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038A - 화분 진열대 - Google Patents

화분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038A
KR20170027038A KR1020150123445A KR20150123445A KR20170027038A KR 20170027038 A KR20170027038 A KR 20170027038A KR 1020150123445 A KR1020150123445 A KR 1020150123445A KR 20150123445 A KR20150123445 A KR 20150123445A KR 20170027038 A KR20170027038 A KR 20170027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support plate
water
flower pot
po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찬
Original Assignee
김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찬 filed Critical 김용찬
Priority to KR102015012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038A/ko
Publication of KR20170027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7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erishable goods
    • A47F7/007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erishable goods for plants 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64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rockery, e.g. plates, glasse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개의 화분을 진열 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화분 받침판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지지대는 수평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화분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진열대는 여러개의 화분을 함께 진열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화분받침판과, 상기 제1화분받침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리부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다리부에 나사결합되어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받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분 진열대 {A Flower Pot Shelves}
본 발명은 화분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화분을 진열 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화분 받침판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지지대는 수평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화분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가정, 사무실 등에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기 위해 많은 화분이 비치된다. 여러 개의 화분을 감상하기 좋게 하고, 관리하기 편리하기 위해 화분진열대가 많이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화분 진열대의 예로써,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9-0053881호는 다수의 연결대로 연설한 계단형상의 양측 지지틀에 단계적으로 진열판을 각각 설치하여 구성하는 화분 진열대로서, 양측 지지틀의 내측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지게 설정된 각도로 형성한 경사홈에 끼워져 전방 하부에 위치한 수거통으로 배수되도록 배수 유도판을 구비한 화분 진열대를 개시하고 있다.
다른 종래 화분 진열대의 예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67103호는 화분, 원예용품 또는 상품등을 진열하기 위한 가변 진열대로써, 선반 양측에 측면판이 구비되고 저면 코너에는 이동이 용이하게끔 캐스터가 장착된 1단 선반부재와, 2단 이후의 선반부재로 설치 사용되며 각종 상품을 진열 전시할 수 있게끔 구비되는 2~다수개의 선반부재 그리고 상기 1단 선반부재와 선반부재들을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 구성함과 동시에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회전시켜 가변 가능하게 하는 제1가변부재 및 제2가변부재와, 상기 제1가변부재와 제2가변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선반부재를 뒤로 재낄 때 연동하여 진열대를 받쳐 지탱해주는 받침다리와, 상기 1단 선반부재의 측면판 외측 또는 내측면에 구비되어 제1가변부재 및 제2가변부재를 수직으로 지지 고정시켜주는 지지부와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진열대를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 화분 진열대의 예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381411호는 가로대로 연결한 양측 프레임에 계단식으로 진열대가 다단으로 설치되고 각 진열대의 중앙 저면에 각각 물 수거수단을 구비하여 진열대에 비치된 화분에서 배수되어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보관하도록 한 화분 진열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화분 진열대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여러 화분을 전시하는 진열대에서는 화분에서 빠지는 물을 배수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상술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53881호는 배수유도판을 구비하고 있었으나, 이 배수유도판의 면적이 너무 커서 외관상 좋지 않고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0-0381411호는 진열대의 중앙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이 배수공에서 배출되는 물을 그 아래 수거수단을 통하여 회수하도록 하였으나, 화분 진열대의 전체적인 수평이 맞지 않아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우는 진열대가 기울어져 물이 배수되지 않고, 고이는 문제가 있었다. 진열대에 물이 고이면 배출토양, 먼지 등이 쌓여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또한,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도 수거수단으로 모이지 않고 진열대 아래면을 타고 흘러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수거수단이 다단의 진열대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앞서 언급한 종래의 화분 진열대들은 다단의 진열대 각각의 크기가 균일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화분을 진열하기에는 부적합하고 같은 크기의 화분을 여러개 진열하는데 사용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다단의 진열대에 있어서 각각의 진열대는 수직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각 진열대의 넓이를 합한 것과 같은 넓은 면적의 지면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6710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5388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381411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화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화분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조절이 용이하고 배수 및 관리가 용이한 화분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화분을 동시에 전시할 수 있으면서도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화분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진열대는 여러개의 화분을 함께 진열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화분받침판과, 상기 제1화분받침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리부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다리부에 나사결합되어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받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화분받침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한쌍의 세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상기 세로바의 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화분받침판은 그 상면에서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화분에서 배수되는 물이 흐르도록 물길을 형성하는 배수골과, 상기 배수골상에 형성되는 배수홀과, 상기 제1화분받침판의 저면에서 상기 배수홀 주변으로 돌출되록 형성되는 연장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분 진열대는 배수되는 물을 담아두는 물받이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통은 그 측면 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물받이통의 상부를 폐쇄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분 진열대는 상기 제1화분받침판과 나란히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화분받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화분받침판은 상기 제1화분받침판의 연직 상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진열대는 각각의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받침을 구비하고 있어 정밀한 수평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분받침대에 고이는 물이 잘 배출되어 깨끗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분받침대 테두리부가 슬림하게 구성되어 깔끔하고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다단으로 구성되는 화분진열대에 있어서 상단이나 중간의 화분받침대는 하단화분받침대의 연직상방에 배치되므로 좁은 면적에서도 많은 화분을 진열할 수 있다.
