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764Y1 - 상하 신축 화분대 - Google Patents

상하 신축 화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764Y1
KR960002764Y1 KR2019930022461U KR930022461U KR960002764Y1 KR 960002764 Y1 KR960002764 Y1 KR 960002764Y1 KR 2019930022461 U KR2019930022461 U KR 2019930022461U KR 930022461 U KR930022461 U KR 930022461U KR 960002764 Y1 KR960002764 Y1 KR 960002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xed
support
connecting pip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570U (ko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2019930022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764Y1/ko
Publication of KR950010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하 신축 화분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대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대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신축봉 2 : 지지봉
2a 6a : 지지판 3 : 고정판
3a : 대형화분용 화분받침 3b,3c : 축관부
3d : 고정볼트 4 : 신축링
5 : 체결링 6 : 탄지봉
7 : 중,소형 화분용 화분받침 11 : 연결관
12 : 계합관 31,71 :원형부
32 : 다리 33,72 : 아암
73 : 파지구 75 : 클램프링
76 : 체결부
본 고안은 실내 또는 베란다 등의 공간을 화분으로 효과적으로 장식하기 위한 상하 신축 화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과 같은 분위기를 만끽하기 위하여 실내에 다수의 화분을 배치하거나, 특히 동절기에 화초를 보호하기 위하여 실외에 놓인 화분을 실내로 옮기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견지하에 좁은 공간에 다수의 화분을 배치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화분대가 연구되어왔고, 그 대표적인 예로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48-88296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화분대는 신축봉 기체의 상단에 조절봉을 연결하고 신축봉 기체의 하단에는 용수철을 통하여 지지봉을 연결하여 신축기둥을 구성하고, 이것의 상하 양단에 보호체를 설치함과 아울러 신축봉 기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화분용 아암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화분대를 상, 하 보호판에 의하여 천정과 바닥 사이에 협지시켜 상기 아암에 화분을 배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화분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화분대를 천정과 바닥 사이에 협지시킬 때 조절봉이 신축봉 기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화분대를 뉘어 조절봉을 회동시켜 길이를 조정한 다음 설치하여야 했기 때문에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화분대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기가 불편했고, 또한 정확한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몇번의 길이조정을 거치는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하였다.
둘째, 화분대가 상, 하의 보호체 만으로 협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현지 상태가 불안정하여 화분대가 쉽게 넘어질 우려가 있었다.
셋째, 화분용 아암의 굽힘 강도가 크지 않아서 대형화분을 설치하기 곤란함과 아울러 상기 둘째의 이유로 인하여 대형화분을 설치했을 경우에는 화분대가 넘어질 우러가 더욱 컸었다.
넷째,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화분용 아암을 신축봉 기체에 결합시킨 상태로 신축기둥을 구성함으로써 화분용 아암을 교환해야 할 경우에는 화분대를 다시 분해하여 상기 화분용 아암을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화분용 아암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화분대를 구석진 곳에 밀착시켜 설치 할 수 없어서 비교적 넓은 평면적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절봉의 길이만큼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신축봉 기체의 길이보다 낮거나 신축봉 기체의 길이와 조절봉의 길이와의 합보다 높은 실내공간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설치상태의 안정감이 높고, 좁은 공간 및 어떠한 높이의 실내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대, 중,소형의 화분을 조화롭게 설치할 수 있는 상하 신축 화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수의 연결관과 중간부 외주면에 외향 플렌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들을 임의의 길이를 가지도록 착탈자재로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계합관에 의하여 신축봉을 구성한다. 또한, 최상부 연결관의 상단부에는 그 요입부에 의한 내턱에 지지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하 탄동자재토록 상단에 지지판이 결합된 탄지봉을 삽입하여 연결한다. 또한, 최하부 연결관의 하단부는 하단에 지지판이 고착된 지지봉의 상단부에 승강자재로 외삽하여 이것들을 볼트형 신축령 및 너트형 체결링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또한, 중앙에 축관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리를 가진 3개의 내형화분용 화분받침이 외주면에 결합된 고정판을 상기 축관부를 통하여 상기 다리 높이 위치의 지지봉의 외주면에 외삽하여 고정볼트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의 방사면에는 축관부가 추가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위치의 고정판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대형화분용 화분받침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각 연결관의 외주면에는 l개 또는 다수의 중, 소형 화분용 화분받침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화분대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신축봉의 길이를 계합관 및 연결관을 적절한 수 만큼 연결함으로써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신축링 및 체결링에 의한 최하부 연결관 및 지지봉의 연결구조에 의하여도 신축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높이의 실내공간이라 할 지라도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하의 지지판에 의하여 천정과 바닥 사이에 협지되면서 대형화분용 화분받침의 다리에 의하여도 지지됨으로서 설치상태가 안정감이 있고, 대, 중, 소형 화분을 조화롭게 배치할수 있다.
