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561Y1 -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561Y1
KR200471561Y1 KR2020130008412U KR20130008412U KR200471561Y1 KR 200471561 Y1 KR200471561 Y1 KR 200471561Y1 KR 2020130008412 U KR2020130008412 U KR 2020130008412U KR 20130008412 U KR20130008412 U KR 20130008412U KR 200471561 Y1 KR200471561 Y1 KR 200471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plate
pair
body box
main body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현
Original Assignee
권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현 filed Critical 권용현
Priority to KR2020130008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5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08Clamp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라스크 몰드의 외측을 가압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생산되는 주물의 품질이 개선되도록,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 내측으로 복수개의 플라스크 몰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박스; 상기 플라스크 몰드의 일측을 가압 및 정렬하도록 상기 본체박스의 내측 제1면과 상호 대향 배치되는 클램핑플레이트;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양측 테두리부 및 상기 양측 테두리부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박스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타측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림고정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슬릿홈을 포함하는 정렬슬라이딩수단; 및 상기 본체박스의 내측 제1면 및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클램핑가압수단을 포함하는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clamping apparatus for flask mold}
본 고안은 플라크스 몰드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라스크 몰드의 외측을 가압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생산되는 주물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는 플라크스 몰드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쉘공법이란 주물사(鑄物沙)를 이용하여 금형을 제작한 후 상기 금형 사이에 용융된 쇳물을 채워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주물사를 이용한 금형은 제조하고자 하는 대상체의 외형에 대응되는 홈으로 형성되는 외측 주형과 상기 대상체의 내측 빈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측 주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 주형은 상단부에 상기 쇳물이 주입되는 깔대기 형상의 주입구가 형성되며 이러한 형상에 의해 플라스크 몰드라고 칭하기도 한다.
한편, 다수개의 상기 외측 주형을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 주형을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한 후 고정하는바 종래에는 상기 외측 주형의 상호 대응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면 상기 접착제의 농도 및 도포된 두께에 따라 상호 대응되는 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고정된 주형에 채워지는 고온으로 용융된 쇳물에 의해 상기 접착제가 변성되거나 접착력을 상실하여 상기 외측 주형 사이가 벌어지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나사 등의 체결부재는 상기 외측 주형에 나사홈과 같은 홈부를 형성해야되는바 상기 홈부에 의해 상기 외측 주형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파손되거나 쇳물을 채운후 상기 홈부에 의해 파손된 부분에서 고온의 쇳물이 새어나올 경우 작업자가 심각한 부상을 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51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 내측으로 복수개의 플라스크 몰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박스; 상기 플라스크 몰드의 일측을 가압 및 정렬하도록 상기 본체박스의 내측 제1면과 상호 대향 배치되는 클램핑플레이트;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의 양측 테두리부 및 상기 양측 테두리부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박스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타측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림고정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슬릿홈과,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에 상기 가이드슬릿홈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정렬슬라이딩수단; 및 상기 본체박스의 내측 제1면 및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클램핑가압수단을 포함하는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가압수단은 일단이 상기 본체박스 내측 제1면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되, 핸들부를 회전조작함에 따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한 쌍의 기어부에 의해 접철각도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접철암부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가 상호 대향되어 힌지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와,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의 접철각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가 대향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슬라이더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때, 상기 슬라이더바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바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가 대향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관통공에는 회전방향이 상호 대향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클램핑가압수단은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에 자유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고안의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는 상기 본체박스에 구비되는 상기 클램핑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가 상기 수용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플라스크 몰드의 일측을 균일한 힘으로 견고하게 가압하므로 접착제 등의 화학품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상기 플라스크 몰드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이다.