또한, 화분진열대의 물받이통은 배수되는 물이 떨어질 때 물방울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막아주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어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화분 관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의 화분 진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에 있어서 화분 받침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도2의 IV-Ⅳ선에 따라 도시한 화분받침판의 절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의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도2의 Ⅵ-Ⅵ선에 따라 도시한 물받이통의 절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화분 진열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이해를 위한 실시예일 뿐 특허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 진열대 도시한 것으로, 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분 진열대(100)는 여러 개의 화분을 일방향으로 길게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화분 진열대(100)는 직사각의 평판형태를 갖는 화분받침판(110)과 화분받침판(1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120)와 화분에서 배수되는 물을 모아 임시 저장하는 물받이통(130)을 포함한다.
화분받침판(110) 위에는 여러 화분 1열 또는 그 이상의 열을 이루어 전시될 수 있다. 화분받침판(110)은 화분들 받쳐주는 주요면을 이루는 베이스부(11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1) 중앙에는 화분에서 배수되는 물이 고여 흐를 수 있도록 물길을 형성하는 배수골(112)이 형성된다. 배수골(112)은 베이스부(111)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그 깊이(d)는 베이스부(111) 두께(t)의 1/4 ~ 3/4 범위일 수 있다. 배수골(112)은 화분받침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직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의 배수골(112) 양옆으로 다수의 가지골(112a)들이 분기된 형태일 수 있다. 배수골(112)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배수홀(113)로 연결되는 길을 형성하는 여하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배수골(112)의 한쪽 단부에는 이를 따라 흐르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113)이 형성된다. 도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1) 저면에는 배수홀(113) 둘레에서 연장되는 연장관부(113a)가 구성된다. 연장관부(113a)는 배수되는 물이 베이스부(111) 저면을 따라 옆으로 흐르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도록 안내한다. 연장관부(113a)에는 별도의 배수호스등을 연결할 수도 있다. 화분받침판(110)은 베이스부(111)의 상면에서 그 바깥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114)를 포함한다. 테두리부(114)는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이 베이스부(111) 상면을 타고 그 둘레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아준다. 테두리부(114)의 높이(h)가 너무 크면 외관이 좋지 않으므로 가능하면 작게 만드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0.5 ~ 1 센티미터(cm) 범위를 갖는다. 후술할 지지대(120)의 구조에 의하면 화분받침판(110)의 수평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테두리부(114)의 높이(h)가 크지 않더라도 물이 바깥으로 넘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화분진열대에 비하여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하면서도 화분에서 흘러나온 물을 잘 배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화분받침판(110)은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가공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 좋으며,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강화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으며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무거운 화분을 올려 놓을 때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화분받침판(110)이 파손될 우려가 없다.
화분받침판(110) 아래에는 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120)가 구성된다. 지지대(120)는 화분받침판(110)과 나란하게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로바(121)와, 가로바(121)의 양단에서 이들과 연결되며 화분받침판(110)의 단변측 저면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세로바(122)와, 각각의 세로바(122)의 양단부에서 지면방향 연직하방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다리부(123)를 포함한다. 다리부(123) 아래에는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받침(124)이 구비된다. 승강받침(124)은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124a)를 포함하며, 이 나사부(124a)가 다리부(123)에 형성된 암나사부(미도시)에 결합된다. 각각의 다리부(123)와 지면 사이의 거리는 승강받침(124)에 의해 정교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지지대(120)는 설치되는 지면의 굴곡에 관계없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화분지지대(12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만들 수 있으며, 그 외면에 분체도장을 수행하여 원하는 색과 외관을 표현하고, 녹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가로바(121)의 바깥면은 화분받침판(110)의 장변으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화분이 놓이는 자리에 가로바(121)가 위치되도록 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로바(121)의 바깥측면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물받이통(130)은 상술한 화분받침판(110)의 배수홀(113) 아래에 놓여 배수되는 물을 임시로 모아두었다가 버리기 위해 사용된다. 도시된 물받이통(130)은 직육면체 상자 모양을 가지나 이와 다른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물받이통(130)의 전면 상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부(131)가 구성된다. 손잡이부(131)는 전면 상단부를 바깥으로 절곡한 형태를 가지나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물받이통(130)의 전면부(132)는 담겨있는 물의 양이 잘 보이도록 투명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면부(132) 전체 또는 일부를 투명하게 할 수 있다.
