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35Y1 - 관절용 패치 - Google Patents

관절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35Y1
KR200472635Y1 KR2020130009634U KR20130009634U KR200472635Y1 KR 200472635 Y1 KR200472635 Y1 KR 200472635Y1 KR 2020130009634 U KR2020130009634 U KR 2020130009634U KR 20130009634 U KR20130009634 U KR 20130009634U KR 200472635 Y1 KR200472635 Y1 KR 200472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patch sheet
sheet
join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수
김석원
이주엽
Original Assignee
최현수
이주엽
김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수, 이주엽, 김석원 filed Critical 최현수
Priority to KR2020130009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관절용 패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관절용 패치는 제1 패치 시트; 상기 제1 패치 시트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점착 영역과 비점착 영역으로 구획되는 제2 패치 시트; 및 상기 제1 패치 시트와 상기 제2 패치 시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절용 패치{PATCH FOR ARTICULATION}
본 고안은 관절용 패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무릎이나 팔꿈치와 같은 관절을 펴거나 접는 관절 운동이 반복되더라도 쉽게 떨어지거나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관절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허리, 관절, 목 등의 근육통이나 타박상, 요통, 관절통,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스 등의 진통 완화 혹은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파스는 통증이 있는 곳의 환부에 직접 부착시켜 피부를 통하여 치료 성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약재이다.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파스는 신축 재질 점착 시트(sheet)가 이형지로 보호되어 있는 형태로서, 사용 시 이형지를 벗겨내어 시트의 점착부분을 환부에 부착시켜 사용한다. 이러한 파스는 침이나 전기적 치료기, 뜸, 부항 등과 달리 사용이 매우 간편하기 때문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파스는 한 장의 시트로 된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무릎이나 팔꿈치와 같은 관절 부위에 파스를 붙였을 때 관절을 펴면 파스가 느슨해지고 관절을 접으면 파스가 너무 팽팽해져서 제 기능을 잘 하지 못 하게 되거나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41082호
본 고안의 목적은, 관절을 펴거나 접는 운동이 반복되더라도 쉽게 떨어지거나 제 기능을 담당하지 못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관절용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 패치 시트; 상기 제1 패치 시트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점착 영역과 비점착 영역으로 구획되는 제2 패치 시트; 및 상기 제1 패치 시트와 상기 제2 패치 시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패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패치 시트의 점착 영역은 전체 면적 대비 50%~80%의 구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패치 시트의 점착 영역은 상기 제2 패치 시트의 전체 면적 대비 20%~30%의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제1 패치 시트와 상기 제2 패치 시트의 점착력보다 낮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패치 시트와 상기 제2 패치 시트에는 상기 탄성 연결부가 걸려 지지되는 제1 및 제2 고리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관절을 펴거나 접는 관절 운동이 반복되더라도 무릎이나 팔꿈치와 같은 관절 부위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처럼 관절 부위에 부착된 패치가 제 기능을 담당하지 못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패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절용 패치를 관절이 펴진 상태에서 부착했을 때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관절용 패치를 관절 부위에 부착한 상태에서 관절을 접었을 때의 동작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관절용 패치를 무릎에 부착한 상태에서 관절을 폈을 때(a)와 접었을 때(b)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패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배면 구조도, 도 3은 도 1의 관절용 패치를 관절이 펴진 상태에서 부착했을 때의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관절용 패치를 관절 부위에 부착한 상태에서 관절을 접었을 때의 동작 도면이다. 도 1 ~ 도 4에서 (a)는 탄성 연결부가 2개인 것을 나타내고, (b)는 탄성 연결부가 3개인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관절용 패치(100)는 관절을 펴거나 접는 관절 운동이 반복되더라도 무릎이나 팔꿈치와 같은 관절 부위에서 쉽게 떨어지거나 제 기능을 담당하지 못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제1 패치 시트(110), 제2 패치 시트(120), 그리고 탄성 연결부(130, 130′)를 포함한다.
종전의 패치가 한 장으로 되어 있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의 관절용 패치(100)는 두 장의 제1 패치 시트(110) 및 제2 패치 시트(120)가 탄성 연결부(130, 1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제1 패치 시트(110) 및 제2 패치 시트(120)에 대해 살펴본다. 제1 패치 시트(110) 및 제2 패치 시트(120)는 모두가 환부에 부착되어 질병을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패치 시트(110) 및 제2 패치 시트(120)는 멘톨(menthol), 살리실산 메칠(salicylate methyl), 살리실산 글리콜(salicylate glycol), 캄파(champa), 치몰(thymol), 초산 토코페롤(acetate tocopherol), 캡사이신(capsaic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멘톨(menthol) 성분은 국소를 자극함으로써 열감, 발적, 동통(pain) 등을 일으키게 하는 지각을 둔하게 하여 진통, 제양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살균, 방부 및 청량감을 제공한다. 살리실산 메칠(salicylate methyl)은 동통(pain)을 일으키는 조직에서 척수신경절에 이르는 신경과 연합한 지각신경의 지배를 받는 말초부위에 반대자극제로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켜 준다. 