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376Y1 - 연마 휠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연마 휠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376Y1
KR200473376Y1 KR2020140000816U KR20140000816U KR200473376Y1 KR 200473376 Y1 KR200473376 Y1 KR 200473376Y1 KR 2020140000816 U KR2020140000816 U KR 2020140000816U KR 20140000816 U KR20140000816 U KR 20140000816U KR 200473376 Y1 KR200473376 Y1 KR 200473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hole
disc
disk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천
Original Assignee
김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천 filed Critical 김학천
Priority to KR2020140000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76Y1/ko
Priority to PCT/KR2015/000747 priority patent/WO20151193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24D7/066Grinding blocks; their mountings 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6Bushings;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에 결합구가 끼워져서 디스크를 연마장치 본체에 결합하는 연마 휠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상기 디스크는 상기 중앙 결합공을 포함하는 디스크의 중앙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결합구의 제1 요홈부에서 상기 결합구 몸체의 두께와 상기 제1 요홈부에 안착된 상기 걸림구의 두께의 합이 상기 디스크 중앙영역의 두께와 일치하여 상기 결합구를 상기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에 끼웠을 때 상기 결합구가 상기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에 완전히 들어가서 상기 중앙 결합공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연마 휠 어셈블리는 연마 디스크를 연마장치 본체에 간단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결합하게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연마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마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외부충격 및 회전력에 의하여 연마 디스크가 연마장치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어 연마장치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연마 휠 어셈블리{Grinding Wheel Assembly}
본 고안은 연마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 디스크를 연마장치 본체에 간단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연마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마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외부충격 및 회전력에 의하여 연마 디스크가 연마장치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어 연마장치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연마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또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표면은 연마장치로 연마하는 마무리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마무리공정을 위하여, 연마장치에는 다이아몬드 분말을 결합체와 혼합하여 성형한 후 소결하여 만드는 연마팁이 장착된 연마 세그먼트가 복수개 장착된 연마 휠이 사용된다. 이러한 연마 휠의 디스크에는 그 중앙에 디스크를 연마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중앙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등록 제10-0492854호(2005. 05. 24. 등록)는 연마 휠을 개시한다. 이 연마 휠의 디스크에는 그 중앙에 디스크를 연마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하여 3개의 날개 형상을 가지는 중앙 결합공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그러한 중앙 결합공이 디스크를 연마장치 본체에 결합하는데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특허등록 제10-0877707호(2008. 12. 31. 등록)는 표면 연마용 휠을 개시한다. 이 특허에는 소형 연마 휠이 연마장치 본체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나사결합 방식은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것으로서 소형 장치인 경우에는 실행하는데 별로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장치가 대형화되는 경우 하나의 나사결합만으로는 부족하여 여러 개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러한 결합을 실행하는 것은 다소 번거로움이 따른다.
