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414B1 - 밀링 장치 - Google Patents

밀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414B1
KR102111414B1 KR1020200028730A KR20200028730A KR102111414B1 KR 102111414 B1 KR102111414 B1 KR 102111414B1 KR 1020200028730 A KR1020200028730 A KR 1020200028730A KR 20200028730 A KR20200028730 A KR 20200028730A KR 102111414 B1 KR102111414 B1 KR 102111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upport
cover
roll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균
Original Assignee
(주)와이제이텍
안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제이텍, 안현균 filed Critical (주)와이제이텍
Priority to KR102020002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6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one vertical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and blowing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물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 상태로 CNC 장비 등에 의한 절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밀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링 장치{Milling device}
본 발명은 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 상태로 CNC 장비 등에 의한 절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밀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을 가공할 때에는 CNC 공작기계(머신닝센터)에 공작물을 고정하고 공작기계에 설치된 드릴이나 리이머 또는 탭과 같은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의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공작물을 3축을 가공할 때에는 간편하였으나, 공작물 크기가 소형으로 되면서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고, 이로 인하여 공작물을 5~8축으로 가공하는 부품들이 많은 추세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간단한 가공일 경우,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공작기계에 공작물의 가공 면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고정한 다음 공작기계를 작도하여 가공하고 상면의 가공이 끝나면 공작기계를 정지시킨 다음 공작물을 고정하고 있는 클램핑 장치를 풀고 공작물을 인출한 다음 다시 다른 가공 면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공작물의 방향을 바꾸어 클램핑장치에 고정하여 가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은 CNC 공작기계에서 공작물의 가공면 마다 공작물의 가공 면을 바꾸어 주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공작물을 클램핑 장치에서 분리한 후 다시 고정하여야 하므로 공작물의 정밀도가 떨어져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7571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156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CNC장비에 의한 가공시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밀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피가공물의 절삭 과정 도중에 발생되는 분진 등으로 인해 작업자가 이를 흡입하여 호흡기 관련 질병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가공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한 뒤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작업장이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현한 밀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는, 피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밀링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는, 상기 밀링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선반부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밀링부에 의해 절삭 가공되는 피가공물을 체결하는 클램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선반부의 상측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선반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안착된 피가공물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에 설치되는 가압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밀어 주거나,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클램핑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밀링부에 의한 절삭 가공에 따라 상기 클램핑부에 의해 체결된 피가공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분진 포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 포집부는, 가로로 누인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피가공물과 대향하는 후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밀링부에 의한 절삭 가공이 시작되면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절삭 가공에 따라 피가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 롤러;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클램핑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집 롤러는,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개구부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며, 상측으로 갈 수록 피가공물이 위치하는 후단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파도 형태로 형성되는 포집 블레이드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집 블레이드는, 상기 포집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포집되는 분진이 다른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가면서 상기 포집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포집 롤러의 회전 방향의 반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포집 롤러의 후단을 제외한 상기 포집 롤러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도록 평판을 둥글게 밴딩한 형태로 형성되는 롤러 덮개; 상기 롤러 덮개의 일측을 덮는 제1 측면 덮개; 상기 롤러 덮개의 다른 일측을 덮는 제2 측면 덮개; 피가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롤러 덮개의 상측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덮개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벽체; 및 피가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롤러 덮개의 하측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덮개의 하측 단부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대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1 측면 덮개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덮개는, 상기 포집 롤러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여 상기 포집 롤러 방향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공기 분사 노즐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측면 덮개와 상기 제2 측면 덮개에 일측 및 다른 일측 회전축이 연결 설치되며, 회전되면서 상기 롤러 덮개의 상부 내측으로 수납되며, 상기 롤러 덮개의 상부 내측으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롤러 덮개의 후단 개구부를 덮어 개폐하는 후면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케이스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름이 줄어드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포집 롤러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다른 일측으로 이동된 분진을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CNC장비에 의한 가공시 피가공물을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CNC장비에 의한 피가공물의 가공을 정밀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가공물의 절삭 과정 도중에 발생되는 분진 등으로 인해 작업자가 이를 흡입하여 호흡기 관련 질병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가공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한 뒤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작업장이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분진 포집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제2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10)는, 밀링부(100)를 포함한다.
