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097B1 -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097B1
KR101643097B1 KR1020150090633A KR20150090633A KR101643097B1 KR 101643097 B1 KR101643097 B1 KR 101643097B1 KR 1020150090633 A KR1020150090633 A KR 1020150090633A KR 20150090633 A KR20150090633 A KR 20150090633A KR 101643097 B1 KR101643097 B1 KR 10164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onnector
neck
connecto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우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최경우
최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우, 최우진 filed Critical 최경우
Priority to KR102015009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의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음향을 증폭, 확산시킬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측에 후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넥과, 커넥터 넥의 전단에 구비되고 폭이 확장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커넥터 넥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으로 휴대 전자기기의 음향이 전달되고,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는 울림통을 통해 음향이 증폭 및 확산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Connecting device for acoustic amplifying and diffusion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전자기기의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음향을 증폭, 확산시키거나 저음부를 강화(사운드 튜닝)시킬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빠른 진보로 인해, 스마트폰, 테블렛 피씨, MP3/MP4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GPS 네비게이터 등과 같은 휴대 전자기기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 중 스마트폰, 테블렛 피씨, MP3/MP4 플레이어 등은 동영상이나 음악 재생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의 이어폰 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음성 또는 음향을 듣게 된다.
물론, 일반적인 휴대 전자기기는 자체 내장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이어폰을 준비할 필요없이 자체 내장 스피커를 통해 음성 또는 음향을 청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의 모든 휴대 전자기기는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맞춰 컴팩트한 제품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에 자체 내장된 소형 스피커의 음향재생 성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감상할 때, 장시간 이어폰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거나 복수의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서는 내장 스피커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원하는 수준의 확성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부 스피커를 구입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휴대 전자기기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동시에도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는 외부 스피커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스피커 작동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의 전력이 빠르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전자기기의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부를 페트병, 종이 등과 같이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거나 제작할 수 있는 임의의 확관 형태를 가진 나팔 형상의 구조물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적인 전력 및 에너지의 소모없이 전체적인 음향을 증폭, 확산시키거나 저음부를 보강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및 착탈이 용이한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작동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심 사용자의 창의성을 자극하여 습득 또는 개별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음향 증폭 울림통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를 제공함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측에 후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넥과, 상기 커넥터 넥의 전단에 구비되고 폭이 확장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넥을 통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음향이 전달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넥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스피커와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전단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넥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넥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스피커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후단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넥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도록,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넥의 후단 둘레를 따라 도포되는 점착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넥의 후단이 점착되도록,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는 점착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넥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외측면을 둘러서 상기 커넥터 넥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며,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해 일측에 확경부가 확장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울림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울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규격이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울림통의 후단이 상기 복수 개의 끼움홈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각도와 방향의 전환이 자유로운 탄성 재질의 중공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넥은, 일단이 상기 걸림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에 의하면, 별도의 외부 스피커 없이도, 간편하게 휴대 전자기기의 내장 스피커의 출력 음향을 증폭, 확산시켜 들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는 별도의 외부 스피커를 구입하는 것보다 경제적으로 저렴하며, 가볍고 튼튼하여 휴대성 및 내구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창의성을 발휘하여 다양한 형태의 음향 증폭 울림통을 제작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발명의 즐거움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에 다양한 형태와 사이즈의 폐 페트병을 끼워서 음향 증폭기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재활용에 일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와 별도의 외장 스피커를 통해 두 개의 음향 소스를 구현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스테레오 사운드로 즐기거나,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가 저음을 강조하는 우퍼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전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전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스마트폰을 도면에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체 스피커를 통해 음향 출력이 가능한 모든 휴대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이하, '연결기구')(100)는,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연결기구(100)는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넥(300)과, 커넥터 넥(300)의 전단에 구비되고 폭이 확장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커넥터 넥(300)은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와 대향하도록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커넥터 넥(300)과 커넥터 하우징(400)은 서로 연통한다.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은 커넥터 넥(300)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400)으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는, 음향의 증폭 현상을 높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00)의 전방에 별도의 울림통(500)이 결합된다. 이때,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은 커넥터 넥(300)과 커넥터 하우징(400)을 통과하여 울림통(500)으로 전달되며, 울림통(500)에서 음향 증폭과 저음부가 보강된 음향은 울림통(500) 전단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다른 예로서, 커넥터 하우징(400)의 내주면이 커넥터 넥(300)으로부터 멀어져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형태 즉, 음향의 증폭 및 확산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400)에서 음향의 증폭 및 확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넥터 넥(300)은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가 노출된 부위에 결합되며, 결합 틈새를 통한 음향의 누설이 없도록, 내장 스피커가 설치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밀착하여 내장 스피커 전체를 덮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10)가 내부에 수납되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일측에 연결기구(1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테두리 일측에는,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스피커홀(21)이 절개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넥(300)의 후단이 이 스피커홀(21)에 결합된다.
