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960Y1 - 접이식 좌식책상 - Google Patents

접이식 좌식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960Y1
KR200472960Y1 KR2020120010448U KR20120010448U KR200472960Y1 KR 200472960 Y1 KR200472960 Y1 KR 200472960Y1 KR 2020120010448 U KR2020120010448 U KR 2020120010448U KR 20120010448 U KR20120010448 U KR 20120010448U KR 200472960 Y1 KR200472960 Y1 KR 200472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tact
vertical members
folded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201U (ko
Inventor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현 filed Critical 유상현
Priority to KR2020120010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96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2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성과 공간활용성이 좋은 접이식 다리를 갖는 좌식책상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상판, 그 상판에 결합된 다수 개의 힌지부 및 이 힌지부들에 결합되어 접혀지고 펴지는 다수 개의 수직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일단부가 상호 비대칭 방향으로 절곡되어 회동축을 가지며; 상기 다수 개의 힌지부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회동축이 끼워져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반원통 단면형의 축수용편; 체결홈과 가이드홈을 가지고 축수용편의 측면에 형성되는 반원통 단면형의 밀착회동편; 및 밀착회동편의 한 쪽 내면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호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수직부재의 펼쳐짐과 접혀짐을 억제하는 한 쌍의 반구형의 밀착돌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판을 지탱해 주는 수직부재 및 한 쌍의 힌지부의 구조를 간략화시켜 줌으로써, 수직부재와 힌지부와의 결합 틈 및 수직부재와 상판과의 사이가 최소화 되어 안전성이 보장되고, 또 밀착회동편의 밀착돌기가 수직부재의 회동을 억제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스스로 펴지거나 접혀지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좌식책상{Sitting table type folding}
본 고안은 이동성과 공간활용성이 좋은 접이식 다리를 갖는 좌식(坐式)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에 대해 다리를 최소의 부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접히고, 접힌 후에 접힌 면들이 완전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또 책상의 상판에 대해 다리를 접거나 펼칠 때 신속하고 견고하게 절첩이 가능하며, 특히 어린이들이 사용 시에 다리의 절첩에 안전이 보장되므로, 어린이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좌식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학생이나 취학 전의 어린이들이 공부를 하거나 독서 및 학습놀이 등을 할 때 책이나 학습지, 퍼즐 등을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 의자에 앉아 사용하는 책상과 사용자가 방이나 거실 등의 바닥에 앉아 사용하는 좌식 책상으로 구분된다.
이 중 좌식 책상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도서관, 유치원, 어린이집 또는 회관 등에 주로 구비되어 있으며, 좌식 책상의 경우 다리가 책상의 하부 내측으로 접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관성이 좋고, 공간활용성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좌식 책상은, 대개 책 등이 올려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이나 상판에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상기 상판과 수납함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다리는 경첩과 같은 힌지수단에 의해 상판의 저면에 상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수단을 이용하여 상판의 저면측으로 접어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식 책상에서 상판을 지지하는 접이식 다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접어지고 펼쳐지는 것과 상판의 일측에 위치된 2개의 다리가 일체로 접어지고 펼쳐지는 것의 두 종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접이식 다리를 갖는 좌식 책상을 사용 시에는 접어진 다리를 각각 독립적 또는 일체로 상판의 저면으로부터 펼쳐 상판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펼쳐진 다리를 다시 상판의 저면쪽으로 독립적 또는 일체로 접어 책상의 전체 폭을 줄여 보관함으로써 보관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접이식 좌식책상에 적용되던 경첩은 접힌 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거나 완전하게 평행한 형태로 접힐 수 없으므로 보관이나 이동과정에서 힘을 받으면 구조물이 변형되거나 경첩이 손상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다리의 자중에 의해 접혀진 다리가 다시 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어린아이나 청소년들에게 매우 위험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즉 어린아이 또는 청소년들이 접이식 좌식책상의 다리를 접거나 펼칠 때 손가락이 경첩의 틈 사이로 끼여 크게 다칠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소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접힐 수 있으며, 접힌 후에 접힌 면들이 완전히 접촉되어서 보관이나 이동과정에서 내구성이 높아진 새로운 구조의 접이식 다리를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책상의 상판에 대해 다리를 최소의 부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접혀지고, 접힌 후에는 그 접힌 면들이 완전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과 보관성이 보장되는 접이식 좌식책상을 제공함에 있으며, 이 접이식 좌식책상은 바닥에 대해 상판을 지탱해 주는 수직부재 및 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간략화시켜 