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29Y1 - 벨트형 스노우체인 - Google Patents

벨트형 스노우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29Y1
KR200473229Y1 KR2020130000246U KR20130000246U KR200473229Y1 KR 200473229 Y1 KR200473229 Y1 KR 200473229Y1 KR 2020130000246 U KR2020130000246 U KR 2020130000246U KR 20130000246 U KR20130000246 U KR 20130000246U KR 200473229 Y1 KR200473229 Y1 KR 200473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elt
snow chain
tire
fric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선
Original Assignee
윤장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선 filed Critical 윤장선
Priority to KR2020130000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38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tens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61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269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wheel, e.g. on the rim or wheel bolts
    • B60C27/027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wheel, e.g. on the rim or wheel bolts through apertures in the rim, e.g. fastening from one lateral side to the other lateral side of the rim; extending axially through the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4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the ground-engaging part being rigid
    • B60C27/045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the ground-engaging part being rigid involving retrac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용이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구조가 단순화된 벨트형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타이어 및 타이어휠에 장착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으로서, 상기 자동차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휠을 상기 타이어의 두께 방향으로 둘러싸며, 상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될 때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면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신장형의 띠부재와; 상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될 때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링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링을 구비하되 상기 띠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이중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띠부재의 표면 일부가 상호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띠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링의 제1 개구 및 상기 제2 링의 제2 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링을 우회하면서 상기 제1 링의 제1 개구를 재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형 스노우체인{belt type snow chain}
본 고안은 벨트형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용이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구조가 단순화된 벨트형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미끄러운 눈길을 주향하는 자동차의 경우 노면과 타이어간 슬립(slip)에 의한 미끄럼방지를 위해 스노우체인을 사용하여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노우체인은 사슬형 스노우체인, 우레탄 스노우체인, 패브릭 스노우체인 등이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스노우체인들은 중량이 많이 나가는 경우가 허다하며, 타이어에 대한 장착이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스노우체인 사용자가 여성이나 노약자인 경우 또는 혼자 장착해야 하는 경우, 자동차 타이어에 스노우체인을 장착하기 위해 스노우체인을 바닥에 깔고 스노우체인 위를 전후로 움직이면서 장착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장착 난이도가 높으며, 동시에 장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벨트형 스노우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타이어에 대한 장착용이성이 상당히 향상된 벨트형 스노우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경량화되면서 구조가 단순한 벨트형 스노우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자동차 타이어 및 타이어휠에 장착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으로서, 상기 자동차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휠을 상기 타이어의 두께 방향으로 둘러싸며, 상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될 때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면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신장형의 띠부재와; 상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될 때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링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링을 구비하되 상기 띠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이중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띠부재의 표면 일부가 상호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띠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링의 제1 개구 및 상기 제2 링의 제2 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링을 우회하면서 상기 제1 링의 제1 개구를 재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개구를 재통과한 상기 띠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타이어휠의 스포크를 둘러싸도록 매듭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은, 상기 띠부재에서 상기 일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배치되는 마찰력 증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상기 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금속재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상기 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금속재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띠부재는 상기 일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폭만큼의 길이까지 상기 띠부재의 폭이 증가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금속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 또는 금속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는 상기 확장부에 직렬 및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띠부재는,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타단부에서부터 소정 길이까지 구비된 제1 벨크로 부재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벨크로 부재로부터 상기 일단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벨크로 부재에 부착되는 제2 벨크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의 자동차 타이어에 대한 장착용이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스노우체인을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하는데 소요되는 수고 및 시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고, 그 결과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 사용자층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을 경량화하면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의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노우체인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이 스노우체인의 훼손이나 노후시 스노우체인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스노우체인 중 훼손되거나 노후된 스노우체인만을 개별적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스노우체인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벨트형 또는 띠형상으로 구성되므로, 특정 휠의 규격 및 특정 타이어의 규격에 무관하게 다양한 규격의 휠 및 타이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노우체인의 호환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력 증가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및 제2 추가 실시예에 따른 마찰력 증가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의 작창과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력 증가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이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된 경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은 복수 개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복수 개의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은 자동차 타이어(T) 및 타이어휠(W)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상기 자동차 타이어(T) 및 상기 타이어휠(W)을 상기 자동차 타이어(T)의 두께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도 5a 내지 도 5g 참고).
