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480Y1 -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 Google Patents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480Y1
KR200472480Y1 KR2020120005398U KR20120005398U KR200472480Y1 KR 200472480 Y1 KR200472480 Y1 KR 200472480Y1 KR 2020120005398 U KR2020120005398 U KR 2020120005398U KR 20120005398 U KR20120005398 U KR 20120005398U KR 200472480 Y1 KR200472480 Y1 KR 200472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ing
exercise
crossbars
articl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507U (ko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김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주 filed Critical 김성주
Priority to KR2020120005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48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5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4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A63B69/2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305Hanging heavy punch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2Bo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는 운동 기구 몸체; 상기 운동 기구 몸체를 설치 장소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 상기 설치 부재에 의해 상기 설치 장소에 설치된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복싱 운동을 하기 위한 복싱 용품을 연결하는 복싱 용품 연결 부재; 및 상기 운동 기구 몸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각 말단이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크로스 바아와,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를 연결하는 제 1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이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복싱 용품 연결 부재가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복싱 용품 연결 부재가 운동 기구 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복싱 용품,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샌드백, 복수 개의 라운드볼 등의 복싱 용품이 운동 기구 몸체에 한꺼번에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복싱 용품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서 복수의 운동자가 한꺼번에 복싱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Boxing and exercise training equipment}
본 고안은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는 라운드볼, 샌드백 등의 복싱 용품을 복싱 체육관, 스포츠 센터 등의 설치 장소에 각각 매달기 위한 기구를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서는, 라운드볼, 샌드백 등의 복싱 용품을 단수 개씩 설치 장소에 설치하도록 하는 구조여서, 그 복싱 용품의 설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여러 명의 운동자가 복싱 용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 개의 복싱 용품 설치를 위해 복수 개의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가 각각 설치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복수 개의 복싱 용품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는 운동 기구 몸체; 상기 운동 기구 몸체를 설치 장소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 상기 설치 부재에 의해 상기 설치 장소에 설치된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복싱 운동을 하기 위한 복싱 용품을 연결하는 복싱 용품 연결 부재; 및 상기 운동 기구 몸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각 말단이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크로스 바아와,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를 연결하는 제 1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이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복싱 용품 연결 부재가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복싱 용품 연결 부재가 운동 기구 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복싱 용품,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샌드백, 복수 개의 라운드볼 등의 복싱 용품이 운동 기구 몸체에 한꺼번에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복싱 용품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서 복수의 운동자가 한꺼번에 복싱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가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 제 2 크로스 바아 부재 및 복수 개의 복싱 용품 연결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복수의 운동자가 한꺼번에 복수 개의 복싱 용품 연결 부재에 각각 연결된 복싱 용품을 이용하거나,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 및 제 2 크로스 바아 부재를 이용하여 철봉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복싱 용품을 이용한 운동과 철봉 운동의 순환 운동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 라운드볼 및 샌드백이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를 보이는 저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 라운드볼 및 샌드백이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를 보이는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100)는 운동 기구 몸체(110)와, 설치 부재(150)와, 복싱 용품 연결 부재(140)를 포함하고, 샌드백(10), 라운드볼(20) 등 운동자가 복싱 운동을 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복싱 용품을 복싱 체육관, 스포츠 센터 등의 설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는 예시적으로,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의 상부에는 상기 설치 부재(150)가,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140)가 연결된다.
상기 설치 부재(150)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를 설치 장소, 예를 들어 체육관 등의 천정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 부재(150)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서 상방으로 복수 개 연장되고, 각 말단에 설치 패널(152)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설치 패널(152)에 볼트 등의 결합 수단이 관통되고, 상기 결합 수단이 상기 설치 장소의 천정에 박혀서,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가 상기 설치 장소의 천정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치 부재(150)가 상기 설치 장소의 천정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설치 부재(150)가 상기 설치 장소의 벽면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151은 한 쌍의 연결 패널이다. 상기 설치 부재(150)가 상기 설치 패널(152)과 연결된 부분과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 연결된 부분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설치 패널(152)과 연결된 부분에 상기 연결 패널(151)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 연결된 부분에 상기 연결 패널(151)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 패널(152)과 연결된 부분이 상기 설치 장소의 천정에 먼저 고정된 다음, 상기 한 쌍의 연결 패널(151)에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 수단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설치 패널(152)과 연결된 부분과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 연결된 부분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설치 부재(15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대적으로 가벼운 상기 설치 부재(150)를 먼저 상기 설치 장소의 천정에 고정시킨 다음,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를 연결하면 되므로,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와 상기 설치 부재(150)를 함께 상기 설치 장소의 천정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해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140)는 상기 설치 부재(150)에 의해 상기 설치 장소에 설치된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 상기 복싱 용품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 몸체와, 상기 연결 부재 몸체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 고리(141)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고리(141)에 상기 샌드백(10), 상기 라운드볼(20) 등의 연결 로프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140)가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140)가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상기 샌드백(10), 복수 개의 상기 라운드볼(20) 등의 상기 복싱 용품이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 한꺼번에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복싱 용품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서 복수의 운동자가 한꺼번에 복싱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100)가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는 복수 개의 제 1 크로스 바아(120)와, 제 1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125)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20)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 그 각 말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2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제 1 크로스 바아(120)의 각 일 측 말단은 각각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일정 높이로 연장된 다음,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굽혀져서 지면과 각각 평행하고 서로 간에도 평행하게 연장되어 링 형태의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의 하측 공간을 가로지른 후, 그 각 타 측 말단이 각각 굽혀져서 각각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125)는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20)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125)도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20)를 가로질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100)가 제 2 크로스 바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부재는 복수 개의 제 2 크로스 바아(130)와, 제 2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135)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30)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 그 각 말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3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제 2 크로스 바아(130)의 각 일 측 말단은 각각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일정 높이로 연장된 다음,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굽혀져서 지면과 각각 평행하고 서로 간에도 평행하게 연장되어 링 형태의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의 하측 공간을 가로지른 후, 그 각 타 측 말단이 각각 굽혀져서 각각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135)는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30)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135)도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30)를 가로질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와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부재는 서로 교차하도록, 예를 들어 서로 수직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운동자가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125)와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30)를 순차적으로 잡으면서 철봉 운동을 하거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135)와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20)를 순차적으로 잡으면서 매달린 상태에서 이동하는 철봉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140)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20) 사이,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30) 사이 및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20)와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30)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110)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20) 사이,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30) 사이 및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20)와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30)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100)가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부재 및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140)를 포함함에 따라, 복수의 운동자가 한꺼번에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140)에 각각 연결된 상기 복싱 용품을 이용하거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 및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부재를 이용하여 철봉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복싱 용품을 이용한 운동과 철봉 운동의 순환 운동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복수 개의 복싱 용품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10 : 운동 기구 몸체 140 : 복싱 용품 연결 부재
150 : 설치 부재

