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77Y1 -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77Y1
KR200473077Y1 KR2020130000638U KR20130000638U KR200473077Y1 KR 200473077 Y1 KR200473077 Y1 KR 200473077Y1 KR 2020130000638 U KR2020130000638 U KR 2020130000638U KR 20130000638 U KR20130000638 U KR 20130000638U KR 200473077 Y1 KR200473077 Y1 KR 200473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length adjusting
handle
packaging contai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130000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67Handles with respective ends fixed to local areas of two opposite sides or wall-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는, 포장용기의 상부 외측면 양쪽에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돌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장방형의 길이조절공이 마련된 길이조절부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길이조절부 사이에는 소정 길이의 파지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길이조절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부가 상기 결합돌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길이조절공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길이조절부를 감싸면서 상기 각 결합돌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들을 포함하고, 사용 전에는 상기 길이조절부를 상기 파지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지부가 포장용기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를 줄이고, 사용시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길이조절공의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지부를 당겨 상기 몸체의 길이를 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길이를 줄여 포장용기의 외측면에 밀착시키고, 사용할 때에는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파지부를 포장용기의 외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손잡이가 포장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HANDLE FOR PACKAGING CONTAINER HAVING LENGTH ADJUSTIG STRUCTURE}
본 고안은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기의 외측면 상부영역 양측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의 돌출로 포장용기와 간섭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손잡이의 휨이나 처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액체용기를 저장하고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금속 박판을 사각 또는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들에는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20L 대용량 용기 또는 일체형 뚜껑이 적용되지 않은 용기에는 원호형의 손잡이 양단이 용기의 외주면 양쪽에 각각 결합되고, 뚜껑이 적용되는 용기에는 상면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이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0622호(공고일 : 2001.11.22)에는 페인트통이 개시되어 있다. 이 페인트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1)의 상부를 뚜껑(10)이 개폐하도록 되어 있고, 통(1)의 상부 외주면 양측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손잡이(50)의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50)를 취부하여 통(1)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용기에 적용된 손잡이는 그 크기가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측부로 돌출되었고, 이로 인하여 이웃하는 용기와 간섭되었으며, 이러한 간섭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0622호(공고일 : 2001.11.22)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용기의 손잡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포장용기의 상부 외측면 양쪽에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돌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장방형의 길이조절공이 마련된 길이조절부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길이조절부 사이에는 소정 길이의 파지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길이조절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부가 상기 결합돌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길이조절공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길이조절부를 감싸면서 상기 각 결합돌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들을 포함하고, 사용 전에는 상기 길이조절부를 상기 파지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지부가 포장용기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를 줄이고, 사용시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길이조절공의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지부를 당겨 상기 몸체의 길이를 늘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공의 마주보는 각 내측벽에는, 보관시 상기 몸체의 파지부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파지부에 근접한 상기 길이조절공의 끝부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처짐방지용 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공의 마주보는 각 내측벽에는, 보관시 상기 몸체의 파지부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상기 결합돌부를 탄력적으로 감싸기 위한 두 쌍의 처짐방지용 돌기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합돌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돌기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길이조절부를 양쪽에서 감싸기 위한 가이드편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상기 포장용기의 외측면 곡률과 같은 곡률의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외측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마찰감소 리브들이 다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의 일부분에는, 상기 파지부를 포장용기에 밀착시킬 때,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부가 상기 포장용기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부를 상기 포장용기의 외주면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밀착 안내편이 원호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길이를 줄여 포장용기의 외측면에 밀착시키고, 사용할 때에는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파지부를 포장용기의 외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손잡이가 포장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잡이가 돌출되어 타 용기와 간섭되는 현상이나 휨,갈라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길이조절부를 결합돌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손잡이를 포장용기에 결합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포장용기용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의 A-A선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의 B-B선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은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의 길이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6b는 측면도이다.
