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412A -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412A
KR20120063412A KR1020110012566A KR20110012566A KR20120063412A KR 20120063412 A KR20120063412 A KR 20120063412A KR 1020110012566 A KR1020110012566 A KR 1020110012566A KR 20110012566 A KR20110012566 A KR 20110012566A KR 20120063412 A KR20120063412 A KR 20120063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docking station
guide
mobile termin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433B1 (ko
Inventor
김준태
이병희
강장훈
조준래
한정은
김기원
김태언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176,177 priority Critical patent/US8483420B2/en
Priority to EP11172925.7A priority patent/EP2464140B1/en
Priority to CN201110227655.9A priority patent/CN102541176B/zh
Publication of KR2012006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412A/ko
Priority to US13/925,252 priority patent/US910075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스피커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를 거치시켜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치부와, 거치부가 장착되고 스피커와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바디부를 포함하며, 바디부는 스피커와 접속하여 음향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 홀과, 수집 홀로부터 연장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내부에서 양분되어 각기 다른 경로로 수집된 음향을 가이드하며, 연장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혼 구조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킹 스테이션에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음량을 증대시키고 음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HAVING STRUCTURE FOR INCREASING LOUDNESS AND FOR IMPROVING QUALITY OF SOUND}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위한 도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랩탑 컴퓨터(lap top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 held computer)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 top computer)와 달리 로컬 프린터(local printer), 백업 드라이브(backup drive), 대용량 저장 장치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에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도킹 스테이션은 이동 단말기 및 외부 장치에 각각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에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도킹 스테이션은 스피커(speaker)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은 이동 단말기와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를 통해 음향(sound)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도킹 스테이션에서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요구된다. 즉 도킹 스테이션은 스피커를 통해 음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킹 스테이션은 이동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도킹 스테이션에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음량을 증대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의 이용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킹 스테이션에서 용이하게 음향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도킹 스테이션의 이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은, 내부에 스피커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를 거치시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장착되어 상기 스피커와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피커와 접속하여 상기 음향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 홀과, 상기 수집 홀로부터 연장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에서 양분되어 각기 다른 경로로 상기 수집된 음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혼 구조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은, 가이드 홀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음향의 음량을 증대시켜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 전원에 연결되지 않아도 된다. 즉 도킹 스테이션에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음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킹 스테이션에서 가이드 홀이 다수개의 경로들을 통해 음향을 가이드하여 출력함으로써, 도킹 스테이션에서 음향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에서 음향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량의 증가폭을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시켜, 음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킹 스테이션에서 용이하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압 분포를 도시하는 분포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압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들을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압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들을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평면 사시도,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 때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평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이동 단말기(10)와 기계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현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는 두 개의 스피커(11, 12)들, 연결 단자(13) 및 표시부(15)를 구비한다. 이 때 스피커(11, 12)들은 이동 단말기(10)의 바닥부(17)에서 일정 거리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연결 단자(13)는 이동 단말기(10)의 바닥부(17)에서 스피커(11, 12)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표시부(15)는 이동 단말기(10)에서 바닥부(17)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에서 표시부(15)가 향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100)의 정면이 배치되고,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100)의 후면이 배치되며,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정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도킹 스테이션(100)은 바디부(110), 밀착 패드(121, 123)들 및 거치부(130)로 이루어진다.
바디부(110)는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이동 단말기(10)에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갖는다. 이 때 바디부(110)는 일정 형상과 부피를 갖는다. 예를 들면, 바디부(110)는 일정 면적과 두께를 갖는 육면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모서리가 라운드(round) 가공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10)는, 예컨대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10)는 요홈(111), 두 개의 수집 홀(113, 114)들, 두 개의 가이드 홀(115, 116)들, 연결 홀(117) 및 연결 홈(119)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요홈(111)은 바디부(110)의 상부면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요홈(111)은 이동 단말기(10)의 바닥부(17)를 수용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의 바닥부(17) 사이즈 보다 넓은 사이즈로 형성된다.
수집 홀(113, 114)들은 각각 바디부(110)의 상부면에서 내부로 연장된다. 이 때 수집 홀(113, 114)들은 바디부(110)의 상부면에서 스피커(11, 12)들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수집 홀(113, 114)들은 요홈(111) 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가 바닥부(17)를 통해 바디부(110)의 상부면에 안착 시, 각각의 수집 홀(113, 114)은 각각의 스피커(11, 12)들과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에서 스피커(11, 12)들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면, 수집 홀(113, 114)들은 스피커(11, 12)들의 음향을 수집한다.