밀링부(100)는, 피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며, 이를 위해 드릴(D) 등의 절삭 가공 장치가 고정 또는 교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클램핑부(300)에 의해 체결된 피가공물(P)을 절삭 가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밀링 장치(10)는, 선반부(200) 및 클램핑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반부(200)는, 밀링부(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클램핑부(300)가 슬라이딩 이동한다.
클램핑부(300)는, 선반부(20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며, 선반부(200)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밀링부(100)에 의해 절삭 가공되는 피가공물을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10)는, CNC장비에 의한 가공시 피가공물을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CNC장비에 의한 피가공물의 가공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램핑부(30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 지지부(320), 고정부(330) 및 클램핑 가압부(34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선반부(200)의 상측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선반부(20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며, 후단에 지지부(320)가 설치되고, 전단에 클램핑 가압부(340)가 설치되며, 클램핑 가압부(340)와 지지부(320) 사이에 고정부(330)가 설치된다.
지지부(32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부(330)와의 사이에 안착된 피가공물(P)의 후단을 체결한다.
고정부(330)는, 지지부(320)의 전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클램핑 가압부(340)에 의하여 지지부(3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320)와의 사이에 안착된 피가공물(P)을 눌러 고정시킨다.
클램핑 가압부(340)는, 고정부(330)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에 설치되는 가압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고정부(330)를 지지부(320) 방향으로 밀어주거나, 지지부(3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클램핑부(300)는, 절삭 과정 중에 피가공물(P)을 단단하게 체결함으로써, 절각 과정 중에 피가공물(P)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정확한 절삭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20)는, 밀링부(100), 선반부(200), 클램핑부(300) 및 분진 포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링부(100), 선반부(200) 및 클램핑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분진 포집부(400)는, 클램핑부(300)의 상측에 설치되며, 밀링부(100)에 의한 절삭 가공에 따라 클램핑부(300)에 의해 체결된 피가공물(P)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여 배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링 장치(20)는, 피가공물(P)의 절삭 과정 도중에 발생되는 분진 등으로 인해 작업자가 이를 흡입하여 호흡기 관련 질병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가공물(P)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한 뒤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작업장이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분진 포집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분진 포집부(400)는, 케이스(410), 포집 롤러(420), 제1 지지대(430) 및 제2 지지대(440)를 포함한다.
케이스(410)는, 가로로 누인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피가공물과 대향하는 후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포집 롤러(42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410)는, 롤러 덮개(411), 제1 측면 덮개(412), 제2 측면 덮개(413), 제1 벽체(414) 및 제2 벽체(415)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덮개(411)는, 포집 롤러(420)의 후단을 제외한 포집 롤러(420)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도록 평판을 둥글게 밴딩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측면 덮개(412)는, 롤러 덮개(411)의 일측을 덮는다.
제2 측면 덮개(413)는, 롤러 덮개(411)의 다른 일측을 덮는다.
제1 벽체(414)는, 피가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롤러 덮개(411)의 상측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롤러 덮개(411)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제2 벽체(415)는, 피가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롤러 덮개(411)의 하측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롤러 덮개(411)의 하측 단부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포집 롤러(420)는, 케이스(410)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스텝 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등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며, 밀링부(100)에 의한 절삭 가공이 시작되면 회전하여 케이스(410)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절삭 가공에 따라 피가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한다.
일 실시예에서, 포집 롤러(420)는, 외주면이 케이스(410)의 개방된 개구부(F)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며, 상측으로 갈 수록 피가공물이 위치하는 후단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파도 형태로 형성되는 포집 블레이드(B)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집 블레이드(B)는, 포집 롤러(420)가 회전함(도 6의 W1 방향)에 따라 포집되는 분진이 다른 일측으로 이동(도 6의 W2 방향)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가면서 포집 롤러(420)의 외주면을 따라 포집 롤러(420)의 회전 방향의 반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430)는, 클램핑부(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케이스(410)의 일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대(430)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제1 측면 덮개(412)의 내측에 설치되는 분사 노즐(N)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덮개(412)는, 포집 롤러(420)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제1 지지대(430)로부터 전달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여 포집 롤러(420) 방향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공기 분사 노즐(N)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대(440)는, 클램핑부(30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케이스(41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410)는, 롤러 덮개(411), 제1 측면 덮개(412), 제2 측면 덮개(413), 제1 벽체(414), 제2 벽체(415) 및 후면 덮개(416)를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 덮개(411), 제1 측면 덮개(412), 제2 측면 덮개(413), 제1 벽체(414) 및 제2 벽체(415)는,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후면 덮개(416)는, 제1 측면 덮개(412)와 제2 측면 덮개(413)에 일측 및 다른 일측 회전축(C2)이 연결 설치되며, 회전되면서 롤러 덮개(411)의 상부 내측(4131)으로 수납되며, 롤러 덮개(411)의 상부 내측(4131)으로부터 회전되어 롤러 덮개(411)의 후단 개구부를 덮어 개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410)는, 포집 롤러(420)의 공회전을 이용한 포집 롤러(420)에 부착된 분진 등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 후면 덮개(416)를 이용하여 케이스(4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 뒤 케이스(4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포집 롤러(420)의 블레이드(B) 사이 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포집 롤러(420)에 부착된 분진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분진 등은 후술하는 제2 지지대(44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지지대(440)는, 케이스(4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름이 줄어드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며, 포집 롤러(420)에 의해 케이스(410)의 다른 일측으로 이동된 분진을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포집 롤러(420)의 다른 일측은 롤러 덮개(41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대(417)에 회전축(C3)이 연결 설치되어 롤러 덮개(411)의 내측 공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밀링 장치
100: 밀링부
200: 선반부
300: 클램핑부
400: 분진 포집부