Claims (4)

  1. 운동 기구 몸체;
    상기 운동 기구 몸체를 설치 장소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
    상기 설치 부재에 의해 상기 설치 장소에 설치된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복싱 운동을 하기 위한 복싱 용품을 연결하는 복싱 용품 연결 부재; 및
    상기 운동 기구 몸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각 말단이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크로스 바아와,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를 연결하는 제 1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복싱 용품이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 각 말단이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크로스 바아와,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를 연결하는 제 2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2 크로스 바아 부재;를 포함하고,
    운동자가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와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를 순차적으로 잡으면서 철봉 운동을 하거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연결 바아와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를 순차적으로 잡으면서 철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부재와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부재는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싱 용품 연결 부재는 상기 운동 기구 몸체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 사이, 복수 개의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사이 및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와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KR2020120005398U 2012-06-23 2012-06-23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KR200472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398U KR200472480Y1 (ko) 2012-06-23 2012-06-23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398U KR200472480Y1 (ko) 2012-06-23 2012-06-23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507U KR20130007507U (ko) 2013-12-31
KR200472480Y1 true KR200472480Y1 (ko) 2014-05-07

Family

ID=5371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398U KR200472480Y1 (ko) 2012-06-23 2012-06-23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4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93A (ko) 2014-10-30 2016-05-11 한진성 운동기구 설치대
KR102041220B1 (ko) 2018-07-19 2019-11-0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에어 펀치 기반의 복싱 부스 장치
KR102067404B1 (ko) 2018-07-23 2020-01-1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2884B (zh) * 2015-07-15 2017-12-22 盐城市艾斯特体育器材有限公司 一种团体协作训练用颠球体育器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64Y1 (ko) * 2003-01-08 2003-05-09 변정술 구룹 펀치볼 장치
US20100227742A1 (en) 2009-03-04 2010-09-09 Todd Michael Jutt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64Y1 (ko) * 2003-01-08 2003-05-09 변정술 구룹 펀치볼 장치
US20100227742A1 (en) 2009-03-04 2010-09-09 Todd Michael Jutt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93A (ko) 2014-10-30 2016-05-11 한진성 운동기구 설치대
KR102041220B1 (ko) 2018-07-19 2019-11-0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에어 펀치 기반의 복싱 부스 장치
KR102067404B1 (ko) 2018-07-23 2020-01-1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507U (ko)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7072B1 (en) Wall structure for exercising and attaching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elements
KR200472480Y1 (ko)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US8721505B2 (en) Training assembly
EP2436427A1 (en) Apparatus for kicking exercise
US9061172B1 (en) Exercise apparatus using a single elastic member
ATE477028T1 (de) Gymnastikgerät
CN106267773A (zh) 具步态分析功能的智能型悬吊系统
WO2019085551A1 (zh) 一种拳击训练装置
CN207101813U (zh) 一种用于跆拳道练习的平衡训练装置
EP2720761A2 (en) Trampoline and method of exercising
KR20160001386U (ko) 복싱 연습용 기구
KR102168762B1 (ko) 실내 운동기구
KR101488212B1 (ko) 발차기 운동기구
US20110195827A1 (en) Dynamic lower-body contour trainer and exercise machine
WO2019085240A1 (zh) 一种击打训练装置
CN203842323U (zh) 足球训练跨栏
CN204932701U (zh) 蹦床篮球架
US20100035735A1 (en) Multifunction apparatus for execution of exercises of strengthening of muscle systems
CN203139556U (zh) 排球练习网架
JP2009213527A (ja) テニス用練習器具
CN203663329U (zh) 一种多功能爬行机
CN220070688U (zh) 一种身体协调与平衡训练台
RU70807U1 (ru) Трен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14290Y1 (ko) 재활치료 및 체력단련을 위한 운동기구
RU22528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спортсмен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