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518B1 -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 Google Patents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518B1
KR101839518B1 KR1020170095113A KR20170095113A KR101839518B1 KR 101839518 B1 KR101839518 B1 KR 101839518B1 KR 1020170095113 A KR1020170095113 A KR 1020170095113A KR 20170095113 A KR20170095113 A KR 20170095113A KR 101839518 B1 KR101839518 B1 KR 10183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band
attached
pa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102017009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Wound bandages applying of mechanical pressure; passive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릎 전방의 통증 부위에 대한 압박감 및 지지력으로 무릎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되, 패드부재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부착 시키거나 떼어 낼 수 있게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별도로 무릎 부위를 압박하거나 착용하는 보호구가 필요 없이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만 부착 사용함에 따라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 패드부재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부착 시키거나 떼어 낼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압박부재의 압박감 및 지지력에 따른 통증 완화를 기대 할 수 있으며, 별도로 무릎 부위를 압박하거나 착용하는 보호구가 필요 없이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만 부착 사용함에 따라 활동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Band for Pain Relief}
본 발명은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릎 전방의 통증 부위에 대한 압박부재의 압박감 및 지지력으로 무릎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되, 패드부재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부착 시키거나 떼어 낼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별도로 무릎 부위를 압박하거나 착용하는 보호구가 필요 없이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만 부착 사용함에 따라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은 2개 이상의 뼈가 가동적으로 연접한 생체구조를 말하는 것으로, 인체에는 섬유관절, 연골관절 및 윤활관절과 같은 여러 종류의 관절이 200여개가 넘게 분포되어 있다.
이중에서 무릎과 같은 관절은 일반인들에게도 대표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관절 부위로서, 특히 이 부위에 비만 등으로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의 경우에는 무거운 하중이 계속해서 가해지기 때문에 그것을 지탱하는 관절에 무리가 가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고, 과격한 운동이나 무리한 자극에 의해 관절이 다치는 경우도 있으며, 반대로 운동부족에 의해 기능이 저하되기도 하고, 노화에 의한 자연적인 퇴행성 통증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문명의 발달과 생활환경 변화로 말미암아 근래 많이 발생하는 무릎전방통증은 슬개골 아래 무릎 앞쪽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청소년이나 젊은 성인 특히 여성에게 보다 흔히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무릎 관절 부위의 통증 완화를 위하여 물리 치료 처치 요법중의 하나로 온열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이동 중에는 처치가 곤란한 점 등의 이유로 통증이 극심한 경우 병원으로 가서 치료 받으며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이동 가능하면서도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무릎 보호밴드 및 보조기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통증 완화 및 예방 목적의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무릎 보호밴드는 신축성 밴드 타입 혹은 벨크로 테입 타입을 이용하여 무릎 분위를 감싸 강하게 압박하도록 하여 하중 분산을 유도함으로써 일부 통증 완화의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무릎 보호밴드는 무릎 부위를 압박하는 강도에서 한계가 있으며, 그 강도를 강하게 할 경우 유연성이 극도로 제한되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무릎 부위뿐만 아니라 허벅지 및 종아리 부분까지 광범위하게 압박하게 됨으로써 활동성 및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 있는데, 특허등록번호 제20-0332709호(2003.11.07. 공고)의 관절 보호용 밴드가 대표적이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밴드에는 유연성 확보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무릎 가장자리를 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된 지압돌기가 구비된 것이다. 이는 지압돌기에 의해 지압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압박 강도를 높이게 되면 지압돌기가 오히려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릎 전방의 통증 부위에 대한 압박부재의 압박감 및 지지력으로 무릎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되, 패드부재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부착 시키거나 떼어 낼 수 있게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별도로 무릎 부위를 압박하거나 착용하는 보호구가 필요 없이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만 부착 사용함에 따라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성력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일면에는 무릎 전방의 통증 부위에 탈부착될 수 있는 점착면이 구비된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의 점착면에 부착되며 상기 패드부재를 무릎에 부착하게 될 때 제거되는 이형지로 이루어지는 밴드몸체; 및 상기 패드부재의 점착면에 부착되어져 상기 패드부재가 부착되는 무릎 전방의 통증 부위에 대한 압박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된 압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드부재와 이형지로 구성된 밴드몸체 및 상기 압박부재는 포장 및 유통이 용이하도록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패드부재에서 이형지를 분리한 뒤 상기 압박부재를 패드부재의 점착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형지는 두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어서 구획된 부분을 벌린 뒤 상기 압박부재를 패드부재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지는 세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어서 가운데 부분의 이형지를 먼저 분리한 뒤 상기 압박부재를 패드부재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 패드부재의 점착면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부착 시키거나 떼어 낼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압박부재의 압박감 및 지지력에 따른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별도로 무릎 부위를 압박하거나 착용하는 보호구가 필요 없이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만 부착 사용함에 따라 활동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A-A선 단면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며, "다"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라"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며, "마"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바"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100)는 무릎의 특정 부위 즉, 통증이 발생되는 부위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된다. 즉, 종래와 같이 무릎 전체에 끼움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위에 부착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와 비교하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우수한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러한,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100)는 도 2의 "가" 및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몸체(110) 및 압박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밴드몸체(110)는 패드부재(112) 및 이형지(114)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드부재(112)는 탄성력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일면에는 무릎의 통증 부위에 탈부착될 수 있는 점착면(113)이 구비된다. 상기 이형지(114)는 상기 패드부재(112)의 점착면(113)에 부착되어 점착면(113)을 보호하며, 상기 패드부재(112)를 무릎에 부착할 때 제거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밴드몸체(110)는 단순한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 하트형상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하여 적용함이 가능하다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압박부재(120)는 피부에 밀착될 때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속이 빈 튜브 형태로도시되어 있으나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압박부재(120)는 상기 패드부재(112)의 점착면(113) 가운데 부분에 부착되어 이형지(114)로 인해 보호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형지(114)를 제거하고 패드부재(112)의 점착면(113)을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 부착하게 되면 상기 압박부재(120)가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 밀착됨으로써 압박감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되, 소재 특성상 무릎에 직접 닿게 되어도 이질감 혹은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100)는 압박부재(120)가 패드부재(112)의 점착면(113)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 밴드몸체(110)의 가운데 부분이 돌출한 상태로 구비되어 포장 및 유통에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어, 하기의 다른 일실시예와 같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며, "다"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라"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며, "마"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바"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100a ~ 100f)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되, 밴드몸체(110)와 압박부재(120)가 개별적으로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밴드몸체(110)와 압박부재(120)를 개별적으로 형성하게 되면 포장과 유통에서 용이한 점이 있다.
이렇듯, 밴드몸체(110)와 압박부재(120)가 개별적으로 제공되면, 사용자가 압박부재(120)를 밴드몸체(110)에 직접 부착하여서 사용하여야 되는데, 이런 경우 편의성 향상을 위해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형지(114)를 두 부분으로 구획되도록 형성하여 구분된 부분을 벌려서 노출되는 패드부재(112)의 점착면(113)에 상기 압박부재(120)를 부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나" 내지 "바"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형지(114)를 세 부분으로 구획 형성하여, 가운데 부분의 이형지(114)를 다른 것 보다 먼저 분리한 뒤 그로 인해 노출된 패드부재(112)의 점착면(113)에 압박부재(120)를 부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나" 내지 "바"는 이형지(114)를 세 부분으로 구획하는 방법의 차이를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본원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점을 분명히 한다.
결국, 밴드몸체(110)와 압박부재(120)가 개별적으로 제공될 경우 이형지(114)를 두 부분 혹은 세 부분으로 구획 형성함으로써 압박부재(120)를 패드부재(112)의 점착면(113)에 부착할 때 손이 점착면(113)에 직접 닿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패드부재(112)를 무릎에 부착할 때에도 점착면(113)에 손이 직접 닿지 않도록 구현하여 점착성이 저하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100)는 무릎 전방 통증부위에 패드부재(112)의 점착면(113)을 이용해 간편하게 부착 시키고 떼어 낼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이고 압박부재(120)의 압박감 및 지지력에 따른 통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별도로 무릎 부위를 압박하거나 착용하는 보호구가 필요 없이 무릎전방에만 부착 사용함에 따라 활동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100a ~ 100f :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110 : 밴드몸체
112 : 패드부재 113 : 점착면
114 : 이형지 120 : 압박부재

