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028Y1 - 음료컵 트레이 - Google Patents

음료컵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28Y1
KR200471028Y1 KR2020130003969U KR20130003969U KR200471028Y1 KR 200471028 Y1 KR200471028 Y1 KR 200471028Y1 KR 2020130003969 U KR2020130003969 U KR 2020130003969U KR 20130003969 U KR20130003969 U KR 20130003969U KR 200471028 Y1 KR200471028 Y1 KR 200471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ade
bent
bending
beverag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표수
Original Assignee
정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표수 filed Critical 정표수
Priority to KR2020130003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16Serving trays suspended from handles positioned centrally above the tr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41Serving tray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e.g. for carrying glasses, bott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22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blank, and provided with vertical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333Partitions, i.e. elements contacting a major part of each aarticle or extending across the whole length of the wrapper
    • B65D2571/0037Partitions, i.e. elements contacting a major part of each aarticle or extending across the whole length of the wrapper extending from at least a side wall
    • B65D2571/00376Squarings or the like
    • B65D2571/00382Two rows of two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333Partitions, i.e. elements contacting a major part of each aarticle or extending across the whole length of the wrapper
    • B65D2571/00401Partitions, i.e. elements contacting a major part of each aarticle or extending across the whole length of the wrapper inserted the wrapper
    • B65D2571/00407Squar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컵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측부절곡선(a1)(a2)(a3)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2,3,4측판(11)(12)(13)(14) 및 제1,2,3,4측판(11)(12)(13)(14)의 하단에 하부절곡선(b1)(b2)(b3)(b4)에 의하여 연결되는 바닥판(16)(17)(18)(19)을 포함하는 수납부(10); 제2측판(12)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판(21) 및 제1날개판(21)의 제1상부절곡선(c1)에 의하여 제1날개판(21)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날개절곡판(22)을 포함하는 제1상부지지부(20); 제4측판(14)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판(31) 및 제2날개판(31)의 제2상부절곡선(c2)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으로서 제1날개절곡판(22)과 밀착되는 제2날개절곡판(32)을 포함하는 제2상부지지부(30); 및 수납부(10)의 내주면 모서리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봉형대상물(P)이 끼어져 위치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모서리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컵 트레이{Drink cup tray}
본 고안은 커피나 쥬스등의 음료가 담겨진 음료컵과, 스트로우나 설탕등의 제품을 함께 이동하기 위한 음료컵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전문매장에서 주문한 커피, 쥬스등의 음료는 1회용 컵에 담겨져 판매되며, 이러한 음료는 매장내의 탁자에서 마시기도 하지만 많은 고객의 경우 외부로 이동하여 사무실이나 공원에서 마시게 된다. 이때 구매한 음료가 여러개일 경우 한꺼번에 들고 나가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매장에서는 구매한 음료들을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트레이를 함께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음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트레이에 대한 종래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11-011496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료컵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컵 트레이는, 상부판지부(1a), 측부판지부(1b) 및 하부판지부(1c)가 사각형태로 연결된 판지몸체(1)와, 상부판지부(1a)에 형성된 다수의 홀더공(2)(3)과, 홀더공(2)(3)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부측으로 향하는 손잡이(4)(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음료가 담겨진 1회용 컵을 홀더공(2)(3)에 끼어넣은 후, 손잡이(4)(5)를 잡고 트레이를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매장에서 음료 구매시 스트로우를 항상 제공하는데 이러한 스트로우는 구매자가 다른 손으로 잡거나 주머니에 넣어서 이동하였고, 음료에 보충하기 위한 설탕이나 구매한 쿠키등은 손으로 들거나 주머니에 넣어 이동하였기 때문에 불현함이 가중되었다. 특히 주머니에 넣어진 설탕, 쿠키등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 경우 상황이 매우 난처해졌다.