가이드 홀(115, 116)들은 각각 수집 홀(113, 114)로부터 바디부(1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 때 가이드 홀(115, 116)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디부(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115, 116)들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연장된다. 즉 가이드 홀(115, 116)들은 상호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 홀(115, 116)들은 바디부(110)의 양측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홀(115, 116)들은 공기로 충전된다. 이를 통해, 수집 홀(113, 114)들에서 이동 단말기(10)의 스피커(11, 12)들의 음향을 수집하면, 가이드 홀(115, 116)들이 수집 홀(113, 1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을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 홀(115, 116)에서 공기의 진동을 통해 음향이 전달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115, 116)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면이 곡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 홀(115, 116)의 단면은 구면, 타원면과 같이 둘레가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수집 홀(113, 1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115, 116)들은 음향의 와류(vortex) 없이, 연장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음향을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 홀(115, 116)들은 단면적이 연장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혼(horn) 구조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수집 홀(113, 1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115, 116)들은 연장 방향을 따라 음향의 음량을 점차로 증가시킨다.
또한 가이드 홀(115, 116)들은 각각 바디부(110)의 내부에서 양분된다. 즉 수집 홀(113, 1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115, 116)들은 각각 두 개의 경로들을 통해 음향을 출력한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 홀(115, 116)은 바디부(110)의 측면과 후면으로 음향을 가이드하여 출력한다. 이를 통해, 가이드 홀(115, 116)들에서 음향의 밸런스(balance)가 유지된다. 즉 가이드 홀(115, 116)들에서 음향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량의 증가폭이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된다.
연결 홀(117)은 바디부(11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연장되어, 바디부(110)를 관통한다. 이 때 연결 홀(117)은 바디부(110)의 내부에서 수집 홀(113, 114)들의 사이 및 가이드 홀(115, 116)들의 사이에서 수집 홀(113, 114)들과 가이드 홀(115, 116)들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된다. 여기서, 연결 홀(117)은 바디부(110)의 상부면에서, 스피커(11, 12)들과 연결 단자(13) 간 이격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수집 홀(113, 114)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연결 홀(117)은 요홈(111) 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가 바닥부(17)를 통해 바디부(110)의 상부면에 안착 시, 연결 홀(117)은 연결 단자(13)와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바디부(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케이블(cable; 20)이 삽입되면, 연결 홀(117)은 연결 단자(13)와 케이블(20) 간 연결을 지원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이동 단말기(10)를 충전시키기 위한 외부 전원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와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외부 기기일 수 있다.
연결 홈(119)은 바디부(110)의 하부면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일정 깊이로 바디부(110)의 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이 때 연결 홈(119)은 연결 홀(117)로부터 바디부(110)의 일측부로 연장된다. 즉 연결 홈(119)은 케이블(20)을 수용하기 위해 케이블(20)의 두께 보다 두꺼운 사이즈로 형성된다.
밀착 패드(121, 123)들은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바디부(110)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역할을 갖는다. 이 때 밀착 패드(121, 123)들은 각각 바디부(110)의 상부면에서 각각의 수집 홀(113, 114) 주변 영역에 장착된다. 즉 밀착 패드(121, 123)들은 수집 홀(113, 114)들을 각각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가 바닥부(17)를 통해 바디부(110)의 상부면에 안착 시, 밀착 패드(121, 123)들은 이동 단말기(10)의 바닥부(17)와 수집 홀(113, 114)의 주변 영역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서, 밀착 패드(121, 123)들은 이동 단말기(10)의 스피커(11, 12)들을 각각 노출시킨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가 바닥부(17)를 통해 바디부(110)의 상부면에 안착 시, 밀착 패드(121, 123)들은 이동 단말기(10)의 스피커(11, 12)들과 수집 홀(113, 114)들을 각각 밀착시킨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에서 스피커(11, 12)들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면, 밀착 패드(121, 123)들이 스피커(11, 12)들의 음향이 수집 홀(113, 114)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밀착 패드(121, 123)들은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바디부(110)와 이동 단말기(10)의 스피커(11, 12)의 주변 영역을 밀착시키기 위한, 예컨대 고무, 실리콘, 합성 고분자 물질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부(130)는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이동 단말기(10)를 거치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이 때 거치부(130)는 바디부(110)의 상부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30)가 바닥부(17)를 통해 바디부(110)의 상부면에 안착 시, 거치부(130)는 이동 단말기(130)에 기계적으로 체결되어, 이동 단말기(10)의 자세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거치부(130)는 회전부(131), 회전 스프링(133) 및 고정부(135)로 이루어진다.
