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58Y1 - 적층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758Y1
KR200471758Y1 KR2020120009228U KR20120009228U KR200471758Y1 KR 200471758 Y1 KR200471758 Y1 KR 200471758Y1 KR 2020120009228 U KR2020120009228 U KR 2020120009228U KR 20120009228 U KR20120009228 U KR 20120009228U KR 200471758 Y1 KR200471758 Y1 KR 200471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ackaging container
article
handl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준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준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준컴퍼니
Priority to KR2020120009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장 용기(10)는 물품의 수평 단면보다 넓은 바닥부(11), 서로 접합되면 물품의 적재 공간이 되는 오목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바닥부(11)의 서로 마주하는 두 가장자리(113)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판부(12, 13) 및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제1 측판부(12) 및 제2 측판부(13)의 접합 부위에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끼움결합 돌출부(14)와 끼움결합 홈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 용기{EASILY STACKABLE AND TRANSPORTABLE PACKING CONTAINER}
본 고안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적층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물건을 포장 및 운반하기 위한 포장 용기는 적층 보관이나 진열이 가능하도록 대체적으로 육면체 박스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종이는 복잡하게 가공하기는 어렵지만 저렴하고 튼튼하며 설계에 따라서는 운반도 가능하기 때문에 포장 용기의 재질로 흔히 선택된다.
골판지로 박스 형태의 포장 용기를 만들 경우에, 물건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 포장 용기를 개별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주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네 측면판 상부 각각에서 두 개의 덮개판과 두 개의 지지판을 연장 형성하고,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짧은 지지판에 형성된 세로 슬롯에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긴 덮개판들의 측부 돌출편들을 각각 끼워 지지시키고, 덮개판에 형성한 손잡이 구멍에 손을 넣으면, 포장 용기를 손에 들고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주지된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종이 재질의 박스형 포장 용기는 여러 부위에서 절곡, 타공, 접착 등의 공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이 재질 박스형 포장 용기는 내부에 육면체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해당 물건의 치수에 맞춰 제작하더라도, 물건이 파손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완충재를 넣거나 완충 공간을 마련하여야 한다. 특히 유리나 세라믹 재질의 물건이라면 안전을 위해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추가적인 완충재 작업이 필요할 수 있고, 이는 추가적인 제조 비용의 상승 요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비교적 저렴하고 가벼운 소재인 종이로 포장 용기를 만듦에도 제조 비용이나 무게 면에서 유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볍지만 견고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 저렴하며, 포장의 조립과 해체, 적층과 운반이 모두 용이한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포장 용기(10)는
물품의 수평 단면보다 넓은 바닥부(11);
서로 접합되면 상기 물품의 적재 공간이 되는 오목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바닥부(11)의 서로 마주하는 두 가장자리(113)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판부(12, 13); 및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제1 측판부(12) 및 제2 측판부(13)의 접합 부위에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끼움결합 돌출부(14)와 끼움결합 홈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12, 13)의 내부 공간의 상부를 정의하는 상부면(125, 135)에서 상기 측판부(12, 13)이 접하는 부위에서 각각 연장되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제1 손잡이 아치(16) 및 제2 손잡이 아치(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의 내주의 형상은 상기 상부면(125, 135)의 둘레의 형상과 일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를 수평으로 눕히면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가 상기 상부면(125, 135)의 둘레에 기계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판부(12, 13)는 그 내부 공간의 표면이 상기 물품의 외곽이 이루는 공간과 일치(conformal)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판부(12, 13)는 서로 접하는 부위에 일정한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접합면(123, 1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끼움결합 돌출부(14), 끼움결합 홈부(15)는 상기 접합면(123, 133) 상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123, 133)의 외곽과 상기 바닥면(11)에 맞닿으면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보강면들(124, 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는 안쪽으로 기울어진 두 개의 경사 바닥면(111)을 맞대어 형성되며, 상기 경사 바닥면(111)의 측면(112)이 수직으로 보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는 펄프 또는 수지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포장 용기에 따르면, 펄프 재질 또는 수지로 만들어 가볍지만 견고하고, 한 차례의 압축 몰딩을 통해 제조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 저렴하다.
