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36Y1 - 이지 컷을 갖는 파스 - Google Patents

이지 컷을 갖는 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36Y1
KR200472636Y1 KR2020130009754U KR20130009754U KR200472636Y1 KR 200472636 Y1 KR200472636 Y1 KR 200472636Y1 KR 2020130009754 U KR2020130009754 U KR 2020130009754U KR 20130009754 U KR20130009754 U KR 20130009754U KR 200472636 Y1 KR200472636 Y1 KR 200472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outer frame
cut
easy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주몽
홍석영
김준엽
Original Assignee
권주몽
김준엽
홍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주몽, 김준엽, 홍석영 filed Critical 권주몽
Priority to KR2020130009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이지 컷을 갖는 파스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이지 컷을 갖는 파스는 파스 본체; 및 상기 파스 본체의 외곽 테두리 라인에서 안쪽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절취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지 컷을 갖는 파스{PATCH WITH EASY-CUT LINE}
본 고안은 이지 컷을 갖는 파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곽 테두리 부분이 벌어지더라도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점착력이 점점 더 약해지면서 파스 전체가 피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이지 컷을 갖는 파스에 관한 것이다.
질병의 치료는 크게, 포지티브(positive) 용법과 네거티브(negative) 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포지티브 용법은 인체에 자극이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으로서, 예컨대 침, 약물, 주사, 물리 치료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네거티브 용법은 인체의 내부의 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부항, 단전호흡 등을 포함한다.
한편, 허리, 관절, 목 등의 근육통이나 타박상, 요통, 관절통,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스 등의 진통 완화 혹은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파스는 통증이 있는 곳의 환부에 직접 부착시켜 피부를 통하여 치료 성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일종의 포지티브 용법이다.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파스는 신축 재질 점착 시트(sheet)가 이형지로 보호되어 있는 형태로서, 사용 시 이형지를 벗겨내어 시트의 점착부분을 환부에 부착시켜 사용한다.
이러한 파스는 침이나 전기적 치료기, 뜸, 부항 등과 달리 사용이 매우 간편하기 때문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파스는 외곽 테두리 부분이 약간만 벌려져 있더라고 벌어진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시작하여 파스의 점착력이 점점 더 약해지면서 파스 전체가 피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을 고려한 신개념의 파스가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41082호
본 고안의 목적은, 외곽 테두리 부분이 벌어지더라도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점착력이 점점 더 약해지면서 파스 전체가 피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이지 컷을 갖는 파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파스 본체; 및 상기 파스 본체의 외곽 테두리 라인에서 안쪽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절취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컷을 갖는 파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더미 절취 라인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파스는, 상기 파스 본체의 코너 영역에서 상기 파스 본체의 대각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외곽 테두리 라인과 상기 더미 절취 라인을 연결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 절취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절취 라인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곽 테두리 부분이 벌어지더라도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점착력이 점점 더 약해지면서 파스 전체가 피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지 컷을 갖는 파스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외곽 테두리 부분이 벌어진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지 컷을 갖는 파스의 평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이지 컷을 갖는 파스의 평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외곽 테두리 부분이 벌어진 영역을 표시한 도면, 도 4는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스(100)는 외곽 테두리 부분(A)이 벌어지더라도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A)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A)으로부터 점착력이 점점 더 약해지면서 파스(100) 전체가 피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파스(100)는 파스 본체(110)와, 파스 본체(110)에 추가로 형성되는 더미 절취 라인(121,122)과, 연결 절취 라인(131,132)을 포함한다.
파스 본체(110)는 점착 물질에 의해 환부인 피부에 직접 점착되어 질병을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파스 본체(110)는 다음의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즉 파스 본체(110)는 멘톨(menthol), 살리실산 메칠(salicylate methyl), 살리실산 글리콜(salicylate glycol), 캄파(champa), 치몰(thymol), 초산 토코페롤(acetate tocopherol), 캡사이신(capsaic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멘톨(menthol) 성분은 국소를 자극함으로써 열감, 발적, 동통(pain) 등을 일으키게 하는 지각을 둔하게 하여 진통, 제양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살균, 방부 및 청량감을 제공한다.
