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99Y1 - 휴대용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99Y1
KR200472199Y1 KR2020130005336U KR20130005336U KR200472199Y1 KR 200472199 Y1 KR200472199 Y1 KR 200472199Y1 KR 2020130005336 U KR2020130005336 U KR 2020130005336U KR 20130005336 U KR20130005336 U KR 20130005336U KR 200472199 Y1 KR200472199 Y1 KR 200472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body
coupled
cov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현
Original Assignee
한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현 filed Critical 한희현
Priority to KR2020130005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99Y1/ko
Priority to PCT/KR2014/002589 priority patent/WO201500237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4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이 개방되고,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의 상면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대향되게 함몰된 내입홈부가 형성되고, 단열재로 이루어진 커버; 내부에 주입되는 냉매액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기화를 촉진시키는 충진물이 수용되고, 상기 내입홈부에 배치되는 냉각 본체; 및 상기 냉각 본체의 외면과 상기 내입홈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 본체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인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피냉각물을 냉각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냉각 장치{PORTABLE CHILLING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인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피냉각물을 냉각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박스는 얼음이나 드라이아이스 등의 냉각재를 통해 보관물을 냉장 또는 냉동상태로 운송하기 위한 박스 형상의 용기이다.
이러한 아이스박스는 상부뚜껑 개폐식으로서 박스의 외면과 내면 모두 합성수지로 된 것이 많으며, 단열재로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스티렌폼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아이스박스는, 수용공간에 음식물을 얼음과 같이 수납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얼음이 녹은 물이 음식물에 섞여 혼합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아이스박스는 냉각재의 냉각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냉각 효과를 구현하면서 피냉각물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냉각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실용신안출원 제20-2003-0030678호 특허출원 제10-2007-0001190호 특허출원 제10-2007-0041037호 특허출원 제10-2010-000764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인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피냉각물을 냉각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이 개방되고,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의 상면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대향되게 함몰된 내입홈부가 형성되고, 단열재로 이루어진 커버; 내부에 주입되는 냉매액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기화를 촉진시키는 충진물이 수용되고, 상기 내입홈부에 배치되는 냉각 본체; 및 상기 냉각 본체의 외면과 상기 내입홈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 본체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유닛은, 일단부는 상기 냉각 본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냉각 본체의 가장자리와 대면하는 상기 내입홈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냉각 본체의 중심부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 유닛은, 일단부는 사각 블럭 형상인 상기 냉각 본체의 네 가장자리 각각의 중간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네 가장자리 각각과 대면하는 상기 내입홈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유닛은, 일단부는 사각 블럭 형상인 상기 냉각 본체의 네 가장자리가 각각 만나는 네 모서리부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네 모서리부 각각과 대면하는 상기 내입홈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 냉각 장치는, 상기 냉각 본체로부터 상기 내입홈부를 통해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출입관과, 상기 출입관 상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본체와 상기 내입홈부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관의 단부는 진공 감압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커버의 상기 내입홈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그물망 형상의 받침용 메쉬와, 상기 받침용 메쉬 상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냉각 본체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내입홈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그물망 형상의 고정용 메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냉각 본체는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냉각 장치는, 상기 냉각 본체 각각으로부터 연결되는 개별 출입관과, 상기 개별 출입관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분배 공간을 형성하는 분배 허브와, 상기 분배 허브로부터 상기 분배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입홈부를 통해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메인 출입관과, 상기 메인 출입관 상에 장착되고 상기 분배 허브와 상기 내입홈부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출입관의 단부는 진공 감압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냉각 장치는, 상기 메인 출입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진공 감압 펌프의 배관과 탈착 결합되는 커플링 본체와, 상기 메인 출입관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커플링 본체를 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인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은 커버의 내입홈부에 냉각 본체가 지지 유닛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박스 본체에 피냉각물을 수용하고 사용함에 있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피냉각물을 냉각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냉각 본체에 출입관과 체크 밸브 및 진공 감압 펌프 등의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지속적인 냉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기존의 아이스박스의 구조를 대폭 개선하고 변경할 필요가 없이 그대로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즉, 본 고안은 냉각 본체와 지지 유닛이 커버의 내입홈부에 내장되므로 기존의 아이스박스 구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냉각 본체와 지지 유닛 및 배관과 밸브 및 펌프류 등 추가되는 부속품이 모듈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각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고안의 주요부인 냉각 본체와 지지 유닛의 결합 관계 중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고안의 주요부인 냉각 본체와 지지 유닛의 결합 관계 중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각 장치의 주요부인 냉각 본체와 커버 주변의 결합 관계 및 배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각 장치의 주요부인 냉각 본체와 지지 유닛의 결합 관계 및 배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6은 도 5의 B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각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본체(110)를 덮는 커버(120)에 냉각 본체(200) 및 지지 유닛(300)이 설치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 상에서 미설명 부호로 100은 박스 본체(110)와 커버(120)를 합친 전체 구성인 아이스박스를, 201은 냉매액(여기서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각각 나타낸다.