또한 손잡이(4)(5)가 상부판지부(1a)에 절곡되어 구현되므로, 홀더공(2)(3)에 음료컵을 수납시킬 때 음료의 무게에 의하여 손잡이(4)(5)와 상부판지부(1a)의 연결 부분이 쉽게 파손되었고, 이에 따라 이동중 음료컵이 떨이지는 등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가 담겨진 컵은 물론, 스트로우나 설탕, 쿠키등의 부가적인 제품을 함께 보관할 수 있어 이동시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음료컵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을 향상시켜, 이동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음료컵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료컵 트레이는,
측부절곡선(a1)(a2)(a3)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2,3,4측판(11)(12)(13)(14) 및 상기 제1,2,3,4측판(11)(12)(13)(14)의 하단에 하부절곡선(b1)(b2)(b3)(b4)에 의하여 연결되는 바닥판(16)(17)(18)(19)을 포함하는 수납부(10)와; 상기 제2측판(12)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판(21) 및 상기 제1날개판(21)의 제1상부절곡선(c1)에 의하여 상기 제1날개판(21)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날개절곡판(22)을 포함하는 제1상부지지부(20)와; 상기 제4측판(14)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판(31) 및 상기 제2날개판(31)의 제2상부절곡선(c2)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날개절곡판(22)과 밀착되는 제2날개절곡판(32)을 포함하는 제2상부지지부(30);를 포함하는 음료컵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의 내주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봉형대상물(P)이 끼어져 위치고정되는 것으로서,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측판(11) 및 제2측판(12)의 일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한쌍의 모서리측절개단(40a)(40b)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모서리위치고정부; 상기 제1,2,3,4측판(11)(12)(13)(14) 중 적어도 하나를 수평 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서 판형대상물(P)이 끼어져 고정되는 측판위치고정부(50); 및 상기 측판위치고정부(50)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판형대상물(P)을 견고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측으로 연장된 위치보완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절곡판(22)에 수평방향으로 제1손잡이홈(23)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절곡판(32)에 수평방향으로 제2손잡이홈(33)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절곡판(22) 및 제2날개절곡판(32)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손잡이홈(23)에는 서브절곡선(d)에 의하여 상방으로 절곡되는 밀착고정판(24)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판(24)은 상기 제2손잡이홈(33)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절곡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에 수납되는 음료컵의 크기가 작을 때 그 음료컵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납부(10)의 모서리측 상단에 형성된 서브절곡선(60a)(60b)을 따라 그 수납부(10) 내측으로 꺽여짐으로써 구현되는 흔들림방지부(60)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수납부의 내주면 모서리에 모서리위치고정부를, 그리고 수납부의 측판에 측판위치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트로우나 설탕과 같은 봉형대상물 및 설탕이나 쿠키, 땅콩등과 같은 판형대상물을 끼어서 위치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가 담겨진 컵은 물론, 스트로우나 설탕, 쿠키등의 부가적인 제품을 수납부에 함께 보관할 수 있어 이동시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부에 수납되는 음료컵의 크기가 작을 때 흔들림방지부가 음료컵에 밀착되어 그 음료컵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이동중 음료가 넘치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날개절곡판과 제2날개절곡판이 상호 밀착되고, 이에 따라 제1,2손잡이홈이 상호 일치됨으로써 큰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료컵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컵 트레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음료컵 트레이의 전개도,
도 4는 도 3의 음료컵 트레이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음료컵 트레이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컵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음료컵 트레이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음료컵 트레이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음료컵 트레이는, 측부절곡선(a1)(a2)(a3)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2,3,4측판(11)(12)(13)(14), 제4측판(14)에 측부절곡선(a4)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측판(11)에 연결되는 접착판(15) 및 제1,2,3,4측판(11)(12)(13)(14)의 하단에 하부절곡선(b1)(b2)(b3)(b4)에 의하여 연결되는 바닥판(16)(17)(18)(19)을 포함하는 수납부(10)와; 제2측판(12)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판(21), 제1날개판(21)의 제1상부절곡선(c1)에 의하여 제1날개판(21)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날개절곡판(22) 및 제1날개절곡판(22)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손잡이홈(23)을 포함하는 제1상부지지부(20)와; 제4측판(14)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판(31), 제2날개판(31)의 제2상부절곡선(c2)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으로서 제1날개절곡판(22)과 밀착되는 제2날개절곡판(32) 및 제2날개절곡판(32)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손잡이홈(33)을 포함하는 제2상부지지부(30)와; 수납부(10)의 내주면 모서리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봉형대상물(S)이 끼어져 위치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모서리위치고정부와; 제1,2,3,4측판(11)(12)(13)(14)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판형대상물(P)이 끼어져 고정되는 측판위치고정부(50)와; 수납부(10)에 수납되는 음료컵의 크기가 작을 때 그 음료컵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부(10)는, 바닥판(16)(17)(18)(19)이 하부절곡선(b1)(b2)(b3)(b4)에 의하여 접혀져 상호 엇갈리게 결합됨으로써 바닥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1,2,3,4측판(11)(12)(13)(14)이 측부절곡선(a1)(a2)(a3)에 의하여 접혀지고, 접착판(15)이 제1측판(11)의 단부에 접착됨으로써 함체 형상으로 구현된다.