둘째,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와 상기 클램핑가압수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한 쌍의 기어부에 의해 힌지 회전되는 접철암부가 구비되되, 상기 접철암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접철되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의 전면에 균일하게 가압력이 전달되므로 상기 플라스크 몰드가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가이드돌기가 그의 타측 대향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슬롯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라스크 몰드를 일측으로 가압 및 정렬하는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의 이송궤도를 전후방향으로 제한되며 바닥면에 상기 슬라이딩안착부가 돌출되어 상기 플라스크 몰드를 보다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가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100)는 본체박스(10), 클램핑플레이트(20), 정렬슬라이딩수단(30) 그리고 클램핑가압수단(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크 몰드(M)란 쇳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내측이 중공부로 이루어진 외측 주형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측의 중공부에는 배관의 내주공이 형성되도록 중자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의 플라스크 몰드(M)를 연속적으로 배치한 후 상호대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상기 접착제의 농도 및 도포량에 따라 상기 플라스크 몰드(M) 간의 접착력이 상이하여 고정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접착된 상기 플라스크 몰드(M)가 떨어져 작업자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플라스크 몰드(M)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여 상기 주입구에 정확하게 상기 쇳물을 주입하기 어려워 불량 발생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 사이에 연통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가 존재할 경우 상기 플라스크 몰드(M) 간의 밀착력은 제품의 완성도에 매우 중요 역할을 하는데, 종래의 접착제로 접착시 밀착력이 저하되어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쇳물이 정확히 주입되지 못하거나 틈새로 새어나옴에 따라 작업자에게 상기 쇳물이 튀어 안전상의 위험이 더욱 증가되며 낭비되는 쇳물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세히, 복수개의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균일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본체박스(10)의 내측에 배치한다. 이때,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는 각각이 하나의 제품에 대응되는 주형으로 구비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플라스크 몰드(M)간에 연통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박스(10)는 상구가 개구된 장방형의 케이스 내측으로 상기 복수개의 플라스크 몰드(M)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박스(10)의 바닥면(14)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플라스크 몰드(M)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14)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슬라이딩돌기부(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플라스크 몰드(M)의 하면과 상기 본체박스(10)의 바닥면(14)이 밀착되도록 수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슬라이딩돌기부(1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닥면(14)과 밀착되는 면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플라스크 몰드(M)의 일면이 클램핑되어 상기 본체박스(10)의 일측으로 가압 이동되더라도 마찰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플라스크 몰드(M)에 쇳물을 주입시 상기 슬라이딩돌기부(16)에 의해 바닥면(14) 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쇳물이 식을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고, 상기 클램핑장치(100)로 전도되는 열기가 최소화되므로 작업자가 작업시 상기 클램핑장치(100)에 접촉되더라도 고온에 의한 부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돌기부(16)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가 가압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며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박스(10)의 내측으로 상기 복수개의 플라스크 몰드(M)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플라스크 몰드(M)의 일측을 가압 및 정렬하도록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는 상기 본체박스(10)의 내측 제1면(11)과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후술되는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에 의해 상기 본체박스(10)의 내측 제2면(12)을 향하여 가압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면(11)이란 상기 본체박스(10)에서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이 구비되는 전방측을 의미하며, 상기 제2면(12)이란 상기 수용부(15)가 형성되는 후방측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가압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15)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개의 플라스크 몰드(M)를 밀어 상기 본체박스(10)의 내측 제2면(12)을 향하여 가압되므로 실질적인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상기 본체박스(10)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수평방향으로 가압되어 균일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정렬슬라이딩수단(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렬슬라이딩수단(30)은 가이드돌기(31)와 가이드슬릿홈(3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양측 테두리부 및 상기 양측 테두리부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박스(10)의 양측면(13)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1)가 외측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측이란 상기 가이드돌기(31)가 가이드슬릿홈(32)와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31)가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양측 테두리부에 돌출될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31)의 단부는 상기 본체박스(10)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된다. 