특허공개 제10-2011-0023596호(2011. 03. 08. 공개)는 퀵 체인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하는 그라인더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 특허출원은 연마디스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구조는 소형 연마장치에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중형 및 대형 연마장치에는 적용하는 것이 다소 부적절할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0987579호(2010. 10. 06. 등록)는 연마용 툴의 탈부착이 용이한 연마 휠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 특허는 연마 휠 어셈블리를 연마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마 디스크를 연마장치 본체에 간단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연마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마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외부충격 및 회전력에 의하여 연마 디스크가 연마장치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어 연마장치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연마 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휠 어셈블리는 원판 형상으로 된 디스크; 상기 디스크 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마 세그먼트; 상기 디스크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와 연마장치 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중앙 결합공; 및 상기 연마장치 본체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중앙 결합공에 끼워져서 상기 디스크와 결합하는 결합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공은 상기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3개 이상의 날개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는 상기 중앙 결합공 형상과 동일하고 상기 중앙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구 몸체 및 상기 결합구 몸체의 한 면에 형성되는 요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요홈부에서 원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결합구 몸체와 결합하는 걸림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는 상기 중앙 결합공을 포함하는 디스크의 중앙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결합구의 요홈부에서 상기 결합구 몸체의 두께와 상기 요홈부에 안착된 상기 걸림구의 두께의 합이 상기 디스크 중앙영역의 두께와 일치하여 상기 결합구를 상기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에 끼웠을 때 상기 결합구가 상기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에 완전히 들어가서 상기 중앙 결합공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디스크 중앙영역에서 상기 디스크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디스크 돌출부의 말단부는 상기 디스크 중앙영역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를 상기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에 끼운 후 상기 결합구의 상기 걸림구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구가 상기 디스크 돌출부의 말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가 상기 연마장치 본체와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구 몸체의 날개부는 상기 결합구의 요홈부에서 상기 결합구 몸체의 두께와 상기 요홈부에 안착된 상기 걸림구의 두께의 합과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구 몸체는 상기 요홈부의 중앙부에 상기 결합구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요홈부의 맞은 편에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구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상태로 상기 관통공을 덮는 원판 형상의 체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편은 상기 걸림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가지고, 상기 걸림구는 상기 체결편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체결편과 상기 걸림구는 상기 결합구 몸체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들에 결합하는 나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구 몸체의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연마장치 본체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구에는 상기 결합구를 상기 중앙 결합공에 끼운 후 상기 걸림구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구가 상기 디스크 돌출부의 말단부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도구를 끼울 수 있는 끼움구멍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 결합공 및 상기 결합구 몸체는 3개의 날개를 가지는 것이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크는 3개의 디스크 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연마 휠 어셈블리는 연마 디스크를 연마장치 본체에 간단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결합하게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연마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마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외부충격 및 회전력에 의하여 연마 디스크가 연마장치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어 연마장치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마 휠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연마 휠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연마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연마 휠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결합구를 한 쪽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연마 휠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결합구를 다른 쪽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연마 휠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결합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연마 디스크에 결합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휠 어셈블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 연마 세그먼트(200) 및 결합구(300)를 포함한다.
디스크(100)는 원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중앙에는 디스크(100)를 연마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중앙 결합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00)는 연마장치 본체에 결합되기 위하여 그것의 중앙에 결합공(110)이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이 아닌 주변부에 예를 들어 3개의 결합공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주변부에 복수개의 결합공을 가지는 디스크의 구성은 중앙에 하나의 중앙 결합공을 가지는 디스크의 구성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균등구조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중앙 결합공(110)은 디스크(100)의 중심으로부터 3개 이상의 날개 모양으로 형성된다. 중앙 결합공(110)은 통상적으로 3 내지 5개의 날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3개의 날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 세그먼트(200)는 디스크(100) 상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마 세그먼트(200)는 디스크(100)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마 세그먼트(200)는 그 표면에 하나 이상의 연마 팁을 가진다. 연마 팁은 다이아몬드 분말을 결합체와 혼합하여 성형한 후 소결하여 만드는 것으로서, 연마장치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연마팁을 가진 슈우(220)를 디스크(100)에 고정된 결합편(210)에 끼워서 고정하는 분리형 연마 세그먼트(200)가 도시되어 있다.
결합구(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 몸체(310), 걸림구(320) 및 체결편(330)을 포함한다.
