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593A - 운동기구 설치대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593A
KR20160050593A KR1020140149095A KR20140149095A KR20160050593A KR 20160050593 A KR20160050593 A KR 20160050593A KR 1020140149095 A KR1020140149095 A KR 1020140149095A KR 20140149095 A KR20140149095 A KR 20140149095A KR 20160050593 A KR20160050593 A KR 2016005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arm
mounting bracket
hook
sw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597B1 (ko
Inventor
한진성
오인근
Original Assignee
한진성
오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성, 오인근 filed Critical 한진성
Priority to KR102014014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5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or against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A63B69/2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격투기나 턱걸이용 운동기구는 물론 놀이 및 유희용 그네를 간편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는 운동기구 설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벽면이나 지주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운트홀이 각각 형성된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상단에 한쪽 끝단이 고정되고, 다른 쪽 끝단에 설치대상물을 걸어서 매달기 위한 제1고리가 형성된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에 설치대상물을 걸어서 매달기 위한 제2 및 제3고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스윙샤프트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설치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 설치대{INSTALLATION HANGER FOR FITNESS EQUIPMENT}
본 발명은 운동기구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투기나 턱걸이용 운동기구는 물론 놀이 및 유희용 그네 등을 간편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활의 편익을 얻을 수 있는 운동기구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 문화가 확산되고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체중과 체지방을 줄이고 근력을 키우는 이른바 헬스 트레이닝 등의 운동을 꾸준히 즐기는 사람들이 많고, 아울러 타인의 공격을 방어하거나 상대의 폭력을 제어하여 자신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복싱, 킥복싱, 공수도, 태권도, 합기도 따위의 격투기를 연마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격투기 체육관이나, 스포츠 센터, 헬스 클럽 등을 비롯하여 사람들이 산책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해 자주 찾는 근린공원이나 체육공원 또는 놀이터나 약수터 등에는 누구나 쉽고 자유롭게 체력단련 및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철봉이나 샌드백 등의 각종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철봉은 통상적으로 설치 장소의 땅을 파고 지지대를 세워서 지면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설치하는 구조이고, 샌드백은 대개 지주나 천장에 일정 높이로 매다는 구조여서 저마다 설치 공간이 필요하므로 사용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데다 설치가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그네는 큰 나뭇가지나 두 기둥을 가로지르는 나무에 매단 두 줄의 끝 하단에 판을 걸치고, 이를 타고 앞뒤로 흔들면서 노는 놀이기구로, 철봉과 마찬가지로 근린공원이나 놀이터 등에 일정 공간을 점유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공간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도가 한정되어 있어 비사용 시 주변 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480호(2014.05.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139호(2003.04.2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1040호(2002.01.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0674호(2012.03.1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 및 기존의 운동기구 설치대가 갖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야외에 설치하더라도 외부 환경에 의해 사용수명이 줄어들지 않도록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 격투기나 턱걸이용 운동기구는 물론 놀이 및 유희용 그네 등의 각종 놀이기구를 간편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는 설치대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한 연구를 해오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각종 운동기구나 놀이기구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벽면이나 지주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운트홀이 각각 형성된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상단에 한쪽 끝단이 고정되고, 다른 쪽 끝단에 설치대상물을 걸어서 매달기 위한 제1고리가 형성된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에 설치대상물을 걸어서 매달기 위한 제2 및 제3고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스윙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설치대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한정된 설치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격투기나 턱걸이용 운동기구는 물론 놀이 및 유희용 그네 등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어 생활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지지암의 제1고리에 걸어서 매달 수 있도록 상단에 후크가 형성된 철봉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운동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편의성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상기 철봉바를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바안착부와, 상기 철봉바의 후크를 수납하기 위한 후크수납부가 형성됨으로써 철봉바의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비사용에 따른 보관 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지지암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상기 스윙샤프트의 축 방향 양단을 지지하면서 회전 마찰력을 줄여주는 한 쌍의 유닛 베어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그네를 매달아 사용 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한층 더 원활한 스윙 운동이 이루어져 더욱 즐거운 쾌감과 스릴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지지암은 상기 스윙샤프트와 상기 유닛 베어링을 내장하도록 하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윙샤프트와 상기 유닛 베어링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보호하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증대되어 야외에 설치하더라도 외부 환경에 