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51Y1 - 전기 주전자 - Google Patents

전기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51Y1
KR200473051Y1 KR2020140000345U KR20140000345U KR200473051Y1 KR 200473051 Y1 KR200473051 Y1 KR 200473051Y1 KR 2020140000345 U KR2020140000345 U KR 2020140000345U KR 20140000345 U KR20140000345 U KR 20140000345U KR 200473051 Y1 KR200473051 Y1 KR 200473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ner housing
housing
fille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균
Original Assignee
임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균 filed Critical 임영균
Priority to KR2020140000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끓는 장소를 형성하며, 유리(glass) 재질로 적용되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하우징과는 상이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에 조립되어 주전자의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 하우징의 관찰이 가능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주전자{AN ELECTRIC KETTLE}
본 고안은,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이중 하우징 구조를 적용하되 적어도 내부 하우징을 유리(glass) 재질로 적용하고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무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커피나 차를 끓여 먹을 때, 소위 전기포트라고도 불리는 전기 주전자를 이용한다.
전기 주전자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주전자 내부에 저수된 물을 100℃ 내외로 끓기는 전기 기구이다.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가스렌지 등의 불(화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구조상 취급이 용이하며, 또한 일정량의 물을 신속하게 끓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점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전기 주전자에 대한 기술개발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전기 주전자의 경우, 그 대부분은 폴리카보네이트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단일의 하우징을 채용하고 있다.
단일의 하우징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되는 경우, 성형의 이점은 있으나 환경 유해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단일의 하우징을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조한 전기 주전자가 개발되고 있으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특성 상 무게가 무겁고, 재료비에 따른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양한 종류의 재질 중에서 유리(glass)의 경우, 환경 무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유리는 그 특성상 외부충격에 약해 파손의 우려가 높으며, 열전도가 우수하여 사용자에게 열화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하우징을 이중 하우징 구조를 적용하면서 적어도 내부 하우징을 유리재질로 적용할 경우, 유리재질이 갖는 다양한 장점을 살릴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한 전기 주전자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1-000933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5580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1066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9094호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이중 하우징 구조를 적용하되 적어도 내부 하우징을 유리(glass) 재질로 적용하고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무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물이 끓는 장소를 형성하며, 유리(glass) 재질로 적용되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하우징과는 상이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에 조립되어 주전자의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 하우징의 관찰이 가능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외부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적용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이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상기 금속 재질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외부 하우징에는 관찰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찰창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 내에 충전되는 물의 높이를 관찰하는 물 높이 관찰용 관찰창; 및 상기 외부 하우징 상에서 상기 물 높이 관찰용 관찰창에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 내의 물의 끓는 상태를 관찰하는 물 끓는 상태 관찰용 관찰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밑면적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내부 하우징과 접촉되는 히터 어셈블리(heater assembly); 상기 히터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서모스탯(thermostat); 상기 히터 어셈블리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다수의 램프(lamp)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lead wire); 상기 리드 와이어의 외측에서 상기 리드 와이어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램프 커버 링(lamp cover ring); 상기 램프 커버 링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바디(main body);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된 밑면에 결합되는 바텀 커버(bottom cover); 상기 메인 바디의 외벽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리드 데코레이티브 메인 바디(lid decorative main body); 상기 바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 커버가 올려져 지지되되 상기 바텀 커버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 결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탑 커버; 상기 베이스 탑 커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다운 커버(base down cover); 상기 베이스 탑 커버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서모스탯과 연결되는 서모스탯 소켓; 및 상기 베이스 탑 커버의 외벽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탑 커버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리드 데코레이티브 