살리실산 글리콜(salicylate glycol)은 살리실산 메칠과 같이 반대자극제로 작용하여 통증 완화작용을 한다. 캄파(champa)는 국소자극 작용을 하여 청량감을 준다. 치몰(thymol)은 국소자극과 살균 및 방부작용을 한다. 초산 토코페롤(acetate tocopherol)은 말초혈행을 개선시켜 신진대사 촉진작용으로 약물흡수를 증진시켜 준다. 캡사이신(capsaicine)은 고춧가루 성분으로서 후끈한 열자극감과 국소진통작용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제1 패치 시트(110) 및 제2 패치 시트(120)는 비스테로이드(NSAID)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패치 본체(110)는 비스테로이드(NSAID) 성분으로 진통, 소염(항염), 해열작용,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케토프로펜(ket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sin),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등을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에는 제1 패치 시트(110) 및 제2 패치 시트(120)가 동일한 형상의 동일한 면적으로 되어 있지만 이들의 형상과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패치 시트(110) 및 제2 패치 시트(120)는 점착 성분이 있는 점착 영역(111, 121)과 점착 성분이 없는 비점착 영역(112, 122)으로 구별된다.
한편, 제1 패치 시트(110)는 도 2처럼 전체 면적 대비 50%~80%의 구간에 점착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패치 시트(110)는 전체 면적 대비 50%~80%의 구간이 점착 영역(1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치 시트(110)의 점착영역을 전범위로 하는 경우 시트에 주름이 잡히면서 크기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게 위하여 전체 면적 대비 50%~80%의 구간을 점착 영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패치 시트(11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2 패치 시트(120)의 점착 영역(121)은 제2 패치 시트(120)의 전체 면적 대비 20%~30%의 구간, 바람직하게는 25%의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치 시트(120)에 형성되는 비점착 영역(122)은 제1 패치 시트(110)의 상부에서 제1 패치 시트(110)를 덮는 역할을 한다.
한편, 탄성 연결부(130, 130′)는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고무줄 정도로 볼 수 있는 탄성 연결부(130, 130′)는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 사이에서 한 개 혹은 여러 개 배치되어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130, 130′)가 설치되기 위해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는 탄성 연결부(130, 130′)가 걸려 지지되는 제1 및 제2 고리부(115, 125)가 각각 형성된다. 이처럼 제1 및 제2 고리부(115, 125)에서 탄성 연결부(130, 13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탄성 연결부(130, 130′)의 탄성력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탄성 연결부(130, 130′)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반대로, 탄성 연결부(130, 130′)의 탄성력이 너무 낮아 효과가 없을 경우, 고무줄을 제1 및 제2 고리부(115, 125)에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를 3개로 구성하는 경우 중앙부에 사용하는 탄성 연결부(130′)는 탄성이 약한 부재로, 측면에 사용하는 탄성 연결부(130)는 탄성이 강한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의 접착면이 좁은 경우 관절부위에서 패치가 살짝 뜰 수 있는데 측면에 탄성이 강한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리부가 없이 탄성 연결부(130, 130′)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패치 시트(110, 1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탄성 연결부(130, 130′)를 적용함에 있어, 예컨대 도 4처럼 관절을 접었을 때, 탄성 연결부(130, 130′)의 탄성력이 너무 강하면 오히려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가 피부에서 떨어지는 폐단이 발생될 수 있다. 그렇다고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의 점착력을 너무 높이게 되면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를 뗄 때 피부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절 운동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연결부(130, 130′)의 탄성력은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의 점착력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관절용 패치(100)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3(a), 도 4(a) 및 도 5는 탄성 연결부가 2개인 것을 나타내고 도 3(b), 도 4(b) 및 도 6은 탄성 연결부가 3개인 것을 나타낸다.
무릎이나 팔꿈치와 같은 관절 부위에 본 실시예의 관절용 패치(100)를 부착할 때는 일단 치료 부위를 벗어나지 않게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를 부착시키고 탄성 연결부(130, 130′)로 연결한다.
물론, 탄성 연결부(130, 130′)가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탄성 연결부(130, 13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렇게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를 관절 부위에 부착시키기만 하면 되는데, 관절을 접었을 때에는 도 4와 같이 탄성 연결부(130, 1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패치 시트(110)와 제2 패치 시트(120) 간의 거리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탄성 연결부(130, 130′)가 탄성적으로 팽창된다(도 5(b) 및 도 6(b) 참조). 다시, 관절을 펴면 도 3과 같이 팽창되었던 탄성 연결부(130, 130′)가 원상태로 수축됨으로써 제2 패치 시트(120)가 제1 패치 시트(110) 쪽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있다(도 5(a) 및 도 6(a) 참조).
본 고안의 효과에 대해 좀 더 부연한다. 패치(100)는 하루 혹은 이틀 정도 사용하는 의료제품이지만 하루에도 수십 번씩 떨어질 수 있다. 특히 학생의 경우 체육시간에 활발히 움직이다 보면 관절에 부착된 패치(100)가 피부에서 떨어질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의 관절용 패치(100)는 관절을 펴거나 접는 관절 운동이 반복되더라도 무릎이나 팔꿈치와 같은 관절 부위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효과가 좋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100: 관절용 패치 110: 제1 패치 시트
111: 점착 영역 112: 비점착영역
115: 제1 고리부 120: 제2 패치 시트
121: 점착 영역 122: 비점착 영역
25: 제2 고리부 130, 130′: 탄성 연결부