의해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격투기 연습을 위한 샌드백이나 턱걸이 운동을 위한 철봉바는 물론 놀이 및 유희용 그네 등의 각종 운동기구와 놀이기구를 간편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기구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간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한정된 공간에서도 다양한 운동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편의성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겸용하여 동시에 사용 및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하는 등 사용상의 편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기구 설치대를 하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기구 설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기구 설치대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기구 설치대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기구 설치대는 크게 마운팅브래킷(10)과 지지암(20) 및 스윙샤프트(30), 그리고 철봉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운팅브래킷(10)은 앵커볼트나 스터드 볼트 따위를 이용한 볼팅 체결방법으로 지면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구조물의 벽면이나 지주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양측에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운트홀(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마운팅브래킷(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봉바(40)나 샌드백 또는 그네 등의 설치대상물을 매달 경우 지지암(20) 등을 통해 전달되는 비틀림 하중이나 굽힘 하중 작용 등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구조적 강도와 형태를 가지며, 구조물의 벽면이나 지주 등에 앵커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적당한 높이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마운팅브래킷(10)의 하단에는 철봉바(40)를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바안착부(12)가 일정 폭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바안착부(12)의 상측 중심부에는 철봉바(40)를 후술하는 지지암의 제1고리(21)에 간편하게 걸어서 매달 수 있도록 철봉바(40)와 일체로 연결형성된 후크(41)를 수납하기 위한 후크수납부(13)가 일정 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암(20)은 마운팅브래킷(10)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지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마운팅브래킷(10)의 상단에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끝단이 고정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다른 쪽 끝단에는 격투기 연습을 위한 샌드백이나 턱걸이 운동을 위한 철봉바(40)와 같은 설치대상물을 후크형 고리나 쇠사슬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매달거나 걸 수 있도록 제1고리(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고리(21)는 정면에서 볼 때 마치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봉바(40) 혹은 샌드백 등과 같은 설치대상물을 매달 경우 구조물의 벽면이나 지주와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정도로 거리는 두는 지지암(20)의 자유단 하면에 그 설치대상물이 반복적으로 흔들리면서 외력을 가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용접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암(20)은 스윙샤프트(30)와 이 스윙샤프트(30)의 축 방향 양단을 지지하면서 회전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해 지지암(20)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된 한 쌍의 유닛 베어링(50)을 내장하도록 마치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암(20)은 설치대상물의 하중을 지지 및 지탱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쉽게 파손 및 변형되지 않도록 구조적 강도가 우수하고, 환경변화에도 쉽게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더불어 그 수납 공간 내에 스윙샤프트(30)와 유닛 베어링(50)을 장착함으로써 스윙샤프트(30)와 유닛 베어링(50)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은 물론 야외에 설치할 경우 비나 바람 등으로부터 스윙샤프트(30)와 유닛 베어링(50)을 보호하여 외부 환경으로 인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스윙샤프트(30)는 지지암(20)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길이 방향에 그네 따위의 설치대상물을 간편하게 걸어서 매달기 위한 제2 및 제3고리(32)(33)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즉, 스윙샤프트(30)는 놀이 및 유희용 그네 따위의 설치대상물이 지지암(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스윙 운동하도록 안내 및 유도한다.
철봉바(40)는 사용자가 턱걸이나 팔굽혀매달리기 따위의 철봉 운동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철봉바(40)의 상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의 제1고리(21)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걸어서 매달 수 있도록 후크(4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철봉바(40)는 미사용 시 마운팅브래킷의 바안착부(12)에 얹힌 상태로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다. 아울러 철봉바의 후크(41) 부분은 마운팅브래킷의 후크수납부(13)에 삽입한 채로 보관할 수 있다.
유닛 베어링(50)은 스윙샤프트(3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 시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해 지지암(20)의 하면에 좌우 한 쌍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스윙샤프트(30)의 길이 방향 양단을 지지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유닛 베어링(50)은 스윙샤프트(30)에 그네 등의 운동기구를 매달아 사용 시 베어링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스윙 운동이 원활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윙 운동에 따른 마찰 소음과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닛 베어링(50)은 설치대상물의 흔들림 등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으로부터 스윙샤프트(30)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하도록 지지암(20)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기구 설치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투기 연습을 위한 샌드백이나 턱걸이 운동을 위한 철봉바(40)는 물론 놀이 및 유희용 그네 등과 같은 각종 운동기구의 설치에 필요한 구조가 병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서 여러 종류의 운동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편의성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공간과 부피가 최소화되어 공간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마운팅브래킷 11: 마운트홀
12: 바안착부 13: 후크수납부
20: 지지암 21: 제1고리
30: 스윙샤프트 32: 제2고리
33: 제3고리 40: 철봉바
41: 후크 50: 유닛 베어링