또한, 최하부 연결관의 하단부를 지지봉의 상단부에 승강가능하게 외삽하여 결합시킨 구조이므로 설치공간의 높이에 따라 화분대를 세운 상태에서 최하부의 연결관을 상승시켜 협지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천정(8)과 바닥(9)사이에 화분대가 협지되어 있다.
참조부호1은 신축봉으로서,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다수의 연결관(11)과 이것들을 착탈가능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계합관(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계합관(12)은 중간부 외주면에 외향 플렌지(12a)가 환설되어 플랜지(12a)의 상부 부분은 상부 연결관(11)의 하단부에 삽입하고 플랜지(12a)의 하부 부분은 하부연결관(11)의 상단부에 삽입함으로써 연결관(11)들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즉, 연결관(1l)을 n개 계합관(12)을 n-1개 사용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임의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1)들 중 최상부의 연결관(11)의 중간부에는 요입부(1la)를 형성하여 이것에 의한 내턱(1la)에 지지되도록 스프링(6c)을 내설한다. 그리고, 상단에 지지판(6a)이 리벳팅에 의하여 결합된 탄지봉(6)의 하단부를 연결관(11)내의 스프링(6c)을 상단에 승강자재로 탄지시킨 다음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 링(6b)을 상기 연결관(11)의 상단에 삽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단지봉(6)의 하단부는 연결관(11)의 상단부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승강자재로 탄설되게 된다.
한편, 최하부 연결관(11)의 하단부는 하단에 지지판(2a)이 고착된 지지봉(2)의 상단부에 승강자재로 외삽된다. 상기 최하부 연결관(11)과 지지봉(2)은 상단에 내턱(4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다수의 신축편(42)이 연설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43)가 형성된 볼트형 신축링(4) 및 내주면에 암나사부(51)가 형성된 너트형 체결링(5)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지지봉(2)에 외삽된 연결관(11)의 하단이 신축링(4)의 내턱(41)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신축링(4)에 체결링(5)을 나합시켜 신축편(42)을 조임으로써 최하부 연결관(11)과 지지봉(2)이 고정된다. 따라서, 체결링(5)을 푼 상태에서는 최하부 연결관(11)을 잡고 이것을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는 상태이므로, 신축링(4)의 내턱(41)에 연결관(11)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링(5)을 승강시키면 신축링(4)과 함께신축봉(1)이 승강되므로, 이 승강된 상태에서 최하부 연결관(11)과 지지봉(2)을 상기한 것처럼 다시 고정함으로써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봉(2)의 일정 높이의 외주면에는 다리(32)를 가지는 3개의 대형화분용 화분받침(3a)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중앙 및 일측 방사면에 차례로 축관부(3b)(3c)가 형성된 고정판(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고정판(3)은 다리(32)의 높이가 같은 위치의 지지봉(2)의 외주면에 축관부(3b 또는3c)를 통하여 고정볼트(38)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3개의 대형화분용 화분받침(3a)은 양단에 아암(33)이 형성된 원형부(31)에 상기 아암(33)과 반대되는 위치에 다리(32)가 하향설치된 것으로서, 3개의 화분받침(3a)중 2개는 아암(33)을 고정판(3)의 외주면에 용접하여 고착되고, 1개의 화분받침(3a)은 아암(33)의 선단에 체결공(35)이 천설된 체결편(34)을 돌설하여 고정판(3)의 축관부(3c)측 외주면에 상기 체결편(34)을 볼트(36)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3)의 축관부(3c)측 외주면에 화분받침(3a)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이유는 비교적 구석진 곳에 설치할 때 이것을 이탈시킨 다음 축관부(3c)에 지지봉(2)을 삽입하여 지지봉(2)의 