박스 본체(110)는 상면이 개방되고,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피냉각물(이하 미도시)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커버(120)가 덮이는 공간 또한 제공하는 것이다.
커버(120)는 박스 본체(110)의 상면에 탈착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하며, 박스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에 대향되게 함몰된 내입홈부(121)가 형성되고, 단열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냉각 본체(200)와 지지 유닛(300)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냉각 본체(200)는 내부에 주입되는 냉매액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기화를 촉진시키는 충진물(250)이 수용되고, 내입홈부(121)에 배치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냉각 효과를 구현하여 박스 본체(11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지지 유닛(300)은 냉각 본체(200)의 외면과 내입홈부(121)를 상호 연결하면서 냉각 본체(200)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냉각 본체(200)가 내입홈부(12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지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 본체(200)가 커버(120)에 도 2 및 도 3과 같이 냉각 본체(200)의 중심부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지지 와이어(31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지 유닛(300)은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일단부는 사각 블럭 형상인 냉각 본체(200)의 네 가장자리 각각의 중간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네 가장자리 각각과 대면하는 내입홈부(121)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와이어(310)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 유닛(300)은 도 3과 같이 일단부는 사각 블럭 형상인 냉각 본체(200)의 네 가장자리가 각각 만나는 네 모서리부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네 모서리부 각각과 대면하는 내입홈부(121)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와이어(310)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도 가능하다.
한편, 휴대용 냉각 장치는 냉각 본체(200)의 지속적인 냉각 효과 구현을 위하여 도 4와 같이 출입관(210)과 체크 밸브(220) 등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관(210)은 냉각 본체(200)로부터 내입홈부(121)를 통해 커버(120)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체크 밸브(220)는 출입관(210) 상에 장착되고 냉각 본체(200)와 내입홈부(121)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출입관(210)의 단부는 진공 감압 펌프(290)와 연결되어 진공 감압 펌프(290)의 가동에 따른 기화로 냉각 효과가 촉진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충진물(250)은 졸, 겔 또는 입자 형태인 것으로, 냉각 본체(200)에 내장되고, 주입구(201)를 통해 주입되는 물과의 접촉면적, 즉 전열면적을 증가시켜 기화가 촉진되게 하는 것으로, 증발잠열이 발생되도록 유입되는 물의 초기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여기서, 물을 포함한 냉매액은 온도 강하의 능력이 우수한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것을 채택하되, 주위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물을 사용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각 본체(200)에 물을 주입하면 충진물(25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물이 흡수된 상태에서 진공 감압 펌프(290)를 가동시켜 냉각 본체(200)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면, 물이 증발되면서 냉각 본체(200) 내부의 주위 열을 빼앗아가게 되므로, 냉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지 유닛(300)은 복수의 냉각 본체(200)들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이 받침용 메쉬(320)와 고정용 메쉬(33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받침용 메쉬(320)는 커버(120)의 내입홈부(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그물망 형상의 것이며, 고정용 메쉬(330)는 받침용 메쉬(320) 상에 복수로 배치되는 냉각 본체(200)의 상측을 덮으며, 내입홈부(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그물망 형상의 것이다.
따라서, 냉각 본체(200)는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도 6 참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냉각 본체(200) 각각의 지속적인 냉각 효과 구현을 위하여 개별 출입관(211)과 분배 허브(215)와 메인 출입관(212)과 체크 밸브(220)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즉, 개별 출입관(211)은 냉각 본체(200) 각각으로부터 연결되는 것으로, 진공 감압을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분배 허브(215)는 개별 출입관(211)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분배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메인 출입관(212)은 분배 허브(215)로부터 분배 공간과 연통되며 내입홈부(121)를 통해 커버(120)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진공 감압을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체크 밸브(220)는 메인 출입관(212) 상에 장착되고 분배 허브와 내입홈부(121)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메인 출입관(212)의 단부는 진공 감압 펌프(290)와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은 진공 감압 펌프(290)의 배관이 어느 방향에서도 커버(200)의 메인 출입관(212)과 원활하게 탈착 결합되고 진공 감압에 따른 기화로써 냉각 효과를 구현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커플링 본체(230)와 조인트부(24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 본체(230)는 메인 출입관(212)의 단부에 장착되어 커버(120)의 외측에 배치되고, 진공 감압 펌프(290)의 배관과 탈착 결합되는 것이다.
