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564Y1 -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564Y1
KR200471564Y1 KR2020120005259U KR20120005259U KR200471564Y1 KR 200471564 Y1 KR200471564 Y1 KR 200471564Y1 KR 2020120005259 U KR2020120005259 U KR 2020120005259U KR 20120005259 U KR20120005259 U KR 20120005259U KR 200471564 Y1 KR200471564 Y1 KR 200471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outer housing
speaker
ampl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454U (ko
Inventor
왕춘호
Original Assignee
왕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춘호 filed Critical 왕춘호
Priority to KR2020120005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56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5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C)가 안착되는 받침부(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자립을 위한 지지부(15)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간(10')이 형성되는 외부하우징(10)과, 상기 외부하우징(10)의 관통공간(10')에 삽입되고 그 상단은 상기 받침부(11)에 연결되는 확성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확성부(20)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증폭채널(20')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C)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증폭시켜 외부로 토출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촛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식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거치대 내부에 구비되는 확성부(20)의 구조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C)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증폭되어 외부로 전달되므로, 별도의 전원 없이도 충분히 스피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having speaker function}
본 고안은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스피커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은 스마트폰으로 발전하여, 상대방과의 전화통화수단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기능 및 mp3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TV, 웹카메라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 발현과 함께, 휴대폰이 사용자의 생활과 더욱 밀착됨에 따라 휴대폰을 단순한 전자제품이 아니라 장식적 기능도 함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주변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케이스, 휴대용 스피커, 차량용 거치대와 같이 다양한 휴대폰용 주변제품이 개발되고 실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이 발휘하는 장식적 기능이란 전자제품의 보호나 충전, 거치 등과 같은 본연의 기능에 더한 부수적인 경우가 대부분인 관계로, 휴대폰의 장식적 기능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기존의 휴대폰용 스피커들은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고, 휴대폰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폰의 전원을 빨리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과 같이 휴대폰의 스피커부에 나팔형상의 확성기를 부착하여 소리를 증폭하는 방식의 거치대가 개발되었으나, 그 구조상 소리의 확성이 한정적인 관계로 스피커의 기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장식적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별도의 전원 없이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치대의 내부구조 설계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효과적으로 증폭하여 외부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자립을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간이 형성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관통공간에 삽입되고 그 상단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는 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확성부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증폭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증폭시켜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확성부는 상기 받침부와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확장프레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관, 연결관 및 확장프레임은 각각 그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연속적으로 전달된다.
상기 확성부의 확장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확장프레임에 대응되는 형상의 진동판이 상기 확장프레임 내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확성부를 따라 전달되는 소리는 상기 확성부의 확장프레임와 진동판 사이 공간에서 증폭된다.
상기 진동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확성부의 확장프레임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나선리브가 구비되어, 상기 확성부의 확장프레임와 상기 진동판 외주면 사이 공간에 전달된 소리는 상기 나선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증폭된다.
상기 외부하우징은 촛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확성부의 증폭채널은 구획편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나뉘어진 두 부분의 증폭채널 상단은 각각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와 연통된다.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에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진동판 및 확성부의 분리를 방지한다.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외부하우징 상단으로 돌출되는 연결구의 일단에는 제1단자부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속되고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타단에는 제2단자부가 구비되어 외부전원 또는 외부 전자기기에 연결된다.