커넥터 넥(300)은, 스피커홀(21)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310)와, 결합부(310)의 전단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결합부(310)의 후단 둘레를 따라 걸림턱(311)이 돌출 형성되며, 커넥터 넥(300)의 결합부(310)를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스피커홀(21)에 삽입하면, 스피커홀(21)의 내주면 테두리에 걸림턱(311)이 걸려서 커넥터 넥(30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걸림턱(311)의 양면이 각각 스피커홀(21)의 내주면과 스피커의 테두리에 밀착되기 때문에, 음향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대부분의 음향이 커넥터 넥(300)을 통해서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 및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스피커홀(21)이 장방 타원형인 경우에 부합하도록, 결합부(310)의 둘레가 장방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연결부(320)는 결합부(310)의 전단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연결부(320)의 전단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부(320)는 후단의 장방 타원형 단면 형상이 전단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면서 원형 단면으로 변화하는 외주면을 갖는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커넥터 넥(300)의 전단과 후단의 단면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20)의 전단 둘레를 따라 폭이 확장된 걸림부(3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걸림부는 커넥터 하우징(400)의 관통홀(410)에 끼워져 커넥터 넥(300)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커넥터 넥(300)의 연결부(320) 전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방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룬다. 다른 예로서, 커넥터 하우징(400)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확장되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넥터 넥(300)의 중공과 커넥터 하우징(400)의 공간부는 서로 연통하며,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은 커넥터 넥(300)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400)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400)의 전면에 규격이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끼움홈(450)이 형성된다. 이 복수 개의 끼움홈(450)은 규격이 서로 상이한 울림통(500)의 후단을 커넥터 하우징(4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동심의 환형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00) 전면의 관통홀(410)로부터 소정 간격 외측으로 이격하여 환형의 돌출부(44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440)의 내부 공간은 제1 끼움홈(451)을 이루며, 돌출부(440)와 커넥터 하우징(400) 내주면 사이의 공간은 제2 끼움홈(452)을 이루게 된다.
커넥터 하우징(400)의 전방으로 중공 형상의 울림통(5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울림통(500)은 내부가 커넥터 하우징(400)의 공간부와 연통하며, 커넥터 하우징(400)을 통해 울림통(500)으로 전달된 음향은 울림통(500)의 내벽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증폭, 확산된다. 음향의 증폭과 확산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울림통(500)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확경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울림통(500)은 폐 페트(PET)병을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페트병의 주둥이에서 마개를 제거하고 주둥이에서 바닥면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확경부(510)가 포함되도록 몸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페트병의 주둥이를 커넥터 하우징(400)의 공간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폐 페트병의 종류에 따라 주둥이의 직경이 다소 상이할지라도, 사용자는 폐 페트병의 주둥이를 직경이 상이한 제1,제2 끼움홈(451,452) 또는 커넥터 하우징(400)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하여 울림통(500)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3은 제2 끼움홈(452)에 울림통(500)의 주둥이를 끼움 결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의 예보다 주둥이 직경이 더 큰 울림통(500)을 커넥터 하우징(40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페트병의 주둥이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관련 산업의 몇 가지 표준화된 사이즈들을 따르기에, 끼움홈(452)과 커넥터 하우징(400)의 사이즈도 산업 표준 사이즈들에 준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페트병의 주둥이를 커넥터 하우징(400)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4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별도의 울림통(500)을 제작하여 커넥터 하우징(400)에 결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울림통(500)과 커넥터 하우징(400)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울림통(500)과 커넥터 하우징(400) 및 커넥터 넥(30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 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넥(300)과 커넥터 하우징(400)이 서로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커넥터 넥(300)의 전단이 커넥터 하우징(400) 후단 중앙의 관통홀(410)에 끼움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연결부(320)의 전단 둘레를 따라 걸림부(321)가 형성되며, 커넥터 넥(300)과 커넥터 하우징(400) 결합시 이 걸림부(321)가 커넥터 하우징(400) 전면의 관통홀(410) 테두리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커넥터 넥(300)과 커넥터 하우징(40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각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 또는 후술하는 울림통(500)과의 결합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커넥터 넥(300)과 커넥터 하우징(400)은 합성수지 재질, 예컨대 일반 플라스틱이나, 제품의 변형과 회복이 용이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또는 고무(rubber)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커넥터 넥(300)에 탄성밴드(340)가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커넥터 넥(3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결합부(310)에 탄성밴드(340)의 일측이 결합된다. 