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503Y1 -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0503Y1 KR200470503Y1 KR2020120011374U KR20120011374U KR200470503Y1 KR 200470503 Y1 KR200470503 Y1 KR 200470503Y1 KR 2020120011374 U KR2020120011374 U KR 2020120011374U KR 20120011374 U KR20120011374 U KR 20120011374U KR 200470503 Y1 KR200470503 Y1 KR 2004705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reaker
- nut
- terminal
- enclosure structur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01H71/164—Heat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 결합시 발생되는 히터(Heater) 들림 현상과 너트의 이탈 가능성 및 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킨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는, 하부에 플랜지(31)가 형성되는 체결너트(30); 양측에 각각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체결너트(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7)의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31)가 걸릴 수 있는 너트걸림부(18)가 형성되는 케이스(10); 및 받침판(51)과 상기 받침판(5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52)로 이루어지며,상기 단자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는, 하부에 플랜지(31)가 형성되는 체결너트(30); 양측에 각각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체결너트(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7)의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31)가 걸릴 수 있는 너트걸림부(18)가 형성되는 케이스(10); 및 받침판(51)과 상기 받침판(5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52)로 이루어지며,상기 단자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 결합시 발생되는 히터(Heater) 들림 현상과 너트의 이탈 가능성 및 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킨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 설치시, 배선용 차단기에는 양측에 단자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단자부에는 전원이 연결되고 타측의 단자부에는 부하가 연결된다. 이 때 전원측에는 고정접촉자가 결합되고 부하측에는 트립장치의 히터(Heater)가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단자부에 전선이나 버스바(busbar)를 연결하기 위해 나사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나사결합시 수직 외력에 의한 반발력의 발생으로 부하측의 히터 뒷단이 위로 들어 올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너트도 같이 들리게 되고 너트가 헛돌게 되면 케이스에 긁힘 등의 손상을 입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는 전원측 단자부(2)와 부하측 단자부(4)로 구분되고, 전원측 단자부(2)에는 각 상에 고정접촉자(Fixed Contact)가 결합되고, 전선이나 버스바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홈(3)이 형성되며, 부하측 단자부(4)에는 각 상에 히터(5) 등이 결합되며, 전선이나 버스바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홈(3)이 형성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부 나사결합시의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면부의 단면도이다. 부하측 단자부(4)에 전선이나 버스바(busbar)를 연결하기 위해 히터(5) 하부에 너트(6)를 삽입하고 체결을 하게 되면 수직 외력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부하측의 히터(6) 말단부가 상방으로 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나사에 결합되는 너트(6)도 따라서 들리게 된다. 따라서, 나사결합이 잘 되지 않고, 들린 너트(6)가 헛돌아 케이스(1)에 긁힘 등의 손상을 입히기도 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 결합시 발생되는 히터(Heater) 들림 현상과 너트의 이탈 가능성 및 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킨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는 하부에 플랜지(31)가 형성되는 체결너트(300; 양측에 각각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체결너트(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7)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31)가 걸릴 수 있는 너트걸림부(18)가 형성되는 케이스(10); 및 받침판(51)과 상기 받침판(5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52)로 이루어지며,상기 단자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걸림부는 상기 삽입홈의 전면부와 후면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 너트의 상면에는 널링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좌,우측부에는 커버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걸림홈의 하면에 형성되는 커버걸림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상기 받침커버를 상기 단자부에 착탈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에는 각 상의 경계를 이루는 격벽에 맞닿는 부위에 절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에 의하면, 단자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히터를 나사결합시 순간적인 수직 외력에 대한 반발로 발생하는 히터 말단부의 들림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너트가 헛도는 경우 발생하는 케이스의 긁힘 등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체결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단자부의 체결 불량률이 최소화되고, 따라서 배선용 차단기의 내구성능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부 나사결합시의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면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부 나사결합시의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면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는, 하부에 플랜지(31)가 형성되는 체결너트(30); 양측에 각각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체결너트(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7)의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31)가 걸릴 수 있는 너트걸림부(18)가 형성되는 케이스(10); 및 받침판(51)과 상기 받침판(5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52)로 이루어지며,상기 단자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커버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10)는 내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0)는 가볍고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양측에는 단자부가 형성된다.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전원측 단자부(11)가 형성되고, 케이스(10)의 타측에는 부하측 단자부가 형성된다.
