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205B1 -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205B1
KR102049205B1 KR1020190081827A KR20190081827A KR102049205B1 KR 102049205 B1 KR102049205 B1 KR 102049205B1 KR 1020190081827 A KR1020190081827 A KR 1020190081827A KR 20190081827 A KR20190081827 A KR 20190081827A KR 102049205 B1 KR102049205 B1 KR 10204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stening
stand
workpiec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재
Original Assignee
이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재 filed Critical 이일재
Priority to KR102019008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23B13/123Grippers, pushers or guid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23B13/126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6Measuring,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turning-machines for setting-on, feeding,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cutting tool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기의 파이프 라인 등과 같은 피공작물의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시 움직이 못하도록 체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CNC장비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반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선반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CNC장비에 의한 가공시 피가공물을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부; 및 상기 선반부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가 피가공물을 체결할 수 있도록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클램핑부의 전단을 피가공물 방향으로 밀어주는 체결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CNC MACHINE TOOL WITH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공조기의 파이프 라인 등과 같은 피공작물의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시 움직이 못하도록 체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을 가공할 때에는 CNC 공작기계(머신닝센터)에 공작물을 고정하고 공작기계에 설치된 드릴이나 리이머 또는 탭과 같은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의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공작물을 3축을 가공할 때에는 간편하였으나, 공작물 크기가 소형으로 되면서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고, 이로 인하여 공작물을 5~8축으로 가공하는 부품들이 많은 추세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간단한 가공일 경우,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공작기계에 공작물의 가공 면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고정한 다음 공작기계를 작도하여 가공하고 상면의 가공이 끝나면 공작기계를 정지시킨 다음 공작물을 고정하고 있는 클램핑 장치를 풀고 공작물을 인출한 다음 다시 다른 가공 면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공작물의 방향을 바꾸어 클램핑장치에 고정하여 가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은 CNC 공작기계에서 공작물의 가공면 마다 공작물의 가공 면을 바꾸어 주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공작물을 클램핑 장치에서 분리한 후 다시 고정하여야 하므로 공작물의 정밀도가 떨어져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7571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156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피공작물을 한꺼번에 체결한 뒤 CNC 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는, CNC장비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반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선반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CNC장비에 의한 가공시 피가공물을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부; 및 상기 선반부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가 피가공물을 체결할 수 있도록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클램핑부의 전단을 피가공물 방향으로 밀어주는 체결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부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선반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피가공물의 후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피가공물의 후단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고정지그;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 전단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체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지그와의 사이에 안착된 피가공물을 체결하는 구동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지그의 후단으로 노출된 피가공물의 일단이 안착되는 피가공물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가공물 안착부는, 전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CNC장비에 의한 가공시 피가공물의 일단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전달받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피가공물의 일단이 안착되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안착 선반;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단 상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안착 선반을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탠드는, 상기 상부 설치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아;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선반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선반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구동지그가 피가공물을 가압함에 따라 피가공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지그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체결하는 탄성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체결부는, 상기 구동지그의 후단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체결하는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구동지그 사이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구동지그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피공작물을 한꺼번에 체결한 뒤 CNC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단일의 체결 과정을 통해 다수 개의 피가공물을 체결하여 CNC 가공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클램핑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피가공물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선반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은 도 7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7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의 클램핑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프레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4의 프레임 지지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10)는, 선반부(100),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부(200) 및 체결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선반부(100)는, CNC장비(1)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부(200) 및 체결 구동부(300)가 연결 설치된다.
도 1에는 선반부(100)의 상측에 하나의 클램핑부(20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또는 CNC장비(1)의 공정 능력에 따라 두 개 이상의 클램핑부(200)가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CNC장비(1)는, CNC 공작기계(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CNC 工作 機械)라 함은, 소형 컴퓨터를 내장한 NC공작기계. 가공형상ㆍ가공조건ㆍ가공동작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의해 자동 프로그래밍을 하여 NC데이터로 변환시키고 펄스 신호화 된 상태로 보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공작기계를 가동시키는 장비를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CNC장비(1)는, 외측면을 따라 여러 종류의 공작 기계(예를 들어, 밀링 머신, 태핑 머신 등)를 구비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램핑부(200)에 고정된 피가공물(2)을 가공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멍(21) 등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CNC장비(1)에 의하여 가공될 수 있는 피가공물(2)은, 자동차 공조기의 파이프 라인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나 CNC 가공될 수 있는 물체이면 그 명칭이나 재질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클램핑부(200)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선반부(10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CNC장비(1)에 의한 가공시 전단에 설치되는 체결 구동부(300)와 구동 바아(310)(도 2 참조)에 의해 연결되며, 구동 바아(310)의 이동에 따라 함게 이동되어 피가공물(2)을 체결한다.
