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28Y1 -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 - Google Patents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728Y1
KR200471728Y1 KR2020120010594U KR20120010594U KR200471728Y1 KR 200471728 Y1 KR200471728 Y1 KR 200471728Y1 KR 2020120010594 U KR2020120010594 U KR 2020120010594U KR 20120010594 U KR20120010594 U KR 20120010594U KR 200471728 Y1 KR200471728 Y1 KR 200471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vertical portion
water pipe
vertical
s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농지개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농지개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농지개량
Priority to KR2020120010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은, 일측변과, 상기 일측변과 마주보는 타측변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하부가 상기 바닥부 일측변과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측수직부와; 하부가 상기 바닥부 타측변과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타측수직부;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양측 끝단에 일측개구부와 타측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자형의 단면 구조를 이루며, 상기 일측개구부 하부를 둘러싼 상기 바닥부에는 저부로 돌출된 바닥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개구부 측면을 둘러싼 상기 일측개구부와 타측개구부에는 각각 측방으로 돌출된 측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수직부와 타측수직부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의 상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부돌출부는 일측수직부와 타측수직부의 타측개구부 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일측수직부와 타측수직부의 타측개구부측 상단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돌출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돌기부의 두께에 대응되는 측면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홈의 외측으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돌출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저부 높이에 대응되는 바닥홈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수로관의 측면홈에 상기 돌기부 및 일측수직부, 타측수직부의 타측 끝단이 끼워지며, 인접한 수로관의 걸림부에 상기 상부돌출부 끝단이 걸리며, 인접한 수로관의 바닥홈에 상기 바닥부의 타측 끝단이 안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곡선 구간에서 용이하게 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일측개구부에 측면홈과 바닥홈을 형성함으로써 벤치플륨관과 용이하게 접속 설치할 수 있고, 일측개구부의 하측에 하향되게 돌출된 바닥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는 인접한 수로관 단부가 안착되는 바닥홈을 형성하여 연속으로 안착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곡선구간에서 일정 간격으로 바닥돌출부가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사의 침하 발생시 수로관에 하중 부담이 덜 발생할 수 있게 되며, 타측개구부에 상부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시공 과정에서 인접한 수로관끼리 상부돌출부의 연속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경사진 구간에서 경사도의 변화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시공할 수 있고, 양쪽의 측면홈에는 일측개구부를 향해 나사 결합에 의해 전후진하는 측면가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미세한 곡률을 조절할 수 있고, 바닥홈에는 나사 결합에 의해 바닥면 저부로 돌출되어 상하강하는 경사조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경사진 지형에서의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CONNECTING BLOCK FOR WATERWAY ON THE CURVED SECTION}
본 고안은 수로의 곡선 구간을 연결하는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벤치플륨관과 용이하게 접속 시공하고, 투사의 침하에 따른 하중 부담이 덜 발생하게 하는 한편, 경사도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정밀 시공이 가능케 한,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산업구조 전반의 기술수준향상 및 규모확대에 따른 각종산업의 표준화와 질적 수준의 고도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감에 따라 토목시공분야에서도 각종 소형 구조물들을 규격화 내지는 표준화하여 대량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또한, 효율적인 국토관리라는 측면에서도 시공상의 품질관리와 경제성등이 요구되고 있음에 따라 소규모 구조물의 규격 제품화는 필수적 선결 요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농촌 근대화 및 식량증산에 선결과 제인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과 함게 각종 레저시설의 확충에 따른 소규모 수로 구조물의 규격도 다량해져 현장 타설 콘크리트 구조물 만으로는 급증하는 수요에 대처하기 힘들뿐더러 만족한 품질의 수로구조물 설치도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는 대부분의 직선수로부용 구조물 등이 각종의 규격으로 P.C 제품화 되어 직선수로 구조물의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시공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나 곡선부용 수로구조물은 현장 여건 및 지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함으로 인해 P.C제품화되고 있지 못하며, 이로 인해 각종 용배수관로 시공에 있어서 곡선부수로의 시공은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같이 특히 산악지형이 많은 경우에는 현장 타설에 따르는 많은 문제점들을 노출시켜 왔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수로관"(한국 등록디자인 공보 제30-0425090호, 특허문헌 1)에는 도 1과 같은 수로관(1)을 이용하여 곡선 구간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기술은 인접한 수로관끼리 연결시 양측 측벽면에 형성된 홈과 돌기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시공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바닥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즉, 수로관의 바닥면이 서로 일직선상이 되도록 하는 구성요소가 없는 바, 경사진 구간이나 구간 별 지반 다짐 상태의 차이 등에 따라 일부 수로관이 침하되는 등 바닥면이 서로 일치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만한 기술로, "수로의 곡선부 접속관"(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88-0014201호, 특허문헌 2)에는 단턱 형상의 접속부를 구비함으로써 인접한 수로관을 안착시키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의 기술은 접속관 또는 접속관과 연결되는 수로관의 저부에 시공시 토사의 채움이 부실할 경우 발생하는 침하를 방지할 수 없어, 접속관과 연결된 수로관에 하중 부담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속관이나 수로관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KR 30-0425090호 (2006.09.07) KR 10-1988-0014201 (1988.12.23)
본 고안의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곡선 구간에서 용이하게 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일측개구부에 측면홈과 바닥홈을 형성함으로써 벤치플륨관과 용이하게 접속 설치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일측개구부의 하측에 하향되게 돌출된 바닥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는 인접한 수로관 단부가 안착되는 바닥홈을 형성하여 연속으로 안착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곡선구간에서 일정 간격으로 바닥돌출부가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사의 침하 발생시 수로관에 하중 부담이 덜 발생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타측개구부에 상부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시공 과정에서 인접한 수로관끼리 상부돌출부의 연속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경사진 구간에서 경사도의 변화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양쪽의 측면홈에는 일측개구부를 향해 나사 결합에 의해 전후진하는 측면가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미세한 곡률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밀한 시공을 가능케 하려는 것이다.