또한, 상기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은, 직물로 구성되며 자동차 타이어(T) 및 타이어휠(W)을 자동차 타이어(T)의 두께방향으로 둘러싸는 띠부재(110)와,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에 구비되는 이중고리부(120)와, 상기 스노우체인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력 증가부를 포함한다.
띠부재(110)는 상기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몸체로서 직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띠부재(110)를 구성하는 직물은 예를 들어 내구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띠부재의 폭은 35 mm이고, 상기 띠부재의 길이는 1000 mm 내지 1500 mm일 수 있다. 상기 띠부재의 길이가 1000 mm인 경우 상기 벨트형 스노우체인는 세단형 차량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타이어 및 타이어휠에 장착이 가능하며, 상기 띠부재의 길이가 1300 mm인 경우 세단형 차량 뿐만 아니라 SUV형 차량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타이어 및 타이어휠에 장착이 가능하다.
띠부재(110)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음질된 일단부(110a)와, 마감 박음질된 타단부(110b)를 포함한다. 상기 박음질에 사용되는 실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polyester filament)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는 타이어(T)의 스포크(S)를 둘러싸도록 매듭지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띠부재의 폭은 35 mm이고, 상기 띠부재의 길이는 1000 mm 내지 1500 mm일 수 있다. 상기 띠부재의 길이가 1000 mm인 경우 상기 벨트형 스노우체인는 세단형 차량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타이어 및 타이어휠에 장착이 가능하며, 상기 띠부재의 길이가 1300 mm인 경우 세단형 차량 뿐만 아니라 SUV형 차량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타이어 및 타이어휠에 장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띠부재(110)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될 때(즉,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이 자동차 타이어(T) 및 타이어휠(W)을 상기 타이어(T)의 두께 방향으로 둘러쌀 때) 내측에 위치하는 (즉, 자동차 타이어(T) 및 타이어휠(W)에 접촉하는) 제1 면(113)과 외측에 위치하는(즉, 상기 제1 면(113)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면(111)을 포함한다.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에는 이중고리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중고리부(120)는 고리형상의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링(121)과 제2 링(1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121)과 상기 제2 링(123)은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에서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의 고리형상은 상기 제1 링(121)과 상기 제2 링(123)이 상기 일단부(110a) 내에서 어느 정도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링(121)은 제1 개구(121a)를 가지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될 때 내측에 위치하고(즉, 자동차 타이어(T) 및/또는 타이어휠(W)에 접촉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 링(123)은 제2 개구(123a)를 가지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될 때 외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은 도르래와 유사한 역할을 하여 상기 띠부재(110)가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에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띠부재(110)의 일부분에는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력 증가부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될 때 띠부재(110) 중에서 타이어(T)의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인) 트레드(tread)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찰력 증가부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력 증가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제1 및 제2 추가 실시예에 따른 마찰력 증가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띠부재(110)에서 상기 띠부재의 일단부(110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는 마찰력 증가부가 구비된다.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130)는 상기 띠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즉, 일단부(110a)에서 타단부(110b)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직렬로 배치되며 금속재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용철부는 띠부재(11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후 띠부재(110)의 제1 면(113) 및 제2 면(111)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환형 돌출부는 상기 띠부재(110)의 제1 면(113)의 표면 및 제2 면(111)의 표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이로 인해 차량 운행시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노면에 대한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도 4a를 참고하면, 제1 추가 실시예에 따른 마찰력 증가부는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는 상기 띠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금속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는 노면과 접촉하는 금속재 면적을 증가하여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노면에 대한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킨다.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띠부재(110)는 폭이 증가되는 확장부(117)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117)는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상기 자동차 타이어(T)의 폭만큼의 길이까지(즉, 타이어(T)의 트레드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까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금속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130) 또는 금속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130)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는 상기 확장부(117)에 직렬 및 병렬(즉, 행렬 형상으로)로 배치된다. 이렇게, 확장부(117)를 구비함으로써 노면과 접촉하는 금속재 면적(요철부의 면적)을 증가하여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노면에 대한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T)에 벨트형 스노우체인(100)를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g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의 작창과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우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121)이 자동차 타이어(T) 및/또는 타이어휠(W)에 접촉하도록 타이어휠(W)의 림(rim) 부근에 이중고리부(120)를 위치시킨 후, 띠부재(110)가 타이어휠(W) 및 자동차 타이어(T)를 자동차 타이어(T)의 두께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벨트형 스노우 체인을 타이어(T)에 배치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가 상기 제1 링(121)의 제1 개구(121a) 및 상기 제2 링(123)의 제2 개구(123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를 배치한다.
