
CN101992792B (en) Track transfer trolley brake device
CN217396530U (en) Handcart for building
US3565397A (en) Jack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TWI344431B (en)
CN216994726U (en) Electric scooter with double-brake protection function
JP4671471B2 (en) On-orbit work cart
JP3463800B2 (en) Parking brake mechanism
CN218084943U (en) Wear-resisting wheel with automatic braking function
CN214729425U (en) Electric tricycle capable of self-locking
JPH09202236A (en) Small electric truck
JP3083178U (en) Emergency brake assist device
CN107757759A (en) Aid in wheeled support device and vehicle
CN210363230U (en) Anti-skid chain for vehicle wheel
CN218536818U (en) Handbrake device and cart
KR200451553Y1 (en) Rear car having multi-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