또한, 바닥홈에는 나사 결합에 의해 바닥면 저부로 돌출되어 상하강하는 경사조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경사진 지형에서의 정밀한 시공을 가능케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변과, 상기 일측변과 마주보는 타측변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하부가 상기 바닥부 일측변과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측수직부와; 하부가 상기 바닥부 타측변과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타측수직부;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양측 끝단에 일측개구부와 타측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자형의 단면 구조를 이루며, 상기 일측개구부 하부를 둘러싼 상기 바닥부에는 저부로 돌출된 바닥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개구부 측면을 둘러싼 상기 일측개구부와 타측개구부에는 각각 측방으로 돌출된 측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수직부와 타측수직부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의 상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부돌출부는 일측수직부와 타측수직부의 타측개구부 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일측수직부와 타측수직부의 타측개구부측 상단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돌출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돌기부의 두께에 대응되는 측면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홈의 외측으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돌출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저부 높이에 대응되는 바닥홈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수로관의 측면홈에 상기 돌기부 및 일측수직부, 타측수직부의 타측 끝단이 끼워지며, 인접한 수로관의 걸림부에 상기 상부돌출부 끝단이 걸리며, 인접한 수로관의 바닥홈에 상기 바닥부의 타측 끝단이 안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면돌출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측면홈까지 연통되도록 삽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측면조절관체가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면조절관체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단부가 상기 일측개구부 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된 측면가압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바닥돌출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바닥홈까지 연통되도록 삽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하부조절관체가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조절관체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단부가 상기 바닥돌출부의 저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된 경사조절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곡선 구간에서 용이하게 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일측개구부에 측면홈과 바닥홈을 형성함으로써 벤치플륨관과 용이하게 접속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일측개구부의 하측에 하향되게 돌출된 바닥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는 인접한 수로관 단부가 안착되는 바닥홈을 형성하여 연속으로 안착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곡선구간에서 일정 간격으로 바닥돌출부가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사의 침하 발생시 수로관에 하중 부담이 덜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 타측개구부에 상부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시공 과정에서 인접한 수로관끼리 상부돌출부의 연속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경사진 구간에서 경사도의 변화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양쪽의 측면홈에는 일측개구부를 향해 나사 결합에 의해 전후진하는 측면가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미세한 곡률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닥홈에는 나사 결합에 의해 바닥면 저부로 돌출되어 상하강하는 경사조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경사진 지형에서의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곡선 구간용 수로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측면가압부재 및 경사조절부재가 추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측면가압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경사조절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곡선 구간용 수로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고안의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은 크게 바닥부(10), 일측수직부(20), 타측수직부(30)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10)는 수로관의 바닥을 이루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변(11)과, 상기 일측변(11)과 마주보는 타측변(12)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을 보면 일측변(11)과 타측변(12)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일측수직부(20)는 하부가 상기 바닥부(10) 일측변(11)과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수직부(30)는 하부가 상기 바닥부(10) 타측변(12)과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로관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며, 양측 끝단에 일측개구부(40)와 타측개구부(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로관은 일측개구부(40)와 타측개구부(50) 측의 단면 형태가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의 단면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개구부(40) 하부를 둘러싼 상기 바닥부(10)에는 저부로 돌출된 바닥돌출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일측개구부(40) 측면을 둘러싼 상기 일측개구부(40)와 타측개구부(50)에는 각각 측방으로 돌출된 측면돌출부(7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일측수직부(20)와 타측수직부(30)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의 상부돌출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돌출부(80)는 일측수직부(20)와 타측수직부(30)의 타측개구부(50) 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일측수직부(20)와 타측수직부(30)의 타측개구부(50)측 상단에 돌기부(8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측면돌출부(70)에는 내측으로 상기 돌기부(81)의 두께에 대응되는 측면홈(90)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홈(90)의 외측으로 걸림부(9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돌출부(60)에는 상기 바닥부(10)의 저부 높이에 대응되는 바닥홈(1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인접한 수로관의 측면홈(90)에 상기 돌기부(81) 및 일측수직부(20), 타측수직부(30)의 타측 끝단이 끼워지며, 인접한 수로관의 걸림부(91)에 상기 상부돌출부(80) 끝단이 걸리는 구조이다.
