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415U -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415U
KR20070000415U KR2020070004229U KR20070004229U KR20070000415U KR 20070000415 U KR20070000415 U KR 20070000415U KR 2020070004229 U KR2020070004229 U KR 2020070004229U KR 20070004229 U KR20070004229 U KR 20070004229U KR 20070000415 U KR20070000415 U KR 200700004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bar
coupl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1906Y1 (ko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주)조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인존 filed Critical (주)조인존
Priority to KR2020070004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06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책공원이나 운동장과 같은 야외 운동장소에 체력증진을 위하여 설치하는 운동기구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구부와 지지부의 연결수단을 강화시켜 기구부에 가하는 하중을 연결부가 충분히 견디게 하여 기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서는 기구의 상부에 구비하는 베어링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삐걱거리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시키어 운동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서는 연결부의 상부에 우천시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여 운동기구의 수명을 늘리는 목적을 가지고 고안한 것이다.
운동기구

Description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a rotary machine of sporting goods }
도 1은 종래 운동기구의 회전장치인 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
도 6의 (가) 및 (나)는 도 3의 B 및 C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구부 2 : 지지부 3 : 연결부
10: 회전바 11 : 회전대 12 : 베어링
20 : 지주 21 : 커버 30 : 회전축
32 : 축봉 33 : 나사축봉 34, 36 : 턱
35 : 고정캡 40 : 고정판 41 : 결합홈
42 : 삽입홈 44 : 고정봉
본 고안은 산책공원이나 운동장과 같은 야외 운동장소에 체력증진을 위하여 설치하는 운동기구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중이나 우천시 빗물에 의하여 운동기구와 지지대의 연결부분인 회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 체력을 증진하기 위하여 실내 운동장(헬스장 등)을 찾거나 거주지 주변의 공원에서 산책 및 조깅을 하여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켜 왔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지방자치 단체별로 주택가에 공원을 조성하여 녹지지대를 넓히면서 상기의 공원에 주민들이 산책을 하거나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벤치프레스 기구 등을 설치하여 운영함으로 주민들의 건강증진에 일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운동기구로서는 제자리에서 달리기 효과를 가지는 다리운동기구나 역기 등을 들어올리는 효과는 가지는 상체운동기구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야외용 운동기구는 신체를 움직이게 하는 기구부와 상기 기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분되어지고, 상기 기구부와 지지부는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회전수단인 베어링을 가지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종래의 운동기구에서 회전장치인 연결부의 일예로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의 상단에 결합축(6)을 가지는 고정봉(7)을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하고 상기 기구부(1)의 상부에는 회전체인 베어링(5)을 삽입하여 결합축(6)을 베어링(5)에 결합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 회전장치인 연결부는 기구부(1)가 회전하면서 좌, 우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정봉(7)이 베어링(5)을 압박하게 되고 이러한 압박에 의하여 베어링(5)이 기구부(1)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므로 고정봉(7)의 단면이 기구부(1)의 단면과 닿게 되었다.
따라서, 베어링(5)과 고정봉(7)의 단면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만 기구부(1)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나 기구부(1)와 고정봉(7)이 닿음으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삐걱거리는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어링(5)이 밀려들어가지 않는 다할지라도 고정봉(7)의 외면이 베어링(5)의 외면과 닿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는 야외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우천시 빗물이 기구부(1)와 지지부(2)의 연결부에 흘러들어가게 되어 부식이 다른 부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특히 이러한 부식은 베어링(5)에 작용을 하여 운동시 삐걱거리는 소음이 발생하거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사람의 체중이 실리는 기구부(1)의 하중을 고정봉(7)에 집중이 되므로 인하여 지지부(2)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 고정봉(7)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운동하는 사람에게 심각한 부상이 발생하는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야외에 설치된 운동기구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기구부와 지지부의 연결수단을 강화시켜 기구부에 가하는 하중을 연결부가 충분히 견디게 하여 기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서는 기구의 상부에 구비하는 베어링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삐걱거리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시키어 