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431Y1 - 관절용 파스 - Google Patents

관절용 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431Y1
KR200327431Y1 KR20-2003-0017733U KR20030017733U KR200327431Y1 KR 200327431 Y1 KR200327431 Y1 KR 200327431Y1 KR 20030017733 U KR20030017733 U KR 20030017733U KR 200327431 Y1 KR200327431 Y1 KR 200327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ars
incision
drug layer
join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환
Original Assignee
김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환 filed Critical 김복환
Priority to KR20-2003-0017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4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절용 파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목, 손목, 팔꿈치, 무릎등과 같이 관절부위에 부착되어 통증완화 또는 환부를 치료하는 파스에 다수의 절개부을 형성시켜 관절에 부착함으로써, 관절을 구부릴 경우 절개부가 벌어지게 되므로 파스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관절용 파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절용 파스(1)는 접착패드(30)의 일측면 전면에 접착되는 약제층(20)과, 상기 약제층(20)에 부착되어 약제를 보호하고 접착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커버(10)로 이루어진 파스(1)에 있어서, 상기 파스(1)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40)가 파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40)는 0.5㎜ ~ 1㎜의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부(40)의 양측단부에는 원형통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절용 파스{PAS FOR JOINT}
본 고안은 관절용 파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목, 손목, 팔꿈치, 무릎등과 같이 관절부위에 부착되어 통증완화 또는 환부를 치료하는 파스에 다수의 절개부을 형성시켜 관절에 부착함으로써, 관절을 구부릴 경우 절개부가 벌어지게 되므로 파스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관절용 파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스는 연고, 경고, 반창고 등과 같이 고약의 일종으로 파스타제 즉 분말약을 30% 이상 포함하는 지방성 연고로서 건조방지와 진통 등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파스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사각 또는 원형 거즈(천 또는 종이)의 일면에 파스타제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스는 신경통, 관절통, 신경통 등의 통증완화 및 치료를 위하여, 또는 타박상 등에 의한 피하출혈시 신속한 처방을 위해 환부에 부착되어 이용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 파스는 팔목, 발목, 무릎, 팔꿈치 등과 같은 관절부위에 사용할 경우에는 매우 불편하였다.
즉, 상기와 같은 관절부위에 파스를 붙일 경우 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피부가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면 파스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결국은 떨어져 파스의 효능을 기대하지 못하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이유로, 종래에는 파스의 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공기의 유동은 잘 이루어질 수 있으나 관절에 사용시 관절의 절곡 각도에 따라 정확히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파스가 쉽게 떨어져 약효를 보지 못하는 폐단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파스를 인체의 관절부위(발목, 손목, 팔꿈치 또는 무릎등)에 부착함으로써 관절을 자유롭게 움직여도 파스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져 파스의 약효과를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관절용 파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의 절개부가 이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제 4실시예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절용 파스 1' : 통공
10 : 커버 20 : 약제층
30 : 접착패드 40 : 절개부
40' : 원형통공
상기 목적은, 접착패드의 일측면 전면에 접착되는 약제층과, 상기 약제층에 부착되어 약제를 보호하고 접착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커버로 이루어진 파스에 있어서, 파스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가 파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는 0.5㎜ ~ 1㎜의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부의 양측단부에는 원형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파스를 통해서 이룰 수 있다.
도 1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인체의 환부를 치료하거나 통증을 완하시킬 수 있는 약제층(20)이 접착패드(30)의 상면 전체에 도포되어 접착되어 있고,상기 약제층(20)을 보호하고 접착력을 유지하는 한편 이물질을 차단시키기 위해서 상기 약제층(20)에는 접착패드(30)와 동일한 크기의 커버(10)가 부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접착패드(30)는 보통 부직포로 이루어지나 약제층(20)을 도포하여 접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가능하고, 상기 약제층(20)은 기본적으로 인체의 타박상 등 파스의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활성제제를 포함하는 젤 또는 고형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절용 파스(1)에는 커버(10), 약제층(20), 접착패드(30)에 동일한 위치에 관통되도록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절개부(40)가 관절용 파스(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40)는 0.5㎜ ~ 1㎜의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부(40)의 양측단부에는 원형통공(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40)는 0.5㎜ ~ 1㎜의 간격이 발생되도록 하여 관절에 사용시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서 원할하게 이완과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관절용 파스(1)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마름모꼴, 삼각형, 다각형등 여러가지 모양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구성부들은 다양한 곳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1)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갖는 것으로써 도 6a 또는 6b 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같이, 상기 관절용 파스(1)는 가로나 세로 방향으로 절개부(40)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써, 상기 절개부(40)는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것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관절용 파스(1)에 사선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절개부(40)가 형성된 것이다.
도 8는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관절용 파스(1)는 중심부에 통공(1')을 형성한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공(1')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절개부(40)가 형성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관절용 파스(1)는 약제층(20)과 접착패드(30)에 절개부(40)가 형성되고, 커버에는 절개부(40)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도 11은 제 5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관절용 파스(1)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부(40)가 파형을 형성하며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2은 제 6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관절용 파스(1)에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는 절개부(40)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40)의 양측단 일부위는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3은 제 7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관절용 파스(1)에 사선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부(40)가 파형을 형성하며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절개부(40)의 양측단은 절개부(40)의 넓이와 같게 곡률을 갖도록 이루어지거나 직각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파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착패드(30)의 일측면에 접착되는 약제층(20)과, 상기 약제층(20)에 부착되는 커버(10)로 이루어진 파스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40)가 횡방향으로 형성된 관절용 파스(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관절용 파스(1)를 인체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약제층(20)에 접착되어 있는 커버(10)를 벗긴 후 환부 또는 통증을 느끼는 부위에 약제층(20)이 접촉될 수 있도록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관절용 파스(1)는 인체의 어느곳이든 부착이 가능하나, 특히 팔꿈치 또는 무릎등과 같은 관절부위에 부착되어 파스의 효능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관절용 파스(1)는 인체의 관절부위에 관절을 편 상태에서 긴밀히 부착되고, 관절을 사용할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부가 수축되거나 이완되는 만큼 관절용 파스(1)의 절개부가 가변되므로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떨어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절용 파스(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관절을 기준으로 절개부(40)가 가로로 놓이도록 관절부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와 제 5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관절용 파스(1)를 인체의 관절부위에 부착시키려면, 우선 약제층(20)에 접착되어 있는 커버(10)를 벗긴 후 환부 또는 통증을 느끼는 관절부위에 약제층(20)이 접촉될 수 있도록 부착시키되, 상기 관절용 파스(1)는 개인의 취향이나 통증부위의 분포 또는 뚱뚱하거나 마른사람에 따라 세로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절개부(40)가 횡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절개부(40)가 횡방향으로 파형을 형성하거나, 상기 절개부(40)의 양측단 일부위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절개부(40)가 사선 또는 사선방향으로 파형을 형성하거나, 상기 관절용 파스(1)에 통공(1')을 형성한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공(1')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절개부(40)가 형성된 다양한 관절용 파스(1)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 4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관절용 파스(1)는 약제층(20)과 접착패드(30)에 절개부(40)가 형성되고, 커버(10)에는 절개부(40)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써 커버(10)에서 접착패드(30)를 떼어내기가 편리하고, 약제층(20)의 절개부(40)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관절용 파스(1)는 진통, 근육통, 관절통, 류마티스통 등의 환부에 부착하여 냉·온찜질 위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관절용 파스는 다수의 절개부를 등간격으로 형성시켜 관절부위에 부착함으로써, 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해 피부가 이완되거나 수축되는 만큼 절개부의 넓이도 가변되어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므로 피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약효를 극대화 할 수 있다.

