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68Y1 -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 Google Patents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68Y1
KR200471168Y1 KR2020120001155U KR20120001155U KR200471168Y1 KR 200471168 Y1 KR200471168 Y1 KR 200471168Y1 KR 2020120001155 U KR2020120001155 U KR 2020120001155U KR 20120001155 U KR20120001155 U KR 20120001155U KR 200471168 Y1 KR200471168 Y1 KR 200471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knife
viscosity food
high viscosity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885U (ko
Inventor
최규석
Original Assignee
최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석 filed Critical 최규석
Priority to KR2020120001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6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8Spatulas; Scrapers; Multi-purpose 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1Cooking spoons;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고점도 식재료를 퍼내는 판상체의 스푼부와, 상기 스푼부에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스푼 부재; 및 상기 스푼 부재의 스푼부에 접촉되어 상기 스푼부에 묻어 있는 고점도 식재료를 상기 스푼부에서 분리시키는 나이프부와, 상기 나이프부에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나이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Tool set for cooking high viscosity food}
본 고안은,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추장, 된장, 조청, 물엿, 반죽 등의 다양한 고점도 식재료를 용이하게 퍼내거나 옮겨 담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고추장, 된장, 조청, 물엿, 반죽 등의 식재료는 통상적인 액체보다 점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즉 끈적임이 심한 고점도 식재료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숟가락으로 퍼낼 경우, 숟가락에 고점도 식재료가 묻어 잘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숟가락으로 고점도 식재료를 퍼낸 후에는 다른 숟가락이나 젓가락, 혹은 별도의 도구나 용구를 이용하여 숟가락에 묻어 잔존되는 고점도 식재료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57704호 등에 고추장 숟가락 등의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구조상 효과가 미비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57704호
본 고안의 목적은, 고추장, 된장, 조청, 물엿, 반죽 등의 다양한 고점도 식재료를 용이하게 퍼내거나 옮겨 담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고점도 식재료를 퍼내는 판상체의 스푼부와, 상기 스푼부에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스푼 부재; 및 상기 스푼 부재의 스푼부에 접촉되어 상기 스푼부에 묻어 있는 고점도 식재료를 상기 스푼부에서 분리시키는 나이프부와, 상기 나이프부에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나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나이프부의 둘레면은 골부와 산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산부의 표면은 엠보싱 처리 또는 요철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스푼부는 측면 투영 시 일직선 형태의 판상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에는 걸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추장, 된장, 조청, 물엿, 반죽 등의 다양한 고점도 식재료를 용이하게 퍼내거나 옮겨 담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푼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나이프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의 나이프 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의 나이프 부재에 대한 정면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푼 부재의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나이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는 고추장, 된장, 조청, 물엿, 반죽 등의 다양한 고점도 식재료를 용이하게 퍼내거나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스푼 부재(110)와 나이프 부재(130)를 포함한다. 스푼 부재(110)와 나이프 부재(130)는 도 1처럼 한 세트로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푼 부재(110)는 고점도 식재료를 퍼내는 판상체의 스푼부(111)와, 스푼부(111)에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11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푼부(111)는 마치 밥주걱처럼 넓은 판상체로 제작되며, 측면에서 볼 때 일직선 형태의 판상체로 마련된다. 스푼부(111)는 오목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나 스푼부(111)가 오목하면 고점도 식재료가 잘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처럼 스푼부(111)는 넓은 면을 가지되 측면에서 볼 때 일직선 형태의 판상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손잡이부(112)는 사용자가 스푼 부재(110)를 파지하는 부분이므로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용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손잡이부(112)와 스푼부(111)는 그 기능이 전환될 수도 있다. 즉 고점도 식재료 수용 용기의 바닥 구석진 곳에 내용물이 존재할 경우에는 넓은 스푼부(111)로 내용물을 떠내기 보다는 얇은 제1 손잡이부(112)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떠내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손잡이부(112)에는 홀(hole) 형태의 제1 걸이부(113)가 형성된다. 제1 걸이부(113)로 인해 스푼 부재(110)를 주방 벽면에 용이하게 걸어둘 수 있다. 제1 걸이부(113)의 전방에 형성되는 고추 형상은 장식 패턴부(114)로서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나이프 부재(130)는 스푼부(111)에 접촉되어 스푼부(111)에 묻어 있는 고점도 식재료를 스푼부(111)에서 분리시키는 나이프부(131)와, 나이프부(131)에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132)를 구비한다.
제2 손잡이부(132) 역시, 사용자가 나이프 부재(130)를 파지하는 부분이므로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용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손잡이부(132)에는 미끌림 방지부, 예컨대 미끌림 방지홈이라든지 아니면 미끌림 방지패드 등이 더 마련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제2 손잡이부(132)에도 홀(hole) 형태의 제2 걸이부(133)가 형성된다. 제2 걸이부(133)로 인해 나이프 부재(130)를 주방 벽면에 용이하게 걸어둘 수 있고, 혹은 스푼 부재(110)의 제1 걸이부(113)와 함께 별도 고리로 함께 묶어 보관할 수도 있다.
한편, 나이프부(131)는 실질적으로 스푼부(111)에 접촉되어 스푼부(111)에 묻어 있는 고점도 식재료를 스푼부(111)에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나이프부(131)의 둘레면은 골부(131a)와 산부(131b)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요철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나이프부(131)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골부(131a)와 산부(131b)가 각각 4개씩 형성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때, 나이프부(131)의 산부(131b)의 표면은 엠보싱(134)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한다.
스푼 부재(110)의 스푼부(111)를 통해 고점도 식재료를 퍼낸 후에, 스푼부(111)의 표면에 묻어 잔존되는 고점도 식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우선, 나이프부(131)를 스푼부(111)에 접촉시켜 일측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나이프부(131)의 산부(131b)를 통해 스푼부(111)에 묻어 있는 고점도 식재료가 스푼부(111)의 표면에서 일측으로 밀리면서 스푼부(11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는데, 이때, 골지게 형성된 골부(131a)로 인해 고점도 식재료는 골부(131a)에 달라붙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된다. 이처럼 나이프부(131)의 둘레면에 골부(131a)와 산부(131b)를 형성시키게 되면 스푼부(111)에 묻어 있는 고점도 식재료가 스푼부(111)의 표면에서 분리시키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나이프부(131)의 산부(131b)의 표면이 엠보싱(134) 처리됨에 따라 고점도 식재료가 나이프부(131)의 표면에 달라붙지 못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는 엠보싱(134)으로 인해 산부(131b)의 표면이 평면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고점도 식재료가 달라붙을 시간적 또는 구조적인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추장, 된장, 조청, 물엿, 반죽 등의 다양한 고점도 식재료를 용이하게 퍼내거나 옮겨 담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의 나이프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나이프 부재(230)의 나이프부(231)의 둘레면이 골부(231a)와 산부(231b)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요철 구조로 되어 있는데, 특히 산부(231b)의 표면이 올록볼록한 형태로 요철 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나이프부(231)의 표면에 고점도 식재료가 잘 달라붙지 못하기 때문에 고점도 식재료를 떨어뜨리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의 나이프 부재에 대한 정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나이프부(331)의 단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나이프부(331)의 둘레면이 골부(331a)와 산부(331b)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요철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골부(331a)와 산부(331b)는 각각 3개씩 나이프부(33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산부(331b)의 표면 전체가 엠보싱(334) 처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나이프부(331)의 표면에 고점도 식재료가 잘 달라붙지 못하기 때문에 고점도 식재료를 떨어뜨리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스푼 부재 111 : 스푼부
112 : 제1 손잡이부 113 : 제1 걸이부
114 : 장식 패턴부 130 : 나이프 부재
131 : 나이프부 132 : 제2 손잡이부
133 : 제2 걸이부 134 : 엠보싱