상단부와 신축봉(1)의 최하부 연결관(11)의 하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판(3)에 고착된 화분받침(3a)의 2개의 다리(32) 및 지지봉(2)의 지지판(2a)에 의하여 신축봉(1)을 안정감있게 지지함과 아울러 설치 평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연결봉(11)의 외주면에는 1개 또는 다수의 중, 소형 화분용 화분받침(7)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화분받침(7)은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나는 것처럼, 원형부(71)의 양단에 아암(72)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72)에 이어 호형 클램프링(75) 및 체결부(76)가 차례로 연설되며, 상기 일측 아암(72)에는 양측 아암을 파지하도록 파지구(73)가 핀(74)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측 호형 콜램프링(75, 75)에 의하여 연결관(11)의 외주면을 회동자재로 감싼 다음 파지구(73)를 하향 선회시켜 양측 아암(72)(72)을 협지시키고 양측 체결부(76,76)를 나비볼트(77) 및 나비너트(78)로 체결함으로써 착탈자재로 고정된다. 즉, 화분받침(7)은 파지구(73), 나비볼트(77) 및 나비너트(78)에 의하여 양측 클램프링(75)(75)이 연결관(11)의 외주면을 협지하도록 함으로써 연결관(1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하단에 지지판(2a)이 고착된 지지봉(2)을 바닥(9)에 입설한 다음 3개의 대형화분용 화분받침(3a)이 결합된 고정판(3)을 축관부(3b)을 통하여 다리(32)가 바닥에 접지되도록 지지봉(2)에 외삽하여 고정볼트(38)로 고정한다. 벽에 밀착시켜 설치하거나 구석진 곳에 설치할 경우에는 축관부(3c)측 화분받침(3a)은 이탈시키고 고정판(3)을 축관부(3c)를 통하여 지지봉(2)에 외삽하여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지지봉(2)의 상단을 통하여 체결링(5) 및 신축링(4)을 차례로 외삽한 다음 상단에 지지판(6a)이 결합된 탄지봉(6)의 하단부가 최상부 연결관(11)의 상단부에 탄설된 임의의 길이로 이루어진 신축봉(1)을 지지봉(2)에 외삽한다. 이 상태는 신축봉(1)의 최하부 연결관(11)이 지지봉(11)에 외삽되어 상기 신축봉(1)의 최하부 연결관(11)의 하단이 신축링(4)의 내턱(41)에 안착된 상태로서 체결링(5)을 상승시키면서 신축링(4)과 함께 신축봉(1)도 함께 상승되므로 지지판(6a)이 스프링(6c)에 의하여 천정(8)에 탄력성있게 밀착될 때까지 신축봉(1)을 상승시켜 체결링(5)을 신축링(4)에 나합시키면 신축봉(1)이 고정된다. 따라서, 신축봉(1)은 상, 하의 협지판(6a)(2a)에 의한 협지 및 화분 받침(3a)의 다리(32)에 지지에 의하여 안정감있게 설치되고 스프링(6c)의 탄동력에 의하여 협지상태는 더욱 양호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중, 소형 화분용 화분받침(7)을 필요한 방향으로 필요한 수만큼 각 연결관(11)의 외주면에 1개또는 다수개 장착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화분대의 설치가 완료되고, 대형화분용 화분받침(3a)의 원형부(31)에는 대형화분을 배치하고 중, 소형 화분용 화분받침(7)의 원형부(71)에는 중, 소형 화분(10)을 배치함으로써 대, 중, 소형 화분을 조화롭게 배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화분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어떠한 높이를 가진 실내공간에도 적절하게 설치할수 있다. 또한, 지지판(2a)(6a) 및 다리(3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정감이 있음과 아울러 천정(8)이 없는 곳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분받침(7)의 교환이 용이함은 물론 대, 중소형 화분을 조화롭게 배치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이라 할지라도 적은 펑면적을 점유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수개의 연결관(11)과 중간부 외주면에 외향플랜지(12a)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연결관(11)들을 임의의 길이로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계합관(12)으로 이루어진 신축봉(1)의 최상부 연결관(11)에는, 상단에 지지판(6a)이 결합된 탄지봉(6)을 연결관(11)의 요입부(11a)에 의한 