예컨대, 탄성밴드(340)의 일측에 관통공(341)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341)에 결합부(310)를 끼워서 커넥터 넥(300)과 탄성밴드(34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탄성밴드(340)의 이탈 방지를 위해, 결합부(310)의 외주면 일측에 둘레를 따라 결합홈(313)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313)에 탄성밴드(340)의 관통공(341) 내주면이 걸리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휴대 전자기기(10)의 제조사에 따라 내장 스피커 설치 위치가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6은 탄성밴드(340)가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외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두르고, 커넥터 넥(300)이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 하단의 스피커홀(21)에 밀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탄성밴드(340)가 휴대 전자기기(10)의 외측면을 폭 방향으로 두르고, 커넥터 넥(300)이 휴대 전자기기(10) 후면의 내장 스피커에 밀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가 없는 경우에도, 탄성밴드(340)로 휴대 전자기기(10)를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둘러서 커넥터 넥(300)을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에 밀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6과 도 7은 커넥터 하우징(4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나사선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복수 개의 끼움홈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00)의 내주면에 복수의 나사선(420)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가 제거된 페트병의 주둥이를 커넥터 하우징(400)의 공간부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30)는 커넥터 넥(300)과 커넥터 하우징(400)이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때, 폐 페트병으로 제작한 울림통(500)을 커넥터 하우징(400)의 전방에 결합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된 울림통(500)을 결합하거나, 울림통(500)과 커넥터 하우징(400), 또는 울림통(500)과 커넥터 하우징(400) 및 커넥터 넥(300)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5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경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스피커홀(21)이 장방 타원형임에 따라, 커넥터 넥(300)의 결합부(310)가 이와 대응되도록 장방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연결부(320)의 전단이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예를 설명하였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커넥터 넥(300)의 형상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스피커홀(21)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40)처럼, 커넥터 넥(300)의 결합부(310)와 연결부(32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6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50)는 커넥터 넥(300)의 결합부(310) 후단 둘레를 따라 반복적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재(312)가 도포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5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50)는, 별도의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에 수납하지 않은 상태로 휴대 전자기기(1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타입의 점착재(312)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 노출 부위에 커넥터 넥(300)의 결합부(310)를 반복하여 탈부착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를 커넥터 넥(300)의 결합부(310)가 둘러싸도록 결합부(310)의 후단을 휴대 전자기기(10)의 일면에 밀착시킴으로써, 결합부(310) 후단에 도포된 점착재(312)에 의해 커넥터 넥(300)이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 노출 부위에 점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 전자기기(10)가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에 수납된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스피커홀(21)을 둘러싸도록 결합부(310)의 후단을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일면에 밀착시킴으로써, 결합부(310) 후단에 도포된 점착재(312)에 의해 커넥터 넥(300)이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스피커홀(21) 둘레를 따라 점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예는 내장 스피커가 휴대 전자기기(10)의 후면 커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한 변형 예로서,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 노출부위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스피커홀(21) 둘레를 따라 반복적 탈부착이 가능한 양면 점착시트(미도시)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결합부(310)의 후단 둘레를 따라 점착재(312)가 도포되지 않더라도, 결합부(310) 후단이 점착시트에 점착되어 휴대 전자기기(10)와 커넥터 넥(300),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와 커넥터 넥(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넥(300)의 결합부(310)가 사각형 단면 형상이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310)의 단면 형상은 장방 타원형 등 내장 스피커 또는 스피커홀(21)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60)는,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 날개부(330)를 포함하여 커넥터 넥(300')가 구성된다.
커넥터 하우징(400)의 후면 중앙부에는 관통홀(410)이 형성되며, 한 쌍의 탄성 날개부(330)는 커넥터 하우징(400)의 후면에서 관통홀(4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후방으로 나란히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를 이룬다.