Claims (4)

  1. 고점도 식재료를 퍼내는 판상체의 스푼부와, 상기 스푼부에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스푼 부재; 및
    상기 스푼 부재의 스푼부에 접촉되어 상기 스푼부에 묻어 있는 고점도 식재료를 상기 스푼부에서 분리시키는 나이프부와, 상기 나이프부에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나이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나이프부의 둘레면은 골부와 산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요철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부의 표면은 엠보싱 처리 또는 요철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부는 측면 투영 시 일직선 형태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에는 걸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KR2020120001155U 2012-02-15 2012-02-15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KR200471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55U KR200471168Y1 (ko) 2012-02-15 2012-02-15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55U KR200471168Y1 (ko) 2012-02-15 2012-02-15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85U KR20130006885U (ko) 2013-12-02
KR200471168Y1 true KR200471168Y1 (ko) 2014-02-07

Family

ID=5141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155U KR200471168Y1 (ko) 2012-02-15 2012-02-15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6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9130A (en) 1984-06-11 1986-02-11 Koller Philip A Serving utensil with integral scraper
KR20000017801A (ko) * 1999-12-10 2000-04-06 김영국 고추장 숟가락
JP2000116549A (ja) * 1998-10-15 2000-04-25 Hiroki Abe しゃもじ
KR200196395Y1 (ko) 2000-02-18 2000-09-15 대림통상주식회사 밥주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9130A (en) 1984-06-11 1986-02-11 Koller Philip A Serving utensil with integral scraper
JP2000116549A (ja) * 1998-10-15 2000-04-25 Hiroki Abe しゃもじ
KR20000017801A (ko) * 1999-12-10 2000-04-06 김영국 고추장 숟가락
KR200196395Y1 (ko) 2000-02-18 2000-09-15 대림통상주식회사 밥주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85U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91975A1 (en) Kitchen spatula
USD830028S1 (en) Barbecue grill scraping device
MX2013001891A (es) Recipiente para condimentos y salsas.
US7182377B2 (en) Kitchen spatula with offset handle
KR200471168Y1 (ko) 고점도 식재료 전용 조리도구 세트
GB2418193A (en) Feeding device
CN203354400U (zh) 一种组合子母锅铲
CN104188573A (zh) 一种u型折叠砧板
USD876182S1 (en) Utensil
KR101628980B1 (ko) 짤주머니에 사용되는 클립형 스크래퍼
US20200296974A1 (en) Crisper baking pan
JP3196667U (ja) 調理具
KR200484686Y1 (ko) 음식물의 버무림과 덜어냄이 가능하도록 집게가 구비된용기
JP3205100U (ja) スプーン
JP3164023U (ja)
JP3096619U (ja) ちりとり型の台所用バット
JP3028484U (ja) フルーツつぶし器
KR200329375Y1 (ko) 손접시
JP3134154U (ja) 飲食用具
WO2023044109A1 (en) Utensil rest
JP310372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皿
KR960004592Y1 (ko) 다용도 뒤지개
JP2007075560A (ja) 焼鳥と串物の皿
KR200386393Y1 (ko) 젓가락
KR20130004481U (ko) 음식물을 분리하여 담을 수 있는 부페접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