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510Y1 -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510Y1
KR200471510Y1 KR2020120001006U KR20120001006U KR200471510Y1 KR 200471510 Y1 KR200471510 Y1 KR 200471510Y1 KR 2020120001006 U KR2020120001006 U KR 2020120001006U KR 20120001006 U KR20120001006 U KR 20120001006U KR 200471510 Y1 KR200471510 Y1 KR 200471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nt
pot
potted
potted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951U (ko
Inventor
최다혜
윤두경
Original Assignee
윤두경
최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두경, 최다혜 filed Critical 윤두경
Priority to KR2020120001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51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5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는, 복수의 화분을 각각 감싸 지지토록, 상기 화분 둘레의 일 영역을 감싸는 제1 화분지지부와, 상기 제1 화분지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화분 둘레의 나머지 영역을 감싸는 제2 화분지지부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분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화분지지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화분이 공사장에서 가림막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지지부용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화분지지부 및 상기 제2 화분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하여 상기 화분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화분을 상기 화분지지부에 고정하도록, 단부에 화분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화분고정용 접촉부가 구비된 화분고정용 볼트가 제공되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각종 공사현장에서 작업영역을 구획하여 보행인, 작업자 및 주행차량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식물(인조식물 포함)이 심어져 있는 화분을 이용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도시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FENCE FOR CONSTRUCTION SITE USING FLOWER POT}
본 고안은 공사장 가림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공사현장에서 작업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화분을 이용하여 구성된 공사장 가림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가스공사 등의 굴착작업 현장 및 공사현장에서는 보행인이나 차량이 일정범위 이상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공사현장 등에서 안전펜스를 작업표시 경계선에 설치하여 작업영역을 구획함으로써 보행인, 작업자 및 주행차량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안전펜스는 공사현장에서 위험을 경고하거나 진입을 금지시켜 공사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주위환경을 정돈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전펜스는 맨홀과 같이 위험한 지역에 작업자나 보행자의 접근을 막기 위해서도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펜스는 다양한 형태가 개시되어 있고, 도 1은 그 중에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펜스(100)는 차폐패널(101)과, 이 차폐패널(10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1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대(102) 사이에 지지로드(103)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쉽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래주머니(104)를 상기 지지로드(103)에 올려놓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펜스는 획일적인 형태로 제작되고, 철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져, 도시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각종 공사현장에서 작업영역을 구획하여 보행인, 작업자 및 주행차량의 안전을 확보하고, 식물(인조식물 포함)이 심어져 있는 화분을 이용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면서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고안은, 복수의 화분을 각각 감싸 지지토록, 상기 화분 둘레의 일 영역을 감싸는 제1 화분지지부와, 상기 제1 화분지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화분 둘레의 나머지 영역을 감싸는 제2 화분지지부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분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화분지지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화분이 공사장에서 가림막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지지부용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화분지지부 및 상기 제2 화분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하여 상기 화분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화분을 상기 화분지지부에 고정하도록, 단부에 화분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화분고정용 접촉부가 구비된 화분고정용 볼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화분지지부와 상기 제2 화분지지부를 양쪽에서 고정하여 상기 화분의 위치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지지부용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화분지지부 및 상기 제2 화분지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지지부용 연결부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용 연결부는, 제1 지지부용 연결부와 제2 지지부용 연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화분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용 연결부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2 화분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용 연결부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된다.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용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화분지지부에 의해 고정된 복수의 화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에 의하면, 각종 공사현장에서 작업영역을 구획하여 보행인, 작업자 및 주행차량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식물(인조식물 포함)이 심어져 있는 화분을 이용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또한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펜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2)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1)(1')(1")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이하, '공사장 가림막장치'라고 함)(1)(1')(1")는 크게 복수의 화분지지부(10) 및 지지부용 연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화분지지부(10)는 복수의 화분을 각각 감싸 지지토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용 연결부(20)는 복수의 화분지지부(10)를 서로 연결토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화분지지부(10)가 지지부용 연결부(2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화분이 공사장에서 가림막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펜스는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획일적인 형태로 제작되어 미관을 해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기존 화분을 각종 공사현장에서의 가림막으로 사용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식물은 인조식물을 포함하고, 화분은 기존 제품들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분지지부(1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화분을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즉, 화분 대신에 화분지지부(10)에 장착되어 가림막 기능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화분지지부(10)는 복수의 화분 각각을 지지토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화분에 대해서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지지부(10)가 각각의 화분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다.