반대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본체박스(10)의 양측면(13) 내면에 돌출될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는 상기 본체박스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그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1)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홈(3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양측 테두리부에 상기 가이드돌기(31)가 돌출되고, 그의 타측으로 상기 본체박스(10)의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1)가 삽입되어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슬릿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슬릿홈(32)은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가압되어 이동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개구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에 의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상기 본체박스(10)의 제2면(12)을 향하여 가압시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양단부에 돌출된 상기 가이드돌기(31)가 상기 가이드슬릿홈(32)의 내주면을 따라 지지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하여,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상기 본체박스(10)의 전후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31)의 단부에는 이송롤러(3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돌기(31)가 상기 가이드슬릿홈(32)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가이드돌기(31)와 상기 가이드슬릿홈(32) 간의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이송롤러(31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롤러(31a)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31)가 상기 가이드슬릿홈(32)의 내측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만족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31)에 의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이동이 전후방향으로 구속되어 궤도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양측 테두리부에 상기 가이드돌기(31)가 돌출되고, 그의 타측으로 상기 본체박스(10) 양측면(13)의 대향되는 부분에 가이드슬릿홈(32)이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양측 테두리부에 가이드슬릿홈(32)이 형성되고 그의 타측으로 상기 본체박스(10) 양측면(13)의 대향되는 부분에 가이드돌기(31)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100)는 상기 본체박스(10)에 구비되는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상기 수용부(15)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플라스크 몰드(M)의 일측을 균일한 힘으로 견고하게 가압하므로 접착제로 접착하던 종래의 작업환경보다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31)가 그의 타측 대향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슬롯홈(32)에 삽입되어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일측으로 가압 및 정렬하는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이송궤도를 전후방향으로 제한하므로 상기 가압력이 상기 플라스크 몰드(M)에 균일하게 전해질 수 있다.
즉,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가 상기 본체박스 내측 제2면(12)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만으로도 균일하게 정렬 및 밀착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쇳물을 주입하는 타이밍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환경이 향상되고 외부로 흘러넘치거나 새어나오는 쇳물이 최소화되어 불량률이 감소되고 재료의 낭비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체박스(10)의 내측 제1면(11) 및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은 한 쌍의 접철암부(42),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 그리고 슬라이더바(4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는 상기 본체박스 내측 제1면(11)에 고정되는 제1접철암(45)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제2접철암(46)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접철암(45) 및 제2접철암(46)은 각각 중앙부가 접철되도록 각각 한 쌍의 암(arm, 45a,45b,46a,46b)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한 쌍의 암(45a,45b,46a,46b)이 인접한 단부에 한 쌍의 기어부(47)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기어부(47)가 회동됨에 따라 각각의 상기 한 쌍의 암(45a,45b, 46a,46b)이 형성하는 접철각도(θ1,θ2)가 가변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암(45a,45b,46a,46b)이 형성하는 접철각도는 상기 기어부(47)를 중심으로 상측부와 하측부가 동일한 각도로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어부(47)를 중심선으로 하여 상측으로 연결되는 암(45a,46a)의 각도와 상기 기어부(47)를 중심선으로 하여 하측으로 연결되는 암(45b,46b)의 각도가 서로 대응되도록 가변됨으로써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에 가압력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클렘핑플레이트(20) 전면에 동일한 힘의 가압력이 전해지므로 상기 플라스크 몰드(M)의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가압 및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철암부(42)의 접철각도(θ1,θ2)가 가변되도록 상기 접철암부(42)가 연결된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를 관통하는 상기 슬라이더바(4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기어부(47)가 회동되도록 핸들부(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미도시)는 상기 본체박스(10)의 제1면(11) 외측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핸들부(미도시)는 상기 슬라이더바(41)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도의 핸들부재를 상기 슬라이더바(41)의 단부에 연결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바(41)의 일단에 구비된 상기 핸들부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바(41)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 사이 간격이 가변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바(41)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가이더부(43)에 형성되는 관통공(43a)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에 형성되는 나사홈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슬라이더바(41)의 외면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이송가이더부(43) 사이의 간격이 가변됨에 따라 그에 힌지(49)연결되는 한 쌍의 접철암부(42)가 이루는 접철각도가 가변되면서 상기 본체박스(10) 내측 제1면(11)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핸들부(미도시)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은 상호 대향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가이더(43)의 양측부에 힌지(29)로 연결된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는 상기 기어부(47)에 의해 각도가 서로 대응되어 조절되며 이로 인해 한 쌍의 접철암부(42)의 접철각도(θ1,θ2)가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의 양단부가 상호 대향되어 상기 이송가이더부(43)의 양단부에 힌지(49)로 연결되되, 상기 이송가이더부(43)에 형성된 관통공(43a)을 관통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바(41)가 구비된다.
