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594Y1 -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 Google Patents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594Y1
KR200473594Y1 KR2020120007890U KR20120007890U KR200473594Y1 KR 200473594 Y1 KR200473594 Y1 KR 200473594Y1 KR 2020120007890 U KR2020120007890 U KR 2020120007890U KR 20120007890 U KR20120007890 U KR 20120007890U KR 200473594 Y1 KR200473594 Y1 KR 200473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security device
present
integrally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552U (ko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2020120007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59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5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8Caps or cap-like cover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수방지용 착탈식 일체형 캡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켓과 연결되도록 양측면에 둥근나사로 형성되는 도체의 연결나사와, 상기 연결나사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재질의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소켓과 전구를 통전시키는 연결체와, 상기 절연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체를 밀착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아웃캡의 하측에 보안장치를 형성하고 인캡을 아웃캡 상측에 일체되도록 형성하고, 아웃캡과 인캡이 접합부분 아웃캡 상단쪽에 구멍을 내어 형성함으로써 기존에 인캡과 아웃캡이 분리되어 취급하던 것을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보안장치를 아웃캡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아웃캡, 인캡, 보안창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캡을 매우 편리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주입구를 밀봉 할 때 밀봉용 인캡의 연성에 따라 용기내의 내용물의 누수차단이 완벽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따라 아웃캡 윗부분의 구멍에 끼우는 덮개를 용기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용기 내용물의 종류를 매우 편리하게 식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In-cap out-cap one bady type cap of leak-proof connected and separate}
본 고안은 누수방지용 착탈식 일체형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캡의 하측에 보안장치를 형성하고 인캡과 아웃캡의 접합부분을 구멍을 내어 인캡과 아웃캡의 형상이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에 인캡과 아웃캡이 분리되어 취급하던 것을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보안장치를 아웃캡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아웃캡, 인캡, 보안창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캡을 매우 편리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아웃캡과 인캡이 일체형으로 형상됨에 따라 캡을 용기 주입구에 덮고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용기 주입구를 밀봉 할 때 밀봉용 인캡의 연성에 따라 용기내의 내용물의 누수차단이 완벽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따라 아웃캡 윗부분의 구멍에 끼우는 덮개를 용기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용기 내용물의 종류를 매우 편리하게 식별 할 수 있는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및 분말을 보관하는 용기의 캡은 밀봉용 인캡과 상부 뚜껑인 아웃캡을 조합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캡은 아웃 캡을 탈거한 후에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인캡을 잡아 당겨 개구를 개봉한다.
도 1은 종래의 캡에 대한 개요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캡은 용기의 주입구(1)에 인캡(100)이 착탈되어 주입구(1)를 밀봉하게 되며. 상기 주입구(1)와 나사결합 되는 아웃캡(200)은 상기 인캡(100)을 덮어 용기의 내용물과 인캡(100)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캡(100)은 주입구(1)에 밀봉된 상기 인캡(100)을 손가락으로 당겨서 개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캡은 아웃캡과 인캡이 분리형으로 각각 구비하여 하므로 취급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캡은 인캡(100)을 손가락으로 잡기가 불편하여 수시로 착탈시켜야 하는 특성상 사용자의 애로가 많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일체형 캡은,
첫째, 아웃캡 윗측의 내측면과 인캡 내측의 윗측면을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 함 으로서 기존에 인캡과 아웃캡이 분리되어 취급하던 것을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둘째, 캡을 사용하여 용기 주입구를 밀봉 할 때 밀봉용 인캡의 연성에 따라 용기내의 내용물의 누수차단이 완벽 하여 매우 편리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셋째, 아웃캡 바깥 윗부분의 구멍에 끼우는 덮개를 용기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용기 내용물의 종류를 매우 편리하게 식별하여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따라 캡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넷째, 보안장치를 아웃캡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아웃캡, 인캡, 보안창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캡을 매우 편리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은 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인캡과, 주입구와 인캡을 덮는 아웃캡이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착탈식 캡에 있어서, 상기 인캡은 주입구를 밀폐시키는 원반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윗측면과 아웃캡의 내측의 윗측면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아웃캡 바깥 윗부분의 구멍에 끼우는 덮개는 용기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용기 내용물의 종류를 매우 편리하게 식별하며, 보안장치를 아웃캡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아웃캡, 인캡, 보안창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캡을 매우 편리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아웃캡 윗측의 내측면과 인캡 내측의 윗측면을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 함 으로서 기존에 인캡과 아웃캡이 분리되어 취급하던 것을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형성함으로써 기존에 인캡과 아웃캡이 분리되어 취급하던 것을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캡을 사용하여 용기 주입구를 밀봉 할 때 밀봉용 인캡의 연성에 따라 용기내의 내용물의 누수차단이 완벽 하여 매우 편리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셋째, 아웃캡 바깥 윗부분의 구멍에 끼우는 덮개를 용기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용기 내용물의 종류를 매우 편리하게 식별하여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따라 캡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보안장치를 아웃캡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아웃캡, 인캡, 보안창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캡을 매우 편리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기존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캡의 내부 정면 투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캡의 내부 정면 투시 및 외부 측면 투시 상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의 외부 측면 분해된 상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캡의 내부 정면 분해도 상태도이다.
