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651B1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651B1
KR101285651B1 KR1020120040200A KR20120040200A KR101285651B1 KR 101285651 B1 KR101285651 B1 KR 101285651B1 KR 1020120040200 A KR1020120040200 A KR 1020120040200A KR 20120040200 A KR20120040200 A KR 20120040200A KR 101285651 B1 KR101285651 B1 KR 101285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intermediate support
horizontal plate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문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정종문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12004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25Flower-pot stabilisers, i.e. means to prevent flower-pots from tipping 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지지부 및 타측 지지부 사이에 수평구비된 중간 지지부의 수용구 내에 화분을 수용시켜 특히 실내장식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분이 쓰러지지 않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 받침대{SUPPORTER FOR FLOWER POT}
본 발명은 일측 지지부 및 타측 지지부 사이에 수평구비된 중간 지지부의 수용구 내에 화분을 수용시켜 특히 실내장식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분이 쓰러지지 않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실내조경을 위하여 실내공간에 배치하여 식물을 기르도록 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화분은 식물이 살아있는 상태로 실내의 어느 공간이나 용이하게 배치가 가능함으로, 매우 다양하게 실내장식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공간에 배치된 화분은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쓰러질 우려가 다분하여 실내공간에 배치된 화분이 쓰러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일측 지지부 및 타측 지지부 사이에 수평구비된 중간 지지부의 수용구 내에 화분을 수용시켜 특히 실내장식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분이 쓰러지지 않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 지지부 및 타측 지지부와; 상기 일측 지지부와 상기 타측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화분을 수용하는 수용구가 형성되는 중간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 지지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일측이 상부에 고정되는 일측 하부지지판과;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하부에 상기 중간 지지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일측 상부지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지지부는 상부 일측에 상기 중간 지지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타측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측 지지부의 삽입홈의 상부와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각각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지지부의 타측 상부와 상기 중간 지지부의 타측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홈내에 수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홈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홈내에 삽입되는 볼부재로 구성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 지지부와 상기 타측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의 하부방향에 상측이 개방된 물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중간 지지부의 수용구내에 복수의 환형의 보조 지지부가 수용되고, 복수의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의 중심부에 각각 보조 수용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 지지부의 수용구의 내주면 하측에 상기 수용구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복수의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의 보조 수용구의 내주면 하측에 각각 상기 보조 수용구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보조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일측 지지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일측이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일측 하부지지판과;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일측 상부지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지지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일측 지지부와 상기 타측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의 하부방향에 보조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지지판의 일측은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보조지지판의 상부면에 상측이 개방된 물받침대가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부면 타측에 상기 수용구에 수용된 화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화분의 상부 일측을 승강시키는 일측 승강부재와;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부면 타측에 구비되어 화분의 상부 타측을 승강시키는 타측 승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일측 승강부재는 중심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일측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일측 수평판과; 상기 일측 수평판의 일측에 수직형성되는 일측 수직판과; 상기 일측 수평판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일측 좌우이동판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일측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는 일측 가이드축과; 상기 일측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수평판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일측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승강부재는 중심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타측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부면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타측 수평판과; 상기 타측 수평판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타측 수직판과; 상기 타측 수평판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타측 좌우이동판과;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타측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는 타측 가이드축과; 상기 타측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타측 수평판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타측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일측 승강부재는 중심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일측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일측 수평판과; 상기 일측 수평판의 일측에 수직형성되는 일측 수직판과; 상기 일측 수평판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일측 좌우이동판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일측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는 일측 가이드축과; 상기 일측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수평판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일측 너트와; 상기 일측 수평판의 전측 및 상기 일측 수평판의 후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부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일측 가이드판과; 상기 일측 수직판의 일측면에 수평구비되는 일측 상부연장판과; 상기 중간 지지부의 일측에 수평구비되는 일측 하부연장판과;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내에 하측이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일측 상부연장판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의 상부방향 및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측 외주면에 환형의 일측 지지링이 수평형성되는 일측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승강부재는 중심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타측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타측 수평판과; 상기 타측 수평판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타측 수직판과; 상기 타측 수평판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타측 좌우이동판과;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타측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는 타측 가이드축과; 상기 타측 가이드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타측 수평판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타측 너트와; 상기 타측 수평판의 전측 및 상기 타측 수평판의 후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부면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타측 가이드판과; 상기 타측 수직판의 타측면에 수평구비되는 타측 상부연장판과; 상기 중간 지지부의 타측에 수평구비되는 타측 하부연장판과;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내에 하측이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타측 상부연장판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측 외주면에 환형의 타측 지지링이 수평형성되는 