전원측 단자부(11)에는 고정접촉자가 결합되고, 부하측 단자부에는 히터(20)와 부하단자가 결합되게 된다.
단자부는 각 상별로 측면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설명의 편의상 부하측 단자부 중 가운데에 있는 상(S상)의 단자부를 대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자부는 케이스(10)이 측부에 대략 직육면체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하방향으로 단자부의 중간에는 평판부를 갖는 단자대(12)가 형성된다. 단자대(12)의 상부는 좌우의 격벽(13,14)을 제외하고는 개방된다.
단자대(12)에는 후술하는 체결너트(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7)이 형성된다. 삽입홈(17)은 체결너트(30)가 자리잡기 쉽도록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대(12)의 하부에는 내부에 개방공간을 가진 채 사면이 벽으로 형성된다. 삽입홈(17)의 중심에서 볼 때, 도 8은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케이스(10)의 폭방향의 단면도이다. 단자대(12)의 하부공간을 이루는 측벽은 전면부(15)와 후면부(16)및 격벽(13,14)이 연장 형성된 좌우측면부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의 길이방향 단면에서 볼 때 내측으로, 즉 전면부(15)와 후면부(16)에는 삽입홈(17) 아래에 단차면으로 이루어진 너트걸림부(18)가 형성되고 너트걸림부(18) 하부에는 삽입홈(17)보다 넓은 공간이 형성된다.
삽입홈(17)의 좌우측에는 하방으로 커버걸림홈(19)이 형성된다. 커버걸림홈(19)은 삽입홈(17)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커버걸림홈(19)의 하면은 커버걸림부(19a)를 이루어 후술하는 받침커버(50)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단자부의 하면은 개방되어 받침커버(50)가 끼워질 수 있다.
체결너트(30)는 일반적인 육각볼트의 몸체 하면에 플랜지(31)가 형성된다. 체결너트(30)의 상면에는 널링면(32)이 형성된다. 체결너트(30)가 삽입홈(17)에 삽입되면 체결너트(30) 하면의 플랜지(31)가 너트걸림부(18)에 걸리게 된다.
받침커버(50)는 받침판(51)과 지지부(55)로 구성된다.
받침판(51)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재질은 가볍고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판(51)의 길이는 케이스(10)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각 상의 경계를 이루는 격벽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격벽에 형성되는 절연공간을 위한 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연홈(52)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절연홈(52)은 호리병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55)는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받침판(51)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55)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받침커버(50)를 단자부에 삽입하여 장착하거나 탈거할 경우 유연성을 줄 수 있어서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지지부(55)의 좌우측부에는 걸림편(56)이 형성된다. 걸림편(56)은 일반적인 후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편(56)이 단자부의 커버걸림부(19a)에 걸림으로써 받침커버(50)가 단자부에 결합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함구조의 조립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10)에 히터(20)를 포함한 내부 구성부품들을 결합한 후, 단자부의 하측에서 삽입홈(17)에 체결너트(30)를 삽입하고 받침커버(50)의 걸림편(56)을 단자부의 커버걸림부(19a)에 끼워 받침커버(50)를 단자부에 고정한다. 체결너트(30)가 받침커버(50)의 지지부(55) 상면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히터(20) 위로부터 볼트를 삽입홈(17)에 끼워 체결하도록 하면 된다. 체결너트(30)가 너트걸림부(18)에 걸리게 되므로 들림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고 체결너트(30)의 상면에는 널링면(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헛도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조립이 이루어진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케이스 11 전원측 단자부
12 단자대 13,14 격벽
15 전면부 16 후면부
17 삽입홈 18 너트걸림부
19 커버걸림홈 20 히터
30 체결너트 31 플랜지
32 널링면 50 받침커버
51 받침판 52 절연홈
55 지지부 56 걸림편
12 단자대 13,14 격벽
15 전면부 16 후면부
17 삽입홈 18 너트걸림부
19 커버걸림홈 20 히터
30 체결너트 31 플랜지
32 널링면 50 받침커버
51 받침판 52 절연홈
55 지지부 56 걸림편
Claims (7)
- 하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체결너트;