상기 외부하우징의 지지부 하단에는 스페이서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을 상기 외부하우징이 안착되는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외부하우징의 받침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안착포켓과, 상기 안착포켓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제1단자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상부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포켓에는 상기 연결구의 제1단자부의 단자가 돌출될 수 있는 관통공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와 연통되는 스피커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편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단자안착홈과 상기 스피커공과 연통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리를 확성부에 전달하는 도입채널이 각각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촛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식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상단에 거치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촛불 형상이 나타나도록 어플리케이션 등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어두운 곳에서 은은한 조명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장식적 기능이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거치대 내부에 구비되는 확성부의 구조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증폭되어 외부로 전달되므로, 별도의 전원 없이도 충분히 스피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거치대 내부의 확성부와 함께 진동판이 구비되어 공기를 효과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소리의 증폭을 가져올 수 있고, 또한 진동판에 구비되는 나선리브에 의하여 소리가 나선경로를 지나면서 충분히 증폭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러한 소리의 증폭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겸 거치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에서 연결구가 빠진 상태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진동판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확성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에서 연결구가 빠진 상태의 내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외관 및 골격은 외부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외부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간(1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간(10')은 아래에서 설명될 확성부(20)가 삽입되기 위한 빈 공간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하우징(10)은 촛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하우징(10)은 초를 받치는 형상의 받침부(11)와, 받침부(11)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3), 그리고 상기 파지부(13)의 하단에 구비되고 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받침부(11)와 파지부(13) 및 지지부(15)가 촛대형상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하우징(10)이 촛대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하우징(10)이 단순히 휴대용 전자기기(C)를 거치하는 거치대 기능을 넘어서 심미감을 줄 수 있게 되므로 장식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C)가 스마트폰과 같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경우에는, 촛불 형상을 표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실제 촛대에 꽂힌 촛불을 형상화 할 수 있고, 이는 일종의 조명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도면부호 C'은 디스플레이를, C''는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촛불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지지부(15) 저면에는 스페이서돌기(18)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돌기(18)는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지지부(15)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15)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확성부(20)를 통과하면서 증폭된 소리가 지지부(15) 하방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부하우징(10)의 관통공간(10')에는 확성부(20)가 구비된다. 상기 확성부(20)는 도 2에서 보듯이 대략 나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형성되는 증폭채널(20')을 통하여 소리가 증폭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확성부(20)는 상기 받침부(11)와 연결되는 유입관(21)과, 상기 유입관(2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연결관(23), 그리고, 상기 연결관(23)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확장프레임(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입관(21)과 연결관(23), 그리고 확장프레임(25) 구조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21)을 통해 유입된 휴대용 전자기기(C)의 소리는 연결관(23) 및 확장프레임(25)을 거치면서 증폭되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증폭은 아래에서 진동판(30)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관(21)과 연결관(23) 그리고 확장프레임(25)은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을 관통하도록 증폭채널(20')이 형성된다. 상기 확장프레임(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그릇형상으로 크게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확장프레임(25)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구(70)가 끼워질 수 있는 간섭회피슬릿(26)이 형성된다.
상기 확성부(20)의 하방에는 진동판(30)이 구비된다. 상기 진동판(30)은 상기 확성부(20)의 확장프레임(25)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확장프레임(2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진동판(30)은 그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얇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진동판(30)은 고깔형상의 돌출부(33)와 돌출부(33) 하단의 스커트부(35)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빈 공간(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진동판(30)은,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확장프레임(25)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그 사이에 증폭공간(S)을 형성하고, 상기 확성부(20)를 따라 전달되는 소리는 상기 증폭공간(S)의 공기가 진동되는 것을 통하여 충분히 증폭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6은 상기 홧성부(20)의 간섭회피슬릿(26)에 대응되는 간섭회피슬릿(36)을 나타낸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진동판(3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진동판(30)의 외주면에는 나선리브(37)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나선리브(37)는 상기 확성부(20)의 확장프레임(25) 내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확성부(20)의 확장프레임(25)와 상기 진동판(30) 외주면 사이 공간에 일종의 나선경로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나선리브(37)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소리가 더욱 증폭되고, 풍부한 소리를 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을 참조하여 베이스플레이트(40)를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는 상기 외부하우징(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판(30) 및 확성부(20)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1)와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결합레그(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41)로부터 절개되어 개방편(45)이 구비되는데, 상기 개방편(45)은,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 저면에 일종의 출구를 형성하여 후술할 연결구(70)의 제2단자부(74)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제2단자부(74)가 삽입되면 이를 감싸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받침부(11)에는 안착포켓(50)과 상부고정편(60)이 삽입된다. 상기 안착포켓(50)은 휴대용 전자기기(C)가 실질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접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포켓(50)의 외면(51)에는 상부고정편(60)이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고정편(60)은 후술할 연결구(70)의 제1단자부(72)를 감싸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고정편(60)은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포켓(50)의 몸체(61)에는 연결구(70)의 제1단자부(72)의 단자가 돌출될 수 있는 관통공(55)과 휴대용 전자기기(C)의 스피커와 연통되는 스피커공(5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편(60)에는 상기 관통공(55)에 대응되는 단자안착홈(65)과 상기 스피커공(53)과 연통되어 휴대용 전자기기(C)의 소리를 확성부(20)에 전달하는 도입채널(63)이 각각 형성된다.