베이스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단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사이드 커버(inside cover); 상기 인사이드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물 배출부를 개폐하는 필렛(fillet); 상기 필렛에 연결되어 상기 필렛을 지지하는 필렛 서포트(fillet support); 상기 인사이드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필렛을 구동시키는 필렛 스태프(fillet staff); 상기 필렛 스태프에 연결되어 상기 필렛 스태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필렛 스프링(fillet spring); 상기 인사이드 커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cover); 상기 커버의 외벽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리드 데코레이티브 커버(lid decorative cover); 상기 커버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를 개폐시키는 커버 버튼(cover button);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handle); 상기 핸들의 바깥쪽에 결합되는 핸들 커버(handle cover); 상기 핸들의 안쪽에 배치되되 상기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프론트 핸들(front handle); 상기 프론트 핸들의 상단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을 위해 마련되는 커버 개폐 스위치(switch); 상기 핸들의 상단부 일측에 마련되는 스위치(switch); 상기 스위치를 상기 핸들에 지지시키는 스위치 서포트(switch support); 및 상기 스위치에 연결되는 스팀 서모스탯(steam thermosta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이중 하우징 구조를 적용하되 적어도 내부 하우징을 유리(glass) 재질로 적용하고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무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단일 하우징에 비해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청소가 용이하며, 또한 외부 하우징의 재질에 따라 단가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에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에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는 내부 하우징(110)과 외부 하우징(120)의 이중 하우징 구조를 적용하되 적어도 내부 하우징(110)을 유리(glass) 재질로 적용하고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무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110)은 전기 주전자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으로서, 물이 끓는 장소를 형성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110)은 유리(glass) 재질로 적용된다. 따라서 환경 무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10)의 벽면에는 다수의 스토퍼(111)가 형성된다. 스토퍼(111)들로 인해 외부 하우징(120) 내에서의 내부 하우징(110)의 위치를 바로 잡을 수 있다.
외부 하우징(120)은 내부 하우징(110)과는 상이한 재질로 제작되며, 내부 하우징(110)의 외부에 조립되어 주전자의 외관을 형성하되 내부 하우징(110)의 관찰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120)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 즉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의 플라스틱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외부 하우징(120)이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금속 재질로 적용되는 경우라면 유리 재질의 내부 하우징(110)이 보일 수 있게 창(window)을 내면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하고, 여기서는 외부 하우징(120)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 즉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의 플라스틱 재질로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이처럼 내부 하우징(110)을 유리 재질로 만들고, 외부 하우징(120)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적용할 경우, 환경 무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 주전자는 반복 설명하는 것처럼 하우징(110,120)이 내부와 외부의 이중 하우징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 하우징(110)은 유리 재질, 외부 하우징(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되어 있다.
때문에 내부 하우징(110) 내에 충전될 수 있는 물, 혹은 탕약 등의 액체가 외부에서도 보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리를 감싸고 있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가 가지고 있는 파손의 우려를 감소시키며, 아울러 물을 끓일 때 유리 표면이 뜨거워서 혹시 화상 또는 열상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보완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내부 하우징(110)을 유리 재질로 적용함에 따라 유리 제품의 투명성, 환경 무해성,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유리는 외부충격에 약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을 수 있고, 타 재질과 비교하여 취약하며, 또한 물을 끓이고 난 후, 표면온도가 뜨거워서 열화상의 우려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외부 하우징(120)을 이루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커버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강함, 투명함, 시각효과 역시 유리와 견주어 크게 차이가 없으나 폴리카보네이트는 환경 유해성에 취약할 수 있다. 하지만, 폴리카보네이트로 물을 끓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환경 유해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는 유리가 가지고 있는 투명성은 그대로 살리면서 파손의 취약함을 보완한 것으로서, 설사 강한 충격에 의해 유리가 파손되더라도 외부 하우징(120)이 있기 때문에 유리파편이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이중구조는 물이 끓고 난 후 높은 온도에 의한 열상을 방지하며, 온도편차가 심하지 않아서 물의 보온 효과도 한편으로는 볼 수 있는 많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내부 및 외부 하우징(110,120)을 비롯한 주변 구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내부 및 외부 하우징(110,120)의 하부 영역에는 내부 하우징(110) 내에 충전된 물을 가열시키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의 밑면을 형성하는 구조물들이 마련된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내부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내부 하우징(110)의 밑면적과 유사한 사이즈를 가지고 내부 하우징(110)과 접촉되는 히터 어셈블리(131, heater assembly)가 마련된다. 히터 어셈블리(131)에는 서모스탯(132, thermostat)이 연결된다.
히터 어셈블리(131)의 하부에는 다수의 램프(133, lamp)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134, lead wire)가 마련되며, 리드 와이어(134)의 외측에는 리드 와이어(134)를 둘러싸는 형태로 램프 커버 링(135, lamp cover ring)이 설치된다.