수직부재와 힌지부와의 결합 틈 및 수직부재와 상판과의 사이를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책상의 상판에 대해 다리를 접거나 펼칠 때 면접촉 만으로만 견고하게 절첩이 되도록 하여, 다리의 자중에 의해 스스로 펴지거나 접혀지지 않도록 구조의 최소화를 보장하는 접이식 좌식책상을 제공함에 있으며, 이 접이식 좌식책상은 바닥에 대해 책상을 지탱하는 수직부재가 가이드홈을 따라 밀착 회동되도록 한 쌍의 힌지부에 밀착회동편과 밀착돌기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좌식책상에 의하면, 원주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반원통 단면형의 밀착회동편을 가지고 상판의 저면 좌, 우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 일단부가 상호 비대칭 방향으로 절곡되진 회동축을 가지고 상기 밀착회동편의 가이드홈을 따라 면접촉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좌,우 각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밀착회동편의 한 쪽 내면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호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들의 펼쳐짐과 접혀짐을 억제하는 한 쌍의 밀착돌기로 이루어진 접이식 책상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동축과 평행하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타단부에 교차되게 연접되어 상기 상판을 바닥면에 지탱시켜 주는 수평부재;
삭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회동축이 끼워져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힌지부의 밀착회동편 일측 면에 각각 형성되는 반원통 단면형의 축수용편;
상기 한 쌍의 회동축 및 이에 인접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밀착회동편의 상부에 각각 'U'자형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판의 좌,우측 저면에 상기 두 밀착회동편이 서로 최소의 간격을 두고 대면하여 고정되도록 좌,우 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한 쌍의 밀착돌기는 상기 한 쌍의 힌지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힌지부의 밀착회동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한 쌍의 밀착돌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밀착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수직부재의 두께 만큼의 거리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밀착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후단에서부터 상기 수직부재의 두께 만큼의 거리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이, 상판을 지탱해 주는 수직부재 및 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부의 구조를 간략화시켜 줌으로써, 수직부재와 힌지부와의 결합 틈 및 수직부재와 상판과의 사이가 최소화 되어 안전성이 보장되고, 또 밀착회동편에 구비된 밀착돌기가 수직부재의 회동을 억제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스스로 펴지거나 접혀지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접이식 좌식책상에 의하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힌지부에 의해 최소의 부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상판에 접혀질 뿐 아니라 상판에 접힌 후에는 그 접힌 면들이 밀착돌기에 의해 완전하게 접촉되어짐으로써, 안전성과 보관성이 보장되고, 또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접거나 펼칠 때, 면접촉 만으로도 견고하게 절첩이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의 최소화와 절첩의 편리성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접이식 좌식책상을 밑에서 바라본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이식 좌식책상을 밑에서 바라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접이식 좌식책상에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힌지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실시된 접이식 좌식책상에서 상판 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이 실시된 접이식 좌식책상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힌지부와 수직부재와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좌식책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좌식책상은, 대략 바닥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판(10)과, 상판(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힌지부(40)(50)와, 좌,우 한 쌍의 힌지부(40)(5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판(10)의 저면에 대해 접혀지고 펼쳐지는 좌,우 한 쌍의 수직부재(20)(22)와, 좌,우 한 쌍의 수직부재(20)(22)에 교차되게 연접되어 상판(10)을 바닥면에 지탱시켜 주는 수평부재(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판(10)의 저면에 힌지부(40)(5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부재(20)(22)는 상판(10)에 대해 좌, 우측 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좌,우 한 쌍의 수직부재(20)(22)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가느다란 봉타입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일단부가 상호 비대칭 방향으로 절곡되어진 회동축(20a)(22a)을 갖게 된다. 그리고, 좌,우측 하나의 수평부재(30) 역시 비교적 가느다란 봉타입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한 쌍의 회동축(20a)(22a)과 평행하도록 수직부재(20)(22)의 타단부에 연접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판(10)의 저면 좌,우 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부(40)(5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 한 쌍의 수직부재(20)(22)의 회동축(20a)(22a)이 끼워져 자유롭게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반원통 단면형의 축수용편(42)(52)을 갖는다.