회전부(131)는 바디부(110)의 상부면에서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 때 회전부(131)는 수용 홀(13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용 홀(132)은 바디부(110)의 요홈(111) 및 수집 홀(113, 114)들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여기서, 수용 홀(132)은 이동 단말기(10)의 바닥부(17)를 수용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의 바닥부(17) 사이즈 보다 넓은 사이즈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는 회전부(131)의 수용 홀(132)을 통과하여 바디부(110)의 요홈(111)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131)는 이동 단말기(10)와 함께 회전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회전부(131)는 바디부(110)의 상부면과 이동 단말기(1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회전 스프링(133)은 고유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부(131)에 회전력을 가한다. 이 때 회전 스프링(133)은 회전부(131)의 일측부에서 회전부(131)와 바디부(110)의 상부면을 연결한다. 즉 회전 스프링(133)은 바디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회전부(131)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131)와 바디부(110) 사이에서 회전부(131)에 회전력을 가한다.
고정부(135)는 바디부(110)의 상부면에서 회전부(13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 때 고정부(135)는 바디부(110)의 상부면에서 바디부(110)에서 돌출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러한 고정부(135)는 걸림부(136) 및 돌출 스프링(137)으로 이루어진다. 걸림부(136)는 바디부(110)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걸림부(136)는 일단부를 통해 회전부(131)와 접촉하여 회전부(131)의 회전을 저지시킨다. 돌출 스프링(137)은 고유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걸림부(136)에 돌출력을 가한다. 여기서, 돌출 스프링(137)은 걸림부(136)의 타단부와 바디부(110)의 상부면을 연결한다. 즉 돌출 스프링(137)은 바디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걸림부(136)가 돌출 가능하도록 걸림부(136)와 바디부(110)의 사이에서 걸림부(136)에 돌출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보다 향상된 동작 특성을 갖는다. 이를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압(sound pressure) 분포를 도시하는 분포도이다. 이 때 도 5a는 630 Hz에서 음압 분포를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1000 Hz에서 음압 분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c는 3150 Hz에서 음압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a>는 도킹 스테이션에서 가이드 홀이 양분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며,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에서 가이드 홀이 양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의 음향 출력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각각의 가이들 홀(115, 116)이 양분됨에 따라, 보다 확장된 영역에서 음압이 분포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무지향성을 나타내어 모든 방향에 대해 유사한 감도로 음향을 출력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주파수 대역 별 음량의 증가폭이 균일하게 유지됨에 따라, 음향의 밸런스가 유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압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에서 두 개의 가이드 홀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가이드 홀이 양분된 경우를 나타내고, <b>는 도킹 스테이션에서 두 개의 가이드 홀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가이드 홀이 양분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며, <c>는 도킹 스테이션에서 하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가이드 홀이 양분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의 음향 출력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각각의 가이드 홀(115, 116)이 양분됨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따라 음압이 증가에서 감소로 급변하는 피크(peak) 영역과 음압이 감소에서 증가로 급변하는 딥(deep) 영역에서 음압의 변화폭이 작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두 개의 가이드 홀(115, 116)들이 형성됨에 따라, 비교적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음압을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주파수 대역 별 음압이 균일하게 유지됨에 따라, 음량의 증가폭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음향의 밸런스가 유지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두 개의 가이드 홀(115, 116)들을 통해 스테레오(stereo)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홀이 바디부의 측면과 후면으로 음향을 가이드하여 출력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도 7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들을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들이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도킹 스테이션들에서 가이드 홀들이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도킹 스테이션(200, 300, 400, 500, 600)은 바디부(210, 310, 410, 510, 610), 밀착 패드(221, 223, 321, 323, 421, 423, 521, 523, 621, 623) 및 거치부(230, 330, 430, 530, 6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디부(210, 310, 410, 510, 610)는 요홈(211, 311, 411, 511, 611), 두 개의 수집 홀(213, 214, 313, 314, 413, 414, 513, 514, 613, 614)들, 두 개의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 연결 홀(217, 317, 417, 517, 617) 및 연결 홈(219, 319, 419, 519, 619)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도킹 스테이션(200, 300, 400, 500, 600)들의 기본 구성은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각각 수집 홀(213, 214, 313, 314, 413, 414, 513, 514, 613, 614)로부터 바디부(210, 310, 410, 510, 6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 때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디부(210, 310, 410, 510, 6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연장된다. 즉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상호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바디부(210, 310, 410, 510, 610)의 양측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각각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면이 곡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의 단면은 구면, 타원면과 같이 둘레가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단면적이 연장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혼 구조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수집 홀(213, 214, 313, 314, 413, 414, 513, 514, 613, 6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연장 방향을 따라 음향의 음량을 점차로 증가시킨다.