결합구 몸체(310)는 디스크(100)의 중앙 결합공(110)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져서 중앙 결합공(110)에 끼워지는 것이다. 결합구 몸체(310)의 한 면의 중앙부에는 요홈부(312)가 형성된다. 그래서 결합구 몸체(310)의 날개부(311)는 요홈부(312)에서의 결합구 몸체(310)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구 몸체(310)의 날개부(311)는 결합구 몸체(310)의 요홈부(312)에서 결합구 몸체(310)의 두께와 요홈부(312)에 안착된, 하기에서 설명하는, 걸림구(320)의 두께의 합과 일치하는 두께를 가진다. 날개부(311)에는 연마장치 본체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18)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구 몸체(310)는 요홈부(312)의 중앙부에 결합구 몸체(310)를 관통하는 관통공(313)을 가진다. 요홈부(312)의 맞은편에서 관통공(313)의 둘레에는 관통공(313)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1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구(320)는 결합구 몸체(310)에 형성된 요홈부(312)에 안착되고, 요홈부(312)에서 원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구 몸체(310)와 결합한다. 걸림구(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 몸체(310)의 날개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날개(323)를 가진다. 걸림구(320)는 요홈부(312)에 안착되어 관통공(313)을 덮는다.
한편, 체결편(330)은 결합구 몸체(310)의 요홈부(312) 반대편에서, 결합구 몸체(310)의 관통공(313)에 형성된 걸림턱(314)에 걸리게 배치되어 관통공(313)을 덮는다.
걸림구(320)와 체결편(330)에는 체결공들(321 및 3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체결공들(312 및 331)에는 나사(340)가 결합되어 걸림구(320)와 체결편(330)은 서로 결합한다. 나사(340)는 결합구 몸체(310)의 관통공(313)을 관통하여 체결공들(321 및 331)에 결합한다. 결합구 몸체(310)의 요홈부(312)에는 관통공(313)의 둘레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걸림구(320)의 배면에는 결합구 몸체(310)에 형성된 돌출부(316)와 대응하는 위치에 요홈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결합구 몸체(310)의 돌출부(316)가 걸림구(320)의 요홈부(324)에 끼워져서 걸림구(320)는 결합구 몸체(310)에 결합한다. 이러한 요홈부(324)에는 고무재질로 된 오링(350)이 끼워질 수 있다. 즉, 오링(350)이 결합구 몸체(310)의 돌출부(316)와 걸림구(320)의 요홈부(32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링은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걸림구(320) 및 체결편(330)의 회전에 대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걸림구(320) 및 체결편(330)이 너무 쉽게 회전하게 되면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걸림구(320)가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 연마장치 본체에 대한 디스크(100)의 결합이 해제되어 연마장치 본체로부터 디스크(100)가 탈리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오링이 결합구 몸체(310)의 걸림턱(314)과 체결편(330) 사이에 개재되어 마찰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걸림구(320)에는 결합구(300)를 상기 중앙 결합공에 끼운 후 걸림구(320)를 회전시켜 걸림구(320)가 디스크 돌출부의 말단부(122)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도구를 끼울 수 있는 끼움구멍(322)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결합구 몸체(310)는 체결공(318)을 통하여 연마장치 본체와 결합한 상태에서 디스크(100)의 중앙 결합공에 끼워진 후 걸림구(320)를 회전시켜 걸림구(320)의 날개부가 디스크(100)의 돌출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연마장치 본체에 대한 디스크(100)의 결합을 완성한다.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연마 디스크(100)를 회전시켜서 연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디스크(100)의 두께는 결합구 몸체(310)의 날개부(311) 두께보다 작고, 요홈부(312)에서의 결합구 몸체(310)의 두께와 동일하다. 따라서, 요홈부(312)에 안착된 걸림구(320)는 측면으로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연마작업에 의하여 발생한 부스러기 등이 걸림구(320)의 날개부를 계속적으로 때리게 된다. 걸림구(320)의 날개부에 대한 이러한 지속적인 타격은 걸림구(320)의 날개부를 아주 조금씩 회전하게 하고 급기야 걸림구(320)의 날개부가 연마 디스크(100)의 돌출부로부터 이탈하게까지 한다. 연마 디스크(100)의 돌출부로부터 걸림구(320)의 날개부가 이탈한다는 것은 연마 디스크(100)가 연마장치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전체적으로 두께가 균일한 연마 디스크(100)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한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통상적인 연마 디스크의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도 6에서 연마 디스크(100) 그 자체는 통상적인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연마 세그먼트(200)는 본 고안자가 고안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이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연마 휠 어셈블리(10)에서 디스크(100)는 중앙 결합공(110)을 포함하는 디스크의 중앙영역(120)이 다른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구 몸체(310)의 요홈부(312)에서 결합구 몸체(310)의 두께와 요홈부(312)에 안착된 걸림구(320)의 두께의 합이 디스크 중앙영역(120)의 두께와 일치한다. 