또한, 축수용편(42)(52)의 일측면에는 회동축(20a)(22a)과 근접한 수직부재(20)(22)의 상부가 끼워져 밀착 회동될 수 있도록 반원통 단면형의 밀착회동편(44)(54)이 형성된다. 이러한 반원통 단면형의 밀착회동편(44)(54)에는 수직부재(20)(22)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U'자형으로 개방된 체결홈(44b)(54b)과 수직부재(20)(22)가 면접촉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원주방향으로 개방된 가이드홈(44a)(54a)을 갖는다. 그리고, 가이드홈(44a)(54a)의 후단에는 한 쌍의 수직부재(20)(22)가 상판(10)에 대해 회동하여 펼쳐질 때, 그 회동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회동제한턱(44c)(54c)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밀착회동편(44)(54)의 한 쪽 내면에는 반구형의 밀착돌기(60)(62)가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돌기(60)(62)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호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판(10)에 대해 수직부재(20)(22)의 펼쳐짐과 접혀짐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좌,우 각 한 쌍의 힌지부(40)(5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각 한 쌍이 서로 밀착회동편(44)(54)을 통해 최소의 간격을 두고 대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20)(22)와 한 쌍의 힌지부(40)(50)의 결합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절곡된 한 쌍의 수직부재(20)(22)의 회동축(20a)(22a)을 각각 한 쌍의 힌지부(40)(50)에 마련되는 밀착회동편(44)(54)의 체결홈(44b)(54b)을 통해 도 4와 같은 축수용편(42)(52)의 홀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우게 되면 이에 인접한 한 쌍의 수직부재(20)(22)의 상부가 밀착회동편(44)(54)의 가이드홈(44a)(54a)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한 쌍의 힌지부(40)(50)는 서로 밀착회동편(44)(54)을 통해 초소의 간격으로 대면하게 되고, 이렇게 대면한 한 쌍의 힌지부(40)(50)를 상판(30)의 저면에 나사로 고정해 줌으로써 수평부재(30)와 연접된 수직부재(20)(22)가 도 2와 같이 상판(30)의 저면에 절첩이 가능하도록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결합된 본 고안의 접이식 좌식책상은, 먼저 수직부재(20)(22) 및 수평부재(30)가 상판(10)에 대해 접혀진 상태에서 좌식책상을 사용하고자 상판(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수직부재(20)(22)를 상판(10)에 대해 각각 바깥 쪽으로 밀어주면 그 수직부재(20)(2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수용편(42)(52)의 홀에 삽입되어 있는 회동축(20a)(22a)에 의해 회동을 하면서 도 6과 같이 밀착회동편(44)(54)의 선단에 형성된 반구형의 밀착돌기(6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 수직부재(20)(22)를 밀어주면 수직부재(20)(22)가 밀착회동편(44)(54)의 가이드홈(44a)(54a)을 따라 밀착회동편(44)(54)의 양측 내면과 부드럽게 면 접촉되면서 계속 회동함과 아울러 밀착회동편(44)(54)의 후단에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의 밀착돌기(62)와는 압착회동을 하면서 가이드홈(44a)(54a)의 후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수직부재(20)(22)가 계속 회동하여, 그의 선단이 도 3 내지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착회동편(44)(54)의 후단, 즉 가이드홈(44a)(54a)의 후단에 형성된 회동제한턱(44c)(54c)에 걸려서 더 이상 회동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전술한 밀착돌기(62)의 걸림에 의해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수평부재(30)와 함께 펼쳐짐이 유지되므로, 자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접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힌지부(40)(50)의 회동제한턱(44c)(54c)과 밀착돌기(60)(62)와의 거리는 수직부재(20)(22)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말해서, 가이드홈(44a)(54a)의 선단에 위치한 밀착돌기(60)는 가이드홈(44a)(54a)의 선단에서부터 수직부재(20)(22)의 두께 만큼의 거리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밀착돌기(62)는 가이드홈(44a)(54a)의 후단에서부터 수직부재(20)(22)의 두께 만큼의 거리에 위치함으로써, 수직부재(20)(22)가 접혀졌을 때 밀착돌기(60)가 자동으로 펼쳐짐을 억제해 주고, 반대로 수직부재(20)(22)가 펼쳐졌을 때 다른 하나의 밀착돌기(62)가 자동으로 접혀짐을 억제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밀착돌기(60)(62)는 전술한 한 쌍의 힌지부(40)(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힌지부의 밀착회동편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접이식 좌식책상을 보관하기 위해, 펼쳐있는 수직부재(20)(22)를 상판(10)의 안쪽으로 잡아 당기면 수직부재(20)(2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착회동편(44)(54)의 후단에 형성된 반구형의 밀착돌기(62)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 수직부재(20)(22)를 잡아당기면 그 수직부재(20)(22)가 밀착회동편(44)(54)의 가이드홈(44a)(54a)을 따라 그 밀착회동편(44)(54)의 내면과 부드럽게 면 접촉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선단의 반구형 밀착돌기(60)와는 압착회동 하면서 가이드홈(44a)(54a)의 선단으로 이동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판(10)과 최소의 간격을 두고 그 상판(10)과 평행한 상태에서 회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수직부재(20)(22)는 수평부재(30)와 함께 밀착돌기(60)의 걸림에 의해서 접혀짐이 유지되므로, 자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경첩의 접힌 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고 다리와 상판이 평행한 형태로 접힐 수 없으므로 보관이나 이동과정에서 구조물 및 경첩의 파손과 더불어 다리가 스스로 접혀지거나 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상판을 지탱해 주는 수직부재 및 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최소의 간격으로 대면 설치해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부재와 힌지부와의 결합 틈 및 수직부재와 상판과의 사이가 최소화 되어 안전성 및 보관성이 우수하고, 또 밀착회동편에 구비된 밀착돌기가 수직부재의 회동을 억제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스스로 펴지거나 접혀지지 않아 이동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상판 20, 22: 수직부재