타측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측 지지부 및 타측 지지부 사이에 수평구비된 중간 지지부의 수용구 내에 화분을 수용시켜 특히 실내장식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분이 쓰러지지 않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분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중간 지지부에 화분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중간 지지부에서 타측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중간 지지부의 하부방향에 물받침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환형의 보조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중간 지지부의 일측이 일측 하부지지판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중간 지지부의 타측에 타측 지지부가 힌지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중간 지지부와 타측 지지부가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보조 지지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12는 보조 지지판의 상부면에 물받침대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13은 승강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측 수평판과 타측 수평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일측 좌우이동판과 타측 좌우이동판이 좌우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일예인 승강부재에 의해 화분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승강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일측 수평판과 타측 수평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다른예인 승강부재에 의해 화분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분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중간 지지부(30)에 화분(5)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분 받침대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 지지부(10), 타측 지지부(20) 및 중간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일측 지지부(10)는 실내공간의 바닥에 수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 지지부(20)는 상기 일측 지지부(10)의 타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실내공간의 바닥에 수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지지부(30)는 상기 일측 지지부(10)와 상기 타측 지지부(20)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중심부에는 화분(5)을 수용하는 수용구(301)가 형성된다.
상기 화분(5)은 크게, 상기 수용구(301)내에 수용되는 용기(51)와; 상기 용기(51)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51)의 상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환형의 고정턱(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분(5)의 환형의 상기 고정턱(52)은 상기 수용구(301)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에 사용자에 의해 안착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지지부(10)는 일측 하부지지판(111)과 일측 상부지지판(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상부면에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이 피스고정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부지지판(112)은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분(5)의 환형의 상기 고정턱(52)이 상기 일측 상부지지판(112)과 접하여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측 상부지지판(112)의 중심부에는 관통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13)의 하부에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이 수용될 수 있다.
도 4는 중간 지지부(30)에서 타측 지지부(2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지지부(20)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에서 사용자에 의해 분리가능한 타측 지지판(210)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타측 지지판(210)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타측 지지판(210)의 타측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수평함몰되는 삽입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지지판(210)의 삽입홈(211)내에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지지부(20)를 이루는 상기 타측 지지판(210)의 삽입홈(211) 상부와 상기 삽입홈(211)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삽입홈(211)과 연통되는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12)은 상측홈(212a)과 하측홈(21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홈(212a)은 상기 삽입홈(211)과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홈(211)의 내주면 상측에서 상기 삽입홈(21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홈(212b)은 상기 삽입홈(211)과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홈(211)의 내주면 하측에서 상기 삽입홈(21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 상부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 하부에 각각 홈(31)이 형성된다.
상기 홈(31)은 상측홈(31a)과 하측홈(3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홈(31a)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 상부에서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홈(31b)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 하부에서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 지지판(210)이 결합된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부재(311)와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볼부재(312)로 구성되는 고정부재(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11)는 상측탄성부재(311a)와 하측탄성부재(3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탄성부재(311a)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홈(31)의 상측홈(31a)내에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측탄성부재(311a)의 하측은 상기 상측홈(31a)의 내주면 하측에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탄성부재(311b)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홈(31)의 하측홈(31b)내에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측탄성부재(311b)의 상측은 상기 하측홈(31)의 내주면 상측에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볼부재(312)는 상측볼부재(312a)와 하측볼부재(31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볼부재(312a)의 하측이 상기 탄성부재(311)의 상측탄성부재(311a)의 상측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볼부재(312a)의 하측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홈(31)의 상측홈(31a)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홈(31)의 상측홈(31a)내에 하측이 수용된 상기 상측볼부재(312a)의 상측은 상기 타측 지지부(20)를 이루는 상기 타측 지지판(210)의 홈(212)의 상측홈(212a)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측볼부재(312b)의 상측이 상기 탄성부재(311)의 하측탄성부재(311b)의 하측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볼부재(312b)의 상측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홈(31)의 하측홈(31b)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홈(31)의 하측홈(31b)내에 상측이 수용된 상기 하측볼부재(312b)의 하측은 상기 타측 지지부(20)를 이루는 상기 타측 지지판(210)의 홈(212)의 하측홈(212b)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중간 지지부(30)의 하부방향에 물받침대(15)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화분(5)의 내부로 공급되어 화분(5)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물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상측이 개방된 물받침대(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받침대(15)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지지부(10)와 상기 타측 지지부(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받침대(15)는 수평상태인 바닥판(151)과; 상기 바닥판(151)이 하부 내측에 일체형성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판(151)의 외측으로 상향경사지는 환형의 격벽(1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환형의 보조 지지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수용구(301)의 내경크기보다 외경크기가 작은 화분(5)을 상기 수용구(301)내에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키기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수용구(301)내에 복수의 환형의 보조 지지부(40)가 수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2개의 환형의 보조 지지부(4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형의 보조 지지부(40)의 개수가 1개 또는 2개 이상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환형의 보조 지지부(40)가 2개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고, 2개의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40)를 각각 제 1보조 지지부(401) 및 제 2보조지지부(402)라 칭하기로 한다.