즉, 상호 대향되어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의 양단부가 힌지(49)로 연결된 상기 이송가이더부(43)는 상기 접철암부(42)의 접철각도(θ1,θ2)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바(41)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는 상호 대향 방향으로 이송되며, 이로 인해 상기 이송가이더부(43) 사이의 간격(L1,L2)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제1접철암(45)과 제2접철암(46)이 고정된 상기 본체박스(10) 내측 제1면(11)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 사이의 간격(W1,W2)이 가변되고,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상기 본체박스(10) 내측 제2면(12)을 향하여 이송되므로 상기 수용부(15)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일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세히, 도 2a를 참고하면, 상기 핸들부(미도시)를 회전시 상기 슬라이더바(41)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 사이의 간격(L1)이 넓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 사이의 간격(L1)이 넓어짐에 따라 상기 이송가이더부(43)에 힌지(49)로 연결된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의 접철각도(θ1)가 커진다.
그리하여, 상기 본체박스(10) 내측 제1면(11)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 사이 간격(W1)이 좁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수용부(15) 내측 공간이 넓어지므로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배치하거나 제거하기 용이해진다.
반대로, 도 2b를 참고하면,상기 핸들부(미도시)를 회전시 상기 슬라이더바(41)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 사이의 간격(L2)이 좁아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 사이의 간격(L2)이 넓어짐에 따라 상기 이송가이더부(43)에 힌지(49)로 연결된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의 접철각도(θ2)가 작아진다.
그리하여, 상기 본체박스(10) 내측 제1면(11)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 사이 간격(W2)이 넓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수용부(15) 내측 공간이 좁아지므로 상기 수용부(15)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상기 플라스크 몰드(M)의 일측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미도시)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 사이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43) 사이 간격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가 기설정된 각도(θ1,θ2)로 각각 접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가 접철됨에 따라 상기 본체박스(10) 내측 제1면(11)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 사이의 간격(W1,W2)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핸들부(미도시)를 회전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을 조작하여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박스(10)의 수용부(15)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가압 및 정렬이 용이하므로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31)가 그의 타측에 상기 본체박스(10) 양측면(13)의 상호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슬릿홈(32)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핸들부(미도시)는 경우에 따라 상기 본체박스(10)의 제1면(11)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기어부(47)와 연동되는 베벨기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에 의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상기 본체박스(10) 내측 제2면(12)을 향하여 가압시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전면을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은 상기 본체박스의 내측 제1면(11)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에 각각 대각선 방향(a,b)으로 고정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접철암(45)은 상기 본체박스(10)의 내측 제1면(11)에 고정되고, 상기 제2접철암(46)은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가 이루는 접철각도가 가변되며, 상기 접철각도가 작아짐에 따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상기 본체박스(10)의 내측 제2면(12)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42)가 상기 본체박스(10) 내측 제1면(11)과 클램핑플레이트(20)에 각각 고정되는 부분은 밀착면이 형성된 고정부(45c,46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45c,46c)는 상기 본체박스(10) 내측 제1면(11)과 클램핑플레이트(20)를 가압하는 면적이 최대화되도록 각각 대각선 방향(a,b)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45c,46c)가 상기 본체박스(10)의 바닥면(14)과 수직 혹은 수평을 이루어 고정될 경우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에 수직 혹은 수평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가압력이 어느 일면으로 국한되어 상기 수용부(15)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에 균일한 가압력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부(45c,46c)가 밀착되는 면적이 