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241Y1 -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 Google Patents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241Y1
KR200472241Y1 KR2020120008212U KR20120008212U KR200472241Y1 KR 200472241 Y1 KR200472241 Y1 KR 200472241Y1 KR 2020120008212 U KR2020120008212 U KR 2020120008212U KR 20120008212 U KR20120008212 U KR 20120008212U KR 200472241 Y1 KR200472241 Y1 KR 200472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aft
front wheel
vehicle body
propell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00U (ko
Inventor
윤치호
Original Assignee
윤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치호 filed Critical 윤치호
Priority to KR2020120008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241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2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발포시트지를 절취하여 각 구성부품을 형성하고, 이들 구성부품을 서로 조립하여 차체를 구성하되, 상기 차체의 후방에는 고속의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propoller)가 장착되어 있어서, 특히 레이싱 카(racing car)용 모형 완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Toy car with propoller}
본 고안은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발포시트지를 절취하여 각 구성부품을 형성하고, 이들 구성부품을 서로 조립하여 차체를 구성하되, 상기 차체의 후방에는 고속의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propoller)가 장착되어 있어서, 특히 레이싱 카(racing car)용 모형 완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조립식 자동차 완구들이 개발되어 있다. 통상적인 조립식 자동차 완구는 차체 등 주요 구성부품들이 입체적인 합성수지 사출품 형태로 제공되고, 사용자들이 직접 각 구성부품들을 조립하여 자동차 형태를 완성한다. 이러한 자동차 완구 이외에 각 구성부품들이 평면적인 시트지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시트지에 미리 인쇄된 각 구성부품을 절취하여 지시된 형태로 적당히 접은 다음, 서로 조립하여 자동차 형태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시트지 접이식 자동차 완구는 대체로 제조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사출형 자동차 완구에 비해 차제 자체의 지지력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 시트지로는 가벼우면서도 조립 후에도 자동차의 형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을 만큼 물리적인 지지력이 좋은 합성수지 발포시트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최근에는 조립식 자동차 완구에도 대부분 추진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들이 장착된다. 예컨대 국내 특허공개 제2002-4349호(공개일자; 2002.01.16.)에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휠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적절히 가감하여 휠에 전달하는 기어장치와,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대략 자동차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다수개의 배터리를 조합 내장하는 카드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자동차 완구가 소개되어 있다.
또한, 국내 특허공개 제2003-29320호(공개일자; 2003.04.14.)에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종동축으로 연결되는 두 쌍의 바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안치되는 전기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바퀴가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모터의 회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에 대한 자기적인 구속으로 바퀴의 구동을 강제해 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한 완구용 자동차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력장치들은 시트지 접이식 자동차 완구에 사용하기에 접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차체의 지지력에 비해 동력장치 자체의 무게가 너무 무겁기 때문에 동력의 손실이 많고, 내구성도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시트지 접이식 자동차 완구에 적합한 추진장치 및 동력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특허공개 제2002-4349호(공개일자; 2002.01.16.) 국내 특허공개 제2003-29320호(공개일자; 2003.04.14.)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포시트지를 절취하여서 된 각 구성부품을 조립하여 완성하는 시트지 접이식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 프로펠러(propoller)의 추진력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에 적합한 조향장치(操向裝置)와 제동장치(制動裝置)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는, 절취한 발포시트지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구성부품들을 서로 조립하여서 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하단 전후방에 각각 장착된 바퀴와; 상기 차체의 내부에 설치된 충전콘덴서와; 상기 충전콘덴서의 기전력에 의해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며, 상기 차체의 후방에 설치된 프로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의 하단에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전후방으로 인접한 2~3개의 전륜축공이 관통되어 있고, 각 전륜축공은 축이동공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체에는 바람의 저항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제어하는 제동날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는 차체가 합성수지 발포시트지로 구성되어 있어서 차량 자체의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지지력이 우수하며, 나아가 충전콘덴서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의 회전력에 의해 고속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레이싱 카(racing car)용 모형 완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는 차체의 좌우측에 각각 전후방으로 2~3개씩 구비되어 있는 전륜축공을 조향장치(操向裝置)로 이용하여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나아가 바람의 저항을 조절하는 제동날개를 제동장치(制動裝置)로 이용하여 차량의 추진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완구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완구의 조향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완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완구의 차체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에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 자동차 완구의 구조로부터 용이하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10)와 바퀴(20a,20b), 충전콘덴서(30)와 모터(40) 및 프로펠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차체(10)는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구성부품들을 서로 조립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성부품들은 각각 발포시트지를 소정의 형태로 절취하거나, 절취한 발포시트지를 소정의 형태로 접어서 형성된다.