Claims (2)

  1. 피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밀링부;
    상기 밀링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선반부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밀링부에 의해 절삭 가공되는 피가공물을 체결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선반부의 상측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선반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안착된 피가공물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에 설치되는 가압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밀어주거나,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클램핑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밀링부에 의한 절삭 가공에 따라 상기 클램핑부에 의해 체결된 피가공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분진 포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진 포집부는,
    가로로 누인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피가공물과 대향하는 후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밀링부에 의한 절삭 가공이 시작되면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절삭 가공에 따라 피가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 롤러;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클램핑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 롤러는,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개구부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며, 상측으로 갈 수록 피가공물이 위치하는 후단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파도 형태로 형성되는 포집 블레이드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포집 블레이드는,
    상기 포집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포집되는 분진이 다른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가면서 상기 포집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포집 롤러의 회전 방향의 반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포집 롤러의 후단을 제외한 상기 포집 롤러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도록 평판을 둥글게 밴딩한 형태로 형성되는 롤러 덮개;
    상기 롤러 덮개의 일측을 덮는 제1 측면 덮개;
    상기 롤러 덮개의 다른 일측을 덮는 제2 측면 덮개;
    피가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롤러 덮개의 상측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덮개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벽체; 및
    피가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롤러 덮개의 하측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덮개의 하측 단부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1 측면 덮개로 전달하며,
    상기 제1 측면 덮개는,
    상기 포집 롤러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여 상기 포집 롤러 방향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공기 분사 노즐이 다수 개 형성되는, 밀링 장치.
  2. 삭제
KR1020200028730A 2020-03-08 2020-03-08 밀링 장치 KR102111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30A KR102111414B1 (ko) 2020-03-08 2020-03-08 밀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30A KR102111414B1 (ko) 2020-03-08 2020-03-08 밀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414B1 true KR102111414B1 (ko) 2020-05-15

Family

ID=7067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730A KR102111414B1 (ko) 2020-03-08 2020-03-08 밀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8347A (zh) * 2022-03-01 2022-04-22 周卓强 一种具有升降台的铣床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19B1 (ko) * 2006-11-28 2007-10-23 김태석 슬래그 분석시료 가공용 밀링머신의 칩 포집장치
KR200471561Y1 (ko) 2013-10-14 2014-03-04 권용현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KR20150017571A (ko) 2013-08-07 2015-02-17 심윤섭 초소형 cnc 선반의 공작물 클램핑 장치
KR101989190B1 (ko) * 2019-04-12 2019-06-13 김기순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KR102049532B1 (ko) * 2019-07-08 2019-11-27 박흥식 피가공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cnc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19B1 (ko) * 2006-11-28 2007-10-23 김태석 슬래그 분석시료 가공용 밀링머신의 칩 포집장치
KR20150017571A (ko) 2013-08-07 2015-02-17 심윤섭 초소형 cnc 선반의 공작물 클램핑 장치
KR200471561Y1 (ko) 2013-10-14 2014-03-04 권용현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KR101989190B1 (ko) * 2019-04-12 2019-06-13 김기순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KR102049532B1 (ko) * 2019-07-08 2019-11-27 박흥식 피가공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cnc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8347A (zh) * 2022-03-01 2022-04-22 周卓强 一种具有升降台的铣床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9078A (en) Chip and dust collection apparatus
US7334969B2 (en) Methods of drill nozzle use and manufacture
US5440809A (en) Dust collector for hand-held power tool
US4011792A (en) Rotary tool exhaust hood
US7775143B2 (en) Work table having adjustable hose support
US20100307308A1 (en) Blade enclosure for a table saw
KR102111414B1 (ko) 밀링 장치
JPH11501873A (ja) 屑や削り屑の除去
EP1422032A1 (de) Elektrohandwerkzeugmaschine
US6237657B1 (en) Router with dust suction hood
KR20080107755A (ko) 칩제거를 위한 집진 장치를 구비한 cnc 고속 가공기
JP3110454B2 (ja) 木工フライス盤用保護およびガイド装置
JP5087113B2 (ja) 携帯用切削工具及び集塵構造体
JP2019532849A (ja) 原動機駆動式ツールのためのダスト除去装置
US5370165A (en) Attachment for a portable router
US6642468B2 (en) Wire cutting electric discharge machine with collection of machined chips
US20220134502A1 (en) Dust collection and debris removal device
US5311914A (en) Attachment for a portable router
WO2016108800A1 (en) A functionalized cutter and/or driller bit removing debris
JP2601142Y2 (ja) 工作機械の切粉吸引除去装置
JP2912564B2 (ja) 携帯用回転工具
JPS5936353Y2 (ja) 切屑誘導装置
US20090020184A1 (en) Portable planing machine
JP7251766B2 (ja) 工作機械の切粉飛散防止構造
JP2021020296A (ja) 切粉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