한 쌍의 탄성 날개부(330)는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일측이 그 사이에 끼워져 커넥터 넥(300')과 결합하게 된다. 즉, 한 쌍의 탄성 날개부(330)가 클립처럼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일측에 끼워지는 것이며, 커넥터 넥(300') 결합시 탄성 날개부(330)는 탄성 변형된 후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양면을 각각 가압 지지하여 커넥터 넥(3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커넥터 하우징(400)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410)은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스피커홀(21)과 연통하게 되며, 따라서 관통홀(410)의 형상은 내장 스피커 또는 스피커홀(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410)이 스피커홀(21)을 통해 내장 스피커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두께만큼 관통홀(410)의 주변부(430)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 위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한 쌍의 탄성 날개부(330) 사이 간격이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제품 두께를 감안하여 형성될 필요가 있다.
제8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70)는, 커넥터 하우징(400)의 관통홀(410)을 내장 스피커에 밀착시키는 한편, 연결기구(150)의 분리 또는 유동 방지를 위한 탄성밴드(340)가 커넥터 넥(300')의 일측에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7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탄성 날개부(330)의 외측면에 각각 'ㄱ'자 형상의 걸림고리(331)가 돌출 형성되며,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재질 등 탄성을 가진 탄성밴드(340)의 양단이 각각의 걸림고리(331)에 결합된다.
이때, 탄성밴드(340)는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외측면을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두르게 되며, 커넥터 넥(300')은 탄성밴드(340)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의 스피커홀(21)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20)가 없는 경우에도 탄성밴드(340)를 이용하여 연결기구(150)를 휴대 전자기기(10)에 결합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80)는, 전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00)와 유사하며 다만, 커넥터 넥(300")의 연결부(320')가 각도와 방향의 전환이 자유로운 탄성 재질의 긴 중공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제9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20')는 하우징(400)까지 길게 연장되며, 복수 개의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10)의 전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제1 굴곡부(322)와, 제1 굴곡부(322)의 끝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제2 굴곡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굴곡부(322)는 결합부(310)의 전단에서 상향 굴곡 형성될 수 있고, 제2 굴곡부(323)는 제1 굴곡부(322)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울림통(500)이 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400)의 위치가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에 밀착되는 결합부(310)의 위치보다 약간 더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휴대 전자기기(10)를 바닥에 놓았을 때 울림통(500)의 외주면이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끔, 울림통(500)의 직경을 고려하여 커넥터 하우징(400)이 커넥터 넥(300)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또한, 휴대 전자기기(10)의 하단부 등에 두 개의 내장 스피커들이 위치해 있는 경우에 두 개의 내장 스피커 모두에 울림통(500)을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16에는 복수 개의 굴곡부(322,323)를 가진 연결부(320')가 원형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연결부(320')의 단면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예컨대, 휴대 전자기기(10)에 내장 스피커 2개가 서로 근접하여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내장 스피커에 연결기구(180)를 각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커넥터 넥(300) 전단에 별도의 중공 튜브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중공 튜브의 후단이 커넥터 넥(300)의 걸림부(3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공 튜브의 전단은 커넥터 하우징(4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중공 튜브가 복수 개의 굴곡부를 갖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0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90)는 결합부(310)의 전단에서 커넥터 하우징(400)까지 연결부(320')가 길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9 실시예와 유사하며 다만, 하나의 결합부(310)에서 2개의 연결부(320')가 양쪽으로 분기되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휴대 전자기기(10)에 2개의 울림통(50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전자기기(10)의 내장 스피커에서 커넥터 넥(300'")로 입력된 음향은 각각의 연결부(320')를 따라 분기되어 서로 다른 울림통(500)을 통해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100~190)는 별도의 외부 스피커(미도시)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어폰 잭(미도시)에 유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거나,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연결된 외부 스피커를 통하여 하나의 음향을 출력하고, 동시에 내장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다른 하나의 음향을 연결기구(100~190)를 통해 증폭,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기구(100~190)는 외부 스피커에 대하여 베이스음이 강조된 우퍼(woofer)로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외부 스피커와 함께 두 개의 음향 소스를 구현함으로써 스테레오 사운드와 유사한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휴대 전자기기 20 :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21 : 스피커홀
100~190 :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300,300',300",300'" : 커넥터 넥
310 : 결합부 320,320' : 연결부
322 : 제1 굴곡부 323 : 제2 굴곡부
330 : 탄성 날개부 340 : 탄성밴드
400 : 커넥터 하우징 410 : 관통홀
420 : 나사선 450 : 끼움홈
500 : 울림통

Claims (13)