살리실산 메칠(salicylate methyl)은 동통(pain)을 일으키는 조직에서 척수신경절에 이르는 신경과 연합한 지각신경의 지배를 받는 말초부위에 반대자극제로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켜 준다.
살리실산 글리콜(salicylate glycol)은 살리실산 메칠과 같이 반대자극제로 작용하여 통증 완화작용을 한다.
캄파(champa)는 국소자극 작용을 하여 청량감을 준다.
치몰(thymol)은 국소자극과 살균 및 방부작용을 한다.
초산 토코페롤(acetate tocopherol)은 말초혈행을 개선시켜 신진대사 촉진작용으로 약물흡수를 증진시켜 준다.
캡사이신(capsaicine)은 고춧가루 성분으로서 후끈한 열자극감과 국소진통작용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파스 본체(110)는 비스테로이드(nsaid)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파스 본체(110)는 비스테로이드(nsaid) 성분으로 진통, 소염(항염), 해열작용,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케토프로펜(ket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sin),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등을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파스 본체(110)에는 외곽 테두리 라인(111)이 형성된다. 파스 본체(110)가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곽 테두리 라인(111)은 사각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파스(100)에는 더미 절취 라인(121,122)과 연결 절취 라인(131,132)이 더 갖춰진다. 더미 절취 라인(121,122)과 연결 절취 라인(131,132)이 이지 컷(easy-cut line) 역할을 한다.
즉 도 3의 A 영역처럼 외곽 테두리 부분(A)이 약간 벌어진 경우(들 뜬 경우),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A)이 계속해서 벌어지게 됨으로써 파스(100) 전체가 피부에서 쉽게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즉 도 3의 A 영역처럼 외곽 테두리 부분(a)이 약간 벌어진 경우에 그 벌어진 부분(A)만을 제거하기 위해 더미 절취 라인(121,122)과 연결 절취 라인(131,132)이 갖춰진다.
도 3 및 도 4처럼 외곽 테두리 부분(A)이 약간 벌어진 경우에 그 벌어진 부분(A)만을 제거하면, 벌어진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파스(100) 전체가 피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더미 절취 라인(121,122)은 파스 본체(110)의 외곽 테두리 라인(111)에서 안쪽으로 이격 배치되는 라인이다.
제1 및 제2 더미 절취 라인(121,122)은 외곽 테두리 라인(111)과 마찬가지로 사각형의 폐루프 형상을 갖는다.
더미 절취 라인(121,122)은 한 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제1 및 제2 더미 절취 라인(121,122)이 형성된다.
제1 더미 절취 라인(121)은 외곽 테두리 라인(111)에서 안쪽으로 40~55mm씩 떨어진 곳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더미 절취 라인(122)은 제1 더미 절취 라인(121)에서 안쪽으로 40~55mm씩 떨어진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더미 절취 라인(121,122)이 외곽 테두리 라인(111)에서 안쪽으로 2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 절취 라인(131,132) 역시, 2개의 제1 및 제2 연결 절취 라인(131,132)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처럼 외곽 테두리 부분(A)이 약간 벌어진 경우, 그 영역(A)에 해당되는 제1 더미 절취 라인(121)과 제1 연결 절취 라인(131)을 손으로 뜯어내면 도 4처럼 파스 본체(110) 상에서 벌어진 부분(A)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이 계속해서 벌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제1 더미 절취 라인(121)과 제1 연결 절취 라인(131)은 쉽게 뜯어낼 수 있도록 이지 컷(easy-cut line)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칼이나 가위 없이도 쉽게 뜯어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곽 테두리 부분(A)이 벌어지더라도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A)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벌어진 외곽 테두리 부분(A)으로부터 점착력이 점점 더 약해지면서 파스(100) 전체가 피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에 대해 좀 더 부연한다. 파스(100)는 하루 혹은 이틀 정도 사용하는 의료제품이지만 하루에도 수십 번씩 떨어질 수 있다.
특히 학생의 경우, 수업을 듣다가 혹은 체육시간에 활발히 움직이다 보면 파스(100)가 피부에서 떨어질 수 있는데, 파스(100)가 피부에서 떨어지는 이유는 약간 들뜬 부분이 계속해서 주변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므로 초기에 들뜬 부분을 도 4처럼 제거함으로써 파스(100)가 쉽게 떨어지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효과는 학생을 비롯하여 공사장에서 일하는 사람이나 군인처럼 몸을 많이 움직이는 사람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지 컷을 갖는 파스의 평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지 컷을 갖는 파스(200) 역시, 파스 본체(210)와, 파스 본체(210)에 추가로 형성되는 더미 절취 라인(221,222,223)과 연결 절취 라인(231,232,23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더미 절취 라인(221,222,223)이 외곽 테두리 라인(211)의 안쪽으로 3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연결 절취 라인(231,232,233) 역시 3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을 경우, 전술한 실시예보다 파스(200)를 좀 더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외곽 테두리 부분(A)이 벌어지더라도 이 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곳으로부터 점착력이 점점 더 약해지면서 파스(200) 전체가 피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이지 컷을 갖는 파스 110: 파스 본체
111: 외곽 테두리 라인 121: 제1 더미 절취 라인
122: 제2 더미 절취 라인 131: 제1 연결 절취 라인 132: 제2 연결 절취 라인