이후,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띠부재(110)의 제2 면(111)이 상기 제2 링(123)을 감싸면서 상기 제1 개구(121a)를 재통과하도록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를 이동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띠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제2 링을 우회하면서 상기 제1 링의 제1 개구를 재통과하도록 상기 띠부재의 타단부를 이동시킨다.
이후,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를 잡아당겨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에 텐션(tension)을 공급한다. 이로 인해,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이 타이어(T)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링(121) 및 제2 링(123)의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링(121) 및/또는 제2링이 도르래와 유사한 역할을 하여 텐션 공급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후,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구(121a)를 재통과한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가 상기 타이어휠(W)의 스포크(S)를 둘러싸도록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를 매듭짓는다.
이후,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벨트형 스노우체인에 대해서도 전술한 도 5a 내지 도 5f의 과정을 반복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은 복수 개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복수 개의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은 자동차 타이어(T) 및 타이어휠(W)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상기 자동차 타이어(T) 및 상기 타이어휠(W)을 상기 자동차 타이어(T)의 두께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도 9 참고).
또한, 상기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은, 직물로 구성되며 자동차 타이어(T) 및 타이어휠(W)을 자동차 타이어(T)의 두께방향으로 둘러싸는 띠부재(110)와,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에 구비되는 이중고리부(120)와, 상기 스노우체인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력 증가부를 포함한다.
띠부재(110)는 상기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몸체로서 직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띠부재(110)를 구성하는 직물은 예를 들어 내구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으로 이루어진다.
띠부재(110)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음질된 일단부(110a)와, 마감 박음질된 타단부(110b)를 포함한다. 상기 박음질에 사용되는 실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polyester filament)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띠부재(110)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될 때(즉,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이 자동차 타이어(T) 및 타이어휠(W)을 상기 타이어(T)의 두께 방향으로 둘러쌀 때) 내측에 위치하는 (즉, 자동차 타이어(T) 및 타이어휠(W)에 접촉하는) 제1 면(113)과 외측에 위치하는(즉, 상기 제1 면(113)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면(111)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띠부재(110)는 상기 제2 면(111)에서 제1 벨크로(velcro) 부재(141)와 상기 제1 벨크로 부재(141)에 부착되는 제2 벨크로(velcro) 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벨크로 부재(141)는 상기 제2 면(111)에서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에서부터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 방향으로 소정 길이까지 구비되며, 상기 제2 벨크로 부재(143)는 상기 제2 면(111)에서 상기 제1 벨크로 부재(141)로부터 상기 일단부(110a)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벨크로 부재(141)는 암 벨크로 및 수 벨크로 중 하나의 벨크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벨크로 부재(143)는 암 벨크로 및 수 벨크로 중 다른 하나의 벨크로로 구성된다. 후술하겠지만, 전술한 제1 벨크로 부재(141)와 제2 벨크로 부재(14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은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가 상기 제1 링(121)의 제1 개구(121a) 및 상기 제2 링(123)의 제2 개구(123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가 상기 띠부재(110)의 제2 면(111)이 상기 제2 링(123)을 감싸면서 상기 제1 개구(121a)를 재통과하도록 상기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개구(121a)를 재통과한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의 제2 면(111)에 구비된 제1 벨크로 부재(141)를 텐션을 가한 상태에서 제2 벨크로 부재(143)에 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타이어(T)에 대한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장착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텐션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에는 이중고리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중고리부(120)는 고리형상의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링(121)과 제2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121)과 상기 제2 링(123)은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에서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의 고리형상은 상기 제1 링(121)과 상기 제2 링(123)이 상기 일단부(110a) 내에서 어느 정도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링(121)은 제1 개구(121a)를 가지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될 때 내측에 위치하고(즉, 자동차 타이어(T) 및/또는 타이어휠(W)에 접촉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 링(123)은 제2 개구(123a)를 가지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될 때 외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은 도르래와 유사한 역할을 하여 상기 띠부재(110)가 상기 제1 링(121) 및 상기 제2 링(123)에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띠부재(110)의 일부분에는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력 증가부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될 때 띠부재(110) 중에서 타이어(T)의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인) 트레드(tread)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찰력 증가부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력 증가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띠부재(110)에서 상기 띠부재의 일단부(110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는 마찰력 증가부가 구비된다.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130)는 상기 띠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즉, 일단부(110a)에서 타단부(110b)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직렬로 배치되며 금속재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용철부는 띠부재(11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후 띠부재(110)의 제1 면(113) 및 제2 면(111)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환형 돌출부는 상기 띠부재(110)의 제1 면(113)의 표면 및 제2 면(111)의 표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이로 인해 차량 운행시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노면에 대한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에서 전술한 제1 추가 실시예에 따른 마찰력 증가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는 상기 띠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금속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는 노면과 접촉하는 금속재 면적을 증가하여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노면에 대한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킨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에서 전술한 제2 추가 실시예에 따른 마찰력 증가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띠부재(110)는 폭이 증가되는 확장부(117)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117)는 상기 띠부재(110)의 일단부(110a)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상기 자동차 타이어(T)의 폭만큼의 길이까지(즉, 타이어(T)의 트레드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까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금속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130) 또는 금속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130)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130')는 상기 확장부(117)에 직렬 및 병렬(즉, 행렬 형상으로)로 배치된다. 이렇게, 확장부(117)를 구비함으로써 노면과 접촉하는 금속재 면적(요철부의 면적)을 증가하여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노면에 대한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T)에 벨트형 스노우체인(100)를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도 9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이 자동차 타이어(T)에 장착된 경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장착과정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스노우체인의 장착과정과 유사하므로,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벨트형 스노우체인의 장착과정을 참고하면 된다.