또, 인접한 수로관의 바닥홈(100)에 상기 바닥부(10)의 타측 끝단이 안착되어 조립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돌출부(7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측면홈(90)까지 연통되도록 삽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측면조절관체(110)가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면조절관체(11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단부가 상기 일측개구부(40) 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된 측면가압부재(11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 도 5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돌출부(6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바닥홈(100)까지 연통되도록 삽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측면가압부재(120)가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면가압부재(12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단부가 상기 바닥돌출부(60)의 저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된 경사조절부재(12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은 곡선 구간에서 용이하게 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수로관은 일측개구부(40)에 측면홈(90)과 바닥홈(100)이 형성되어 있어 공지의 벤치플륨3종에 타측개구부(50)가 안착되는 형태로 용이하게 접속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일측개구부(40)의 하측에 하향되게 돌출된 바닥돌출부(60)를 구비함에 따라, 곡선 구간에서 다수 개의 바닥돌출부(60)가 바닥으로 하향 돌출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는, 평평한 수로관의 경우 침하 발생시 수로관의 바닥을 토사가 지탱하지 못하게 되어 수로관의 크랙을 일으키는 데 반해,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바닥돌출부(60)가 하향 돌출되어 이 부분에서 토사가 하중을 받게 됨에 따라 수로관의 중간 부분에서의 하중 부담이 적어져 크랙 발생이 적어지게 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 수로관의 상부돌출부(80)가 그 하부의 측벽과 시각적으로 구분지어 인식되게 되는데, 수로관이 연속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인접한 수로관의 상부돌출부(80)를 확인함에 따라 지면의 경사 또는 침하 등으로 인한 불일치를 파악 가능해지며, 경사진 구간에서 경사도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정밀한 시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가압부재(111)를 설치하게 되면 인접한 수로관이 타측 끝단이 일측 끝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측면가압부재(111)를 회전함에 따라 측면가압부재(111)가 측면홈(90) 내측으로 더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게 되어 미세한 곡률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닥홈(100)에 설치된 경사조절부재(121)를 조절함에 따라 바닥면이 평평하지 못한 상태나 경사진 상태에서 용이하게 경사도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10 : 바닥부 11 : 일측변
12 : 타측변 20 : 일측수직부
30 : 타측수직부 40 : 일측개구부
50 : 타측개구부 60 : 바닥돌출부
70 : 측면돌출부 80 : 상부돌출부
81 : 돌기부 90 : 측면홈
91 : 걸림부 100 : 바닥홈
110 : 측면조절관체 111 : 측면가압부재
120 : 하부조절관체 121 : 경사조절부재

Claims (3)

  1.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에 있어서,
    일측변(11)과, 상기 일측변(11)과 마주보는 타측변(12)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바닥부(10)와;
    하부가 상기 바닥부(10) 일측변(11)과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측수직부(20)와;
    하부가 상기 바닥부(10) 타측변(12)과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타측수직부(30);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양측 끝단에 일측개구부(40)와 타측개구부(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자형의 단면 구조를 이루며,
    상기 일측개구부(40) 하부를 둘러싼 상기 바닥부(10)에는 저부로 돌출된 바닥돌출부(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개구부(40) 측면을 둘러싼 상기 일측개구부(40)와 타측개구부(50)에는 각각 측방으로 돌출된 측면돌출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수직부(20)와 타측수직부(30)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의 상부돌출부(80)가 형성되어 있되, 상부돌출부(80)는 일측수직부(20)와 타측수직부(30)의 타측개구부(50) 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일측수직부(20)와 타측수직부(30)의 타측개구부(50)측 상단에 돌기부(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돌출부(70)에는 내측으로 상기 돌기부(81)의 두께에 대응되는 측면홈(90)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홈(90)의 외측으로 걸림부(9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돌출부(60)에는 상기 바닥부(10)의 저부 높이에 대응되는 바닥홈(100)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수로관의 측면홈(90)에 상기 돌기부(81) 및 일측수직부(20), 타측수직부(30)의 타측 끝단이 끼워지며, 인접한 수로관의 걸림부(91)에 상기 상부돌출부(80) 끝단이 걸리며,