체결 구동부(300)는, 선반부(100)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클램핑부(200)가 피가공물(2)을 체결할 수 있도록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 바아(310)에 의의하여 연결 설치된 클램핑부(200)의 전단을 피가공물(2) 방향으로 밀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10)는,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피공작물을 한꺼번에 체결한 뒤 CNC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단일의 체결 과정을 통해 다수 개의 피가공물을 체결하여 CNC 가공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200a)는, 슬라이딩부(210), 고정지그(220) 및 구동지그(23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210)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선반부(10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연결 설치되며,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가공물(2)이 체결된다.
고정지그(220)는, 슬라이딩부(210)의 상부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피가공물(2)의 후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피가공물(2)의 후단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221)을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지그(220)는, 피가공물(2)의 일단(2a)이 통과할 수 있도록 안착홈(222)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지그(230)는, 슬라이딩부(210)의 상부 전단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체결 구동부(300)의 구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고정지그(220)와의 사이에 안착된 피가공물(2)을 체결한다.
이때, 구동지그(230)는, 체결 구동부(300)로부터 연결되는 구동 바아(310)가 전단에 형성되는 연결홈(231)에 설치되도록 하며, 구동 바아(310)의 이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체결홈(221)에 후단이 안착된 피가공물(2)을 체결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클램핑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200b)는, 슬라이딩부(210), 고정지그(220), 구동지그(230) 및 피가공물 안착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210), 고정지그(220) 및 구동지그(23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피가공물 안착부(24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ㄴ" 형태의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슬라이딩부(210)의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고정지그(220)의 후단으로 노출된 피가공물(2)의 일단(2a)(도 2 참조)이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피가공물 안착부(240)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는 체결나사(243)가 회전하면서 고정지그(220)의 후단에 체결됨에 따라 슬라이딩부(210)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200b)는, CNC 가공시 피가공물(2)의 후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단(2a)이 가공에 따라 다른 구성들과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가공물(2)의 일단(2a)이 다른 구성들과 분리되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피가공물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피가공물 안착부(240)는, 슬라이딩 프레임(241), 안착 선반(242) 및 선반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프레임(241)은, 전단이 슬라이딩부(210)의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상측 각 모서리 부분에 선반 지지부(500)가 각각 설치된다.
안착 선반(242)은, CNC장비(1)에 의한 가공시 피가공물(2)의 일단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전달받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피가공물(2)의 일단이 안착되는 슬라이딩 프레임(241)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선반 지지부(5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선반 지지부(500)는, 슬라이딩 프레임(241)의 전단 상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 선반(242)을 지지한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선반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반 지지부(500)는, 몸체부(510),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5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스탠드(520)는,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안착 선반(242)을 지지한다.
제2 스탠드(530)는,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510)를 지지한다.
도 7의 제2 스탠드(5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탠드(5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8 및 도 9은 도 7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바디(511), 상부 설치홈(512), 하부 설치홈(513), 탄성 지지체(514) 및 충격흡수 패드(515)를 포함한다.
바디(5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512) 및 하부 설치홈(513)에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설치홈(512)은, 제1 스탠드(5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5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5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체(514)는, 상부 설치홈(5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520) 또는 하부 설치홈(5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5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5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5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5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5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지지한다.
충격흡수 패드(515)는, 제1 스탠드(520) 또는 제2 스탠드(5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5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5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설치홈(513)의 내부 형성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설치홈(512)의 형성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7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스탠드(520)는, 지지바아(521), 받침대(522) 및 슬라이딩 패드(523)를 포함한다.
지지바아(521)는, 상부 설치홈(5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5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5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5211)을 형성한다.
받침대(5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5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5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패드(523)는,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선반(24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선반(242)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받침대(5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523)는, 슬라이딩홈(5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돌기(5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안착 선반(242)을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패드(5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5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5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제2 스탠드(5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2 스탠드(5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1의 클램핑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200)는, 슬라이딩부(210), 고정지그(220), 구동지그(230) 및 탄성 체결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210), 고정지그(220) 및 구동지그(23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 체결부(250)는, 구동지그(230)가 피가공물(2)을 가압함에 따라 피가공물(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동지그(230)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피가공물(2)을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체결부(250)는, 체결 프레임(251) 및 프레임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체결 프레임(251)은, 구동지그(230)의 후단에 설치되어 프레임 지지부(400)에 의하여 지지되며, 피가공물(2)을 가압하여 체결한다.