Claims (6)

  1. 파스 본체; 및
    상기 파스 본체의 외곽 테두리 라인에서 안쪽으로 이격 형성되는 더미 절취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더미 절취 라인은 사각형의 폐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컷을 갖는 파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가 다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컷을 갖는 파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가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컷을 갖는 파스.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스 본체의 코너 영역에서 상기 파스 본체의 대각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외곽 테두리 라인과 상기 더미 절취 라인을 연결하는 연결 절취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컷을 갖는 파스.
KR2020130009754U 2013-11-27 2013-11-27 이지 컷을 갖는 파스 KR200472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54U KR200472636Y1 (ko) 2013-11-27 2013-11-27 이지 컷을 갖는 파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54U KR200472636Y1 (ko) 2013-11-27 2013-11-27 이지 컷을 갖는 파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636Y1 true KR200472636Y1 (ko) 2014-05-16

Family

ID=5149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754U KR200472636Y1 (ko) 2013-11-27 2013-11-27 이지 컷을 갖는 파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3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138Y1 (ko) * 1984-01-19 1985-12-24 신석균 다용도용 접착밴드
JPH0383411U (ko) * 1989-12-13 1991-08-26
KR200167444Y1 (ko) 1999-08-09 2000-02-15 김지인 의료용 접착패드
KR20090007424U (ko) * 2008-01-18 2009-07-22 송명호 절취선이 구비된 치료용 테이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138Y1 (ko) * 1984-01-19 1985-12-24 신석균 다용도용 접착밴드
JPH0383411U (ko) * 1989-12-13 1991-08-26
KR200167444Y1 (ko) 1999-08-09 2000-02-15 김지인 의료용 접착패드
KR20090007424U (ko) * 2008-01-18 2009-07-22 송명호 절취선이 구비된 치료용 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nesti et al. H‐coil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for pain relief in patients with diabetic neuropathy
JP4909892B2 (ja) 身体に治療をもたらす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2156335A1 (de) Kinesiologisches tape
Ogawa et al. Efficacy of contact needle therapy for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KR200472636Y1 (ko) 이지 컷을 갖는 파스
BR112018072711A2 (pt) processo para fornecer terapia neuroprotetora para o glaucoma, e sistema para fornecer tratamento neuroprotetor de glaucoma
Castagna et al. Radio electric tissue optimization in the treatment of surgical wounds
US20040054337A1 (en) Method and device of reflexology
Hawks Successful treatment of Achilles tendinopathy with electroacupuncture: Two cases
KR200472180Y1 (ko) 목 패드
KR200472635Y1 (ko) 관절용 패치
EP2524683B1 (de) Kinesiologisches Tape
Shaikh Traditional medicine and its use for pain management in Saudi Arabia
KR200327431Y1 (ko) 관절용 파스
Malviya et al. Evaluation of analgesic potential of Cyathocline lyrata cass plant in rats by using tail flick and hot plate method
JP3162447U (ja) 鍼通電治療装置
Mishra et al. Complementary Medicine in Trigeminal Neuralgia
KR20130011014A (ko) 관절 통증 완화를 위한 관절 보호용 패드
KR20100123575A (ko) 이마부 점착용 가압 치료구
Lee et al. Use of a 595-nm pulsed-dye laser to treat post-procedure ecchymoses
KR20130012285A (ko) 관절통증개선 및 관절 보호용패드
CN205339296U (zh) 一种医用眼罩
CN104998224A (zh) 治疗跌打扭伤的药物
Kaltenborn The Efficacy of Extracorporeal Shock-Wave Treatment: A New Perspective.
KR20200122094A (ko) 통증 및 염증치료에 우수한 뉴레파 패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