본 고안의 포장 용기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요부와 철부를 합체하거나 분리하는 끼움 결합식으로 견고하게 조립 또는 개봉될 수 있어 포장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다.
본 고안의 포장 용기에 따르면, 상부 접합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아치가 있어서 운반이 용이하다.
본 고안의 포장 용기에 따르면, 손잡이 아치를 눕혀 포장체의 다소 돌출된 상부면 둘레에 끼우면 상부면이 평평해지고, 포장 용기의 상부면의 넓이 및 형상이 그 위에 놓일 포장 용기의 하부면의 넓이 및 형상과 동일하므로 포장 용기들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에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해 포장 용기를 열어 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에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해 열어놓은 포장 용기에 물품을 적재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를 포장한 후에 운반하기 위해 포장 용기를 닫고 손잡이를 세운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를 포장한 후에 적층을 위해 손잡이를 눕힌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들을 적층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에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해 포장 용기를 열어 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장 용기(10)는 바닥부(11), 제1 측판부(12), 제2 측판부(13), 끼움결합 돌출부(14), 끼움결합 홈부(15), 제1 손잡이 아치(16) 및 제2 손잡이 아치(17)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의 가장자리들이 이루는 바닥면은 포장 용기(10)가 물품(20)을 적재하였을 때에 균형을 유지하고 또한 포장 용기들(10)이 균일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평평하면서 물품(20)의 최대 수평 단면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부(11)는 기계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서로 대칭인 두 개의 경사 바닥면(111)이 서로 접하고 경사 바닥면(111)의 측면(112)은 수직으로 보강(reinforce)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가장자리(113)에서 각각 제1 측판부(12)와 제2 측판부(13)가 연장되며, 바닥부(11)의 두 가장자리(113)에 각각 접철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측판부(12)와 제2 측판부(13)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제1 측판부(12)와 제2 측판부(13)는 물품(20)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내부 적재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측판부(13)의 내부면(131)은 포장될 물품(20)의 외곽면과 실질적으로 일치(conformal)하도록 성형될 수 있고, 이는 제1 측판부(13)의 내부면(도시되지 못함)도 마찬가지이다.
제1 측판부(12)의 외부면(122)은 바람직하게는 물품(20)의 외곽면의 형상이 반영되어 성형될 수 있고, 제2 측판부(13)의 외부면(도시되지 못함)도 마찬가지이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다만 원활한 적층을 위해, 제1 측판부(12)와 제2 측판부(13)가 결합하였을 때에 외부면(122)이 이루는 단면이 바닥부(11)의 바닥면에 의해 정의되는 수직 공간의 단면보다 넓을 수는 없다.
특히, 도 1의 예시와 같이 물품(20)이 수직으로 대칭되는 형상인 경우에는 제1 측판부(12)와 제2 측판부(13)는 각각의 내부 적재 공간이 물품(20)이 3차원 형상을 절반으로 나눈 형상과 일치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측판부(12)와 제2 측판부(13)는 물품(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접합면들(123, 133)을 가질 수 있다.
접합면들(123, 133)의 서로 마주 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결합 돌출부(14)와 끼움결합 홈부(1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끼움결합 돌출부(14)와 끼움결합 홈부(15)의 쌍은 수직으로 보았을 때에 접합면들(123, 133)의 서로 대칭되는 위치들에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접합면들(123, 133)의 외곽과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의해 정의되는 면에서는 수직 보강면들(124, 134)이 각각 형성되어 측판부들(12, 13)의 뒤틀림이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측판부(12)와 제2 측판부(13)의 각각의 상부면(125, 135)은 물품(20)의 상부의 외곽을 모두 수용하면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감되며, 상부면(125, 135)이 서로 접하는 부위에서 제1 손잡이 아치(16)와 제2 손잡이 아치(17)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손잡이 아치(16)와 제2 손잡이 아치(17)가 상부면(125, 135)에서 연장되는 부위에는 각각 접철선(126, 136))이 인가되어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가 서로 마주하거나 또는 수평을 이루도록 접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손잡이 아치(16)와 제2 손잡이 아치(17)는 손가락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아치 형태를 이룬다.