2개의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40)의 중심부에는 각각 보조 수용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용구(410)는 상기 제 1보조 지지부(40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1보조 수용구(410a)와; 상기 제 2보조 지지부(40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2보조 수용구(4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40)의 외주면 하측에는 2개의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40)의 내측으로 수평함몰되는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단차홈(4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홈(403)은 상기 제 1보조 지지부(401)의 외주면 하측에서 상기 제 1보조 지지부(401)의 내측으로 수평함몰형성되는 제 1단차홈(403a)과; 상기 제 2보조 지지부(402)의 외주면 하측에서 상기 제 2보조 지지부(402)의 내측으로 수평함몰형성되는 제 2단차홈(40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수용구(301)의 내주면 하측에는 상기 수용구(301)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환형의 지지턱(5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제 1보조 지지부(401)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수용구(301)내에 수용될 시 환형의 상기 지지턱(50)은 상기 제 1보조 지지부(401)의 제 1단차홈(403a)내에 수용될 수 있다.
2개의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40)의 보조 수용구(410) 내주면 하측에는 각각 상기 보조 수용구(410)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환형의 보조지지턱(6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보조지지턱(60)은 상기 제 1보조 수용구(410a)의 내주면 하측에서 상기 제 1보조 수용구(410a)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환형의 제 1보조지지턱(60a)과; 상기 제 2보조 수용구(410b)의 내주면 하측에서 상기 제 2보조수용구(410b)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환형의 제 2보조지지턱(60b);로 구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제 2보조 지지부(402)가 환형의 상기 제 1보조 지지부(401)의 제 1보조 수용구(410a)내에 수용될 시 환형의 제 1보조지지턱(60a)은 상기 제 2보조 지지부(402)의 제 2단차홈(403b)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 지지부(401)의 제 1보조지지턱(60a)의 내측에는 외경크기가 상기 제 1보조지지턱(60a)의 내경크기보다 미소(微小)만큼 작은 화분(5)의 상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 지지부(402)의 제 2보조지지턱(60b)의 내측에는 외경크기가 상기 제 2보조지지턱(60b)의 내경크기보다 미소(微小)만큼 작은 화분(5)의 상측이 수용될 수 있다.
도 9는 중간 지지부(30)의 일측이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중간 지지부(30)의 타측에 타측 지지부(20)가 힌지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중간 지지부(30)와 타측 지지부(20)가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지지부(10)는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과 상기 일측 상부지지판(112)으로 구성되되,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지지부(2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타측면 상측에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 하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부지지판(112)은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부지지판(112)의 중심부에는 상기 관통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지지부(20)의 상부 일측면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 하부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 상부지지판(112)의 관통구(113)내에 수용된 상태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타측 지지부(20)의 상부 일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 지지부(20)의 하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 하부면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하부면과 접한 상태로 접혀질 수 있다.