Claims (5)

  1. 벽면이나 지주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운트홀이 각각 형성된 마운팅브래킷;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상단에 한쪽 끝단이 고정되고, 다른 쪽 끝단에 설치대상물을 걸어서 매달기 위한 제1고리가 형성된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에 설치대상물을 걸어서 매달기 위한 제2 및 제3고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스윙샤프트;
    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설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제1고리에 걸어서 매달 수 있도록 상단에 후크가 형성된 철봉바;
    를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 설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상기 철봉바를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바안착부와, 상기 철봉바의 후크를 수납하기 위한 후크수납부가 형성된 운동기구 설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상기 스윙샤프트의 축 방향 양단을 지지하면서 회전 마찰력을 줄여주는 한 쌍의 유닛 베어링;
    을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 설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은 상기 스윙샤프트와 상기 유닛 베어링을 내장하도록 하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운동기구 설치대.
KR1020140149095A 2014-10-30 2014-10-30 운동기구 설치대 KR101709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95A KR101709597B1 (ko) 2014-10-30 2014-10-30 운동기구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95A KR101709597B1 (ko) 2014-10-30 2014-10-30 운동기구 설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93A true KR20160050593A (ko) 2016-05-11
KR101709597B1 KR101709597B1 (ko) 2017-02-23

Family

ID=5602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095A KR101709597B1 (ko) 2014-10-30 2014-10-30 운동기구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359A1 (ko) * 2017-04-27 2018-11-01 한진성 다목적 행거
JP7057619B1 (ja) * 2021-01-22 2022-04-20 株式会社Teddy Works 懸垂器具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9054U (ko) * 1987-12-02 1989-06-12
US4953852A (en) * 1988-04-26 1990-09-04 Donohue Patrick T Punching bag and support
KR920005184Y1 (ko) * 1990-02-19 1992-07-27 노규상 펀치볼 운동구
KR200261040Y1 (ko) 2001-06-02 2002-01-19 변정술 샌드백 회전축
KR200310139Y1 (ko) 2002-12-27 2003-04-21 변정술 대각형 샌드백걸이
KR20070000415U (ko) * 2007-03-14 2007-04-06 (주)조인존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KR101120674B1 (ko) 2009-05-27 2012-03-16 (주)제이에이치조경개발 클램프를 구비한 다각형 운동기구 설치대
KR200472480Y1 (ko) 2012-06-23 2014-05-07 김성주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9054U (ko) * 1987-12-02 1989-06-12
US4953852A (en) * 1988-04-26 1990-09-04 Donohue Patrick T Punching bag and support
KR920005184Y1 (ko) * 1990-02-19 1992-07-27 노규상 펀치볼 운동구
KR200261040Y1 (ko) 2001-06-02 2002-01-19 변정술 샌드백 회전축
KR200310139Y1 (ko) 2002-12-27 2003-04-21 변정술 대각형 샌드백걸이
KR20070000415U (ko) * 2007-03-14 2007-04-06 (주)조인존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KR101120674B1 (ko) 2009-05-27 2012-03-16 (주)제이에이치조경개발 클램프를 구비한 다각형 운동기구 설치대
KR200472480Y1 (ko) 2012-06-23 2014-05-07 김성주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359A1 (ko) * 2017-04-27 2018-11-01 한진성 다목적 행거
JP7057619B1 (ja) * 2021-01-22 2022-04-20 株式会社Teddy Works 懸垂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597B1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4264A1 (en) Training or exercise apparatus
CN202497683U (zh) 旋转式拳击练习器
JP2016502908A (ja) 移動型訓練装置
US6547706B1 (en) Rack exercise system and method
KR101709597B1 (ko) 운동기구 설치대
US20170056743A1 (en) Ball training equipment comprising flexible string
KR200441378Y1 (ko) 족구 공격 연습구
JP6456370B2 (ja) ユーザーの反応能力、反射神経、迅速さ、ならびに他のスポーツに関連する身体能力と認識能力を刺激するためのトレーニング装置
JP2006340738A (ja) バッテリースタンドを添えた多目的スポーツネット
ES2269478T3 (es) Aparato para juegos de pelota.
CN201949596U (zh) 一种多功能拳击架
GB2501730A (en) Reactive training device
KR20100122760A (ko) 배드민턴 연습대
US20160121191A1 (en) Take-Home Sparring Partner
KR101696078B1 (ko) 휴대용 네트장치
KR102573172B1 (ko) 천정고정식 실전 훈련용 샌드백
CN110215652B (zh) 一种组合式体育器材
KR101549483B1 (ko) 야외 설치용 운동기구
CN207506901U (zh) 一种娱乐攀爬桥
CN107930005A (zh) 一种开放式游乐攀爬桥
EA00317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рабатывания ударов по мячу
CN207506903U (zh) 一种游乐攀爬桥
KR200359528Y1 (ko) 수평, 수직 겸용 골프스윙 연습기
CN202015449U (zh) 跳舞机
CN207462658U (zh) 一种带有攀登架的攀爬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6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01

Effective date: 201702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