Claims (6)

  1. 제1 패치 시트;
    상기 제1 패치 시트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점착 영역과 비점착 영역으로 구획되는 제2 패치 시트; 및
    상기 제1 패치 시트와 상기 제2 패치 시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연결부가 3개이고, 이 중 중앙의 탄성 연결부의 탄성이 다른 2개의 탄성 연결부(130)보다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패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30009634U 2013-11-22 2013-11-22 관절용 패치 KR200472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34U KR200472635Y1 (ko) 2013-11-22 2013-11-22 관절용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34U KR200472635Y1 (ko) 2013-11-22 2013-11-22 관절용 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635Y1 true KR200472635Y1 (ko) 2014-05-16

Family

ID=5149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634U KR200472635Y1 (ko) 2013-11-22 2013-11-22 관절용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3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99U (ko) * 1998-11-12 1999-02-25 김태영 융출부를 형성한 일회용 위생 반창고
KR200209109Y1 (ko) 2000-07-21 2001-01-15 이재구 관절용 반창고
KR20060055077A (ko) * 2004-11-17 2006-05-23 인종복 다기능 성 반창고 및 밴드 반창고
KR100874314B1 (ko) 2007-01-09 2008-12-18 김수정 겨드랑이용 땀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99U (ko) * 1998-11-12 1999-02-25 김태영 융출부를 형성한 일회용 위생 반창고
KR200209109Y1 (ko) 2000-07-21 2001-01-15 이재구 관절용 반창고
KR20060055077A (ko) * 2004-11-17 2006-05-23 인종복 다기능 성 반창고 및 밴드 반창고
KR100874314B1 (ko) 2007-01-09 2008-12-18 김수정 겨드랑이용 땀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56335A1 (de) Kinesiologisches tape
US20180000684A1 (en) Myofascial and compression release device
CN206341989U (zh) 一种护膝按摩牵引器
JP5340272B2 (ja) 疼痛処置用皮膚貼付具
US20160158099A1 (en) Elbow dual compression armband with interchangeable compression platform
KR200472635Y1 (ko) 관절용 패치
JP3097985U (ja) 使用時に便利な伸縮性のあるテープサポーター
EP2524683B1 (de) Kinesiologisches Tape
KR20140102104A (ko) 허리보호대
TWM539337U (zh) 護腰帶結構
JP2006141668A (ja) 筋膜の活性化機能を有するサポータ
CN204949604U (zh) 一种股动脉穿刺患者使用的医用病员裤
CN204501235U (zh) 一种治疗颈肩腰腿痛的外用膏药贴
CN103750692B (zh) 一种预防肩周炎的枕头
KR200363505Y1 (ko) 치료 테이프
KR200472636Y1 (ko) 이지 컷을 갖는 파스
Gutiérrez-Rojas et al. The effect of combining myofascial release with ice application on a latent trigger point in the forearm of young adul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N104998224A (zh) 治疗跌打扭伤的药物
DE202011103469U1 (de) Kinesiologisches Tape
CN201591667U (zh) 一种精神病人用双约束防脱保护带装置
Kim et al. Changes of shoulder muscles activity during maintaining and lifting shoulder depending on stretch rate of kinesio tape
JP3190841U (ja) 粘着面にサルチル酸メチル、抗ヒスタミン剤を添加し、かぶれの防止機能を持たせたテーピングテープまたは運動力学身体機能回復テープ。
CN209332689U (zh) 一种针对膝关节炎的穴位贴
KR101839518B1 (ko)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JP3190841U6 (ja) 粘着面にサルチル酸メチル、抗ヒスタミン剤を添加し、かぶれの防止機能を持たせたテーピングテープまたは運動力学身体機能回復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