그런데, 각각의 화분에 구비되는 화분지지부(10)의 개수에 제한은 없으나, 많아질수록 화분을 지지하는 힘이 커져 안정성이 향상되는 반면 비용도 증가하므로, 사용자는 그 개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화분지지부(10)는, 화분 둘레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제1 화분지지부(12)와, 제1 화분지지부와 결합하여 화분 둘레의 나머지 영역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제2 화분지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분지지부(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개수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회분지지부가 두 개의 구성요소인 제1 및 제2 회분지지부로 이루어진 예를 설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및 제2 화분지지부(12)(14)의 내주면은 화분의 외주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횡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도 3 참조)인 기존 화분을 이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화분지지부(12)(14)는 내주면이 이에 대응되도록 ㄷ자형 또는 반원형(도 3 참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화분지지부(12)와 제2 화분지지부(14)를 양쪽에서 고정하여 화분의 위치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지지부용 고정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용 고정부(30)는 다양한 형태의 결합수단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볼트너트 조임형태를 이용하였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화분지지부(12)(14)는 양단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이렇게 연장형성된 부분이 서로 마주하여 밀착된다. 다음, 연장형성된 부분에 관통형성된 구멍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와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화분지지부(12)(14)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복수의 화분 각각이 복수의 화분지지부(10) 각각에 의해 지지되고 서로 연결됨으로써,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분지지부(12) 및 제2 화분지지부(14)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하여 화분(2)을 고정하는 화분고정용 볼트(4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화분고정용 볼트(40)의 위치 및 개수는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에 화분지지부(10)가 설치된 경우, 화분지지부(1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동 등의 외부작용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려 화분의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분고정용 볼트(40)를 제1 화분지지부(12) 및 제2 화분지지부(14) 각각의 중간 부분에서 관통시켜 조임으로써, 화분의 외주면에 마주하는 화분고정용 볼트(40)의 단부가 화분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화분고정용 볼트(40)가 화분의 양쪽에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화분지지부(10)에 의해 화분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힘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분지지부(10)가 화분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분고정용 볼트(40)의 단부에는 화분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화분고정용 접촉부(4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분고정용 볼트(40)를 조여 화분에 힘을 가할 때, 화분고정용 볼트의 단부와 화분의 외면이 점접촉을 하게 되어 화분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분고정용 볼트(40)의 단부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분고정용 접촉부(42)와 화분의 외주면이 면상으로 접촉하게 되어, 화분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화분지지부(10)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화분의 외주면에 마주하는 화분고정용 접촉부(42)의 면에는 고무소재의 화분고정용 접촉면(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분지지부(10)의 위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화분고정용 볼트(40)와 같이 이유로 제1 및 제2 화분지지부(12)(14)의 내주면에는 고무소재의 지지용 고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용 고무는 화분고정용 볼트 없이 사용되거나, 필요에 따라 화분고정용 볼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지지부용 연결부(20)는, 복수의 화분지지부(10)에 의해 고정된 복수의 화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펜스는 규격화되어 있어, 각각의 안전펜스 내에서의 위치 조정은 불가능하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안전펜스 자체를 위치 조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용 연결부(20)를 예를 들어 천소재의 벨트 형태로 제공하여 각각의 화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가림막장치의 형태를 필요에 따라 변형하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 가림막장치(1)(1')(1")는, 제1 및 제2 화분지지부(12)(14)와 지지부용 연결부(20)의 연결형태에 따라 도 3 내지 5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장치(1)를 참조하면, 제1, 제2 화분지지부(12)(14) 및 지지부용 연결부(20)는 독립된 구성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즉, 지지부용 고정부(30)에 의해 제1 및 제2 화분지지부(12)(14)가 결합된다. 동시에, 지지부용 고정부(30)에 의해 제1 및 제2 화분지지부(12)(14)와 지지부용 연결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다음, 제1 화분지지부(12) 및 제2 화분지지부(14) 중 어느 하나와 지지부용 연결부(20)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장치(1')를 참조하면, 제1 화분지지부(12)와 지지부용 연결부(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화분지지부(12)에 화분이 위치된 후 제2 화분지지부(14)를 지지부용 고정부(30)를 매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장치(1")를 참조하면, 지지부용 연결부(20)는, 제1 지지부용 연결부(22)와 제2 지지부용 연결부(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화분지지부(12)와 제1 지지부용 연결부(22)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되고, 제2 화분지지부(14)와 제2 지지부용 연결부(24)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부재를 제1 화분지지부(12)와 제2 화분지지부(14) 사이에 화분이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 각 화분의 양쪽에서 지지부용 고정부(30)를 매개로 제1 화분지지부와 제2 화분지지부를 결합하여 화분을 지지케 할 수 있다.