양측에 각각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체결너트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가 걸릴 수 있는 너트걸림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로 이루어지며,상기 단자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 위에 놓이는 히터 등을 상기 체결너트로 체결시 상기 플랜지가 상기 너트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히터 등이나 상기 체결너트의 들림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걸림부는 상기 삽입홈의 전면부와 후면부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너트의 상면에는 널링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좌우측에는 커버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걸림홈의 하면에 형성되는 커버걸림부에 걸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상기 받침커버를 상기 단자부에 착탈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각 상의 경계를 이루는 격벽에 맞닿는 부위에 절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1374U KR200470503Y1 (ko) | 2012-12-05 | 2012-12-05 |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1374U KR200470503Y1 (ko) | 2012-12-05 | 2012-12-05 |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0503Y1 true KR200470503Y1 (ko) | 2013-12-19 |
Family
ID=5371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11374U KR200470503Y1 (ko) | 2012-12-05 | 2012-12-05 |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0503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5720Y1 (ko) | 2002-02-19 | 2002-05-13 | 엘지산전 주식회사 | 배선용 차단기의 이면체결용 단자구조 |
JP2005317379A (ja) | 2004-04-28 | 2005-11-10 | Mitsubishi Electric Corp | 端子構造および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
-
2012
- 2012-12-05 KR KR2020120011374U patent/KR20047050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5720Y1 (ko) | 2002-02-19 | 2002-05-13 | 엘지산전 주식회사 | 배선용 차단기의 이면체결용 단자구조 |
JP2005317379A (ja) | 2004-04-28 | 2005-11-10 | Mitsubishi Electric Corp | 端子構造および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R112014019470B1 (pt) | conjunto de disjuntor | |
KR100805392B1 (ko) |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 |
JP2011142772A (ja) |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 |
US7813110B1 (en) | Electrical enclosures having configurable panel layouts | |
JP2007213963A (ja) | 電気器具の端子装置 | |
JP2013026059A (ja) | サービスプラグの装着構造 | |
US20140354130A1 (en) | Support apparatus usable with electrical enclosure | |
KR200470503Y1 (ko) |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 |
KR20170034123A (ko) |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 |
KR100996857B1 (ko) |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 |
KR20140136152A (ko) | 정션박스 | |
KR101212056B1 (ko) | 전원분배유니트 | |
KR101551908B1 (ko) | 배전반 버킷의 부스바 커넥터용 콘택트 | |
JP4575863B2 (ja) | 分電盤 | |
KR101864020B1 (ko) |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 |
KR20080001208U (ko) | 분전반용 덕트 | |
US8167645B2 (en) | Fastening device for detachable holding of an electrical distributor by latching | |
KR100934275B1 (ko) | 배전반용 접속장치 | |
JP2012181923A (ja) | 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 | |
KR101447117B1 (ko) | 클립타입의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 |
KR200483032Y1 (ko) | 분전반 | |
KR100982332B1 (ko) | 부스 덕트의 너트 이탈방지장치 | |
RU2497252C2 (ru) | Гребенк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 |
KR20120044845A (ko) | 조립식 고정 단자대 | |
US8222551B2 (en) | Electrical switch with casing and holder mountable on the ca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