도 7a,7b는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커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의 A-A선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의 B-B선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a은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의 길이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6b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200)는, 포장용기(100)의 상부 외측면 양쪽에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돌부(110)에 양단이 결합되어 포장용기(100)를 들어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손잡이(200)는 장방형의 길이조절공(222)이 마련된 길이조절부(220)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각 길이조절부(220) 사이에는 소정 길이의 파지부(230)가 형성된 몸체(240)와, 결합돌부(110)가 길이조절공(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부(220)가 결합돌부(1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길이조절공(222)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길이조절부(220)를 감싸면서 각 결합돌부(11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0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용기(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외측면 상부의 양쪽에는 원형의 결합돌부(110)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부(110)에는 결합공(111)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부(110)는 스폿용접 등에 의해 포장용기(100)에 결합된다.
몸체(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영역에 장방형의 길이조절공(222)을 갖는 길이조절부(220)가 각각 마련된다. 이 길이조절공(222)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파지부(230)가 포장용기(10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파지 및 운반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설정된다. 즉, 길이조절공(222)의 길이는 손잡이(200)의 늘어나는 길이와 같다.
그리고, 길이조절공(222)의 폭은 결합돌부(110)의 폭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이는 길이조절공(222)에 결합돌부(110)가 위치한 상태에서, 길이조절부(2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2에는 길이조절공(222)의 양쪽 끝부분이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돌부(1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결합돌부(110)가 원통형인 경우에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사각형인 경우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파지부(230)는 각 길이조절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와 폭 그리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파지부(230)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부재(300)는 결합돌부(110)가 길이조절공(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부(220)가 결합돌부(1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길이조절공(222)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길이조절부(220)를 감싸면서 각 결합돌부(1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300)는 결합돌부(110)에 형성되는 결합공(111)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돌기(310)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길이조절부(220)를 양쪽에서 감싸기 위한 가이드편(320)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 가이드편(320)의 내측면에는 길이조절부(220)의 각 외측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력의 감소 및 소음감소, 작동력 향상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마찰감소 리브(321)가 다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240)와 커버부재(30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있으나, 제작성 및 원가절감 등을 고려한다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240)와 커버부재(300)는 하나의 금형에서 사출 성형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금형에서 각각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30)을 굽혀 양쪽의 각 길이조절부(220)가 결합돌부(110)에 위치하도록 하되, 결합돌부(110)가 길이조절공(222)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어서, 커버부재(300)의 끼움돌기(310)를 결합돌부(110)의 결합공(111)에 끼운다. 이 과정으로 커버부재(300)는 결합돌부(110)에 결합되고, 커버부재(300)는 길이조절부(220)을 감싸면서 길이조절부(220)가 결합돌부(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즉, 길이조절공(222)에 결합돌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부재(300)의 끼움돌기(310)를 결합공(111)에 끼우게 되면, 끼움돌기(310)의 걸림턱이 결합공(111)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어 결합이 완료됨과 동시에, 결합돌부(110)와 가이드편(320) 사이에 길이조절부(220)의 각 벽이 위치하게 되므로, 길이조절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에 의해 결합돌부(11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다만, 결합돌부(110)와 가이드편(320) 사이 간격은 길이조절부(220)의 양측 벽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길이조절부(220)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200)가 포장용기(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길이조절부(220)를 도 6a,6b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결합돌부(110)가 파지부(230)에 근접한 길이조절공(222)에 위치하도록 길이조절부(220)를 도 6a,6b의 실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으로 길이조절부(22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파지부(230)는 포장용기(10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고, 따라서 손잡이(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포장용기(100)에 밀착되므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파지부(230)가 포장용기(1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파지부(230)를 파지한 후 수평방향으로 당기거나, 수직으로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상부로 당긴다.