도 7는 도 4의 본 고안에 따른 사용 후 외부 정면 투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의 외부 정면 덮개가 장착된 정면 투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은 용기의 주입구(1)를 밀폐하는 인캡(20)과, 주입구와 인캡(20)을 덮는 아웃캡(10)이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캡(20)의 인캡 윗측면(20a)과 아웃캡(10)의 아웃캡 내부 윗측면(10a)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인캡 윗측면(20a)과 아웃캡 내부 윗측면(10a)이 닫는 아웃캡(10)의 윗 부분을 원통의 구멍을 내어 일체형으로 형성 된다.
또한, 상기 아웃캡(10) 윗측 외부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은 윗덮개(40)로 마개 처리하며, 용기의 내용물에 따라 윗덮개(40) 색상을 구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아웃캡(10)을 사용하여 용기 주입구(1)를 밀봉 할 때 밀봉용 인캡(20)의 연성에 따라 용기내의 내용물의 누수차단이 완벽 하게 된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를 밀폐시키는 인캡(20)과, 상기 인캡(20)과 주입구(1)를 덮는 아웃캡(10)과 아웃캡(10) 하측에 보안장치(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아웃캡(10)의 내측에 인캡(20)이 일체형으로 형성 되어 용기 주입구(1)에 밀착 하여 밀폐시킬 경우 인캡(20)의 연성에 따라 용기 주입구(1)에 밀착되어 누수를 완전히 막을 수 있으며, 아웃캡(10)과 인캡(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기존에 인캡과 아웃캡이 분리되어 취급하던 것을 일체로 되어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웃캡(10) 하측에 보안장치(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캡을 용기 주입구(1)에 우측으로 돌리면서 밀폐시킨 후 용기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캡을 좌측으로 돌리면 용기 주입구의 돌출된 부분에 걸림턱(60)이 걸리면서 계속되는 힘으로 캡을 좌측으로 돌리면서 캡을 개봉하려면 파열부(30)가 절취 되면서 아웃캡(10)은 탈거 된다
그리고, 이때 파열부(30)가 절취 되면서 아웃캡(10)은 탈거 되고 보안장치(50)는 용기 주입구(1)에 남아 있게 된다.