램프 커버 링(135)의 하부 영역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의 밑면 구조를 이루는 링 형태의 메인 바디(136, main body)가 설치되며, 메인 바디(136)의 개구된 밑면에 바텀 커버(137, bottom cover)가 배치된다.
그리고 메인 바디(136)의 외벽에는 메인 바디(136)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리드 데코레이티브 메인 바디(138, lid decorative main body)가 마련된다.
바텀 커버(137)의 하부에는 바텀 커버(137)가 올려져 지지되는 베이스 탑 커버(139, base top cover)가 마련된다. 베이스 탑 커버(139)에는 바텀 커버(137)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 결합부(139a)가 형성된다. 베이스 탑 커버(139)의 하부에는 베이스 다운 커버(142, base down cover)가 마련된다.
베이스 탑 커버(139)의 하부에는 서모스탯(132)과 연결되는 서모스탯 소켓(141)이 마련된다.
그리고 베이스 탑 커버(139)의 외벽에는 베이스 탑 커버(139)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리드 데코레이티브 베이스 커버(140, lid decorative base cover)가 마련된다.
한편, 외부 하우징(120)의 상단부 개구(121)에는 인사이드 커버(151, inside cover)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부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물 배출부(122)에는 물 배출부(122)를 개폐하는 필렛(152, fillet)이 마련된다. 필렛(152)은 인사이드 커버(151)에 연결된다.
이러한 필렛(152)에는 필렛 서포트(153, fillet support)가 연결되어 필렛(152)을 지지한다. 인사이드 커버(151)에는 필렛(152)의 구동을 위해 필렛 스태프(154, fillet staff)가 마련된다. 그리고 필렛 스태프(154)의 원위치 복귀를 위해 필렛 스프링(155, fillet spring)이 갖춰진다.
인사이드 커버(151)의 상부에는 커버(156, cover)가 마련된다. 커버(156)의 외벽에는 커버(156)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리드 데코레이티브 커버(157, lid decorative cover)가 마련된다. 그리고 커버(156)의 중앙 영역에는 커버(156)의 개폐를 위한 커버 버튼(158, cover button)이 마련된다.
외부 하우징(120)의 일측에는 핸들(161, handle)이 마련된다. 핸들(161)의 바깥쪽에는 핸들 커버(162, handle cover)가 결합된다. 그리고 핸들(161)의 안쪽에는 프론트 핸들(163, front handle)이 외부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핸들(161)과 연결된다. 프론트 핸들(163)의 상단부 일측에는 커버 개폐 스위치(164, switch)가 결합된다. 커버 개폐 스위치(164)는 커버(156)의 개폐에 사용된다.
핸들(161)의 상단부 일측에는 스위치(171, switch)가 결합된다. 이 스위치(171)는 물을 가열시키는 동작을 위한 것으로서, 스위치(171)를 동작시키면 전술한 히터 어셈블리(131)가 동작되면서 내부 하우징(110) 내의 물을 끓인다. 스위치(171)는 스위치 서포트(172, switch support)에 의해 핸들(161) 상에서 지지된다. 스위치(171)에는 스팀 서모스탯(173, steam thermostat)이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전기 주전자에 따르면, 내부 하우징(110)과 외부 하우징(120)의 이중 하우징 구조를 적용하되 적어도 내부 하우징(110)을 유리(glass) 재질로 적용하고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무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단일 하우징에 비해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청소가 용이하며, 또한 외부 하우징(120)의 재질에 따라 단가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에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 역시, 내부 하우징(210)과 외부 하우징(220)의 이중 하우징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 하우징(210)이 유리 재질로 적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내부 하우징(21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가 아닌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적용되는데, 이러한 경우, 내부의 내부 하우징(210)이 보일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220)에는 관찰창(221)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관찰창(221)이 한 줄로 되어 있으나 관찰창(221)은 여러 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관찰창(221)이 외부 하우징(220)에 형성됨에 따라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외부에서 유리 재질의 내부 하우징(210)을 관찰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환경 무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단일 하우징에 비해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에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전자 역시, 내부 하우징(310)과 외부 하우징(320)의 이중 하우징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 하우징(310)이 유리 재질로 적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내부 하우징(31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가 아닌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적용되는데, 이러한 경우, 내부의 내부 하우징(310)이 보일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320)에는 관찰창(321a,321b)이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관찰창(321a,321b)은 외부 하우징(3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내부 하우징(310) 내에 충전되는 물의 높이를 관찰하는 물 높이 관찰용 관찰창(321a)과, 외부 하우징(320) 상에서 물 높이 관찰용 관찰창(321a)에 교차되게 배치되어 내부 하우징(310) 내의 물의 끓는 상태를 관찰하는 물 끓는 상태 관찰용 관찰창(321b)을 포함한다.