또한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각각 바디부(210, 310, 410, 510, 610)의 내부에서 양분된다. 즉 수집 홀(213, 214, 313, 314, 413, 414, 513, 514, 613, 6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들은 각각 적어도 두 개의 경로들을 통해 음향을 출력한다. 이 때 각각의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은 바디부(210, 310, 410, 510, 610)의 측면으로 음향을 가이드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바디부(210, 310, 410, 510, 610)의 측면과 전면으로 음향을 가이드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에서 경로들은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 내에 형성되는 내벽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가이드 홀(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에서 경로들은 바디부(210, 310, 410, 510, 610)의 내부에서 양분될 뿐만 아니라, 바디부(210, 310, 410, 510, 610)의 내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 200, 300, 400, 500, 600)들은 유사한 동작 특성을 갖는다. 이를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압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의 음향 출력 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 200, 300, 400, 500, 600)들에서, 주파수 대역을 따라 음압이 증가에서 감소로 급변하는 피크 영역과 음압이 감소에서 증가로 급변하는 딥 영역에서 음압의 변화폭이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 200, 300, 400, 500, 600)들에서 주파수 대역 별 음압이 균일하게 유지됨에 따라, 음량의 증가폭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음향의 밸런스가 유지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 200, 300, 400, 500, 600)들에서 동작 효율성이 최고인 주파수 대역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 200, 300, 400, 500, 600)들에서 음향의 밸런스가 최적인 주파수 대역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가이드 홀로서 특정 구조의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도 13 내지 도 16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들을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들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도킹 스테이션(700, 800, 900, 1000)은 바디부(710, 810, 910, 1010), 밀착 패드(721, 723, 821, 823, 921, 923, 1021, 1023) 및 거치부(730, 830, 930, 10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디부(710, 810, 910, 1010)는 요홈(711, 811, 911, 1011), 두 개의 수집 홀(713, 714, 813, 814, 913, 914, 1013, 1014)들, 두 개의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 연결 홀(717, 817, 917, 1017) 및 연결 홈(719, 819, 919, 1019)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도킹 스테이션(700, 800, 900, 1000)들의 기본 구성은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각각 각각 수집 홀(713, 714, 813, 814, 913, 914, 1013, 1014)로부터 바디부(710, 810, 910, 10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 때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디부(710, 810, 910, 10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연장된다. 즉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다양한 연장 길이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바디부(710, 810, 910, 1010)의 양측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각각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면이 곡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의 단면은 구면, 타원면과 같이 둘레가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단면적이 연장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혼 구조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수집 홀(713, 714, 813, 814, 913, 914, 1013, 10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연장 방향을 따라 음향의 음량을 점차로 증가시킨다.
또한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각각 바디부(710, 810, 910, 1010)의 내부에서 양분된다. 즉 수집 홀(713, 714, 813, 814, 913, 914, 1013, 10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은 각각 두 개의 경로들을 통해 음향을 출력한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 홀(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은 바디부(710, 810, 910, 1010)의 측면과 후면으로 음향을 가이드하여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들(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에서 가이드 홀(115, 116, 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 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들의 연장 길이 및 연장 방향에 따른 단면적의 증가율에 따라, 각각의 동작 특성이 결정된다. 이 때 도킹 스테이션(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들에서 음향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량의 증가폭이 결정된다. 그리고 도킹 스테이션(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들에서 결정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음향의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가이드 홀의 공기 진동을 통해 음량이 증대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도 17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도킹 스테이션에서 가이드 홀이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킹 스테이션(1100)은 바디부(1110), 밀착 패드(1121, 1123) 및 거치부(1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디부(1110)는 요홈(1111), 두 개의 수집 홀(1113, 1114)들, 두 개의 가이드 홀(1115, 1116)들, 연결 홀(1117) 및 연결 홈(1119)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도킹 스테이션(1100)들의 기본 구성은 전술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도킹 스테이션(1100)은 가이드 관(1125, 1126)들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관(1125, 1126)들은 각각 가이드 홀(1115, 1116)들 내에 삽입되어 수집 홀(1113, 1114)들로부터 바디부(11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 때 가이드 관(1125, 1126)들은 각각 내부에 진동 홀(1127, 1128)들이 형성된 형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가이드 관(1125, 1126)은 바디부(1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가이드 관(1125, 1126)은, 예컨대 황동(brass)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진동 홀(1127, 1128)들은 공기로 충전된다. 이를 통해, 수집 홀(1113, 1114)들을 통해 이동 단말기(10)의 스피커(11, 12)들의 음향을 수집하면, 가이드 관(1125, 1126)들에서 진동 홀(1127, 1128)들이 수집 홀(1113, 11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을 가이드한다. 즉 진동 홀(1127, 1128)들에서 공기의 진동을 통해 음향이 전달된다.