이때,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의 아치 형태의 안쪽 부위는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가 수평으로 접혀졌을 때에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측판부(12, 13)의 상부면(125, 135)의 둘레에 기계적으로 끼워 맞춰져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응하는 외관을 가진다.
이 경우에, 눕혀진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는, 제1 및 제2 측판부(12, 13)의 상부면(125, 135)과 더불어, 그 포장 용기(10)의 위에 적층된 다른 포장 용기(10)의 바닥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안정적인 면적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부의 외곽이 원형인 물품(20)이 예시되어, 상부면(125, 135)은 반원 형태이고,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의 안쪽 부위는 상부면(125, 135)의 반원 형태에 상응하는 반원 형태를 가지도록 마감될 수 있다.
포장 용기(10)는 적당량의 수지나 펄프를 한 차례 압축하여 성형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저렴하다. 만약 측판부(12, 13)를 물품의 외곽과 일치(conformal)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경우에는 별도의 완충재나 완충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물품의 외곽보다 더 넓은 바닥면을 가지고, 물품의 외곽 주변을 따라 끼움결합으로 측판부들(12, 13)이 결합하므로 물품을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나아가, 적층할 때에는 접혀서 상부면(125, 135)의 연장을 이루는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를 상부면(125, 135)에서 탈락시켜 세우면 손잡이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운반이 간편하다.
포장 용기(10)는 펄프 또는 수지를 몰드에 넣고 압축하는 공정만으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사용 후에는 재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에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해 열어 놓은 포장 용기에 물품을 적재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장 용기(10)는 제1 측판부(12)는 앞으로 열린 상태이고, 제2 측판부(13)는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에 물품(20)이 적재되어 있다. 제2 측판부(13)의 적재 공간의 내부면은 물품(20)의 외곽과 일치하므로 빈틈이 없이 적재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어서, 제1 측판부(12)를 세우면 서로 마주하는 위치의 끼움결합 돌출부(14)와 끼움결합 홈부(15)들을 서로 결합될 위치까지 근접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를 포장한 후에 운반하기 위해 포장 용기를 닫고 손잡이를 세운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마주하는 위치의 끼움결합 돌출부(가려짐)와 끼움결합 홈부(15)을 끼움결합한 상태로서, 제1 측판부(12)와 제2 측판부(가려짐)가 서로 강하게 밀착하게 된다.
바닥부(11)는 제1 측판부(12)의 하부면을 지탱하고 수직 보강면들(124, 134)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매우 견고하게 물품을 포장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보강면들(124, 134)은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바닥부(11)에서 올라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이나, 이러한 특징에 구애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직 보강면들(124, 134)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 단면의 면적이 바닥부(11)의 바닥 면적과 거의 같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는 수직 보강면(124, 134)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를 잡고 쉽게 운반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를 포장한 후에 적층을 위해 손잡이를 눕힌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손잡이 아치(16)와 제2 손잡이 아치(17)는 각각 접철선(126)을 따라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다.