최대화되도록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을 대각선 방향(a,b)으로 고정하여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를 균일하게 가압함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균일하게 가압됨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은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에 자유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유 회동이라 함은 상기 핸들부(미도시)를 회전에 의해 상호 대향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43)에 의해 상기 접철암부(42) 사이에 별도의 동력수단 없이 자동으로 접철 회동됨을 의미한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 기어부(47)에 의해 상호 상하측 각도가 동일하게 힌지회전되므로 상기 접철각도(θ1,θ2)가 가변되면서도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플라스크 몰드(M)간의 간격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일체화되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 간에 밀착도가 개선되므로 상기 쇳물이 상기 플라스크 몰드(M) 간의 틈새로 새어나오는 등의 문제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뿐만 아니라 틈새로 새어나오거나 상기 주입구에 제대로 수입되지 못해 낭비되는 쇳물이 최소화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100)는 상기 본체박스(10)에 구비되는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가 상기 수용부(15)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플라스크 몰드(M)의 일측을 균일한 힘으로 견고하게 가압하므로 접착제 등의 화학품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상기 플라스크 몰드(M)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이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와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이 연결되는 부위에 한 쌍의 기어부(47)에 의해 힌지 회전되는 접철암부(42)가 구비되되, 상기 접철암부(42)가 상호 대응되도록 접철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전면에 균일하게 가압력이 전달되므로 상기 플라스크 몰드(M)가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돌기(31)가 그의 타측 대향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슬롯홈(32)에 삽입되어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일측으로 가압 및 정렬하는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의 이송궤도를 전후방향으로 제한되며 바닥면(15)에 상기 슬라이딩안착부(16)가 돌출되어 상기 플라스크 몰드(M)를 보다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플라스크 몰드(M)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쇳물을 주입하는 타이밍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환경이 향상되고 외부로 흘러넘치거나 새어나오는 쇳물이 최소화되어 불량률이 감소되고 재료의 낭비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핸들부를 회전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본체박스 내측 제1면(11)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상기 클램핑가압수단(40)의 조작이 용이하므로 초보자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 및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 : 본체박스 11 : 제1면
12 : 제2면 13 : 양측면
14 : 바닥면 15 : 수용부
16 : 슬라이딩돌기부 20 : 클램핑플레이트
30 : 정렬슬라이딩수단 31 : 가이드돌기
32 : 가이드슬릿홈 40 : 클램핑가압수단
41 : 슬라이더바 42 : 접철암부
43 : 이송가이더부 100 :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 내측으로 복수개의 플라스크 몰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박스;
    상기 플라스크 몰드의 일측을 가압 및 정렬하도록 상기 본체박스의 내측 제1면과 상호 대향 배치되는 클램핑플레이트;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의 양측 테두리부 및 상기 양측 테두리부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박스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타측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림고정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슬릿홈과,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에 상기 가이드슬릿홈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정렬슬라이딩수단; 및
    상기 본체박스의 내측 제1면 및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클램핑가압수단을 포함하는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가압수단은