그리고 가이드 관(1125, 1126)들 및 진동 홀(1127, 1128)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면이 곡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 관(1125, 1126) 및 진동 홀(1127, 1128)의 단면은 구면, 타원면과 같이 둘레가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수집 홀(1113, 1114)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관(1125, 1126)들은 진동 홀(1127, 1128)들을 통해 음향의 와류 없이, 연장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음향을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 홀(1115, 1116)들은 진동 홀(1127, 1128)들의 단면적이 연장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혼 구조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진동 홀(1127, 1128)들을 통해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관(1125, 1126)들은 연장 방향을 따라 음향의 음량을 점차로 증가시킨다.
또한 가이드 관(1125, 1126)들은 각각 가이드 홀(1115, 1116)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가이드 홀(1115, 1116)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 가이드 관(1125, 1126)들은 각각의 양단부를 통해 가이드 홀(1115, 1116)의 양단부로 접합되어 바디부(1110)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진동 홀(1127, 1128)들을 통해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관(1125, 1126)들에서 진동 홀(1127, 1128)들은 가이드 홀(1115, 1116)들과 별도로 자유 진동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100)에서 가이드 관(1125, 1126)이 관악기(wind instrument)와 같이 동작한다.
게다가, 가이드 관(1125, 1126)들은 각각 바디부(1100)의 내부에서 가이드 홀(1115, 1116)들을 따라 양분된다. 즉 수집 홀(1113, 1114)들로부터 진동 홀(1127, 1128)들을 통해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관(1125, 1126)들은 각각 두 개의 경로들을 통해 음향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가이드 관(1125, 1126)들의 진동 홀(1127, 1128)들에서 음향의 밸런스가 유지된다. 즉 가이드 관(1125, 1126)들의 진동 홀(1127, 1128)들에서 음향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량의 증가폭이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바디부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도 18 및 도 19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 때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평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킹 스테이션(1200)은 이동 단말기(10)와 기계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현된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에서 표시부(15)가 향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1200)의 정면이 배치되고,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도킹 스테이션(1200)의 후면이 배치되며, 도킹 스테이션(1200)에서 정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도킹 스테이션(1200)은 바디부(1210), 밀착 패드(도시되지 않음) 및 거치부(1230)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도킹 스테이션(1200)의 기본 구성은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도킹 스테이션(1200)은 결합형으로 구현된다.
바디부(1210)는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이동 단말기(10)에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갖는다. 이 때 바디부(1210)는 일정 형상과 부피를 갖는다. 예를 들면, 바디부(1210)는 일정 면적과 두께를 갖는 육면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210)는,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210)는 상부 바디부(1201), 두 개의 실링 부재(1203, 1204)들 및 하부 바디부(1205)를 포함한다. 이 때 상부 바디부(1201)와 하부 바디부(1205)는 실링 부재(1203, 1204)들을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상부 바디부(1201)는 요홈(1211), 두 개의 수집 홀(도시되지 않음)들, 두 개의 상부 가이드 홈(1202)들, 두 개의 상부 실링 홈(도시되지 않음)들 및 상부 연결 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요홈(1211)은 상부 바디부(1201)의 상부면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요홈(1211)은 이동 단말기(10)의 바닥부(17)를 수용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의 바닥부(17) 사이즈 보다 넓은 사이즈로 형성된다.
수집 홀들은 각각 상부 바디부(1201)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연장되어, 상부 바디부(1201)를 관통한다. 이 때 수집 홀들은 상부 바디부(1201)의 이동 단말기(10)에서 스피커(11, 12)들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수집 홀들은 요홈(1211) 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가 바닥부(17)를 통해 상부 바디부(1201)의 상부면에 안착 시, 각각의 수집 홀은 각각의 스피커(11, 12)들과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에서 스피커(11, 12)들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면, 수집 홀들은 스피커(11, 12)들의 음향을 수집한다.