이때, 체결 프레임(251)는, 피가공물(2)과의 마찰로 인해 피가공물(2)의 표면에 상처는 입힐 수 있는 금속재보다는, 상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탄성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 등이 후면에 코팅된 재질 등)로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프레임 지지부(400)는, 체결 프레임(251)과 구동지그(230) 사이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체결 프레임(251)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200)는, 단단한 표면을 형성하는 구동지그(230)를 이용하여 후단에 위치하는 피가공물(2)를 체결하는 경우 기 설정된 힘 이상으로 가압되어 피가공물(2)이 파손되는 일이 왕왕 발생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보원 발명에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피가공물(2)를 체결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2)이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프레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레임 지지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도 13에서는, 프레임 지지부(400)이 구동지그(230)과 체결 프레임(251)의 사이에 누인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 지지부(400)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 프레임(251)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420)는,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프레임 지지부(400)는, 체결 프레임(251)과 구동지그(230) 사이에 설치되며, 체결 프레임(251)이 피가공물(2)을 가압함에 따라 탄성력을 형성하는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판(410)가 체결 프레임(251)을 지탱하여 피가공물(2)을 일정한 힘으로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4의 프레임 지지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100: 선반부
200: 클램핑부
210: 슬라이딩부
220: 고정지그
230: 구동지그
240: 피가공물 안착부
250: 탄성 체결부
300: 체결 구동부

Claims (5)

  1. CNC장비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반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선반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CNC장비에 의한 가공시 피가공물을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부; 및
    상기 선반부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가 피가공물을 체결할 수 있도록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클램핑부의 전단을 피가공물 방향으로 밀어주는 체결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선반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피가공물의 후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피가공물의 후단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고정지그;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 전단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체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지그와의 사이에 안착된 피가공물을 체결하는 구동지그; 및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지그의 후단으로 노출된 피가공물의 일단이 안착되는 피가공물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가공물 안착부는, 전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CNC장비에 의한 가공시 피가공물의 일단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전달받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피가공물의 일단이 안착되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안착 선반;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단 상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반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안착 선반을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탠드는, 상기 상부 설치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아;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선반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선반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하는,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구동지그가 피가공물을 가압함에 따라 피가공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지그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체결하는 탄성 체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 체결부는, 상기 구동지그의 후단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체결하는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구동지그 사이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구동지그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KR1020190081827A 2019-07-08 2019-07-08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KR10204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827A KR102049205B1 (ko) 2019-07-08 2019-07-08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827A KR102049205B1 (ko) 2019-07-08 2019-07-08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205B1 true KR102049205B1 (ko) 2019-11-26

Family

ID=6873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827A KR102049205B1 (ko) 2019-07-08 2019-07-08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2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629U (ko) * 1984-09-10 1986-04-05
KR200471561Y1 (ko) 2013-10-14 2014-03-04 권용현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KR20150017571A (ko) 2013-08-07 2015-02-17 심윤섭 초소형 cnc 선반의 공작물 클램핑 장치
KR101989190B1 (ko) * 2019-04-12 2019-06-13 김기순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629U (ko) * 1984-09-10 1986-04-05
KR20150017571A (ko) 2013-08-07 2015-02-17 심윤섭 초소형 cnc 선반의 공작물 클램핑 장치
KR200471561Y1 (ko) 2013-10-14 2014-03-04 권용현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KR101989190B1 (ko) * 2019-04-12 2019-06-13 김기순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532B1 (ko) 피가공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cnc장치
CN104551755A (zh) 双头镗底筒支撑工装
KR102060819B1 (ko) 태핑 가공 유닛
CN102896532B (zh) 夹具
KR102049205B1 (ko) 체결 장치를 구비한 가공 장치
CN210549233U (zh) 一种夹具位置灵活可调的箱体焊接变位机
CN204771646U (zh) 汽车转向节的自动校正分中机构
CN104209681B (zh) 一种机械人焊接动车骨架设备
CN106112086A (zh) 一种汽车空调配件钻铣立体加工机
CN211661569U (zh) 一种夹具位置可调的数控车床
CN211639117U (zh) 一种具有多面加工功能的切削装置
KR101928710B1 (ko) 서포트 브래킷용 지그
KR102054510B1 (ko) Cnc 가공 머신을 이용한 가공 시스템
KR101079283B1 (ko) 변형을 최소화 하는 중,대형 가공기
CN210476248U (zh) 一种长方型泵用悬架体加工工装
CN211413745U (zh) 用于阀门加工的钻孔装置
CN101468410A (zh) 分体式齿轮倒棱机及其加工方法
KR102331659B1 (ko) 피팅 가공용 cnc 절삭 장치
CN102380786B (zh) 一种盘铣刀装夹装置及斗杆专用机床
CN108839292B (zh) 一种汽车底盘悬架用衬套修边设备
KR20070070517A (ko) 머시닝센터의 이면기준 가공용 테이블 장치
CN208895624U (zh) 一种可用于斜面加工的铣镗设备
KR20160055469A (ko) 머시닝 센터를 이용한 제품의 3d 가공방법 및 그 장치
CN216029646U (zh) 一种立卧两用加工中心
KR101834265B1 (ko) 수직형 머시닝 센터용 스핀들 유니트 재제조 가공을 위한 세팅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