20a, 22a : 회동축 30 : 수평부재
40, 50 : 힌지부 42, 52 : 축수용편
44, 54 : 밀착회동편 44a, 54a : 가이드홈
44c, 54c : 회동제한턱 60, 62 : 밀착돌기

Claims (4)

  1. 원주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반원통 단면형의 밀착회동편을 가지고 상판의 저면 좌, 우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 일단부가 상호 비대칭 방향으로 절곡되진 회동축을 가지고 상기 밀착회동편의 가이드홈을 따라 면접촉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좌,우 각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밀착회동편의 한 쪽 내면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호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들의 펼쳐짐과 접혀짐을 억제하는 한 쌍의 밀착돌기로 이루어진 접이식 책상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동축과 평행하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타단부에 교차되게 연접되어 상기 상판을 바닥면에 지탱시켜 주는 수평부재;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회동축이 끼워져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힌지부의 밀착회동편 일측 면에 각각 형성되는 반원통 단면형의 축수용편;
    상기 한 쌍의 회동축 및 이에 인접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밀착회동편의 상부에 각각 'U'자형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판의 좌,우측 저면에 상기 두 밀착회동편이 서로 최소의 간격을 두고 대면하여 고정되도록 좌,우 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좌식책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밀착돌기는 상기 한 쌍의 힌지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힌지부의 밀착회동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좌식책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밀착돌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밀착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수직부재의 두께 만큼의 거리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밀착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후단에서부터 상기 수직부재의 두께 만큼의 거리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좌식책상.
  4. 삭제
KR2020120010448U 2012-11-15 2012-11-15 접이식 좌식책상 KR200472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48U KR200472960Y1 (ko) 2012-11-15 2012-11-15 접이식 좌식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48U KR200472960Y1 (ko) 2012-11-15 2012-11-15 접이식 좌식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201U KR20140003201U (ko) 2014-05-30
KR200472960Y1 true KR200472960Y1 (ko) 2014-06-11

Family

ID=5148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448U KR200472960Y1 (ko) 2012-11-15 2012-11-15 접이식 좌식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9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98B1 (ko) 2020-02-07 2020-05-29 김태훈 이동식 책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896B1 (ko) * 2018-01-11 2018-06-28 서원호 절첩식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86Y1 (ko) * 1993-12-08 1996-04-08 정영학 절첩식 상다리
KR200439789Y1 (ko) 2007-01-22 2008-05-06 김수웅 상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86Y1 (ko) * 1993-12-08 1996-04-08 정영학 절첩식 상다리
KR200439789Y1 (ko) 2007-01-22 2008-05-06 김수웅 상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98B1 (ko) 2020-02-07 2020-05-29 김태훈 이동식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201U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4462B (zh) 一种连体折叠桌凳
JP6539356B2 (ja) 折り畳み機構を有する家具
US11478071B2 (en) Folding stool or folding table and folding frame thereof
US2887348A (en) Folding table with hinged top
KR20110007699U (ko) 휴대용 풋레스트
KR200472960Y1 (ko) 접이식 좌식책상
JP5730348B2 (ja) 折り畳み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US20230329451A1 (en) Topper accessories for a playard
KR100972608B1 (ko) 접이식 의자
CN104042067B (zh) 带有纺织品座椅的可折叠婴儿置放器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US10130167B1 (en) Foldable table
RU174693U1 (ru) Стол-парта складной
KR101836037B1 (ko) 접이식 탁구대
KR101307251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접이식 책상
CN207821378U (zh) 一种简易折叠桌
JP2018532522A (ja) 折り畳み式の一体型卓球台
KR200464280Y1 (ko) 휴대용 테이블
KR101738994B1 (ko) 쇼파 겸용 침대
CN204091311U (zh) 可改变桌面面积的桌子
CN208582243U (zh) 折叠式烧烤炉
JP6185496B2 (ja) 折畳み可能な支持装置
KR101297842B1 (ko) 휴대성 및 이동성이 향상된 절첩식 테이블
KR20180019285A (ko) 버튼을 활용한 접이식 상다리의 고정장치
KR102292618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