Claims (4)

  1. 탄성력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일면에는 무릎 전방의 통증 부위에 탈부착될 수 있는 점착면이 구비된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의 점착면에 부착되며 상기 패드부재를 무릎에 부착하게 될 때 제거되는 이형지로 이루어지는 밴드몸체; 및
    상기 패드부재의 점착면에 부착되어져 상기 패드부재가 부착되는 무릎 전방의 통증 부위에 대한 압박 및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된 압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드부재와 이형지로 구성된 밴드몸체 및 상기 압박부재는 포장 및 유통이 용이하도록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패드부재에서 이형지를 분리한 뒤 상기 압박부재를 패드부재의 점착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형지는 두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어서 구획된 부분을 벌린 뒤 상기 압박부재를 패드부재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세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어서 가운데 부분의 이형지를 먼저 분리한 뒤 상기 압박부재를 패드부재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KR1020170095113A 2017-07-27 2017-07-27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KR10183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13A KR101839518B1 (ko) 2017-07-27 2017-07-27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13A KR101839518B1 (ko) 2017-07-27 2017-07-27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518B1 true KR101839518B1 (ko) 2018-03-16

Family

ID=6191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113A KR101839518B1 (ko) 2017-07-27 2017-07-27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5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931A (ja) * 2001-01-12 2002-07-30 Yoshitaka Toda テープ型治療用品
KR200353935Y1 (ko)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JP2009291311A (ja) 2008-06-03 2009-12-17 Nippo Kk スプリント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サポータセ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931A (ja) * 2001-01-12 2002-07-30 Yoshitaka Toda テープ型治療用品
KR200353935Y1 (ko)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JP2009291311A (ja) 2008-06-03 2009-12-17 Nippo Kk スプリント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サポータセ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6742B2 (en) Anatomically engineered configured article
KR200486911Y1 (ko) 겔-측면 쿠션
PT2205190E (pt) Penso de suporte
TWI578980B (zh) Carpal tunnel syndrome rehabilitation aids
KR101672860B1 (ko)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US20070277282A1 (en) Support for prevention of decubitus ulcers
AU781700B2 (en) Bandage for relief of the musculature in muscle fibre tears
US20120004586A1 (en) Elbow Brace
US10973669B2 (en) Daneshvar wrapping means II and methods
KR20140121247A (ko)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KR20190051232A (ko)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KR101839518B1 (ko)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KR20160146269A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CN215915659U (zh) 一种足三里穴按摩带
CN205432225U (zh) 一种多功能护腰带
CN210228437U (zh) 一种足踝关节韧带保护具
KR200351286Y1 (ko) 무릎보호대
JP2019519296A (ja) 生物用の一体型プロテクター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KR100763601B1 (ko)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CN208974251U (zh) 一种新型下肢皮牵引带
KR20180133661A (ko) 무릎 통증 완화용 보조링
JP2006141668A (ja) 筋膜の活性化機能を有するサポータ
KR102320532B1 (ko) 손 강직 완화 보조기
KR20190120469A (ko) 무릎 통증 완화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