이처럼 물 높이 관찰용 관찰창(321a)과 물 끓는 상태 관찰용 관찰창(321b)이 외부 하우징(320)에 형성됨에 따라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외부에서 유리 재질의 내부 하우징(310)을 관찰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환경 무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뛰어난 시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단일 하우징에 비해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내부 하우징 120 : 외부 하우징
131 : 히터 어셈블리 132 : 서모스탯
133 : 램프 134 : 리드 와이어
135 : 램프 커버 링 136 : 메인 바디
137 : 바텀 커버 138 : 리드 데코레이티브 메인 바디
139 : 베이스 탑 커버 139a : 돌출 결합부
140 : 리드 데코레이티브 베이스 커버 141 : 서모스탯 소켓
142 : 베이스 다운 커버 151 : 인사이드 커버
152 : 필렛 153 : 필렛 서포트
154 : 필렛 스태프 155 : 필렛 스프링
156 : 커버 157 : 리드 데코레이티브 커버
158 : 커버 버튼 161 : 핸들
162 : 핸들 커버 163 : 프론트 핸들
164 : 커버 개폐 스위치 171 : 스위치
172 : 스위치 서포트 173 : 스팀 서모스탯

Claims (5)

  1. 물이 끓는 장소를 형성하며, 유리(glass) 재질로 적용되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하우징과는 상이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에 조립되어 주전자의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 하우징의 관찰이 가능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밑면적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내부 하우징과 접촉되는 히터 어셈블리(heater assembly);
    상기 히터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서모스탯(thermostat);
    상기 히터 어셈블리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다수의 램프(lamp)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lead wire);
    상기 리드 와이어의 외측에서 상기 리드 와이어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램프 커버 링(lamp cover ring);
    상기 램프 커버 링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메인 바디(main body);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된 밑면에 결합되는 바텀 커버(bottom cover);
    상기 메인 바디의 외벽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리드 데코레이티브 메인 바디(lid decorative main body);
    상기 바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 커버가 올려져 지지되되 상기 바텀 커버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 결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탑 커버;
    상기 베이스 탑 커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다운 커버(base down cover);
    상기 베이스 탑 커버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서모스탯과 연결되는 서모스탯 소켓; 및
    상기 베이스 탑 커버의 외벽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탑 커버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리드 데코레이티브 베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적용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이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상기 금속 재질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외부 하우징에는 관찰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창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 내에 충전되는 물의 높이를 관찰하는 물 높이 관찰용 관찰창; 및
    상기 외부 하우징 상에서 상기 물 높이 관찰용 관찰창에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 내의 물의 끓는 상태를 관찰하는 물 끓는 상태 관찰용 관찰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4. 삭제
  5. 물이 끓는 장소를 형성하며, 유리(glass) 재질로 적용되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하우징과는 상이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에 조립되어 주전자의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 하우징의 관찰이 가능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단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사이드 커버(inside cover);
    상기 인사이드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물 배출부를 개폐하는 필렛(fillet);
    상기 필렛에 연결되어 상기 필렛을 지지하는 필렛 서포트(fillet support);
    상기 인사이드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필렛을 구동시키는 필렛 스태프(fillet staff);
    상기 필렛 스태프에 연결되어 상기 필렛 스태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필렛 스프링(fillet spring);