이로서, 사용자는 본 발명인 화분 받침대의 부피를 보다 용이하게 최소화하여 협소한 공간 등에도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보조 지지판(7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12는 보조 지지판(70)의 상부면에 물받침대(15)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지지부(10)의 일측 하부지지판(111)과 상기 타측 지지부(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하부방향에는 보조지지판(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지지부(2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타측면 하부에는 상기 보조지지판(70)의 일측 상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판(70)의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지지판(70)의 타측은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타측면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직상태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판(70)의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지지판(70)의 타측이 상기 보조지지판(7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판(70)의 상부면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상기 물받침대(15)가 안착될 수 있다.
도 13은 승강부재(8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측 수평판(811)과 타측 수평판(82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일측 좌우이동판(813)과 타측 좌우이동판(823)이 좌우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일예인 승강부재(80)에 의해 화분(5)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수용구(301) 또는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40)의 보조 수용구(410)로부터 화분(5)을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3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는 상기 수용구(301) 또는 상기 보조 수용구(410)에 수용된 화분(5)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8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80)는 일측 승강부재(810)와 타측 승강부재(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승강부재(810)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화분(5)의 용기(51)의 상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고정턱(52)의 일측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타측 승강부재(820)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구비되어 화분(5)의 용기(51)의 상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고정턱(52)의 타측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일측 승강부재(810)는 일측 수평판(811), 일측 수직판(812), 일측 좌우이동판(813), 일측 가이드축(814) 및 일측 너트(81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중심부에는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일측 가이드슬릿(81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가이드슬릿(811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하부면에는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단면 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일측 단차홈(81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일측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직판(812)은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813)은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일측 단차홈(811b)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하측에 사용자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타측 상부 또는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813)의 타측 상부에는 화분(5)의 용기(51)의 상부에 형성되는 환형의 고정턱(52)의 일측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축(814)은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813)의 일측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일측 가이드슬릿(811a)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너트(815)는 상기 일측 가이드축(81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일예로 상기 타측 승강부재(820)는 타측 수평판(821), 타측 수직판(822), 타측 좌우이동판(823), 타측 가이드축(824) 및 타측 너트(8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중심부에는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일측에서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타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타측 가이드슬릿(82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가이드슬릿(821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하부면에는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단면 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타측 단차홈(82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타측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직판(822)은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823)은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타측 단차홈(821b)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하측에 사용자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일측 상부 또는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823)의 일측 상부에는 화분(5)의 용기(51)의 상부에 형성되는 환형의 고정턱(52)의 타측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가이드축(824)은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823)의 타측 상부에 일체형성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타측 가이드슬릿(821a)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너트(825)는 상기 타측 가이드축(8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 수직판(812)의 상측을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 수직판(822)의 상측을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킴에 따라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분(5)의 환형의 고정턱(52)이 상승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승강부재(8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일측 수평판(811)과 타측 수평판(82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다른예인 승강부재(80)에 의해 화분(5)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 상기 일측 승강부재(810)는 도 17 내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수평판(811), 상기 일측 수직판(812),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813), 상기 일측 가이드축(814), 상기 일측 너트(815), 일측 가이드판(816), 일측 상부연장판(817), 일측 하부연장판(818) 및 일측볼트(819)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와 달리 상기 일측 승강부재(810)의 상기 일측 수평판(811)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판(816)은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전측 및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후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부연장판(817)은 상기 일측 수직판(812)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818)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볼트(819)의 하측은 상기 일측하부연장판(818)의 중심부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볼트(819)의 