도6을 함께 참조하면 물받이통(130) 상부에는 그 측면부(133) 양측 상단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커버부(134) 및 제2커버부(135)가 구성된다. 제1,2커버부(134, 135)는 배수홀(113)에서 떨어지는 물이 물받이통(130)내에 담겨있는 물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준다. 즉, 배수홀(113)에서 떨어지는 물은 제1커버부(134) 또는 제2커버부(135)위에 떨어져 낙하속도가 감소되고, 이를 타고 서서히 흐르면서 물받이통(130) 내부로 다시 떨어져 들어간다. 제1,2커버부(134, 135)는 물받이통(130) 내부로 물이 떨어질 때 물방울들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34)는 제2커버부(135)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커버부(135)를 제1커버부(134)보다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 진열대(200)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200)는 상하의 2단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의 화분진열대(100)와 차이가 있으며 각각의 요소들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화분진열대(100)와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화분진열대(200)는 여러 화분을 받치는 상단화분받침판(210)과 하단화분받침판(220)을 포함한다. 상단화분받침판(210)은 하단화분받침판(220)의 연직 상방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하단화분받침판(210, 220) 사이의 수직거리는 약 0.5 ~ 1 미터(m) 정도일 수 있으며 진열하는 화분의 크기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종래의 화분진열대와 달리 상단화분받침판(210)은 하단화분받침판(220)의 연직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지면 면적을 차지하지 않고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단화분받침판(210)의 폭(WU)은 하단화분받침판(220)의 폭(WL)보다 작게 구성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외관이 균형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기가 크고 무거운 화분은 하단화분받침판(220)에 진열하고, 작고 가벼운 화분은 상단화분받침판(210)에 진열할 수 있다.
화분진열대(200)는 상술한 상단화분받침판(210), 하단화분받침판(220)을 각각 지지하는 상단지지대(230) 및 하단지지대(240)를 포함한다. 상단지지대(230)는 상단화분받침판(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로바(231)와 가로바(231)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바(232)를 포함한다. 하단지지대(240)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가로바(241)와 한 쌍의 세로바(242)를 포함한다. 하단지지대(240)의 네 모서리에는 다리부(243)와 다리부(243)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승강받침(244)이 구성된다.
화분진열대(200)는 상단지지대(230)와 하단지지대(240)의 후방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연결기둥부(250)를 포함한다. 연결기둥부(250)는 상단지지대(230)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한다. 한편, 상단과 하단의 가로바(231, 241)중 전방에 위치하는 가로바(231, 241)는 세로바(232, 242)의 전방 단부에서 소정거리 안쪽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이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화분진열대(100)에서와 마찬가지로 가로바(231, 241)의 바깥측면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고 깔끔한 미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화분진열대(200)는 상단화분받침판(210) 및 하단화분받침판(220)에서 배수되는 물을 임시저장하기 위한 물받이통(260)을 포함한다. 물받이통(260)은 하단화분받침판(220) 아래에 설치되며, 상단화분받침판(210)에서 배수되는 물은 물받치통(260)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배수호스(미도시)를 이용해 물받이통(260)으로 배출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200a)를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200a)는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200)에서 상단과 하단 사이에 중간진열대를 더 추가한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그외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 진열대(2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화분진열대(2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였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와의 다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200a)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진열대(200a)는 상단화분받침판(210)과 하단화분받침판(220) 사이에 놓이는 중간화분받침판(290)과 이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대(270)를 포함한다. 중간지지대(270)는 중간화분받침판(29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한쌍의 가로바(271)와 가로바(271)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바(272)를 포함한다. 또한, 화분진열대(200a)는 중간지지대(270)를 상단지지대(230)의 세로바(232)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중간연결기둥부(280)를 포함한다.
상단 화분 받침판(210)과 마찬가지로 중간화분받침판(290)도 하단화분받침판(220)의 연직상방에 위치하므로 추가적인 지면 면적을 차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 상당히 많은 화분을 진열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여준다. 사용자는 화분의 크게와 무게를 고려하여 상단, 하단, 중간화분받침대(210, 220, 290)중 적절한 곳에 화분을 진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진열대는 각각의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받침을 구비하고 있어 정밀한 수평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분받침대에 고이는 물이 잘 배출되어 깨끗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분받침대 테두리부가 슬림하게 구성되어 깔끔하고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다단으로 구성되는 화분진열대에 있어서 상단이나 중간의 화분받침대는 하단화분받침대의 연직상방에 배치되므로 좁은 면적에서도 많은 화분을 진열할 수 있다.
