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61Y1 - 화목 난로 - Google Patents

화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61Y1
KR200471961Y1 KR2020130010058U KR20130010058U KR200471961Y1 KR 200471961 Y1 KR200471961 Y1 KR 200471961Y1 KR 2020130010058 U KR2020130010058 U KR 2020130010058U KR 20130010058 U KR20130010058 U KR 20130010058U KR 200471961 Y1 KR200471961 Y1 KR 200471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grill
firewood
water tank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이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재 filed Critical 이용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1Free-standing fireplaces, e.g. for mobile homes ; Fireplaces convertible into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4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rotating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실 내에서 화목이 연소되고 남은 재를 재활용함으로써, 난로에서 발생되는 재를 최소화하고,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는, 화목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덮개가 구비된 연소실; 상기 연소실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는 송풍기; 상기 연소실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통관; 상기 연소실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 고정되고, 화목을 지지하는 그릴; 상기 연소실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그릴에서 타고 남은 화목 재를 침수시켜 보관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서 분리된 화목 재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재모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모음부에서 물이 흐르지 않을 정도로 수분이 제거된 화목 재를 연소실의 화력이 높을 때 상기 화목 투입구로 투입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목 난로{A Firewood Stove}
본 고안은 화목을 연소하여 난방을 할 수 있는 화목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실 내에서 화목이 연소되고 남은 재를 재활용함으로써, 난로에서 발생되는 재를 최소화하고,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煖爐)는 장작이나 석탄, 석유, 가스 따위의 연료를 때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덥게 하는 장치로서, 겨울철 같이 외부의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실내공간을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난로는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최근 유가상승 및 그에 따른 전기료의 인상에 따라 석유 및 전기에너지를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대신에 다소 불편하더라도 연료비가 절감되는 재래식의 난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재래식 난로 중에 특히, 농가나 전원주택에 사용되는 화목 난로는 화목을 태워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전원주택의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재료를 이용하는 벽난로와 함께 화목 난로의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목 난로는 연소 완료 후 남아있는 재, 숯 또는 미세분진 등의 폐기물을 따로 수거하는 과정에서 바람에 날리거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바닥에 흘리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소실에서 연소 되고 남은 재 또는 숯 등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연소중인 난로에 재투입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연소실에서 연소 되고 남은 미세 분진 등이 여과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 시 주변 공기가 오염되어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연소실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 또는 숯 등을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목 난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재 또는 숯 등을 반복 재활용함으로써, 연소되고 남은 재 또는 숯 등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기체화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화목 난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는, 화목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덮개가 구비된 연소실; 상기 연소실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는 송풍기; 상기 연소실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통관; 상기 연소실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 고정되고, 화목을 지지하는 그릴; 상기 연소실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그릴에서 타고 남은 화목 재를 침수시켜 보관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서 분리된 화목 재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재모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모음부에서 물이 흐르지 않을 정도로 수분이 제거된 화목 재를 연소실의 화력이 높을 때 상기 화목 투입구로 투입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연소실 내부에 설치된 그릴의 상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제1 송풍관; 및 상기 그릴의 하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제2 송풍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관은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에서 생성되는 공기가 주입 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관을 포함한다.
상기 그릴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출부들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들 사이로 화목 재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관, 제2 송풍관 및 공기 배출관에 각각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의 화력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는 상기 그릴에서 타고 남은 화목 재가 상기 물탱크로 떨어지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그릴에서 타고 남은 화목 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릴은 상기 연소실 내부에 축 고정되어 축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그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축 고정되는 고정 축; 상기 그릴 타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그릴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및 상기 그릴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실은, 상기 그릴이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그릴이 개구부로 통해 이탈 시 상기 그릴에 쌓여있는 화목 재가 물탱크로 침수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는, 연소실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 또는 숯 등을 재활용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는, 재 또는 숯 등을 깨끗한 환경에서 반복 재활용하여 연소되고 남은 재 또는 숯 등이 최소화 또는 기체화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에서 물탱크(600)에 컨베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그릴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그릴이 개구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개구부에서 그릴이 이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10)는 장작 나무 등을 태워 난방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연소실(100), 송풍기(200), 연통관(300), 그릴(400), 받침대(500), 물탱크(600) 및 재모음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실(100)은 장작 등을 연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소실(10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상부는 장작 등을 투입시키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 되는 