상측은 상기 일측 상부연장판(817)의 중심부 내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볼트(819)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818)의 상부방향 및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818)의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818)의 상부면 및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818)의 하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일측 볼트(819)를 따라 정역회전하는 환형의 일측 지지링(819a)이 일체형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볼트(819)의 상단부에는 상기 일측 상부연장판(817)이 상기 일측 볼트(819)의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의 일측 이탈방지링(819b)이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예로 상기 타측 승강부재(820)는 상기 타측 수평판(821), 상기 타측 수직판(822),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823), 상기 타측 가이드축(824), 상기 타측 너트(825), 타측 가이드판(826), 타측 상부연장판(827), 타측 하부연장판(828) 및 타측 볼트(829)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와 달리 상기 타측 승강부재(820)의 상기 타측 수평판(821)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승강가능하게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가이드판(826)은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전측 및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후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직판(822)의 일측면은 상기 일측 수직판(812)의 타측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타측 상부연장판(827)은 상기 타측 수직판(822)의 타측면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828)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면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볼트(829)의 하측은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828)의 중심부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볼트(829)의 상측은 상기 타측 상부연장판(827)의 중심부 내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볼트(829)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828)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828)의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828)의 상부면 및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828)의 하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타측 볼트(829)를 따라 정역회전하는 환형의 타측 지지링(829a)이 일체형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볼트(829)의 상단부에는 상기 타측 상부연장판(827)이 상기 타측 볼트(829)의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의 타측 이탈방지링(829b)이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일측 볼트(819)와 상기 타측 볼트(829)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일측 상부연장판(817) 및 상기 타측 상부연장판(827)이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일측 상부연장판(817)을 따라 상기 일측 수평판(811) 및 일측 좌우이동판(813)이 승강하여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분(5)의 환형의 고정턱(52)의 일측을 승강시키게 되고,
상기 타측 상부연장판(827)을 따라 상기 타측 수평판(821), 타측 좌우이동판(823)이 승강하여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분(5)의 환형의 고정턱(52)의 타측을 승강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일측 지지부(10) 및 타측 지지부(20) 사이에 수평구비된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수용구(301) 내에 화분(5)을 수용시켜 특히, 실내장식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분이 쓰러지지 않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일측 지지부, 20; 타측 지지부,
30; 중간 지지부.

Claims (11)

  1. 일측 지지부(10) 및 타측 지지부(20)와;
    상기 일측 지지부(10)와 상기 타측 지지부(20) 사이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화분(5)을 수용하는 수용구(301)가 형성되는 중간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상기 수용구(301)에 수용된 화분(5)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8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재(80)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화분(5)의 상부 일측을 승강시키는 일측 승강부재(810)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구비되어 화분(5)의 상부 타측을 승강시키는 타측 승강부재(820);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승강부재(810)는 중심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일측 가이드슬릿(811a)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일측 수평판(811)과;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일측에 수직형성되는 일측 수직판(812)과;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일측 좌우이동판(813)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813)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일측 가이드슬릿(811a)내에 수용되는 일측 가이드축(814)과;
    상기 일측 가이드축(81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일측 너트(815);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승강부재(820)는 중심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타측 가이드슬릿(821a)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타측 수평판(821)과;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타측 수직판(822)과;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타측 좌우이동판(823)과;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813)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타측 가이드슬릿(821a)내에 수용되는 타측 가이드축(824)과;
    상기 타측 가이드축(82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타측 너트(8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2. 일측 지지부(10) 및 타측 지지부(20)와;
    상기 일측 지지부(10)와 상기 타측 지지부(20) 사이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화분(5)을 수용하는 수용구(301)가 형성되는 중간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상기 수용구(301)에 수용된 화분(5)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8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재(80)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화분(5)의 상부 일측을 승강시키는 일측 승강부재(810)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구비되어 화분(5)의 상부 타측을 승강시키는 타측 승강부재(820);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승강부재(810)는 중심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일측 가이드슬릿(811a)이 형성되는 일측 수평판(811)과;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일측에 수직형성되는 일측 수직판(812)과;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일측 좌우이동판(813)과;
    상기 일측 좌우이동판(813)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일측 가이드슬릿(811a)내에 수용되는 일측 가이드축(814)과;
    상기 일측 가이드축(81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일측 너트(815)와;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전측 및 상기 일측 수평판(811)의 후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일측 가이드판(816)과;