따라서, 결합구(300)를 디스크(100)의 중앙 결합공(110)에 끼웠을 때 결합구(300)가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110)에 완전히 들어가서 중앙 결합공(110)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요홈부(312)에 안착된 걸림구(320)는 측면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고, 그럼으로써 연마작업에 의하여 발생한 부스러기 등이 걸림구(320)의 날개부를 측면으로 때릴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중앙영역(120)에서 디스크(10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디스크 돌출부(121)의 말단부(122)는 디스크 중앙영역(1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구(300)를 디스크(100)의 중앙 결합공(110)에 끼운 후 결합구(300)의 걸림구(320)를 회전시켜 걸림구(320)가 디스크 돌출부의 말단부(122)에 걸리게 함으로써 결합구(300)에 의하여 디스크(100)가 연마장치 본체와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의 연마 휠 어셈블리는 연마 디스크를 연마장치 본체에 간단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결합하게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연마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마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외부충격 및 회전력에 의하여 연마 디스크가 연마장치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어 연마장치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10: 연마 휠 어셈블리 100: 디스크
110: 중앙 결합공 120: 디스크 중앙영역
121: 디스크 돌출부 122: 디스크 돌출부의 말단부
200: 연마 세그먼트 300: 결합구
310: 결합구 몸체 311: 날개부
312: 요홈부 313: 관통공
314: 걸림턱 316: 돌출부
318: 체결공 320: 걸림구
321: 체결공 322: 끼움구멍
323: 날개부 324: 요홈부
330: 체결편 331: 체결공
340: 나사 350: 오링

Claims (5)

  1. 원판 형상으로 된 디스크; 상기 디스크 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마 세그먼트; 상기 디스크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와 연마장치 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중앙 결합공; 및 상기 연마장치 본체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중앙 결합공에 끼워져서 상기 디스크와 결합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연마 휠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3개 이상의 날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중앙 결합공 형상과 동일하고 상기 중앙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구 몸체 및 상기 결합구 몸체의 한 면에 형성되는 요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요홈부에서 원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결합구 몸체와 결합하는 걸림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는 상기 중앙 결합공을 포함하는 디스크의 중앙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결합구의 요홈부에서 상기 결합구 몸체의 두께와 상기 요홈부에 안착된 상기 걸림구의 두께의 합이 상기 디스크 중앙영역의 두께와 일치하여 상기 결합구를 상기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에 끼웠을 때 상기 결합구가 상기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에 완전히 들어가서 상기 중앙 결합공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디스크 중앙영역에서 상기 디스크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디스크 돌출부의 말단부는 상기 디스크 중앙영역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를 상기 디스크의 중앙 결합공에 끼운 후 상기 결합구의 상기 걸림구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구가 상기 디스크 돌출부의 말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가 상기 연마장치 본체와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휠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 몸체의 날개부는 상기 결합구의 요홈부에서 상기 결합구 몸체의 두께와 상기 요홈부에 안착된 상기 걸림구의 두께의 합과 일치하는 두께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휠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 몸체는 상기 요홈부의 중앙부에 상기 결합구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요홈부의 맞은 편에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구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상태로 상기 관통공을 덮는 원판 형상의 체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편은 상기 걸림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가지고, 상기 걸림구는 상기 체결편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체결편과 상기 걸림구는 상기 결합구 몸체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들에 결합하는 나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휠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 몸체의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연마장치 본체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구에는 상기 결합구를 상기 중앙 결합공에 끼운 후 상기 걸림구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구가 상기 디스크 돌출부의 말단부에 걸리게 하기 위한 도구를 끼울 수 있는 끼움구멍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휠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결합공 및 상기 결합구 몸체는 3개의 날개를 가지는 것이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크는 3개의 디스크 돌출부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휠 어셈블리.