운동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서는 연결부의 상부에 우천시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여 운동기구의 수명을 늘리는 목적을 가지고 고안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운동기구로서는 벤치프레스와 같이 상체를 단련하는 상체운동기구와 달리기 효과를 가지는 하체운동기구가 있는바, 본 고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체운동기구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야외 운동기구는 하부가 지면에 고정하는 지주(20)를 가지는 지지부(2)와; 양측에 회전바(10)가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 발판(5)이 형성되어 사람이 올라타는 기구부(1)와; 상기 지지부(2)와; 기구부(1)를 회전축(30)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 및 기구부(1) 후방으로 기구부(1)에 결합하여 돌축된 연결부(3)의 회전축(30) 및 지지부(2)에 고정된 커버(21)를 결합하고 지지부(2)의 지주(20)와 고정봉(44)으로 결합하는 고정판(40)으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2)는 지면에 고정하는 지주(20)의 상부에 연결부(3)가 결합하는 축공(22)과 축공(22)의 상부에 고정판(40)을 결합하는 나사공(23) 및 나사공(23)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결부(3)를 우천에서 보호하는 커버(2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21)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거나 절개된 부위가 예각을 가지며, 그 외경의 크기는 지주(20)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구부(1)는 양측에 형성된 회전바(10)의 상부에 베어링(12)을 양측으로 삽입한 회전대(1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회전대(11)는 회전바(10)와 직각의 방향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3)는 일측이 지주(20)에 형성된 축공(22)에 결합하는 축봉(32)과, 타측은 회전대(11)의 베어링(12)에 결합하고 끝 부분에 나사를 가지는 나사축봉(33)과, 상기 축봉(32) 및 나사축봉(33)의 중앙에는 지주(20)와 회전바(10)가 간격을 가지도록 몸체(31)와, 회전바(10)의 타측으로 돌출된 나사축봉(33)에 결합하여 회전바(10)와 지주(20)를 결합하는 고정캡(3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축봉(33)과 몸체(31)가 서로 닿는 부위 및 고정캡(35)이 회전대(11)에 맞닿는 일면에는 베어링(12)의 내측과 동일한 크기의 턱(34)(36)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판(40)은 회전대(11)가 맞닿는 일면에 커버(21)가 결합하는 결합홈(41)과, 하부에는 회전대(11)에서 돌출한 나사축봉(33)이 삽입하는 삽입홈(42)과, 중앙부위에 외측으로 단턱을 가지는 체결공(43)을 형성하여 고정봉(44)으로 지주(20)의 나사공(23)에 결합하여 지지부(2)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홈(41)은 커버(21)의 내, 외경보다 약간 큰 상태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42)은 나사축봉(33)과 동일 또는 약간 큰 상태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바(10)의 상부에 회전바(10)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회전대(11)의 양측 내부에 베어링(12)을 삽입하되 상기 베어링(12)의 일면이 회전대(11)의 단부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12)의 축에 회전축(30)의 나사축봉(33)을 삽입하여 고정캡(35)을 결합시켜 회전축(30)을 회전바(10)와 결합킨다.
이때, 상기 나사축봉(33)과 고정캡(35)에 형성된 턱(34)(36)이 베어링(12)의 내측에 맞닿도록 함으로 도 6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30)의 몸체(31)와 회전대(11)의 일면 및 고정캡(35)의 일면과 회전대(11)의 타측면에는 턱(34)(36)이 돌출된 거리만큼의 공간(d)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후, 회전대(11)에 결합한 회전축(30)의 축봉(32)을 지주(20)의 상부에 형성된 축공(22)에 삽입한다.
이때, 회전바(10)와 지주(20)의 사이에는 회전축(30)의 몸체(31)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지주(20)의 상부에 고정된 커버(21)는 회전축(30)의 몸체(31)와 회전대(1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30)을 통해서 기구부(1)의 회전바(10)와 지지부(2)의 지주(20)가 결합하면 고정판(40)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고정판(40)의 일면에 형성된 결합홈(41)과 삽입홈(42)에 지주(20)의 커버(21)와 고정캡(35)에 돌출된 나사축봉(33)을 결합하여 고정하고 이면으로 고정봉(44)을 체결공(43)에 삽입하여 고정봉(44)의 단부가 지주(20)에 형성된 나사공(23)에 결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기구부(1)와 지지부(2)를 연결부(3)를 통해서 결합한 상태에서 지주(20)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하면 운동기구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구부(1)에 사람이 올라타 다리를 앞, 뒤로 움직이는 운동을 하게 되면, 회전축(30)은 지주(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바(1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대(11)에서 베어링(12)에 의하여 기구부(1)가 회전을 하여 운동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회전대의 내부에 구비된 양측 베어링의 외부 노출된 면과 상기 베어링에 결합된 회전축의 몸체 및 회전축을 회전대에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한 고정캡의 사이에는 형성된 턱에 의하여 소저의 간격을 가지게 되므로 베어링이 원활하게 회전을 하므로 운동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대의 상부에는 지주에 고정된 커버가 위치하게 되어 우천시 빗물이 회전축 및 회전대에 스며들지 않음으로 베어링과 회전축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동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축에 의하여 결합된 회전바와 지주가 견고히 고정되고 고정판에 의하여 결합관계가 보강됨으로 기구부를 통해서 발생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야외 운동기구는 하부가 지면에 고정하는 지주(20)를 가지는 지지부(2)와; 양측에 회전바(10)가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 발판(4)이 형성되어 사람이 올라타는 기구부(1)와; 상기 지지부(2)와; 기구부(1)를 회전축(30)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 및 기구부(1) 후방으로 기구부(1)에 결합하여 돌축된 연결부(3)의 회전축(30) 및 지지부(2)에 고정된 커버(21)를 결합하고 지지부(2)의 지주(20)와 고정봉(44)으로 결합하는 고정판(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2.