참고로 도 2에는 상기 스피커공(53)과 도입채널(63)이 각각 한 개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스피커공(53)과 도입채널(63)은 각각 두 개씩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C)에 구비된 스피커가 두 개인 경우에는 이에 각각 대응되도록 스피커공(53)과 도입채널(63) 역시 두 개가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에는 본 고안에 의한 확성부(2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확성부(20)의 증폭채널(20')은 구획편(T)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나뉘어진 두 부분의 증폭채널(20') 상단은 각각 휴대용 전자기기(C)의 두 스피커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C)의 두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각각 증폭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최종적인 배출 역시 서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구획편(T)이 상기 확성부(20)의 확장프레임(25) 상부에 까지 연장되기 때문이다.
다시 도 2을 참조하여 연결구(7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연결구(70)는 일종의 전기케이블로서,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부하우징(10) 상단으로 돌출되는 연결구(70)의 일단에는 제1단자부(72)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C)에 접속되고 상기 외부하우징(10)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타단에는 제2단자부(74)가 구비되어 외부전원 또는 외부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외부하우징(10)의 내부에 확성부(2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확성부(20)의 하단 확장프레임(25)에는 진동판(30)이 삽입된 상태로 함께 외부하우징(10)의 관통공간(10')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확성부(20)에는 연결구(70)가 연결된 상태로 함께 관통공간(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70)의 제1단자부(72)는 상방으로, 제2단자부(74)는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상태이다.
상기 확성부(20) 및 진동판(30) 조립체가 상기 관통공간(10') 내부로 삽입되면, 베이스플레이트(40)를 상기 외부하우징(10)의 하단에 조립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는 결합레그(43)가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지지부(15) 내측면에 끼워짐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상기 확성부(20) 및 진동판(30) 조립체를 하방에서 지지하여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받침부(11)에 안착포켓(50)과 상부고정편(60) 조립체를 삽입한다. 이에 앞서, 상기 상부고정편(60)은 두 부품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안착포켓(50) 외면이 끼워지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상부고정편(60)에 형성된 단자안착홈(65)에는 연결구(70)의 제1단자부(72)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조립이 완료되는데, 상기 조립순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안착포켓(50) 및 상부고정편(60)을 먼저 받침부(11)에 삽입한 후에, 상기 확성부(20) 및 진동판(30) 조립체를 지지부(15) 하방에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70) 역시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받침부(11) 상부에서 제2단자부(74)를 하방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외부하우징(10)이 서로 대칭되는 두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두 부품의 외부하우징(10) 사이에 나머지 부품을 끼워 넣은 상태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활용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상기 받침부(11)에 휴대용 전자기기(C)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C)의 단자부가 상기 받침부(11)를 통해 돌출된 연결구(70)의 제1연결구(70)와 서로 결합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받침부(11), 보다 정확하게는 안착포켓(5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C)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성화하면, 도 3와 같이 실제 촛대와 유사한 분위기를 연출할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용 전자기기(C)의 음악플레이어 기능을 활성화하게 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C)의 스피커로부터 소리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소리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통해 증폭되어 외부로 전달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C)의 스피커로부터 발생된 소리는 상기 안착포켓(50)의 스피커공(53) 및 상부고정편(60)의 도입채널(63)을 통하여 확성부(20)의 유입관(21)으로 전달되고, 유입관(21)에 연결된 연결관(23)을 거쳐 확장프레임(25)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23)은 충분히 긴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므로 유입관(21)을 거치는 동안 공기가 진동하여 소리의 증폭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소리가 확장프레임(25)까지 전달되면, 상기 확장프레임(25)과 진동판(30) 사이의 증폭공간(S)의 공기를 진동시키면서 더욱 증폭되어 외부하우징(10)의 지지대 하방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C)의 소리는 별도의 전원 없이도 충분히 증폭되고 풍부한 소리로 외부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30)에 나선리브(37)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소리가 나선경로를 거치면서 더욱 증폭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외부하우징 11: 받침부
15: 지지부 18: 스페이서돌기
20: 확성부 30: 진동판
40: 베이스플레이트 50: 안착포켓
60: 상부고정편 70: 연결구
C: 휴대용 전자기기

Claims (11)