상부 가이드 홈(1202)들은 각각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에서 각각의 수집 홀들에 연결되어 내부로 연장되며, 일정하게 증가하는 깊이로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부 가이드 홈(1202)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에서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부 가이드 홈(1202)들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연장된다. 즉 상부 가이드 홈(1202)들은 상호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부 가이드 홈(1202)들은 상부 바디부(1201)의 양측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게다가, 상부 가이드 홈(1202)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면이 반구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 가이드 홈(1202)의 단면은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실링 홈들은 각각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에서 각각의 상부 가이드 홈(1202)들의 둘레 영역에 배치된다. 이 때 상부 실링 홈들은 각각의 상부 가이드 홈(1202)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실링 홈들은 각각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일정 깊이로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부 실링 홈들은 각각의 상부 가이드 홈(1202)들로부터 이격되어, 각각의 상부 가이드 홈(1202)들에 나란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부 실링 홈들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연장된다. 즉 상부 실링 홈들은 상호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부 실링 홈들은 상부 바디부(1201)의 양측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부 연결 홀은 상부 바디부(1201)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연장되어, 상부 바디부(1201)를 관통한다. 이 때 상부 연결 홀은 상부 바디부(1201)의 내부에서 수집 홀들의 사이 및 상부 가이드 홈(1202)들의 사이에서 수집 홀들과 상부 가이드 홈(1202)들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된다. 여기서, 상부 연결 홀은 상부 바디부(1201)의 상부면에서, 스피커(11, 12)들과 연결 단자(13) 간 이격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수집 홀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 연결 홀은 요홈(1211) 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가 바닥부(17)를 통해 상부 바디부(1201)의 상부면에 안착 시, 상부 연결 홀은 연결 단자와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실링 부재(1203, 1204)들은 각각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에서 각각의 상부 실링 홈들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실링 부재(1203, 1204)들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연장된다. 또한 실링 부재(1203, 1204)들은 상호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갖는다. 게다가, 실링 부재(1203, 1204)들은 상부 바디부(1201)의 양측부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즉 실링 부재(1203, 1204)들은 각각의 상부 실링 홈들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링 부재(1203, 1204)들은, 예컨대 고무, 실리콘, 합성 고분자 물질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바디부(1205)는 두 개의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 두 개의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 하부 연결 홀(1217) 및 연결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은 각각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일정하게 증가하는 깊이로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이 때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에서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연장된다. 즉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은 상호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갖는다. 또한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은 하부 바디부(1205)의 양측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게다가,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면이 반구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의 단면은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은 각각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에서 각각의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의 둘레 영역에 배치된다. 이 때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은 각각의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은 각각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에서 각각의 실링 부재(1203, 1204)들이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즉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은 각각의 실링 부재(1203, 1204)들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은 각각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일정 깊이로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이 때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은 각각의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로부터 이격되어, 각각의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에 나란하게 연장된다. 또한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연장된다. 즉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은 상호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갖는다. 게다가,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은 하부 바디부(1205)의 양측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하부 연결 홀은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연장되어, 하부 바디부(1205)를 관통한다. 이 때 하부 연결 홀은 하부 바디부(1205)의 내부에서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 사이에서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된다.
연결 홈은 하부 바디부(1205)의 하부면에서 내부로 연장되며, 일정한 깊이로 하부 바디부(1205)의 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이 때 연결 홈은 하부 연결 홀로부터 하부 바디부(1205)의 일측부로 연장된다. 즉 연결 홈은 케이블(20)을 수용하기 위해 케이블(20)의 두께보다 두꺼운 사이즈로 형성된다.
즉 실링 부재(1203, 1204)들은 각각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에서 각각의 상부 실링 홈들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실링 부재(1203, 1204)들은 각각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에서 각각의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다시 말해, 상부 바디부(1201)에서 상부 실링 홈들이 각각 실링 부재(1203, 1204)들의 일부를 수용하고, 하부 바디부(1205)에서 하부 실링 홈(1208, 1209)들이 각각 실링 부재(1203, 1204)들의 나머지를 수용한다. 이를 통해, 상부 바디부(1201)와 하부 바디부(1205)가 실링 부재(1203, 1204)를 매개로 결합되어, 바디부(1210)로 조립된다.
이 때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과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이 접촉 시, 상부 가이드 홈(1202)들과 하부 가이드 홈(1206, 1207)들이 각각 상호 결합하여 두 개의 가이드 홀(1216)들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가이드 홀(1216)들은 각각 수집 홀들로부터 바디부(12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즉 가이드 홀(1216)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디부(1210)의 내부를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1216)들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가이드 홀(1216)들은 상호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 홀(1216)들은 바디부(1216)의 양측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실링 부재(1203, 1204)들이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과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 간 경계 영역에서 가이드 홀(1216)들을 밀봉시켜, 가이드 홀(1216)들이 공기로 충전된다. 이를 통해, 수집 홀들에서 이동 단말기(10)의 스피커(11, 12)들의 음향을 수집하면, 가이드 홀(1216)들이 수집 홀로부터 외부로 음향을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 홀(1216)에서 공기의 진동을 통해 음향이 전달된다. 이 때 실링 부재(1203, 1204)들이 가이드 홀(1216)들을 밀봉시켜, 스피커(11, 12)들의 음향이 가이드 홀(1216)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이드 홀(1216)들은 각각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면이 곡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 홀(1216)의 단면은 구면, 타원면과 같이 둘레가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수집 홀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1216)들은 음향의 와류 없이, 연장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음향을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 홀(1216)들은 단면적이 연장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구조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수집 홀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1216)들은 연장 방향을 따라 음향의 음량을 점차로 증가시킨다.