상기 차체(10)의 소재로 사용되는 발포시트지는 두께가 수 mm인 합성수지재 발포시트의 양면에 각각 필름지를 부착한 것으로, 상기 필름지에는 해당 자동차에 적합한 문양이나 문자 등이 인쇄된다. 그리고, 절취한 발포시트지를 접어서 소정 형태의 구성부품을 구성 할 경우, 접히는 선을 따라 양쪽 필름지 중 전면 필름지와 내부 발포시트 부분만 절개한다. 이렇게 하면, 절개하지 않은 배면 필름지를 절곡선으로 하여 상기 발포시트지를 매끈하게 접을 수 있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곡선을 따라 발포시트의 절개 단면이 하얗게 밖으로 드러나면서 시각적으로 매우 세련된 미감을 제공한다.
첨부 도 1에서는 상기 차체(10)를 레이싱 카(racing car)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차체(10)의 형상이나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품의 종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체(10)의 조립방법은 가능하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각 구성부품을 서로 끼움 결합하는 방법으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10) 하단에는 통상적인 자동차 완구와 마찬가지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전륜축공(11a)과 후륜축공(11b)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전륜축공(11a)과 후륜축공(11b)에는 각각 전륜축(21a)과 후륜축(21b)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축(21a)과 후륜축(21b)의 양단에는 각각 전방 바퀴(20a)와 후방 바퀴(20b)가 장착되어 있다.
첨부 도 2는 본 고안의 특징 중 하나인 조향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차체(10) 하단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전후방으로 인접한 2~3개의 전륜축공(11a)이 천공되어 있고, 각 전륜축공(11a)은 축이동공(1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구조의 조향장치에서 상기 전륜축(21a)은 축이동공(12)을 통해서 이동하여 전방, 중앙 또는 후방 전륜축공(11a) 중 어느 한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륜축(21a)의 위치는 좌측 전륜축공(11a)과 우측 전륜축공(11a)에 각각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그 위치에 따라 전륜축(21a)의 각도가 변하게 된다. 즉, 전륜축(21a)이 좌측 및 우측 전륜축공(11a)에서 동일한 곳에 위치하면, 전륜축(21a)의 각도가 차체(10)의 전후진 방향과 직교하면서 자동차가 직진한다. 그리고, 전륜축(21a)의 위치가 우측 전륜축공(11a)에서 더 앞서 있으면, 전륜축(21a)의 각도가 좌측으로 기울어져서 차량이 좌회전하고, 좌측 전륜축공(11a)에서 더 앞서 있으면, 전륜축(21a)의 각도가 우측으로 기울어져서 차량이 우회전한다.
이때, 차체(10) 좌우측에 형성된 전륜축공(11a)이 각각 2개이면, 차량이 직진과 한가지 회전 각도로 좌회전과 우회전만 가능하지만, 도 2와 같이 좌우측 전륜축공(11a)이 각각 3개이면 직진은 물론 가능한 회전 각도가 두 가지로 늘어난다. 이처럼 인접한 전륜축공(11a)의 개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차량의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륜축공(11a)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직경이 상기 전륜축(21a)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축이동공(12)은 각 전륜축공(11a)의 하단 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축이동공(12)을 따라 이동한 전륜축(21a)이 전방이나 중앙 또는 후방 전륜축공(11a) 중 어느 한곳에 자리 잡은 이후에는 차체(10) 자체의 중량에 의해 전륜축(21a)이 전륜축공(11a)의 상부로 밀려 올려가서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하게 되고, 따라서 차량이 회전하는 도중에 전륜축(21a)의 위치가 변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차체(10) 내부에는 충전콘덴서(30)와 모터(40)가 설치된다. 상기 충전콘덴서(30)와 모터(40)는 소형으로 차체(10)에 무게 부담을 주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덴서(30)로는 용량이 2.7V, 3F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콘덴서(30)는 AA 건전지 3개가 장착된 소형 충전기(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약 3~5초 정도면 충전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40)로는 70mA, 50,000RPM의 초소형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10)의 후방에는 상기 모터(40)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펠러(50)가 설치된다. 상기 프로펠러(50)는 그 회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풍력으로 차량의 추진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차체(10)에는 전방 또는 후방 적소에 제동날개(13a,13b)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동날개(13a,13b)는 바람의 저항을 이용하여 차량의 추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제동날개(13a,13b)를 세워주면 차량이 전진 할 때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아서 추진력이 저하되고, 반대로 상기 제동날개(13a,13b)를 눕혀주면 바람의 저항이 감소하여 차량의 추진력이 향상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체(10)가 합성수지 발포시트지로 구성되어 있어서, 차량 자체의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지지력이 우수하고, 또한 충전콘덴서(30)와 모터(40) 역시 상기 시트지 조립형 차체(10)에 지지될 만큼 소형이기 때문에 상기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50)의 회전력만으로도 고속의 추진력을 발생한다.