  1.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측에 후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넥과, 상기 커넥터 넥의 전단에 구비되고 폭이 확장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는 울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2.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측에 후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넥과, 상기 커넥터 넥의 전단에 구비되고 폭이 확장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는 울림통과의 끼움 결합을 위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규격이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울림통의 후단이 상기 복수 개의 끼움홈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넥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스피커와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통하며 상기 결합부의 전단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넥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전단 둘레를 따라 폭이 확장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넥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스피커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후단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넥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도록,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넥의 후단 둘레를 따라 도포되는 점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넥의 후단이 점착되도록,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는 점착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10. 삭제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넥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외측면을 둘러서 상기 커넥터 넥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넥은, 일단이 상기 걸림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13.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측에 후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넥과, 상기 커넥터 넥의 전단에 구비되고 폭이 확장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넥을 통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음향이 전달되되, 상기 커넥터 넥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스피커와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통하며 상기 결합부의 전방으로 2개로 분기되어 연장 형성되는 중공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각도와 방향의 전환이 자유로운 탄성 재질의 중공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KR1020150090633A 2015-06-25 2015-06-25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KR10164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633A KR101643097B1 (ko) 2015-06-25 2015-06-25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633A KR101643097B1 (ko) 2015-06-25 2015-06-25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097B1 true KR101643097B1 (ko) 2016-07-26

Family

ID=5668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633A KR101643097B1 (ko) 2015-06-25 2015-06-25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0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747B1 (ko) * 2017-07-19 2018-02-23 김주영 소라형태의 울림통을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대겸용 확성기
KR101904069B1 (ko) * 2017-07-04 2018-11-21 황주환 이동통신 단말기용 혼 스피커
KR101931103B1 (ko) * 2017-07-27 2018-12-20 황주환 이동통신 단말기용 방향전환 혼 스피커
KR102347597B1 (ko) * 2020-09-14 2022-01-06 송인관 스마트폰용 스피커 및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496A (ko) * 2002-08-28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용 확성장치
KR20050073726A (ko) * 2004-01-10 2005-07-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음향 증폭수단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72920Y1 (ko) * 2013-06-13 2014-06-17 박수현 다기능 핸드폰 고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496A (ko) * 2002-08-28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용 확성장치
KR20050073726A (ko) * 2004-01-10 2005-07-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음향 증폭수단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72920Y1 (ko) * 2013-06-13 2014-06-17 박수현 다기능 핸드폰 고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아이폰 사운드증폭기, http://blog.naver.com/hanoiloh/145078946, 2011.12.06.)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069B1 (ko) * 2017-07-04 2018-11-21 황주환 이동통신 단말기용 혼 스피커
KR101831747B1 (ko) * 2017-07-19 2018-02-23 김주영 소라형태의 울림통을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대겸용 확성기
KR101931103B1 (ko) * 2017-07-27 2018-12-20 황주환 이동통신 단말기용 방향전환 혼 스피커
KR102347597B1 (ko) * 2020-09-14 2022-01-06 송인관 스마트폰용 스피커 및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7992B2 (en) Mobile media device case/attachment for providing passive acoustic boosting
KR101643097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음향 증폭 및 확산을 위한 연결기구
KR100735428B1 (ko) 선택형 스테레오 헤드 셋 장치
US20060126882A1 (en) Earphone
KR100936393B1 (ko)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JP2007336511A (ja) 携帯用電磁機器用外装型スピーカーシステム及びこのための無線受信パック
KR101775389B1 (ko) 스마트폰 사운드 증폭 장치
US8861769B2 (en) Headphone device
US20180020279A1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device
EP3509319A1 (en) Sound output device
US20050273187A1 (en) Multi-sound source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KR102020330B1 (ko) 이어폰 어셈블리
KR101403765B1 (ko) 모바일용 확성장치
CN103026731A (zh) 头戴式耳机装置
CN105959853B (zh) 一种耳机
KR20170039428A (ko) 전자 디바이스
CN205829953U (zh) 一种耳机
KR102211883B1 (ko) 스마트폰용 무 전원 확성기
KR20150145488A (ko) 음향 기기를 위한 이어폰
KR200466579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마개형 이어폰
EP2804396A1 (en) Headphone device
CN209072671U (zh) 一种复合式耳机音响
KR20190056215A (ko)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TWM562536U (zh) 藍芽耳機之連結互動裝置
CN207652640U (zh) 一种半入耳式耳机和视听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