열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를 덮개(110)로 덮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200)는 상기 연소실(100)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100)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200)는 제1 송풍관(210) 및 제2 송풍관(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송풍관(210)은 상기 연소실(100) 내부에 설치된 그릴(400)의 상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화목이 용이하게 연소할 수 있도록 연소실(10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공기를 주입하고, 그릴(400) 상에 연소하고 남은 화목 재들을 물탱크(60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송풍관(220)은 상기 그릴(400)의 하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물탱크(600)에의 수증기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송풍관(210) 및 상기 제2 송풍관(220)에 밸브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연소실(100)의 화력에 따라 밸브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연소실(100)의 화력이 낮으면 제1 송풍관(210)을 열어 공기를 주입하여 화력을 높이고, 그 화력에 의해 물탱크(220)에 있는 물이 수증기로 변화하여 연소실(100)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2 송풍관(220)의 밸브를 열어 제2 송풍관(220)에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수증기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통관(300)은 상기 연소실(100)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소실(100)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100)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관(300)은 공기 배출관(3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 배출관(310)은 일측은 상기 연통관(300)의 하측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송풍기(200)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200)에서 생성되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즉, 연통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송풍기(200)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연통관(300)으로 주입함으로써, 연소가스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그릴(400)은 화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출부(410)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소실(100)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410)들 사이로 화목 재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500)는 사각 형상의 중앙 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600) 내부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연소실(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600)는 상기 그릴(400)에서 타고 남은 화목 재를 침수시켜 보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600)는 내부에 일정한 양의 물이 수용되고, 물탱크(600)로 떨어지는 화목 재가 침수되면서 한 곳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경사판(6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모음부(700)는 침수에 의해 젖은 화목 재의 흐르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600)에 침수된 화목 재는 경사판(610)에 의해 한 곳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데, 사용자는 이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보관된 화목 재를 삽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재모음부(700)으로 직접 이동시켜 보관하고, 상기 재모음부(700)에 보관된 화목 재는 중력에 의한 자연 낙하로 물기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재모음부(700)는 상기 물탱크(600)의 상부 또는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방법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재모음부(700)는 물에 젖은 화목 재의 흐르는 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바닥판(710)에 다수개의 통공(7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재모음부(700)에서 수분이 제거된 화목 재를 다시 연소실(100)의 화력이 높을 때 투입시켜 재활용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화목 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연료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에서 상기 물탱크(600)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에서 물탱크(600)에 컨베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600)는 경사판(610)에 의해 안내되는 화목 재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62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그릴(400)에서 떨어지는 화목 재가 물탱크(600)로 침수되면서 경사판(610)에 의해 안내되어 컨베이어(62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베이어(620)를 작동하게 되면 컨베이어(620)에 의해 화목 재들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재모음부(700)에 쌓이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그릴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10)는 그릴(400) 상에 연소되고 남은 화목 재는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회전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420)는 상기 그릴(400)을 용이하게 회전 또는 회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420)는 상기 그릴(400)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100) 내부에 축 고정되는 고정 축(421), 상기 그릴(400) 타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그릴(40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423), 상기 그릴(400)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 방지부(425)를 포함한다.
즉, 그릴(400) 상에서 연소되고 남은 화목 재를 물탱크(600)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423)를 일측 방향으로 당기면, 회전 방지부(425)가 연소실(100) 외주면에 형성된 홈(140)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 그릴(400)은 고정 축(4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그릴(400) 상에 쌓인 화목 재가 하측 방향으로 떨어져 물탱크(600)에 침수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실(100)에서 연소가 끝난 상태에서 그릴(400) 상에 쌓여있는 화목 재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그릴이 개구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개구부에서 그릴이 이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10)는 연소실(100)에서 그릴(400)이 탈착 가능하도록 연소실(100) 외주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30) 하부에 상기 그릴(400)을 지지하기 위하여 환테 형상의 그릴 받침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그릴(400) 상에서 연소되고 남은 화목 재를 물탱크(600)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423)를 일측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그릴(400)은 상기 개구부(130)를 통해 외부로 이탈된다. 이때, 상기 그릴(400)이 개구부(130)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그릴(400) 상에 쌓여있는 화목 재가 상기 연소실(100)의 내벽에 막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하측 방향으로 떨어져 물탱크(600)에 침수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실(100)에서 연소가 끝난 상태에서 그릴(400) 상에 쌓여있는 화목 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미세한 먼지 등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화목 난로 100; 연소실
110; 덮개 130; 개구부
131; 그릴 받침부 140; 홈
200; 송풍기 210; 제1 송풍관
220; 제2 송풍관 300; 연통관
310; 공기 배출관 400; 그릴
410; 돌출부 420; 회전부
421; 고정 축 423; 손잡이
425; 회전 방지부 500; 받침대
600; 물탱크 610; 경사판
620; 컨베이어 700; 재모음부
710; 바닥판 720; 통공