    상기 인사이드 커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cover);
    상기 커버의 외벽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리드 데코레이티브 커버(lid decorative cover);
    상기 커버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를 개폐시키는 커버 버튼(cover button);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handle);
    상기 핸들의 바깥쪽에 결합되는 핸들 커버(handle cover);
    상기 핸들의 안쪽에 배치되되 상기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과 연결되는 프론트 핸들(front handle);
    상기 프론트 핸들의 상단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을 위해 마련되는 커버 개폐 스위치(switch);
    상기 핸들의 상단부 일측에 마련되는 스위치(switch);
    상기 스위치를 상기 핸들에 지지시키는 스위치 서포트(switch support); 및
    상기 스위치에 연결되는 스팀 서모스탯(steam thermosta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KR2020140000345U 2014-01-16 2014-01-16 전기 주전자 KR200473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45U KR200473051Y1 (ko) 2014-01-16 2014-01-16 전기 주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45U KR200473051Y1 (ko) 2014-01-16 2014-01-16 전기 주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51Y1 true KR200473051Y1 (ko) 2014-06-09

Family

ID=5148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345U KR200473051Y1 (ko) 2014-01-16 2014-01-16 전기 주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5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3098A1 (en) * 2014-12-12 2016-06-30 De' Longhi Appliances S.R.L. Con Unico Socio Container for heating liquids
KR20170003842A (ko) 2015-06-30 2017-01-10 안태국 다용도 멀티 티포트
KR200485379Y1 (ko) 2017-06-13 2017-12-29 임영균 내열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열판을 구비한 전기 주전자
WO2021149926A1 (ko) * 2020-01-22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727Y1 (ko) * 2005-06-13 2005-08-30 서운용 발광표시부가 형성된 포트
JP2006136549A (ja) 2004-11-12 2006-06-01 Yoshinobu Toyomura 二重容器
JP3870169B2 (ja) * 2002-10-25 2007-01-17 恵庸 豊村 ティーポット
JP2012152603A (ja) 2012-05-21 2012-08-16 Tiger Vacuum Bottle Co Ltd 水加熱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0169B2 (ja) * 2002-10-25 2007-01-17 恵庸 豊村 ティーポット
JP2006136549A (ja) 2004-11-12 2006-06-01 Yoshinobu Toyomura 二重容器
KR200393727Y1 (ko) * 2005-06-13 2005-08-30 서운용 발광표시부가 형성된 포트
JP2012152603A (ja) 2012-05-21 2012-08-16 Tiger Vacuum Bottle Co Ltd 水加熱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3098A1 (en) * 2014-12-12 2016-06-30 De' Longhi Appliances S.R.L. Con Unico Socio Container for heating liquids
CN107454829A (zh) * 2014-12-12 2017-12-08 德隆奇电器单股东有限责任公司 用于加热液体的容器
KR20170003842A (ko) 2015-06-30 2017-01-10 안태국 다용도 멀티 티포트
KR200485379Y1 (ko) 2017-06-13 2017-12-29 임영균 내열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열판을 구비한 전기 주전자
WO2021149926A1 (ko) * 2020-01-22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51Y1 (ko) 전기 주전자
CN102973145B (zh) 一种玻璃杯杯体及其方法
EP3141167A1 (en) Multi-purpose heating device
CN203987490U (zh) 一种能计时消毒的烹饪锅
CN105310499A (zh) 一种改进的煮蛋器
ES1070833U (es) Dispositivo de control de temperatura de freidora electrica.
CN202184598U (zh) 一种新型加热器具
ES2302370T3 (es) Aparato de coccion.
KR101340648B1 (ko) 조리기구
CN202234862U (zh) 具有大视角视窗的加热炊具
CN204797564U (zh) 一种新型双内胆电饭锅
CN204445527U (zh) 可视煎烤器
KR20150127832A (ko) 직화 가열식 꼬치구이기
KR200478216Y1 (ko) 전선 고정 수단이 구비된 가열 조리기
CN202635898U (zh) 饭盒
CN208404151U (zh) 一种低水位自动报警的电热水壶
KR101478943B1 (ko) 다용도 휴대용 조리기
CN204862753U (zh) 带安全装置的空气对流烤炉
CN205162856U (zh) 一种煎烤机
CN205125991U (zh) 一种空气炸锅
CN217109682U (zh) 一种灶具面板及燃气灶具
CN202932767U (zh) 分体式锅盖
CN203302889U (zh) 带加热炊具的餐用保温装置
KR20090092226A (ko) 내열 유리를 이용한 결착식 밀폐 용기
CN205568670U (zh) 一种新型组合电压力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