또한, 걸림턱(60)은 캡을 우측으로 돌려 밀봉할 때 걸림턱(60)의 빗살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용기 주입구의 돌출부분에 걸리지 않고 캡을 밀봉 할 수 있지만 캡을 좌측의 역 방향으로 돌려서 개봉 하려면 걸림턱(60)은 주입구의 돌출부분에 걸리며 계속적인 힘을 가해 좌측으로 돌리면서 캡을 개봉하려면 파열부(30)가 절취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웃캡(10)을 주입구(1)에서 탈거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열부(30) 절취되면서 보안장치(50), 걸림턱(60)은 용기 주입구에 남아 있고 아웃캡(10)은 용기 주입구(1)에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봐와 같이 아웃캡(10) 바깥 윗부분의 구멍에 끼우는 윗덮개(40)를 용기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용기 내용물의 종류를 매우 편리하게 식별하여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따라 캡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된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용기 주입구 100 ; 기존에 따른 인캡
200 ; 기존에 따른 아웃캡 10 ; 고안에 따른 아웃캡
10a ; 고안에 따른 아웃캡 내부 윗측면 20 ; 고안에 따른 누수방지용 인캡
20a ; 고안에 따른 누수 방지용 인캡 윗측면 30 ; 고안에 따른 파열부
40 ; 고안에 따른 윗덮개 50 ; 고안에 따른 보안장치
60 ; 고안에 따른 보안장치의 걸림턱

Claims (4)

  1. 유체 및 분말을 보관하는 용기의 인캡과 상부뚜껑인 아웃캡에 있어서,
    본 고안은 용기 주입구(1)를 밀폐하는 인캡(20)과, 주입구와 인캡(20)을 덮는 아웃캡(10)이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착탈식 캡에 상기 인캡(20)은 용기 주입구(1)를 밀폐시키는 원반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인캡 윗측면(20a)과 아웃캡 내부의 윗측면(10a)을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아웃캡(10) 바깥 윗부분의 구멍에는 윗덮개(40)를 끼워 넣으며,
    본 고안의 보안장치(50)를 아웃캡(10)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아웃캡(10)을 개봉시 보안장치(50)는 파열부(30)에 의해 떨어지며, 인캡(20), 보안창치(50), 윗덮개(40)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하나의 캡을 이용하여 한번에 인캡(20), 아웃캡(10), 보안장치(50)는 물론 윗덮개(40)로 인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식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본 고안은 아웃캡(10)의 내측에 인캡 윗측면(20a)과 아웃캡 내부의 윗측면(10a)을 일체형으로 형성 되어 용기 주입구(1)에 밀착 하여 밀폐시킬 경우 인캡(20)의 연성에 따라 용기 주입구(1)에 밀착되어 누수 및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본 고안은 아웃캡(10) 바깥 윗부분의 구멍에 끼우는 윗덮개(40)는 용기내의 유체 및 분말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윗덮개(40) 색상을 달리하여 용기내의 유체 및 분말 내용물의 종류를 편리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 고안의 보안장치(50)는 아웃캡(10)을 밀봉 시에는 용기의 주입구에 부착된 걸림턱에 보안장치(50)의 빗살모양이 빗살방향에 의해 용기의 걸림턱을 지나가지만, 아웃캡(10)을 개봉 시에는 보안장치의 빗살부분이 용기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파열부(30)가 파열되어 아웃캡(10)과 보안장치(50)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KR2020120007890U 2012-09-05 2012-09-05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KR200473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890U KR200473594Y1 (ko) 2012-09-05 2012-09-05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890U KR200473594Y1 (ko) 2012-09-05 2012-09-05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52U KR20140001552U (ko) 2014-03-14
KR200473594Y1 true KR200473594Y1 (ko) 2014-07-11

Family

ID=5199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890U KR200473594Y1 (ko) 2012-09-05 2012-09-05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59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349A (ja) * 1993-04-05 1994-10-21 Japan Crown Cork Co Ltd 複合容器蓋
KR20110009540U (ko) * 2010-04-01 2011-10-07 태영화학공업(주) 착탈식 일체형 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349A (ja) * 1993-04-05 1994-10-21 Japan Crown Cork Co Ltd 複合容器蓋
KR20110009540U (ko) * 2010-04-01 2011-10-07 태영화학공업(주) 착탈식 일체형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52U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0519A1 (en) Disinfection cap for iv needleless connectors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CN110352166B (zh) 盖的密封结构
KR200391436Y1 (ko)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CN106864981A (zh) 具有双出液口的容器盖
KR200473594Y1 (ko) 인캡 아웃캡 일체형 누수방지용 착탈식 캡
KR200438506Y1 (ko) 내용물을 넓게 도포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JP2018203298A (ja) 安全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JP2009184709A (ja) ヒンジキャップ付容器
KR200497215Y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JP5587584B2 (ja) 流動物押出用容器
JP5272316B2 (ja) 包装チューブ
CN205525724U (zh) 一种化妆瓶
WO2013038070A1 (fr) Capsule service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0459530Y1 (ko) 착탈식 일체형 캡
CN207417511U (zh) 盗启内爆式酒瓶防滑盖
CN207015826U (zh) 具有双出液口的容器盖
JP6052766B2 (ja) 液注出容器のキャップ
KR200474475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
KR101519305B1 (ko) 밀폐용기용 압착뚜껑
CN210276970U (zh) 一种容器
CN211593536U (zh) 双密封溢流瓶盖
KR200419656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