눕혀진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는 제1 및 제2 측판부(12, 13)의 상부면들(125, 135)의 둘레에 각각 기계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들을 적층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가 눕혀진 상태인 포장 용기들(10)이 차례차례 적층된다. 포장 용기들(10)은 바닥부 면적과 상부면 면적이 거의 일치하고 평평하므로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포장 용기 11 바닥부
12 제1 측판부 13 제2 측판부
14 끼움결합 돌출부 15 끼움결합 홈부
16 제1 손잡이 아치 17 제2 손잡이 아치

Claims (8)

  1. 물품의 수평 단면보다 넓은 바닥부(11);
    서로 접합되면 상기 물품의 적재 공간이 되는 오목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바닥부(11)의 서로 마주하는 두 가장자리(113)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판부(12, 13);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제1 측판부(12) 및 제2 측판부(13)의 접합 부위에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끼움결합 돌출부(14)와 끼움결합 홈부(15); 및
    상기 측판부(12, 13)의 내부 공간의 상부를 정의하는 상부면(125, 135)에서 상기 측판부(12, 13)이 접하는 부위에서 각각 연장되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제1 손잡이 아치(16) 및 제2 손잡이 아치(1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부(12, 13)의 내부면(131)이 포장될 물품의 외곽면과 일치하도록 성형됨으로써, 상기 물품의 적재 공간이 되는 오목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의 내주의 형상은 상기 상부면(125, 135)의 둘레의 형상과 일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를 수평으로 눕히면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 아치(16, 17)가 상기 상부면(125, 135)의 둘레에 기계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판부(12, 13)는 그 내부 공간의 표면이 상기 물품의 외곽이 이루는 공간과 일치(conformal)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판부(12, 13)는 서로 접하는 부위에 일정한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접합면(123, 1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끼움결합 돌출부(14), 끼움결합 홈부(15)는 상기 접합면(123, 133) 상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123, 133)의 외곽과 상기 바닥부(11)에 맞닿으면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보강면들(124, 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는 안쪽으로 기울어진 두 개의 경사 바닥면(111)을 맞대어 형성되며, 상기 경사 바닥면(111)의 측면(112)이 수직으로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펄프 또는 수지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KR2020120009228U 2012-10-12 2012-10-12 적층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 용기 KR200471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228U KR200471758Y1 (ko) 2012-10-12 2012-10-12 적층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228U KR200471758Y1 (ko) 2012-10-12 2012-10-12 적층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758Y1 true KR200471758Y1 (ko) 2014-03-12

Family

ID=5148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228U KR200471758Y1 (ko) 2012-10-12 2012-10-12 적층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5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3752U (ko) * 1986-01-31 1987-08-06
KR200389484Y1 (ko) * 2005-04-27 2005-07-14 (주) 대림칼라 포장박스
KR200453946Y1 (ko) * 2008-05-27 2011-06-09 김판수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3752U (ko) * 1986-01-31 1987-08-06
KR200389484Y1 (ko) * 2005-04-27 2005-07-14 (주) 대림칼라 포장박스
KR200453946Y1 (ko) * 2008-05-27 2011-06-09 김판수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340B1 (ko) 상부적층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박스
CN201132624Y (zh) 一种可拆卸式包装箱
CN104803072A (zh) 托盘
KR101023439B1 (ko) 중량물 운송용 포장조립체 및 그의 포장체
KR101393207B1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KR20180070855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KR20210007772A (ko) 친환경 노테이핑 택배포장박스
KR200471758Y1 (ko) 적층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 용기
CN103434703A (zh) 高强度以纸代木瓦楞包装箱
KR101552707B1 (ko) 엘씨디 필름용 포장상자
KR100976392B1 (ko) 포장 박스 및 그의 제조방법
JP3181222U (ja) 梱包材
JP5514937B1 (ja) 梱包箱
JP2006027706A (ja) 梱包用パレットおよび梱包装置
KR20160001684U (ko) 날개걸이 없는 손잡이 강화형 종이 포장 상자
KR101875780B1 (ko)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JP2015231860A (ja) 梱包材
KR200478815Y1 (ko) 2겹 손잡이 일체형 듀얼 뚜껑 상자
JP6003302B2 (ja) 包装用箱
KR200477161Y1 (ko)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JP2019123535A (ja) 梱包箱と梱包方法
KR102120294B1 (ko) 포장용기
RU128187U1 (ru) Транспортный контейнер (варианты)
KR20120007247U (ko) 포장박스의 보강된 손잡이 구조
KR20170002122U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