    상기 일측 수직판(812)의 일측면에 수평구비되는 일측 상부연장판(817)과;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에 수평구비되는 일측 하부연장판(818)과;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818)내에 하측이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일측 상부연장판(817)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818)의 상부방향 및 상기 일측 하부연장판(818)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측 외주면에 환형의 일측 지지링(819a)이 수평형성되는 일측 볼트(819);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승강부재(820)는 중심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타측 가이드슬릿(821a)이 형성되는 타측 수평판(821)과;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타측 수직판(822)과;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하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타측 좌우이동판(823)과;
    상기 타측 좌우이동판(813)의 상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타측 가이드슬릿(821a)내에 수용되는 타측 가이드축(824)과;
    상기 타측 가이드축(82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는 타측 너트(825)와;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전측 및 상기 타측 수평판(821)의 후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상부면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타측 가이드판(826)과;
    상기 타측 수직판(822)의 타측면에 수평구비되는 타측 상부연장판(827)과;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에 수평구비되는 타측 하부연장판(828)과;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828)내에 하측이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타측 상부연장판(827)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828)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 하부연장판(828)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측 외주면에 환형의 타측 지지링(829a)이 수평형성되는 타측 볼트(82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지지부(10)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이 상부에 고정되는 일측 하부지지판(111)과;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구(113)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113)의 하부에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이 수용되는 일측 상부지지판(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지지부(20)는 상부 일측에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홈(211)이 형성되는 타측 지지판(2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지지부(20)의 삽입홈(211)의 상부와 상기 삽입홈(211)의 하부에 각각 상기 삽입홈(211)과 연통되는 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 상부와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홈(31)내에 수용되는 탄성부재(311)와, 상기 탄성부재(311)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홈(31)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홈(212)내에 삽입되는 볼부재(312)로 구성되는 고정부재(3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지지부(10)와 상기 타측 지지부(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하부방향에 상측이 개방된 물받침대(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수용구(301)내에 복수의 환형의 보조 지지부(40)가 수용되고,
    복수의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40)의 중심부에 각각 보조 수용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수용구(301)의 내주면 하측에 상기 수용구(301)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지지턱(50)이 형성되고,
    복수의 환형의 상기 보조 지지부(40)의 보조 수용구(410)의 내주면 하측에 각각 상기 보조 수용구(410)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보조지지턱(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지지부(10)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일측이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일측 하부지지판(111)과;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구(113)가 형성되는 일측 상부지지판(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지지부(20)는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지지부(10)와 상기 타측 지지부(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30)의 하부방향에 보조지지판(7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지지판(70)의 일측은 상기 일측 하부지지판(111)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보조지지판(70)의 상부면에 상측이 개방된 물받침대(15)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40200A 2012-04-18 2012-04-18 화분 받침대 KR101285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00A KR101285651B1 (ko) 2012-04-18 2012-04-18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00A KR101285651B1 (ko) 2012-04-18 2012-04-18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651B1 true KR101285651B1 (ko) 2013-07-12

Family

ID=4899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200A KR101285651B1 (ko) 2012-04-18 2012-04-18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6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70U (ja) * 1993-10-13 1995-05-09 旭化学工業株式会社 鉢倒れ防止脚を有する植木鉢用支持具
KR950010570U (ko) * 1993-10-29 1995-05-15 박영철 상하 신축 화분대
JPH119103A (ja) * 1997-06-23 1999-01-19 Fukuhara Imono Seisakusho:Kk 植木鉢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70U (ja) * 1993-10-13 1995-05-09 旭化学工業株式会社 鉢倒れ防止脚を有する植木鉢用支持具
KR950010570U (ko) * 1993-10-29 1995-05-15 박영철 상하 신축 화분대
JPH119103A (ja) * 1997-06-23 1999-01-19 Fukuhara Imono Seisakusho:Kk 植木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937B2 (en) Eating surface with interchangeable accessories
US4102081A (en) Plant container
US6029937A (en) Floral stand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KR20140002207U (ko) 다단식 회전 화분걸이장치
USD453488S1 (en) Table top container for plants, flowers, food and other articles
CA2914093A1 (en) Plant pot assembly
US6665980B2 (en) Plant stand
CA2662698A1 (en) Self-orientating plant pot and tray system
US4328942A (en) Display pedestal
KR101285651B1 (ko) 화분 받침대
US6237508B1 (en) Stand convertible to a table or decorative container
KR20170027038A (ko) 화분 진열대
EP2668841B1 (en) Plant pot and carrier assembly
CA1067289A (en) Plant growing receptacle
US20070295675A1 (en) Novel Pot and Pan Storage Unit
KR20200021181A (ko) 수족관 겸용 조립식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파티션 형성방법
KR100843749B1 (ko) 화분거치대
KR20140040946A (ko)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KR20100027756A (ko) 분리형 화환 받침대
KR200259874Y1 (ko) 장식용 화분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US495808A (en) Alfred a
ES2369201T3 (es) Lavavajillas.
CN211020179U (zh) 一种便于移栽的花盆
KR101502840B1 (ko) 벽면 장식용 화분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