KR2020140000816U 2014-02-05 2014-02-05 연마 휠 어셈블리 KR200473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816U KR200473376Y1 (ko) 2014-02-05 2014-02-05 연마 휠 어셈블리
PCT/KR2015/000747 WO2015119392A1 (ko) 2014-02-05 2015-01-23 연마 휠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816U KR200473376Y1 (ko) 2014-02-05 2014-02-05 연마 휠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376Y1 true KR200473376Y1 (ko) 2014-07-04

Family

ID=5199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816U KR200473376Y1 (ko) 2014-02-05 2014-02-05 연마 휠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3376Y1 (ko)
WO (1) WO20151193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511B1 (ko) * 2021-12-03 2022-06-22 인베스트세라믹㈜ 그라인딩 디스크용 해머의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5428B1 (fr) * 2015-12-21 2018-06-15 M.B.H. Developpement Disque a meuler ou a poncer ou autre pour appareil electro-portati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678Y1 (ko) 2000-11-17 2001-07-28 손기섭 결합용통공과 연삭날을 구비한 그라인드휠
JP2002036127A (ja) 2000-07-28 2002-02-05 Yanase Kk 研磨ディスク
KR100987579B1 (ko) 2009-12-14 2010-10-12 (주)성심 연마용 툴의 탈부착이 용이한 연마 휠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26B1 (ko) * 2007-01-11 2008-03-21 주식회사 삼아다이아톱 건식연마기의 연마휠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127A (ja) 2000-07-28 2002-02-05 Yanase Kk 研磨ディスク
KR200229678Y1 (ko) 2000-11-17 2001-07-28 손기섭 결합용통공과 연삭날을 구비한 그라인드휠
KR100987579B1 (ko) 2009-12-14 2010-10-12 (주)성심 연마용 툴의 탈부착이 용이한 연마 휠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511B1 (ko) * 2021-12-03 2022-06-22 인베스트세라믹㈜ 그라인딩 디스크용 해머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9392A1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0910B (zh) 手持式打磨機之研磨片拆裝裝置
KR100973157B1 (ko)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홀더 착탈장치
CN108698198B (zh) 手持式研磨机及手持式研磨机的研磨盘的结合方法
KR100985466B1 (ko) 핸드 그라인더
EP2502704A1 (en) Power tool
KR200473376Y1 (ko) 연마 휠 어셈블리
JP2020516471A (ja) 研削手段装置、特に研削ディスク装置またはバックアップパッド装置
EP3486011A1 (en) Hole saw and component thereof
KR101836378B1 (ko) 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 체결장치
JP2020504683A (ja) クイックチェンジ工具
JP5265961B2 (ja) ブレード脱着補助装置
US3716951A (en) Cup grinding wheels
JP2013059988A (ja) 動力工具用コアビット組
JP5275675B2 (ja) ブレード脱着補助装置
KR200473047Y1 (ko) 연마 휠
KR101553991B1 (ko) 연마 장치용 휠 구조체
KR101868826B1 (ko) 성형연삭용 숫돌고정 플랜지 홀더
EP2230046B1 (en) Sanding head adaptable to an angle grinder
JPH11151675A (ja) グラインダ定盤
KR101615727B1 (ko) 연마장치
KR200473898Y1 (ko) 연삭기 휠 어셈블리
KR200485738Y1 (ko) 연마 휠
KR200487447Y1 (ko) 연마 휠
JP2006198707A (ja) グラインダ工具
KR200486156Y1 (ko) 연마 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