  1.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자립을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간이 형성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관통공간에 삽입되고 그 상단은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는 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확성부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증폭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증폭시켜 외부로 토출하며,
    상기 외부하우징은 받침부, 파지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는 촛대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성부는
    상기 받침부와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확장프레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관, 연결관 및 확장프레임의 내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증폭채널이 확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연속적으로 증폭되어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성부의 확장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확장프레임에 대응되는 형상의 진동판이 상기 확장프레임 내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확성부를 따라 전달되는 소리는 상기 확성부의 확장프레임와 진동판 사이 공간에서 증폭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확성부의 확장프레임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나선리브가 구비되어, 상기 확성부의 확장프레임와 상기 진동판 외주면 사이 공간에 전달된 소리는 상기 나선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증폭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성부의 증폭채널은 구획편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나뉘어진 두 부분의 증폭채널 상단은 각각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와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에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진동판 및 확성부의 분리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외부하우징 상단으로 돌출되는 연결구의 일단에는 제1단자부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속되고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타단에는 제2단자부가 구비되어 외부전원 또는 외부 전자기기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지지부 하단에는 스페이서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단을 상기 외부하우징이 안착되는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받침부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안착포켓과,
    상기 안착포켓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제1단자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상부고정편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포켓에는 상기 연결구의 제1단자부의 단자가 돌출될 수 있는 관통공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피커와 연통되는 스피커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편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단자안착홈과 상기 스피커공과 연통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리를 확성부에 전달하는 도입채널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11. 삭제
KR2020120005259U 2012-06-20 2012-06-20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200471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259U KR200471564Y1 (ko) 2012-06-20 2012-06-20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259U KR200471564Y1 (ko) 2012-06-20 2012-06-20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454U KR20130007454U (ko) 2013-12-30
KR200471564Y1 true KR200471564Y1 (ko) 2014-03-04

Family

ID=5148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259U KR200471564Y1 (ko) 2012-06-20 2012-06-20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56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412A (ko) * 2010-12-07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412A (ko) * 2010-12-07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454U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7770B2 (en) Speaker-connector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693268B1 (ko) 이어셋
TWI733860B (zh) 音箱及其組合
KR101844379B1 (ko) 핸드폰 거치 스피커
US10021486B1 (en) Portable auxiliary unit for mobile audio player
KR20130076250A (ko) 스피커 장치를 위한 공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TWM594838U (zh) 骨導式藍牙耳機及其與充電座的組合
KR20140005207U (ko) 이어폰
US9241055B1 (en) Two-way passive acoustic concentrator for a mobile phone
JP2015130651A (ja) スピーカ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装置
US20070003094A1 (en) Earphone device integrated with microphone
KR20080095963A (ko) 다기능 이어폰 어셈블리
JP5851638B1 (ja) スピーカー装置
KR101643097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KR101470983B1 (ko) 마이크로 스피커
JP5706034B1 (ja) スピーカー装置
KR200471564Y1 (ko)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WO2017214809A1 (zh) 一种无线蓝牙小音响
WO2017206374A1 (zh) 一种侧出音的防水手机终端
CN203368741U (zh) 扬声器模块
CN207869364U (zh) 扬声器箱
CN110381426A (zh) 扬声器箱
CN205579214U (zh) 改善低音效果的扬声led灯泡
CN206196053U (zh) 扩音装置
KR200489857Y1 (ko) 핸드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