    일단이 상기 본체박스 내측 제1면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되, 핸들부를 회전조작함에 따라 상기 클램핑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한 쌍의 기어부에 의해 접철각도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접철암부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가 상호 대향되어 힌지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와,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접철암부의 접철각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가 대향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슬라이더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바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바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송가이더부가 대향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관통공에는 회전방향이 상호 대향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가압수단은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에 자유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KR2020130008412U 2013-10-14 2013-10-14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KR200471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12U KR200471561Y1 (ko) 2013-10-14 2013-10-14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12U KR200471561Y1 (ko) 2013-10-14 2013-10-14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561Y1 true KR200471561Y1 (ko) 2014-03-04

Family

ID=5148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412U KR200471561Y1 (ko) 2013-10-14 2013-10-14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56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978B1 (ko) * 2014-06-05 2014-11-04 권용현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CN109676084A (zh) * 2019-01-03 2019-04-26 山西中条山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冷芯砂铸造装置及铸造工艺
KR101989190B1 (ko) 2019-04-12 2019-06-13 김기순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KR102049205B1 (ko) 2019-07-08 2019-11-26 이일재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KR102049532B1 (ko) 2019-07-08 2019-11-27 박흥식 피가공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cnc장치
KR102111414B1 (ko) 2020-03-08 2020-05-15 (주)와이제이텍 밀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903A (ja) * 1996-09-13 1998-04-07 Kunio Takekoshi 挟持装置
JP2000334545A (ja) * 1999-05-27 2000-12-05 Central Motor Co Ltd 型製造型枠装置
KR20010055350A (ko) * 1999-12-10 2001-07-04 이구택 필터프레스의 여과판 분리장치
KR20010108009A (ko) * 1999-10-08 2001-12-07 아라나 에라나 아구스틴 개선된 생사 몰드용 몰딩 챔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903A (ja) * 1996-09-13 1998-04-07 Kunio Takekoshi 挟持装置
JP2000334545A (ja) * 1999-05-27 2000-12-05 Central Motor Co Ltd 型製造型枠装置
KR20010108009A (ko) * 1999-10-08 2001-12-07 아라나 에라나 아구스틴 개선된 생사 몰드용 몰딩 챔버
KR20010055350A (ko) * 1999-12-10 2001-07-04 이구택 필터프레스의 여과판 분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978B1 (ko) * 2014-06-05 2014-11-04 권용현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CN109676084A (zh) * 2019-01-03 2019-04-26 山西中条山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冷芯砂铸造装置及铸造工艺
KR101989190B1 (ko) 2019-04-12 2019-06-13 김기순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KR102049205B1 (ko) 2019-07-08 2019-11-26 이일재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KR102049532B1 (ko) 2019-07-08 2019-11-27 박흥식 피가공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cnc장치
KR102111414B1 (ko) 2020-03-08 2020-05-15 (주)와이제이텍 밀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561Y1 (ko)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KR20150127137A (ko) 관절형 성형 조립체 및 그 사용 방법
KR101746642B1 (ko) 주조 플라스크 및 덤핑장치
CN103826777B (zh) 蜡模射出成型机用夹具装置
US20160059258A1 (en) Device for coating and/or impregnating a textile material
KR101710783B1 (ko) 립스틱성형물의 자동 삽입장치
EP3064292B1 (en) Mold shaping device
IT201900002831A1 (it) Dispositivo, macchina e metodo di colaggio di uno stick per labbra
KR101456978B1 (ko)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KR101350595B1 (ko) 인라인 모헤어 인서트 장치
CN205439103U (zh) 一种注塑模具
CA2690316C (en) Integrally plastic outlet pipe and making process thereof
CN204869483U (zh) 超薄壁制品的注射模具
JP2009255464A (ja) 積層品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CN210651650U (zh) 一种工业生产用注塑模具
CN108215066B (zh) 卧式注塑机动模支撑装置
CN107283763A (zh) 一种蜂巢式结构中底的模具及其制备方法
CN208714375U (zh) 一种减震器的加工模具
CN206623273U (zh) 一种五金端子包胶模具
CN110270487A (zh) 一种基于塑柄针灸针立架及其夹具的点胶方法
CN203599009U (zh) 一种狭缝式挤压涂布头
CN206124081U (zh) 一种定制式发泡夹具
KR101604265B1 (ko)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어셈블리
KR101434905B1 (ko) 사출성형기의 사출실린더 가이드로드 지지장치
CN203947287U (zh) 一种门襟成型辅助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