이 과정으로, 길이조절부(220)가 도 6a,6b에 도시된 이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합돌부(110)는 길이조절공(222)의 끝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그 결과 손잡이(200)의 길이는 길이조절공(222)의 길이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잡이(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파지부(230)를 포장용기(100)의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고, 손잡이(200)를 사용할 때에는 파지부(230)를 당겨 손잡이(200)의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 손잡이(200)가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손잡이(200)의 돌출로 인한 파손이나 변형, 간섭 등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공(222)의 마주보는 내측벽에는 손잡이(200)의 보관시 몸체(240)의 파지부(230)가 하부로 처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돌부(110)가 안착되어 걸리기 위한 처짐방지용 돌기(226)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30)에 근접한 길이조절공(222)의 끝부분에 결합돌부(110)가 밀착되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길이조절공(222)의 상,하부 내벽에 처짐방지용 돌기(226)들이 한 쌍을 이루어 각각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처짐방지용 돌기(226)가 길이조절공(222)의 한쪽으로 치우친 영역 내측벽에 각각 돌출 형성됨으로써, 파지부(230)를 결합돌부(110) 쪽으로 밀게 되면, 각 처짐방지용 돌기(226)와 길이조절공(222)의 끝부분 영역 사이에 결합돌부(110)가 밀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결합돌부(110)가 각 처짐방지용 돌기(226)와 길이조절공(222)의 끝부분 영역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손잡이(200)의 처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손잡이(200)를 수평상태로 한 후 파지부(230)를 결합돌부(110) 쪽으로 밀게 되면, 결합돌부(110)가 파지부(230)에 근접한 영역의 각 내측벽에 형성된 각 처짐방지용 돌기(226) 사이를 지나 각 처짐방지용 돌기(226)와 길이조절공(222)의 끝부분 영역 사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고, 이때, 각 처짐방지용 돌기(226)가 결합돌부(110)를 탄력적으로 감싸게 되므로, 손잡이(200)의 파지부(230)가 하부로 처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처짐방지용 돌기(226)와 길이조절공(222)의 끝부분 영역 사이에 결합돌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파지부(230)가 포장용기(1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공(222)의 상,하부 내측벽에는 결합돌부(110)를 탄력적으로 감싸 손잡이(2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두 쌍의 처짐방지용 돌기(226)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돌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손잡이(200)를 밀거나 당겨 결합돌부(110)가 양쪽의 각 처짐방지용 돌기(226) 사이에 위치시키게 되면, 양쪽 상,하부의 각 처짐방지용 돌기(226)들이 사방에서 결합돌부(110)를 탄력적으로 감싸게 되므로, 손잡이(200)의 파지부(230)는 하부로 처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200)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처짐방지용 돌기(226)들의 내부를 중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처짐방지용 돌기(226)들은 자체 탄성을 갖게 되어 결합돌부(110)를 탄력적으로 감쌀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a,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공(222)의 상,하부 내측벽에는 처짐방지용 돌기(226) 보다 작은 돌기들이 쌍을 이루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들은 사용자가 손잡이(2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밀거나 당길 때 결합돌부(110)가 타고 넘으면서 작동감을 느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길이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220)는 전체 또는 일부분이 포장용기(100)의 외측면 곡률과 같은 곡률의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이와 같이 길이조절부(220)의 일부분(파지부에 근접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포장용기(100)의 외주면 곡률과 같은 곡률의 원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파지부(230)를 포장용기(100)의 외주면에 밀착시켰을 때, 반대 쪽으로 이동하는 길이조절부(220)의 일부분이 파지부(230)의 반대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포장용기(1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200) 전체가 포장용기(100)에 밀착되어 보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커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의 일부분에는 파지부(230)를 포장용기(100)에 밀착시킬 때, 길이조절부(220))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고 포장용기(100)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길이조절부(220)의 일부를 포장용기(100)의 외주면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밀착 안내편(360)이 원호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의 일부분이 포장용기(100)의 외주면 쪽으로 만곡지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손잡이(200)를 밀어넣게 되면, 합성수지재로 된 길이조절부(220)가 밀착 안내편(360)에 안내되어 휘어지면서 직선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포장용기(100)의 외주면 쪽으로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포장용기 110 : 결합돌부
111 : 결합공 200 : 손잡이
220 : 길이조절부 222 : 길이조절공
226 : 처짐방지용 돌기 230 : 파지부