실제로 용량이 2.7V, 3F인 충전콘덴서(30)와 70mA, 50,000RPM의 모터(40)를 사용할 경우, AA 건전지 3개가 장착된 소형 충전기(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약 3~5초 정도면 충전이 완료되고, 본 고안의 자동차 완구는 상기 충전콘덴서(30)가 완전히 방전될 때 까지 실내 평탄한 바닥에서 직선거리로 약 200~300m 정도 쾌속 질주할 수 있다.
10; 차체(車體) 11a; 전륜축공
11b; 후륜축공 12; 축이동공
13a,13b; 제동날개 20a,20b; 바퀴
21a; 전륜축(前輪軸) 21b; 후륜축(後輪軸)
30; 충전콘덴서 40; 모터
50; 프로펠러

Claims (5)

  1. 절취한 발포시트지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구성부품들을 서로 조립하여서 된 차체(10)와;
    상기 차체(10)의 하단 전후방에 각각 장착된 바퀴(20a,20b)와;
    상기 차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충전콘덴서(30)와;
    상기 충전콘덴서(30)의 기전력에 의해서 구동되는 모터(40)와;
    상기 모터(40)에 의해서 구동되며, 상기 차체(10)의 후방에 설치된 프로펠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체(10)의 하단에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전후방으로 인접한 2~3개의 전륜축공(11a)이 관통되어 있고, 각 전륜축공(11a)은 축이동공(1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축공(11a)의 지름은 전륜축(21a)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축이동공(12)은 각 전륜축공(11a)의 하단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 있어서, 상기 차체(10)에는 바람의 저항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제어하는 제동날개(13a,13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30)의 용량은 2.7V, 3F 이고, 상기 모터(40)의 용량은 70mA, 50,00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KR2020120008212U 2012-09-14 2012-09-14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KR200472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12U KR200472241Y1 (ko) 2012-09-14 2012-09-14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12U KR200472241Y1 (ko) 2012-09-14 2012-09-14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00U KR20140001700U (ko) 2014-03-24
KR200472241Y1 true KR200472241Y1 (ko) 2014-04-11

Family

ID=5148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12U KR200472241Y1 (ko) 2012-09-14 2012-09-14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2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53Y1 (ko) * 2014-09-25 2015-07-17 오승아 프로펠러 구동형 자동차 완구
KR101667185B1 (ko) * 2016-06-07 2016-10-17 송명석 종이접기 자동차
KR20180077398A (ko) * 2016-12-28 2018-07-0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점토자동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6A (ja) * 1994-06-24 1996-01-09 Gakken Co Ltd 走行玩具
KR20110005305U (ko) * 2009-11-23 2011-05-31 강성기 자석을 이용한 방향 및 속도조절이 가능한 학습용 자동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6A (ja) * 1994-06-24 1996-01-09 Gakken Co Ltd 走行玩具
KR20110005305U (ko) * 2009-11-23 2011-05-31 강성기 자석을 이용한 방향 및 속도조절이 가능한 학습용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00U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9197B1 (en) Toy vehicle with enhanced jumping capability
CN102897316B (zh) 垂直升降飞机及其操作方法
KR200472241Y1 (ko) 프로펠러형 자동차 완구
EP1688167B1 (en) Model airplane
JP5497373B2 (ja) プロペラ玩具
CN105143027A (zh) 三轮车辆
JP2008068808A (ja) 三輪電気自動車
JP6631367B2 (ja) 空陸両用乗物
JPH08150818A (ja) 多機能ヘリコプタ
EP3068508B1 (en) Transferable power unit system for toys
JP5162714B1 (ja) 自動車
ES2949454T3 (es) Vehículo volador/conductor que es convertible entre una condición de conducción por carretera y una condición de vuelo
US20090124162A1 (en) Flying Toy Vehicle
JP5027632B2 (ja) 固定ピッチ式同軸2重反転型ヘリコプタ
CN203010865U (zh) 一种车用空调出风口自动摆叶机构
KR200477753Y1 (ko) 프로펠러 구동형 자동차 완구
CN204563606U (zh) 单轴飞行器
KR20180134244A (ko) 쿼드콥터 형태의 수직 이착륙 4륜구동 자동차
ES1163433U (es) Coche de paseo infantil con motor electrico trasero
KR200453315Y1 (ko) 수륙양용 풍력자동차 키트
CN101249888A (zh) 混合动力-传动装置
CN212797184U (zh) 儿童游戏电瓶车
WO2012169411A1 (ja) 風力利用システム
JP2559022B2 (ja) 走行玩具
CN218368124U (zh) 儿童骑乘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