    인접한 수로관의 바닥홈(100)에 상기 바닥부(10)의 타측 끝단이 안착되어 조립되되,
    상기 측면돌출부(7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측면홈(90)까지 연통되도록 삽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측면조절관체(110)가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면조절관체(11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단부가 상기 일측개구부(40) 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된 측면가압부재(111)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돌출부(6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바닥홈(100)까지 연통되도록 삽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측면가압부재(120)가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면가압부재(12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단부가 상기 바닥돌출부(60)의 저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된 경사조절부재(121)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
KR2020120010594U 2012-11-19 2012-11-19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 KR200471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594U KR200471728Y1 (ko) 2012-11-19 2012-11-19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594U KR200471728Y1 (ko) 2012-11-19 2012-11-19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728Y1 true KR200471728Y1 (ko) 2014-03-13

Family

ID=5148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594U KR200471728Y1 (ko) 2012-11-19 2012-11-19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366B1 (ko) * 2015-08-11 2017-08-11 김광중 수로관
KR102599857B1 (ko) * 2023-05-19 2023-11-08 박성근 수조를 가진 에어하우스
CN117684514A (zh) * 2024-02-04 2024-03-12 中国地质调查局成都地质调查中心(西南地质科技创新中心) 一种预制泥石流模块式排导槽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831U (ko) * 1998-07-24 1999-02-25 노강호 수로관
KR100630426B1 (ko) 2005-12-21 2006-10-04 박병옥 콘크리트 수로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831U (ko) * 1998-07-24 1999-02-25 노강호 수로관
KR100630426B1 (ko) 2005-12-21 2006-10-04 박병옥 콘크리트 수로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366B1 (ko) * 2015-08-11 2017-08-11 김광중 수로관
KR102599857B1 (ko) * 2023-05-19 2023-11-08 박성근 수조를 가진 에어하우스
CN117684514A (zh) * 2024-02-04 2024-03-12 中国地质调查局成都地质调查中心(西南地质科技创新中心) 一种预制泥石流模块式排导槽构件
CN117684514B (zh) * 2024-02-04 2024-04-30 中国地质调查局成都地质调查中心(西南地质科技创新中心) 一种预制泥石流模块式排导槽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728Y1 (ko) 곡선 구간 연결용 수로관
KR101204536B1 (ko)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맨홀덮개
US10273648B2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0489711Y1 (ko) 조립식 트렌치
KR102107671B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US8747020B2 (en) Conduit for pervious pavement
US20130195549A1 (en) Inclined manhole cover riser assembly
KR101182955B1 (ko) 보강리브가 구비된 원통 맨홀
KR20150107035A (ko) 플레이트 파일 기초를 이용한 데크 및 그 시공방법
JP4038803B2 (ja) 張り出し歩道の構造体
EP2357282B1 (en) A weir
KR102301862B1 (ko) 수로구조
CN209538021U (zh) 一种桥梁排水装置
KR100936097B1 (ko) 맨홀의 높이조절장치
JP4594242B2 (ja) 雨水排水装置
GB252270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trench drain
EP1895220A1 (en) Improved artificial element which is intended for the anchoring, installation and protection of submarine outfalls or submarine pipelines on sandy or non-consolidated surfaces
JP6796859B2 (ja) プレキャスト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473316Y1 (ko) 측면 돌출부재를 갖는 기능성 블록
KR101310384B1 (ko) 맨홀블럭과 이를 이용한 맨홀유닛
KR10222247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 뚜껑 구조체
JP5677813B2 (ja) 地下貯水構造物
JP6573948B2 (ja) 架設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921371B2 (ja) 勾配付き排水溝
CN110424266A (zh) 一种装配式的控制桥面铺装标高的装置和标高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