240 : 몸체 300 : 커버부재
310 : 끼움돌기 320 : 가이드편
321 : 마찰감소 리브 360 : 밀착 안내편

Claims (8)

  1. 포장용기의 상부 외측면 양쪽에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돌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장방형의 길이조절공이 마련된 길이조절부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길이조절부 사이에는 소정 길이의 파지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길이조절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부가 상기 결합돌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길이조절공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길이조절부를 감싸면서 상기 각 결합돌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합돌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돌기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길이조절부를 양쪽에서 감싸기 위한 가이드편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사용 전에는 상기 길이조절부를 상기 파지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지부가 포장용기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를 줄이고,
    사용시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길이조절공의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지부를 당겨 상기 몸체의 길이를 늘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공의 마주보는 각 내측벽에는,
    보관시 상기 몸체의 파지부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파지부에 근접한 상기 길이조절공의 끝부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처짐방지용 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공의 마주보는 각 내측벽에는,
    보관시 상기 몸체의 파지부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상기 결합돌부를 탄력적으로 감싸기 위한 두 쌍의 처짐방지용 돌기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외측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마찰감소 리브들이 다수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상기 포장용기의 외측면 곡률과 같은 곡률의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8.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일부분에는,
    상기 파지부를 포장용기에 밀착시킬 때,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부가 상기 포장용기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부를 상기 포장용기의 외주면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밀착 안내편이 원호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KR2020130000638U 2013-01-24 2013-01-24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KR200473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38U KR200473077Y1 (ko) 2013-01-24 2013-01-24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38U KR200473077Y1 (ko) 2013-01-24 2013-01-24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77Y1 true KR200473077Y1 (ko) 2014-06-11

Family

ID=5148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638U KR200473077Y1 (ko) 2013-01-24 2013-01-24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29U (ko) * 2020-06-29 2022-01-05 김환식 고소 작업용 도색 작업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46Y1 (ko) * 2001-01-05 2001-06-15 주식회사대륙제관 용기의 손잡이
KR200447335Y1 (ko) * 2007-09-11 2010-01-19 애경산업(주) 스푼 손잡이 안착부를 구비한 분말세제용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46Y1 (ko) * 2001-01-05 2001-06-15 주식회사대륙제관 용기의 손잡이
KR200447335Y1 (ko) * 2007-09-11 2010-01-19 애경산업(주) 스푼 손잡이 안착부를 구비한 분말세제용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29U (ko) * 2020-06-29 2022-01-05 김환식 고소 작업용 도색 작업통
KR200495237Y1 (ko) * 2020-06-29 2022-04-08 김환식 고소 작업용 도색 작업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5092B2 (ja) 収納ケース
KR200457163Y1 (ko) 화장품용기
JP6369009B2 (ja) 蓋付き容器
US20120285958A1 (en) Preservation container
KR101666012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070101643A (ko) 저장용기
KR200473077Y1 (ko)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포장용기용 손잡이
USD905555S1 (en) Lid for cans
WO2014118621A2 (en) Strap guide insert
JP3194019U (ja) 耐水補強板を備えた包装容器
HU224982B1 (en) Container comprising a slide cover
KR101680474B1 (ko) 유출 분출구 및 스푼을 가지는 용기 커버
JP5966240B2 (ja) 容器
JP6457848B2 (ja) 運搬用容器
USD863065S1 (en) Sheet of twist-free cling wrap
USD854379S1 (en) Garlic tray
KR101324568B1 (ko) 조리기구용 핸들
WO2012025757A9 (en) Cigarette container
KR102033424B1 (ko) 포장용 용기
CA2888504C (en) Handle for use with a flexible package
JP3211104U7 (ko)
JP5392773B2 (ja) 吐出容器
KR101295340B1 (ko) 가구용 개폐 핸들
KR101302535B1 (ko) 식품 보관용기의 락킹레버 결합용 브라켓
JP2017042319A (ja) キャリング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