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는 지면에 고정하는 지주(20)의 상부에 연결부(3)가 결합하는 축공(22)과 축공(22)의 상부에 고정판(40)을 결합하는 나사공(23) 및 나사공(23)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결부(3)를 우천에서 보호하는 커버(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3.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1)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거나 절개된 부위가 예각을 가지며, 그 외경의 크기는 지주(20)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4.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는 일측이 지주(20)에 형성된 축공(22)에 결합하는 축봉(32)과, 타측은 회전대(11)의 베어링(12)에 결합하고 끝 부분에 나사를 가지는 나사축봉(33)과, 상기 축봉(32) 및 나사축봉(33)의 중앙에는 지주(20)와 회전바(10)가 간격을 가지도록 몸체(31)와, 회전바(10)의 타측으로 돌출된 나사축봉(33)에 결합하여 회전바(10)와 지주(20)를 결합하는 고정캡(3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5. 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봉(33)과 몸체(31)가 서로 닿는 부위 및 고정캡(35)이 회전대(11)에 맞닿는 일면에는 베어링(12)의 내측과 동일한 크기의 턱(34)(3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6.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0)은 회전대(11)가 맞닿는 일면에 커버(21)가 결합하는 결합홈(41)과, 하부에는 회전대(11)에서 돌출한 나사축봉(33)이 삽입하는 삽입홈(42)과, 중앙부위에 외측으로 단턱을 가지는 체결공(43)을 형성하여 고정봉(44)으로 지주(20)의 나사공(23)에 결합하여 지지부(2)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7.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41)은 커버(21)의 내, 외경보다 약간 큰 상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8.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42)은 나사축봉(33)과 동일 또는 약간 큰 상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KR2020070004229U 2007-03-14 2007-03-14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KR200441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29U KR200441906Y1 (ko) 2007-03-14 2007-03-14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29U KR200441906Y1 (ko) 2007-03-14 2007-03-14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415U true KR20070000415U (ko) 2007-04-06
KR200441906Y1 KR200441906Y1 (ko) 2008-09-17

Family

ID=4162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229U KR200441906Y1 (ko) 2007-03-14 2007-03-14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16B1 (ko) * 2011-05-26 2013-01-09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KR101225258B1 (ko) * 2010-09-17 2013-01-22 천창호 회전운동기구
KR101488252B1 (ko) * 2013-10-30 2015-01-30 주식회사 재운 진자형 허리 운동기구
KR20160050593A (ko) * 2014-10-30 2016-05-11 한진성 운동기구 설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58B1 (ko) * 2010-09-17 2013-01-22 천창호 회전운동기구
KR101218316B1 (ko) * 2011-05-26 2013-01-09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KR101488252B1 (ko) * 2013-10-30 2015-01-30 주식회사 재운 진자형 허리 운동기구
KR20160050593A (ko) * 2014-10-30 2016-05-11 한진성 운동기구 설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906Y1 (ko)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906Y1 (ko) 야외용 운동기구의 회전장치
CN103889513A (zh) 蹦床
KR100776573B1 (ko) 운동기구용 베어링
CN207076066U (zh) 一种体育舞蹈用的防晕眩训练装置
KR101232865B1 (ko) 운동기구의 지지대
US10610726B2 (en) Multi-functional exercise system with variable resistance
KR101195953B1 (ko) 전동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수동선회 전환장치
US9345926B2 (en) Exercise machine and pivoting assembly therefor
KR200407726Y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용 경사 타석기
KR200380514Y1 (ko) 야외 체육시설용 힌지장치
CN203790515U (zh) 双人脚踏式健身装置
CN208927516U (zh) 一种椭圆漫步机
KR101120674B1 (ko) 클램프를 구비한 다각형 운동기구 설치대
KR200405273Y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18357064U (zh) 一种拆装方便的蹦床护栏连接机构
KR101488252B1 (ko) 진자형 허리 운동기구
KR20100064097A (ko) 운동기구용 회전장치
CN220303155U (zh) 一种户外健身器材固定装置
WO2012123890A2 (en) Device with pedals for gym activities
KR102434937B1 (ko) 역기 들어올리기
CN105107141A (zh) 一种运动轨迹可调式登山机
CN217161476U (zh) 一种体育场馆用可调整座椅
CN214763234U (zh) 户外双板滑雪训练器
KR200441910Y1 (ko) 접이식 안전 그네
CN211383626U (zh) 改进的手摇脚蹬跑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