Claims (8)

  1. 접착패드(30)의 일측면 전면에 접착되는 약제층(20)과, 상기 약제층(20)에 부착되어 약제를 보호하고 접착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커버(10)로 이루어진 파스(1)에 있어서,
    상기 파스(1)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40)가 파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40)는 0.5㎜ ~ 1㎜의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부(40)의 양측단부에는 원형통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파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용 파스(1)는 가로나 세로 방향으로 절개부(40)가 형성되고, 직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파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40)는 사선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파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용 파스(1)는 중심부에 통공(1')을 형성한 원형으로, 절개부(40)는 상기 통공(1')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파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40)가 약제층(20)과 접착패드(3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파스.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40)는 횡방향으로 파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파스.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40)는 횡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단 일부가 톱니형상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파스.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40)는 사선방향으로 파형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파스.
KR20-2003-0017733U 2003-06-05 2003-06-05 관절용 파스 KR200327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33U KR200327431Y1 (ko) 2003-06-05 2003-06-05 관절용 파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33U KR200327431Y1 (ko) 2003-06-05 2003-06-05 관절용 파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431Y1 true KR200327431Y1 (ko) 2003-09-26

Family

ID=4933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733U KR200327431Y1 (ko) 2003-06-05 2003-06-05 관절용 파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4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23A (ko) 2019-10-17 2021-04-28 김진경 관절용 파스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23A (ko) 2019-10-17 2021-04-28 김진경 관절용 파스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892B2 (ja) 身体に治療をもたらす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986613B2 (en) Microstructure systems and methods for pain treatment
KR20060065675A (ko) 신체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가요성 랩
KR200327431Y1 (ko) 관절용 파스
KR200396505Y1 (ko) 관절용 파스
KR200226579Y1 (ko) 파스
JP3073193B2 (ja) 巻着式鎮痛材
KR20070024177A (ko) 치료용 근육 고정 테이프 조성물
KR200165223Y1 (ko) 파스
KR200363505Y1 (ko) 치료 테이프
KR102620040B1 (ko) 자석 패치
KR101581736B1 (ko) 교체 가능한 파스
KR200366161Y1 (ko) 의료용 습포제
KR20170002194U (ko) 분할형 의료 패치
EP1397096B1 (en) Minimal contact wound treatment device
KR20190117241A (ko) 신체접착용 테이프
KR200325734Y1 (ko) 자기 밴드
KR200472636Y1 (ko) 이지 컷을 갖는 파스
KR200472635Y1 (ko) 관절용 패치
KR20230024045A (ko) 절개부를 구비하여 고정효과를 향상시킨 치료용 밴드
KR20130011014A (ko) 관절 통증 완화를 위한 관절 보호용 패드
KR200383530Y1 (ko) 압봉 파스
JP5348894B2 (ja) 石鹸の芳香成分パッチ並びに筋肉の痙攣及び痛みの治療法
KR200379771Y1 (ko) 진통소염 플라스터
US20060182818A1 (en) Transdermal patch and treatment for pain and discomf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