또한, 화분진열대의 물받이통은 배수되는 물이 떨어질 때 물방울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막아주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어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화분 관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100, 200, 200a : 화분진열대
110 : 화분받침판
120 : 지지대
130 : 물받이통
210 : 상단화분받침판
220 : 하단화분받침판
230 : 상단지지대
240 : 하단지지대
250 : 연결기둥부
290 : 중간화분받침판
270 : 중간지지대
280 : 중간연결기둥부

Claims (5)

  1. 여러개의 화분을 함께 진열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화분받침판과,
    상기 제1화분받침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리부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다리부에 나사결합되어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받침을 포함하는 화분진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화분받침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한쌍의 세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상기 세로바의 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화분진열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분받침판은 그 상면에서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화분에서 배수되는 물이 흐르도록 물길을 형성하는 배수골과,
    상기 배수골상에 형성되는 배수홀과,
    상기 제1화분받침판의 저면에서 상기 배수홀 주변으로 돌출되록 형성되는 연장관부를 포함하는 화분진열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진열대는 배수되는 물을 담아두는 물받이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통은 그 측면 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물받이통의 상부를 폐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화분진열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진열대는 상기 제1화분받침판과 나란히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화분받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화분받침판은 상기 제1화분받침판의 연직 상방에 설치된 화분진열대.
KR1020150123445A 2015-09-01 2015-09-01 화분 진열대 KR20170027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445A KR20170027038A (ko) 2015-09-01 2015-09-01 화분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445A KR20170027038A (ko) 2015-09-01 2015-09-01 화분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038A true KR20170027038A (ko) 2017-03-09

Family

ID=5840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445A KR20170027038A (ko) 2015-09-01 2015-09-01 화분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0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9000A (zh) * 2017-11-23 2018-04-06 科成精密模塑科技无锡有限公司 具有花盆挂架的家庭音箱注塑壳体
FR3068198A1 (fr) * 2017-06-30 2019-01-04 Gorguet Dispositif de culture hors-sol comprenant des moyens de drainage cooperant avec un mecanisme de trop-plein pour evacuer le trop-plein d'eau
KR20220057890A (ko) * 2020-10-30 2022-05-09 (주)아세아엠텍 포트 밀집 화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411Y1 (ko) 2005-01-28 2005-04-11 양기훈 화분 진열대
KR20090053881A (ko) 2009-04-13 2009-05-28 전병기 화분 진열대
KR200467103Y1 (ko) 2010-12-23 2013-05-29 김국환 가변 진열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411Y1 (ko) 2005-01-28 2005-04-11 양기훈 화분 진열대
KR20090053881A (ko) 2009-04-13 2009-05-28 전병기 화분 진열대
KR200467103Y1 (ko) 2010-12-23 2013-05-29 김국환 가변 진열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8198A1 (fr) * 2017-06-30 2019-01-04 Gorguet Dispositif de culture hors-sol comprenant des moyens de drainage cooperant avec un mecanisme de trop-plein pour evacuer le trop-plein d'eau
CN107889000A (zh) * 2017-11-23 2018-04-06 科成精密模塑科技无锡有限公司 具有花盆挂架的家庭音箱注塑壳体
KR20220057890A (ko) * 2020-10-30 2022-05-09 (주)아세아엠텍 포트 밀집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4181B2 (en) Hydroponic produce display apparatus
CA2792139C (en) Potting bench
US10701870B2 (en) Multifunctional hanging-type plant-growing assembly
US5673511A (en) Plant stand with self-watering trays
US8365466B1 (en) Hydroponic produce display apparatus
US20140130413A1 (en) Hydroponic Produce Display Apparatus
US20020084233A1 (en) Device for drying objects
EP1803346A2 (en) Plant cultivation device
US20120011768A1 (en) Display Rack Adapted for Plant Display
KR20170027038A (ko) 화분 진열대
US20210228002A1 (en) Furniture
US6079686A (en) Tray support apparatus
KR102223944B1 (ko) 다단형 화분
US5535546A (en) Pyramidal flower display
KR20140040946A (ko)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TWM492609U (zh) 立體種植器
CA2896591C (en) Hydroponic produce display apparatus
KR20140020125A (ko) 화분 받침대
KR102666050B1 (ko) 식물에 수직으로 급수가 가능한 수직화분
KR101502840B1 (ko) 벽면 장식용 화분걸이
CN210987256U (zh) 一种草莓种植用盆架
CN209750595U (zh) 一种花盆支架
KR20170001621U (ko) 화분 이중 물 받침대
US255314A (en) Callum
KR20220055880A (ko) 다용도 가드닝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