내턱(11a')에 지지되는 스프링(6c)에 의하여 상하탄동가능하게 탄설하고, 상기 신축봉(1)의 최하부 연결관(11)은 하단에 지지판(2a)이 고착된 지지봉(2)의 상단부에 승강자재로 외삽하여 볼트형 신축링(4) 및 너트형 체결링(5)에 의하여 나합 고정하며, 상기 지지봉(2)이 축착되는 고정판(3)에는 그 중앙 및 방사면에 축관부(3b)(3c)를 형성하고 그 외주면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다리(32)를 가진 3개의 화분받침(3a)중 2개는 고착하고 1개는 상기 축관부(3c)측 외주면에 볼트(36)에 의하여 착탈자재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판(3)은 상기 축관부(3b 또는 3c)를 통하여 지지봉(2)에 외삽하여 고정볼트(3d)로 고정하고, 각 연결관(11)의 외주면에는 1개 또는 다수의 중, 소형 화분용 화분받침(7)을 그것의 클램프링(75)의 체결부(76)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신축 화분대.
  2. 제1항에 있어서, 중, 소형 화분용 화분받침(7)은 원형부(71)의 양단에 아암(72)을 형성하고 상기 아암(72)에 이어 클램프링(75)과 체결부(76)를 차례로 구성하며, 상기 일측 아암(72)에는 양측 아암을 파지하도록 핀(74)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파지구(73)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신축 화분대.
KR2019930022461U 1993-10-29 1993-10-29 상하 신축 화분대 KR960002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461U KR960002764Y1 (ko) 1993-10-29 1993-10-29 상하 신축 화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461U KR960002764Y1 (ko) 1993-10-29 1993-10-29 상하 신축 화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570U KR950010570U (ko) 1995-05-15
KR960002764Y1 true KR960002764Y1 (ko) 1996-04-08

Family

ID=1936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461U KR960002764Y1 (ko) 1993-10-29 1993-10-29 상하 신축 화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7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10Y1 (ko) * 2012-02-09 2014-03-03 윤두경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651B1 (ko) * 2012-04-18 2013-07-12 김미경 화분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10Y1 (ko) * 2012-02-09 2014-03-03 윤두경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570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6824A (en) Elevated plant holder
CN213486102U (zh) 一种稳定型园林树木用支护结构
KR960002764Y1 (ko) 상하 신축 화분대
CN207948375U (zh) 一种林业用植株支撑装置
KR960002765Y1 (ko) 종횡 신축 화분대
US4778140A (en) Support stand
US20190320593A1 (en) Plant support system
CN214385231U (zh) 一种双立杆绳吊种植架
CN215935753U (zh) 一种风景园林用支撑装置
CN220211265U (zh) 一种住宅小区绿化用树木调节式支架
CN217523310U (zh) 一种园林植物养护用植物生长校直装置
CN220823772U (zh) 一种园林绿化工程用苗木支撑结构
KR200385200Y1 (ko) 수목 지지대
CN215736128U (zh) 一种园林苗木支撑装置
CN219019851U (zh) 蔬菜立体栽培装置
CN215188427U (zh) 一种新型花盆
KR20230080686A (ko) 화분 거치대
CN215380125U (zh) 一种用于攀岩植物的花盆
CN220023743U (zh) 一种园林施工用苗木固定装置
CN211721305U (zh) 一种可自动调节的树木种植用支架
CN217884446U (zh) 一种距离调节以及可伸缩装置
CN213881163U (zh) 一种用于树体培养矫正装置
CN219069042U (zh) 一种绿化支架
CN220875354U (zh) 用于沃柑种植的棚内防倒器
JP3005238U (ja) 屋外での鉢植え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