제1상부지지부(20)에 있어서, 제1날개판(21)은 제2측판(12)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1날개절곡판(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판(21)에서 제1상부절곡선(c1)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제2측판(12)의 상부측에서 수평방향의 절개단(22a)에 의하여 절개됨으로써 구현된다. 제1손잡이홈(23)은 제1날개절곡판(22)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상부지지부(30)에 있어서, 제2날개판(31)은 제4측판(14)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2날개절곡판(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날개판(31)에서 제2상부절곡선(c2)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제4측판(14)의 상부측에서 수평방향의 절개단(32a)에 의하여 절개됨으로써 구현된다. 제2손잡이홈(33)은 제2날개절곡판(32)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날개절곡판(22) 및 제2날개절곡판(32)은 상호 밀착되는데,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손잡이홈(23)에는 서브절곡선(d)에 의하여 상방으로 절곡되는 밀착고정판(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밀착고정판(24)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손잡이홈(33)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절곡되고, 이에 따라 제1날개절곡판(22)과 제2날개절곡판(32)은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날개절곡판(22)과 제2날개절곡판(32)은 상호 밀착됨으로써 수납부(10)를 지지하기 위한 큰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되고, 제1,2손잡이홈(23)(33)이 상호 일치됨으로써 구매자가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모서리위치고정부는, 수납함(10)의 내주면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측판(11)과 제2측판(12)이 이루는 모서리위치고정부(40)와, 제3측판(13)과 제4측판(14) 이루는 모서리위치고정부(40')로 총 2개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모서리위치고정부(40)(40')는 상호 마주보는 제1측판(11) 및 제2측판(12)과, 상호 마주보는 제3측판(13) 및 제4측판(14)의 일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한쌍의 모서리측절개단(40a)(40b)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모서리위치고정부(40)(4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봉형대상물(S), 예를 들면 스트로우나 봉형으로 포장된 설탕등의 봉형대상물(P)이 끼어져 고정된다. 이때 모서리위치고정부(40)(40')는 수납부(10)의 모서리에 형성되므로, 끼어진 봉형대상물(S)은 모서리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이에 따라 본원의 음료컵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빠지거나 위치가 흐르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위치고정부(40)(40')는 모서리측절개단(40a)(40b)을 형성한 후, 절개된 모서리 부분을 수납부(10) 내측으로 밀어넣어 구현되므로, 매우 용이한 형성이 가능하다.
측판위치고정부(50)는, 제1,2,3,4측판(11)(12)(13)(14) 중 적어도 하나를 수평 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측판위치고정부(50)에는 끼어넣는 판형대상물(P)을 좀더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부측으로 연장된 위치보완부(5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판위치고정부(5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탕봉지나, 쿠키봉지나, 땅콩봉지등과 같은 판형대상물(P)이 끼어지는 것이다.
흔들림방지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의 모서리측 상단이 그 수납부(10) 내측으로 꺽여져 그 꺽여진 부분이 작은 음료컵에 밀착됨으로써 이동중 음료컵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중 음료컵으로부터 음료가 넘치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흔들림방지부(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측판중 마주보는 측판들의 상단에 형성되는 서브절곡선(60a)(60b)을 따라 절곡됨으로써 구현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컵 트레이는 수납부(10)의 내주면 모서리에 모서리위치고정부(40)(40')를 형성함으로써, 스트로우나 설탕과 같은 봉형대상물(S)을 끼어서 위치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의 측판에 측판위치고정부(50)를 형성함으로써, 설탕이나 쿠키, 땅콩등과 같이 판형형태로 포장된 판형대상물(P)을 끼어서 위치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가 담겨진 컵은 물론, 스트로우나 설탕, 쿠키등의 부가적인 제품을 수납부(10)에 함께 보관할 수 있어 이동시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에 수납되는 음료컵의 크기가 작을 때 흔들림방지부(60)가 음료컵에 밀착되어 그 음료컵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이동중 음료가 넘치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날개절곡판(22)과 제2날개절곡판(32)이 상호 밀착됨으로써 수납부(10)를 지지하기 위한 큰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되고, 제1,2손잡이홈(23)(33)이 상호 일치됨으로써 구매자가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수납부 11, 12, 13, 14 ... 제1,2,3,4측판
15 ... 접착판 16, 17, 18, 19 ... 바닥판
20 ... 제1상부지지부 21 ... 제1날개판
22 ... 제1날개절곡판 23 ... 제1손잡이홈
30 ... 제2상부지지부 31 ... 제2날개판
32 ... 제2날개절곡판 33 ... 제2손잡이홈
40, 40' ... 모서리위치고정부 40a, 40b ...모서리측절개단
50 ... 측판위치고정부 51 ... 위치보완부
60 ... 흔들림방지부 60a, 60b ... 서브절곡선
a1, a2, a3, a4 ... 측부절곡선판 b1, b2, b3, b4 ... 하부절곡선