조인트부(240)는 메인 출입관(212)의 단부에 장착되고 커플링 본체(230)를 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조인트부(240)는 볼조인트나 힌지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인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피냉각물을 냉각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아이스박스
110...박스 본체
120...커버
121...내입홈부
200...냉각 본체
201...주입구
210...출입관
211...개별 출입관
212...메인 출입관
220...체크밸브
230...커플링 본체
240...조인트부
300...지지 유닛
310...지지 와이어
320...받침용 메쉬
330...지지용 메쉬

Claims (9)

  1. 상면이 개방되고, 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의 상면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대향되게 함몰된 내입홈부가 형성되고, 단열재로 이루어진 커버;
    내부에 주입되는 냉매액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기화를 촉진시키는 충진물이 수용되고, 상기 내입홈부에 배치되는 냉각 본체;
    상기 냉각 본체의 외면과 상기 내입홈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냉각 본체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유닛;
    상기 냉각 본체로부터 상기 내입홈부를 통해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출입관; 및
    상기 출입관 상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본체와 상기 내입홈부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일단부는 상기 냉각 본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냉각 본체의 가장자리와 대면하는 상기 내입홈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냉각 본체의 중심부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일단부는 사각 블럭 형상인 상기 냉각 본체의 네 가장자리 각각의 중간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네 가장자리 각각과 대면하는 상기 내입홈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일단부는 사각 블럭 형상인 상기 냉각 본체의 네 가장자리가 각각 만나는 네 모서리부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네 모서리부 각각과 대면하는 상기 내입홈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의 단부는 진공 감압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커버의 상기 내입홈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그물망 형상의 받침용 메쉬와,
    상기 받침용 메쉬 상에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냉각 본체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내입홈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 그물망 형상의 고정용 메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각 본체는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냉각 장치는,
    상기 냉각 본체 각각으로부터 연결되는 개별 출입관과,
    상기 개별 출입관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분배 공간을 형성하는 분배 허브와,
    상기 분배 허브로부터 상기 분배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입홈부를 통해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메인 출입관과,
    상기 메인 출입관 상에 장착되고 상기 분배 허브와 상기 내입홈부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출입관의 단부는 진공 감압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냉각 장치는,
    상기 메인 출입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진공 감압 펌프의 배관과 탈착 결합되는 커플링 본체와,
    상기 메인 출입관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커플링 본체를 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인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냉각 장치.
KR2020130005336U 2013-07-01 2013-07-01 휴대용 냉각 장치 KR200472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36U KR200472199Y1 (ko) 2013-07-01 2013-07-01 휴대용 냉각 장치
PCT/KR2014/002589 WO2015002376A1 (ko) 2013-07-01 2014-03-27 휴대용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36U KR200472199Y1 (ko) 2013-07-01 2013-07-01 휴대용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199Y1 true KR200472199Y1 (ko) 2014-04-10

Family

ID=5148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336U KR200472199Y1 (ko) 2013-07-01 2013-07-01 휴대용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2199Y1 (ko)
WO (1) WO20150023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229A1 (ko) * 2022-04-11 2023-10-19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재활용 가능 냉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673U (ja) * 1991-08-12 1993-03-02 明美 福島 保冷タツパー
KR970002604U (ko) * 1995-06-02 1997-01-24 수산물용 아이스박스
JP2002211572A (ja) * 2001-01-23 2002-07-31 Masakazu Nasu ボトル支持容器とボトル支持付き保冷容器
KR200425395Y1 (ko) * 2006-06-20 2006-09-11 종세무역 주식회사 염장생선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673U (ja) * 1991-08-12 1993-03-02 明美 福島 保冷タツパー
KR970002604U (ko) * 1995-06-02 1997-01-24 수산물용 아이스박스
JP2002211572A (ja) * 2001-01-23 2002-07-31 Masakazu Nasu ボトル支持容器とボトル支持付き保冷容器
KR200425395Y1 (ko) * 2006-06-20 2006-09-11 종세무역 주식회사 염장생선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229A1 (ko) * 2022-04-11 2023-10-19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재활용 가능 냉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2376A1 (ko)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39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temperature within a cooler
JP5822798B2 (ja) 断熱箱体及びこの断熱箱体を備えた冷蔵庫
US5361605A (en) Beverage keg insulated cooling jacket
TW201641904A (zh) 冷卻裝置
KR200472199Y1 (ko) 휴대용 냉각 장치
KR101336913B1 (ko) 택배용 상자
CN205150686U (zh) 一种户外旅游用冷藏箱
US20180080706A1 (en) Heat Transfer Device
KR101720107B1 (ko) 냉마사지 기구 냉각장치
US11111068B1 (en) Multiple purpose container assembly
JP6699747B2 (ja) 冷却装置
CN207894114U (zh) 保藏运输箱
JP2014043987A (ja) 冷蔵庫
CN208704237U (zh) 一种自循环的节能冷藏保鲜箱
CN207635648U (zh) 一种基于tec制冷片的制冷装置
CN204587684U (zh) 一种乳牙采集试剂放置保温盒
CN206494336U (zh) 一种用于疫苗、血清等生物制品运输的冷链运输箱
WO2019117221A1 (ja) 車体水冷装置
CN205957571U (zh) 一种低温贮运容器
JP2020083340A (ja) 保冷容器
US20090077998A1 (en) Refillable cooling container
KR101588245B1 (ko) 냉난방 겸용 매트 세트
CN202953318U (zh) 便携式药物保鲜盒
CN218583510U (zh) 一种冷藏箱
CN207607854U (zh) 一种水果低温运输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