나아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화분지지부(12), 제2 화분지지부(14) 및 지지부용 연결부(20)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즉, ㄷ자형 또는 반원형 화분지지부와 지지부용 연결부가 교대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부재가 일 지점에서 접혀 제1 화분지지부와 제2 화분지지부가 화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그리고, 제1 화분지지부와 제2 화분지지부는 각 화분의 양쪽에서 지지부용 고정부를 매개로 결합하여 화분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되는 제1 화분지지부(12), 제2 화분지지부(14) 및 지지부용 연결부(20)는 규격화된 플라스틱 소재 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부재는 변형이 자유로운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부재를 팽팽히 하여 화분에 밀착시키면서, 화분의 양쪽에서 지지부용 고정부(30)로 마주하는 부재를 고정하여 화분을 지지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나의 부재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변형이 자유로워 기존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화분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1', 1" ... 공사장 가림막장치 2 ... 화분
10 ... 화분지지부 12, 14 ... 제1, 제2 화분지지부
20 ... 지지부용 연결부 22, 24 ... 제1, 제2 지지부용 연결부
30 ... 지지부용 고정부 40 ... 화분고정용 볼트
42 ... 화분고정용 접촉부 44 ... 화분고정용 접촉면

Claims (6)

  1. 복수의 화분을 각각 감싸 지지토록, 상기 화분 둘레의 일 영역을 감싸는 제1 화분지지부(12)와, 상기 제1 화분지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화분 둘레의 나머지 영역을 감싸는 제2 화분지지부(14)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분지지부(10); 및
    상기 복수의 화분지지부(1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화분이 공사장에서 가림막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지지부용 연결부(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화분지지부(12) 및 상기 제2 화분지지부(14)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하여 상기 화분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화분을 상기 화분지지부(10)에 고정하도록, 단부에 화분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화분고정용 접촉부(42)가 구비된 화분고정용 볼트(4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분지지부(12)와 상기 제2 화분지지부(14)를 양쪽에서 고정하여 상기 화분의 위치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지지부용 고정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분지지부(12) 및 상기 제2 화분지지부(14)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지지부용 연결부(20)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용 연결부(20)는, 제1 지지부용 연결부(22)와 제2 지지부용 연결부(24)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화분지지부(12)와 상기 제1 지지부용 연결부(22)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2 화분지지부(14)와 상기 제2 지지부용 연결부(24)는 하나의 부재로 이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용 연결부(20)는, 상기 복수의 화분지지부(10)에 의해 고정된 복수의 화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KR2020120001006U 2012-02-09 2012-02-09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KR200471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06U KR200471510Y1 (ko) 2012-02-09 2012-02-09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06U KR200471510Y1 (ko) 2012-02-09 2012-02-09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51U KR20130004951U (ko) 2013-08-20
KR200471510Y1 true KR200471510Y1 (ko) 2014-03-03

Family

ID=5148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006U KR200471510Y1 (ko) 2012-02-09 2012-02-09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5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22B1 (ko) * 2015-07-10 2018-09-07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수목 지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242U (ja) * 1992-01-13 1993-10-12 正直 小林 植木鉢保持具
KR960002764Y1 (ko) * 1993-10-29 1996-04-08 박영철 상하 신축 화분대
KR100473019B1 (ko) 2004-06-18 2005-03-14 채종면 보행자 보호용 휀스
KR100539503B1 (ko) * 2005-11-09 2006-01-12 주식회사 성호엔지니어링 공동주택단지 조경용 수목식재드럼 화단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242U (ja) * 1992-01-13 1993-10-12 正直 小林 植木鉢保持具
KR960002764Y1 (ko) * 1993-10-29 1996-04-08 박영철 상하 신축 화분대
KR100473019B1 (ko) 2004-06-18 2005-03-14 채종면 보행자 보호용 휀스
KR100539503B1 (ko) * 2005-11-09 2006-01-12 주식회사 성호엔지니어링 공동주택단지 조경용 수목식재드럼 화단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51U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224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20190052489A (ko) 송전철탑 건설 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이동통로 및 추락방지 장치
KR200471510Y1 (ko)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CA2916736A1 (en) Temporary fencing improvements
JP2009179931A (ja) 既存柱脚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JP2020014288A (ja) 障害物を含む斜面での太陽光パネル設置工法
KR101259351B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식물성장 억제 및 동물 진입 방지펜스
CN205348191U (zh) 一种安全基坑临边防护装置
KR101638751B1 (ko) 와이어 결속형 하천 바닥 보호부재,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661301B1 (ko) 무기초 지주 및 이를 포함하는 낙석방지 울타리 시공 방법
KR101293718B1 (ko) 도시계획단지 조경용 가로수 보호대 설치구조
CN205776163U (zh) 一种用于桩柱一体桥梁结构施工的桩帽结构
KR101083187B1 (ko) 기둥보호용 식생블록
KR200441171Y1 (ko) 수목지주대
CN205062672U (zh) 一种道路桥梁现场施工用防护装置
KR200403807Y1 (ko) 교각용 안전장치
JP3201125U (ja) フェンスプロテクター
JP3995648B2 (ja) 樹木の転倒防止装置
JPH0443251Y2 (ko)
KR20230149550A (ko) 고정부재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부재 및 토사유출방지 패널
KR20150001515U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슈 구조
KR101282094B1 (ko) 가로수 지지대
TW200636129A (en) Shock protecting structure
JP7142329B2 (ja) 防草ネット取付架台
KR20140056870A (ko) 수목도괴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