우선, 제1 링(121)이 자동차 타이어(T) 및/또는 타이어휠(W)에 접촉하도록 타이어휠(W)의 림(rim) 부근에 이중고리부(120)를 위치시킨 후, 띠부재(110)가 타이어휠(W) 및 자동차 타이어(T)를 자동차 타이어(T)의 두께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벨트형 스노우 체인을 타이어(T)에 배치한다.
이후,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가 상기 제1 링(121)의 제1 개구(121a) 및 상기 제2 링(123)의 제2 개구(123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를 배치한다.
이후, 상기 띠부재(110)의 제2 면(111)이 상기 제2 링(123)을 감싸면서 상기 제1 개구(121a)를 재통과하도록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를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를 잡아당겨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에 텐션(tension)을 공급한다. 이로 인해,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이 타이어(T)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링(121) 및 제2 링(123)의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링(121) 및/또는 제2링이 도르래와 유사한 역할을 하여 텐션 공급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개구(121a)를 재통과한 상기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의 제2 면(111)에 구비된 제1 벨크로 부재(141)를 텐션을 가한 상태에서 제2 벨크로 부재(143)에 부착시켜 고정한다(도 9의 부분확대 평면도 참고). 이로 인해, 띠부재(110)의 타단부(110b)를 매듭으로 마무리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비해, 타이어(T)에 대한 벨트형 스노우체인(100)의 장착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텐션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의 자동차 타이어에 대한 장착용이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스노우체인을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하는데 소요되는 수고 및 시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고, 그 결과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 사용자층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을 경량화하면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의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노우체인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노우체인이 스노우체인의 훼손이나 노후시 스노우체인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스노우체인 중 훼손되거나 노후된 스노우체인만을 개별적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스노우체인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스노우벨트들은 타어이의 규격 및 휠의 규격에 맞게 제조되므로 타어이의 규격 및 휠의 규격이 변하는 경우 호환성이 전혀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으나, 본 고안은 벨트형 또는 띠형상으로 구성되므로, 특정 휠의 규격 및 특정 타이어의 규격에 무관하게 다양한 규격의 휠 및 타이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노우체인의 호환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벨트형 스노우체인
110 : 띠부재
120 : 이중고리부
130 : 마찰력 증가부
141 : 제1 벨크로 부재
143 : 제2 벨크로 부재

Claims (7)

  1. 자동차 타이어 및 타이어휠에 장착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으로서,
    상기 자동차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휠을 상기 타이어의 두께 방향으로 둘러싸며, 상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될 때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면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면 및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음질된 일단부를 포함하는 신장형의 띠부재와;
    상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이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될 때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링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 및 상기 제2 링은 상기 띠부재의 일단부에서 서로 상하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원형인 단면을 가지며, 상기 띠부재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이중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띠부재의 표면 일부가 상호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띠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링의 제1 개구 및 상기 제2 링의 제2 개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링을 우회하면서 상기 제1 링의 제1 개구를 재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띠부재의 일단부의 고리형상은 상기 제1 링과 상기 제2 링이 상기 일단부 내에서 소정 범위 움직임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1 개구를 재통과한 상기 띠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타이어휠의 스포크를 둘러싸도록 매듭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형 스노우 체인은,
    상기 띠부재에서 상기 일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배치되는 마찰력 증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상기 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금속재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상기 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금속재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띠부재는 상기 일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폭만큼의 길이까지 상기 띠부재의 폭이 증가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력 증가부는 금속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 또는 금속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환형 요철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신장형 타원 요철부는 상기 확장부에 직렬 및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부재는,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타단부에서부터 소정 길이까지 구비된 제1 벨크로 부재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벨크로 부재로부터 상기 일단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벨크로 부재에 부착되는 제2 벨크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스노우 체인.