c1, c2 ...제1,2상부절곡선 d ... 서브절곡선

Claims (6)

  1. 측부절곡선(a1)(a2)(a3)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2,3,4측판(11)(12)(13)(14) 및 상기 제1,2,3,4측판(11)(12)(13)(14)의 하단에 하부절곡선(b1)(b2)(b3)(b4)에 의하여 연결되는 바닥판(16)(17)(18)(19)을 포함하는 수납부(10)와; 상기 제2측판(12)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판(21) 및 상기 제1날개판(21)의 제1상부절곡선(c1)에 의하여 상기 제1날개판(21)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날개절곡판(22)을 포함하는 제1상부지지부(20)와; 상기 제4측판(14)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판(31) 및 상기 제2날개판(31)의 제2상부절곡선(c2)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날개절곡판(22)과 밀착되는 제2날개절곡판(32)을 포함하는 제2상부지지부(30);를 포함하는 음료컵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의 내주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봉형대상물(P)이 끼어져 위치고정되는 것으로서,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측판(11) 및 제2측판(12)의 일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한쌍의 모서리측절개단(40a)(40b)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모서리위치고정부;
    상기 제1,2,3,4측판(11)(12)(13)(14) 중 적어도 하나를 수평 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서 판형대상물(P)이 끼어져 고정되는 측판위치고정부(50); 및
    상기 측판위치고정부(50)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판형대상물(P)을 견고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측으로 연장된 위치보완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절곡판(22)에 수평방향으로 제1손잡이홈(23)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절곡판(32)에 수평방향으로 제2손잡이홈(33)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절곡판(22) 및 제2날개절곡판(32)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손잡이홈(23)에는 서브절곡선(d)에 의하여 상방으로 절곡되는 밀착고정판(24)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고정판(24)은 상기 제2손잡이홈(33)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트레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에 수납되는 음료컵의 크기가 작을 때 그 음료컵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납부(10)의 모서리측 상단에 형성된 서브절곡선(60a)(60b)을 따라 그 수납부(10) 내측으로 꺽여짐으로써 구현되는 흔들림방지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음료컵 트레이.
KR2020130003969U 2013-05-21 2013-05-21 음료컵 트레이 KR200471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969U KR200471028Y1 (ko) 2013-05-21 2013-05-21 음료컵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969U KR200471028Y1 (ko) 2013-05-21 2013-05-21 음료컵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28Y1 true KR200471028Y1 (ko) 2014-01-29

Family

ID=5141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969U KR200471028Y1 (ko) 2013-05-21 2013-05-21 음료컵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2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462A (en) * 1996-09-25 1998-08-11 Dopaco, Inc. Cup carrier
KR200305808Y1 (ko) * 2002-10-25 2003-03-03 한규섭 운반이 편리한 음식물 수용 상자
KR20120074511A (ko) * 2010-12-28 2012-07-06 이진숙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462A (en) * 1996-09-25 1998-08-11 Dopaco, Inc. Cup carrier
KR200305808Y1 (ko) * 2002-10-25 2003-03-03 한규섭 운반이 편리한 음식물 수용 상자
KR20120074511A (ko) * 2010-12-28 2012-07-06 이진숙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733B1 (ko) 커피 캐리어
KR100863770B1 (ko) 테이크 아웃용 컵 홀더
KR101972608B1 (ko) 이동 중에 소비되는 음식물 및/또는 음료를 위한 용기 및 이를 만들기 위한 방법
KR200452414Y1 (ko) 포장계란 캐리어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101221758B1 (ko) 컵 캐리어
KR200471028Y1 (ko) 음료컵 트레이
KR200452126Y1 (ko) 쿠키 포장상자
US10238224B1 (en) Ergonomic cup holder with enhanced stability and weight distribution
KR101200164B1 (ko) 컵 캐리어
KR102099383B1 (ko) 컵 트레이 겸용 홀더
KR20110108076A (ko)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KR101793097B1 (ko) 컵 캐리어
KR200491336Y1 (ko) 컵 캐리어 구조체
KR200492321Y1 (ko) 일회용 수저 받침구
KR200454727Y1 (ko) 수납박스
KR20130022712A (ko) 음료컵 캐리어 기능이 구비된 포장상자
KR102175815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KR20140002930U (ko) 운반이 편리한 컵캐리어
KR200497398Y1 (ko) 캐리어
JP4187325B2 (ja) 食品及び筒状容器の携行トレー
JP3200219U (ja) 飲料用携帯袋
KR102244462B1 (ko) 식품 포장상자
KR200173552Y1 (ko) 선반에 부착되는 접시보관대.
EP2886478A1 (e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