Claims (9)

  1. 화목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덮개와 그릴이 구비된 연소실;
    상기 연소실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는 송풍기;
    상기 연소실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통관;
    상기 연소실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 고정되고, 화목을 지지하는 그릴;
    상기 연소실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그릴에서 타고 남은 화목 재를 침수시켜 보관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 침수되어 보관된 화목 재를 사용자가 직접 삽으로 이동시켜 보관하고, 상기 물탱크에서 분리된 화목 재의 흐르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재모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모음부에서 흐르는 물기가 제거된 화목 재를 상기 화목 투입구로 투입하여 재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연소실 내부에 설치된 그릴의 상부 중간 위치에 공기가 연소실 안에서 회전하며 주입되게 하는 제1 송풍관; 및
    상기 그릴의 하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제2 송풍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은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에서 생성되는 공기가 주입 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출부들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들 사이로 화목 재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관, 제2 송풍관 및 공기 배출관에 각각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의 화력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하부에 물탱크가 일체로 구비되어 연소실에서 생성된 화목 재가 물탱크에 저장된 물로 낙하하여 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그릴에서 타고 남은 화목 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상기 연소실 내부에 축 고정되어 축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그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 내부에 축 고정되는 고정 축;
    상기 그릴 타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그릴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및
    상기 그릴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은,
    상기 그릴이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그릴이 개구부로 통해 이탈 시 상기 그릴에 쌓여있는 화목 재가 물탱크로 침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KR2020130010058U 2013-10-15 2013-12-05 화목 난로 KR2004719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52 2013-10-15
KR20130008452 2013-10-15
KR2020130008841 2013-10-29
KR20130008841 2013-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961Y1 true KR200471961Y1 (ko) 2014-03-27

Family

ID=5148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058U KR200471961Y1 (ko) 2013-10-15 2013-12-05 화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6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619A (ja) * 1991-01-31 1993-09-24 Tsutomu Matsuzaki 燃焼物の無煙燃焼装置および無煙燃焼方法
KR100759005B1 (ko) * 2006-07-14 2007-09-14 박광현 자동 석탄 보일러
KR20100012518U (ko) * 2009-06-09 2010-12-17 이승규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619A (ja) * 1991-01-31 1993-09-24 Tsutomu Matsuzaki 燃焼物の無煙燃焼装置および無煙燃焼方法
KR100759005B1 (ko) * 2006-07-14 2007-09-14 박광현 자동 석탄 보일러
KR20100012518U (ko) * 2009-06-09 2010-12-17 이승규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402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190037854A (ko) 펠릿 난로
KR101077600B1 (ko) 보일러
JP3168444U (ja) 薪ストーブ
KR20100012518U (ko) 펠렛난로의 집진장치
KR101371235B1 (ko)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펠릿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200471961Y1 (ko) 화목 난로
US20220330750A1 (en) Fuel grate for a grill
KR101258023B1 (ko) 펠렛연료용 무동력 난로
KR101630593B1 (ko) 산소공급 조절장치가 구비된 난로
KR101771983B1 (ko) 고기구이 불판을 갖는 화목 난로
KR101750331B1 (ko)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CN209610900U (zh) 节能油桶炉
EP3209942A1 (en) Multi-purpose furnace system
KR101039119B1 (ko) 우드펠렛 연소장치
KR101146004B1 (ko) 친환경 우드 펠렛 난로
KR101579086B1 (ko) 무동력 펠릿난로
KR200465917Y1 (ko) 하부배출식 연탄용 화덕.
KR100740585B1 (ko) 갈탄보일러
KR20110000023A (ko) 각종연료가 사용되는 겸용보일러
CN103307637B (zh) 一种炊暖炉具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KR101289695B1 (ko) 연탄 화목 겸용 보일러
WO2011018819A1 (ja) 薪ストーブ
CN104913297A (zh) 生物质炉提升增效中炉下降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