또한 가이드 홀(1216)들은 각각 바디부(1210)의 내부에서 양분된다. 즉 수집 홀들로부터 외부로 음향 가이드 시, 가이드 홀(1216)들은 각각 두 개의 경로들을 통해 음향을 출력한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 홀(1216)은 바디부(1210)의 측면과 후면으로 음향을 가이드하여 출력한다. 이를 통해, 가이드 홀(1216)들에서 음향의 밸런스가 유지된다. 즉 가이드 홀(1216)들에서 음향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량의 증가폭이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된다.
아울러,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과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이 접촉 시, 상부 연결 홀과 하부 연결 홀이 상호 결합하여 연결 홀(1217)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연결 홀(1217)은 상부 바디부(1201)의 상부면에서 하부 바디부(1215)의 하부면으로 연장되어, 바디부(1210)를 관통한다. 이를 통해, 바디부(1210)의 하부면으로부터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케이블(20)이 삽입되면, 연결 홀(1217)은 이동 단말기(10)의 연결 단자(13)와 케이블(20) 간 연결을 지원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이동 단말기(10)를 충전시키기 위한 외부 전원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와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외부 기기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부 바디부(1201)와 하부 바디부(1205)가 실링 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과 하부 바디부(1205)의 상부면을 상호 밀착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부 바디부(1201)의 하부면 또는 하부 바디부(1203)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부 바디부(1201)와 하부 바디부(120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부 바디부(1201)의 상부 실링 홈 또는 하부 바디부(1205)의 하부 실링 홈(1208, 120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도킹 스테이션이 두 개의 수집 홀들과 두 개의 가이드 홀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킹 스테이션이 하나의 수집 홀과 두 개의 가이드 홀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도킹 스테이션은 두 개의 가이드 홀들이 하나의 수집 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킹 스테이션이 하나의 수집 홀과 하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는 도킹 스테이션이 적어도 세 개의 수집 홀들 또는 적어도 세 개의 가이드 홀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킹 스테이션에서 가이드 홀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음향의 왜곡없이 음량을 증대시켜 출력함으로써, 도킹 스테이션에서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 전원에 연결되지 않아도 된다. 즉 도킹 스테이션에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음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킹 스테이션에서 가이드 홀이 다수개의 경로들을 통해 음향을 가이드하여 출력함으로써, 도킹 스테이션에서 음향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에서 음향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별 음량의 증가폭을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시켜, 음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킹 스테이션에서 용이하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이동 단말기
11, 12 : 스피커
13 : 연결 단자
15 : 표시부
17 : 바닥부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 도킹 스테이션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910, 1010, 1110, 1210 : 바디부
111, 211, 311, 411, 511, 611, 711, 811, 911, 1011, 1111, 1211 : 요홈
113, 114, 213, 214, 313, 314, 413, 414, 513, 514, 613, 614, 713, 714, 813, 814, 913, 914, 1013, 1014, 1113, 1114 : 수집 홀
115, 116, 215, 216, 315, 316, 415, 416, 515, 516, 615, 616, 715, 716, 815, 816, 915, 916, 1015, 1016, 1115, 1116, 1216 : 가이드 홀
117, 217, 317, 417, 517, 617, 717, 817, 917, 1017, 1117, 1217 : 연결 홀
119, 219, 319, 419, 519, 619, 719, 819, 919, 1019, 1119 : 연결 홈
121, 123, 221, 223, 321, 323, 421, 423, 521, 523, 621, 623, 721, 723, 821, 823, 921, 923, 1021, 1023, 1121, 1123 : 밀착 패드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 930, 1030, 1130, 1230 : 거치부
1125, 1126 : 가이드 관
1127, 1128 : 진동 홀
1201 : 상부 바디부
1202 : 상부 가이드 홈
1203, 1204 : 실링 부재
1205 : 하부 바디부
1206, 1207 : 하부 가이드 홈
1208, 1209 : 하부 실링 홈

Claims (11)

  1. 내부에 스피커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를 거치시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장착되어 상기 스피커와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피커와 접속하여 상기 음향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 홀과, 상기 수집 홀로부터 연장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에서 양분되어 각기 다른 경로로 상기 수집된 음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혼 구조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 홀과 대칭적인 구조의 다른 가이드 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스피커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른 스피커와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수집하며, 상기 다른 가이드 홀과 연결되는 다른 수집 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내부에서 양분되고 상기 내부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혼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수집된 음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진동 홀이 형성된 가이드 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외부에서 상기 수집 홀을 노출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수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수용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 안착 시, 상기 바디부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정지시켜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회전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이동 단말기 안착 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자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와 상기 수집 홀의 주변 영역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피커와 상기 수집 홀을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패드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음향이 상기 수집 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고무, 실리콘, 합성 고분자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수집 홀과 상기 수집 홀로부터 연장 방향을 따라 하부면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연장되는 상부 가이드 홈이 형성된 상부 바디부와,