KR2020130000246U 2013-01-11 2013-01-11 벨트형 스노우체인 KR200473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46U KR200473229Y1 (ko) 2013-01-11 2013-01-11 벨트형 스노우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46U KR200473229Y1 (ko) 2013-01-11 2013-01-11 벨트형 스노우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229Y1 true KR200473229Y1 (ko) 2014-06-18

Family

ID=5149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246U KR200473229Y1 (ko) 2013-01-11 2013-01-11 벨트형 스노우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2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689B1 (ko) 2015-01-06 2015-11-13 하동호 스노우 체인
KR20160061725A (ko) 2014-11-24 2016-06-01 윤태영 스노우 체인
KR20160108950A (ko) 2015-03-09 2016-09-21 (주)태영체인 스노우체인
KR20160142532A (ko) * 2015-06-03 2016-12-13 김건우 이중결속 스노우체인
KR20230046793A (ko) * 2021-09-30 2023-04-06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휠체어용 바퀴 체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276U (ko) * 1997-01-31 1998-10-15 윤주성 패드형 독립식 체인
KR200239856Y1 (ko) 2001-03-07 2001-09-26 신정식 스노우체인
KR100940512B1 (ko) 2009-01-15 2010-02-11 하종순 분리형 구조를 가진 차량용 스노우체인
KR20130093338A (ko) * 2012-02-14 2013-08-22 장태문 스노우 체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276U (ko) * 1997-01-31 1998-10-15 윤주성 패드형 독립식 체인
KR200239856Y1 (ko) 2001-03-07 2001-09-26 신정식 스노우체인
KR100940512B1 (ko) 2009-01-15 2010-02-11 하종순 분리형 구조를 가진 차량용 스노우체인
KR20130093338A (ko) * 2012-02-14 2013-08-22 장태문 스노우 체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725A (ko) 2014-11-24 2016-06-01 윤태영 스노우 체인
KR101566689B1 (ko) 2015-01-06 2015-11-13 하동호 스노우 체인
KR20160108950A (ko) 2015-03-09 2016-09-21 (주)태영체인 스노우체인
KR20160142532A (ko) * 2015-06-03 2016-12-13 김건우 이중결속 스노우체인
KR101702610B1 (ko) 2015-06-03 2017-02-03 김건우 이중결속 스노우체인
KR20230046793A (ko) * 2021-09-30 2023-04-06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휠체어용 바퀴 체인
KR102615621B1 (ko) 2021-09-30 2023-12-2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휠체어용 바퀴 체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229Y1 (ko) 벨트형 스노우체인
ATE517765T1 (de) Nicht pneumatischer fahrzeugreifen
JP2008500923A (ja) アーチ状をなすショルダを有するエラストマタイヤ
KR101890373B1 (ko) 타이어
US1848444A (en) Tire chain
KR101391190B1 (ko) 자동차 응급 구난매트
KR101582052B1 (ko) 오토바이용 미끄럼 방지 체인
DE60141986D1 (de) Reifen mit einem wulstkern mit vorgeformten drähten
US1390893A (en) Antiskidding device
US1292526A (en) Non-skid chain for vehicle-tires.
US1046272A (en) Emergency traction device.
US1045533A (en) Skid-preventing means for vehicle-tires.
US1340184A (en) Tire-grip tightener
KR20130004653U (ko) 스노우 체인
KR200475297Y1 (ko) 스노우 체인
US2710038A (en) Anti-skid device
US2183321A (en) Antiskid device
JPH068014B2 (ja) タイヤ用滑止具の製造方法
JPH0635692Y2 (ja) タイヤ滑り止め具
US1327503A (en) Automobile-tire
CN101402304A (zh) 车轮陷坑自救增摩垫
US3205930A (en) Antiskid means for automotive vehicles
US1322452A (en) Cushion-tire
US1385926A (en) Antiskid-tire
US1451640A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