    상기 상부 바디부에 체결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 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상부 바디부 및 상기 하부 바디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홈의 둘레 영역과 상기 하부 가이드 홈의 둘레 영역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홀을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부와 상기 하부 바디부는,
    상기 상부 바디부의 하부면 또는 상기 하부 바디부의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KR1020110012566A 2010-12-07 2011-02-11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KR10180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76,177 US8483420B2 (en) 2010-12-07 2011-07-05 Docking station having structure for sound amplification and sound quality enhancement
EP11172925.7A EP2464140B1 (en) 2010-12-07 2011-07-06 Docking station having structure for sound amplification and sound quality enhancement
CN201110227655.9A CN102541176B (zh) 2010-12-07 2011-08-05 具有用于声音放大和音质增强的结构的坞站
US13/925,252 US9100751B2 (en) 2010-12-07 2013-06-24 Docking station having structure for sound amplification and sound quality enhan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4523 2010-12-07
KR1020100124523 2010-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412A true KR20120063412A (ko) 2012-06-15
KR101805433B1 KR101805433B1 (ko) 2017-12-08

Family

ID=4668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566A KR101805433B1 (ko) 2010-12-07 2011-02-11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4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64Y1 (ko) * 2012-06-20 2014-03-04 왕춘호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1497206B1 (ko) * 2013-04-19 2015-03-04 김낙원 하단 음 증폭구가 있는 맥놀이 나무스피커
US9062822B2 (en) 2011-04-12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1632906B1 (ko) * 2015-11-25 2016-06-23 주식회사 오넥트 스마트기기의 가구용 충전 거치대
KR101636819B1 (ko) * 2015-03-13 2016-07-06 고재권 무전원 스피커의 제조방법
KR101673551B1 (ko) * 2015-07-13 2016-11-07 강희용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KR102179039B1 (ko) * 2020-05-28 2020-11-16 이영수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4078A2 (en) * 2019-09-03 2021-03-11 Genelec Oy Directive multiway loudspeaker with a waveguid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158A (en) 1997-07-30 1999-10-19 Federal Signal Corporation Compact horn speaker
JP4405237B2 (ja) 2003-10-31 2010-01-27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卓上ホルダ及び視聴システム
US8320597B2 (en) * 2009-01-22 2012-11-27 Griffin Technology, Inc. Acoustic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2822B2 (en) 2011-04-12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200471564Y1 (ko) * 2012-06-20 2014-03-04 왕춘호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1497206B1 (ko) * 2013-04-19 2015-03-04 김낙원 하단 음 증폭구가 있는 맥놀이 나무스피커
KR101636819B1 (ko) * 2015-03-13 2016-07-06 고재권 무전원 스피커의 제조방법
KR101673551B1 (ko) * 2015-07-13 2016-11-07 강희용 단말용 무전원 음향 증폭 장치
KR101632906B1 (ko) * 2015-11-25 2016-06-23 주식회사 오넥트 스마트기기의 가구용 충전 거치대
KR102179039B1 (ko) * 2020-05-28 2020-11-16 이영수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433B1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3420B2 (en) Docking station having structure for sound amplification and sound quality enhancement
KR20120063412A (ko) 음량 증대 및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도킹 스테이션
US11363365B2 (en) Loudspeaker apparatus
US20210072559A1 (en) Eyeglasses
US20240267669A1 (en) Loudspeaker device
JP2023530725A (ja) イヤホン
KR101341308B1 (ko) 이어셋용 방음하우징 및 그를 구비하는 유.무선 이어셋
BR112020025568A2 (pt) Alto-falante de condução óssea e método de testagem do mesmo
US10225644B2 (en) Speaker system
US20240137690A1 (en) Headphones
US20240147162A1 (en) Sound production components
KR20220101834A (ko) 마이크로폰 모듈 및 상기 마이크로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5600571B2 (ja) イヤホン
JP4435133B2 (ja) イヤホン装置
US202303625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202303796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CN220776077U (zh) 传音组件、耳机装置和核磁共振设备
CN209419804U (zh) 一种骨传导耳机
WO2024045391A1 (zh) 一种耳机
US20240031725A1 (en) Earphone
US20240031724A1 (en) Earphone
JP2023100000A (ja) イヤ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