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322Y1 -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322Y1
KR200470322Y1 KR2020120006850U KR20120006850U KR200470322Y1 KR 200470322 Y1 KR200470322 Y1 KR 200470322Y1 KR 2020120006850 U KR2020120006850 U KR 2020120006850U KR 20120006850 U KR20120006850 U KR 20120006850U KR 200470322 Y1 KR200470322 Y1 KR 200470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stopper
block
toy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우윤
Original Assignee
선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윤 filed Critical 선우윤
Priority to KR2020120006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완구가 고정된 형상을 나타내던 것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완구용 블록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블록은 그 외주면이 변형된 완구의 형태를 나타내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블록은 스토퍼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완구에 형성된 스토퍼와 서로 접촉되어 블록을 완구에 대해 360°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조립완구를 완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Assembly toy using block}
본 고안은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일정각도마다 스토핑 구조가 형성된 블록을 이에 대응하는 구조가 형성된 완구(특정부위)에 결합하여 360°회전시키면서 다양한 형태의 완구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놀이의 즐거움을 배가시키기 위한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의 지능발달을 위한 장난감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블록완구세트로는 작은 블록을 다수 개 만들어 이들 블록들을 조합함으로써 여러 가지 형상의 완구를 완성할 수 있는 레고블록이 있고, 고정된 형상의 완구로는 로봇트, 자동차, 인형 등등 매우 많은 종류의 완구들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세트는 특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블록의 결합면을 상호 맞댄 후 결합시키게 되는데, 반복적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결합면에 암수형의 요철을 형성하고 요철 상호간을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는 방식을 통상적으로 채택하였다. 즉 조립식 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요철이 서로 맞물리도록 맞춘 후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끼움으로써 고정하였다. 또한, 상호 결합된 조립식 블록을 분해할 때에는 양 조립식 블록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빼냄으로써 결합을 해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방식을 갖는 종래 조립식 완구의 경우, 상호 대응하는 블록을 끼우면 그 상태대로 고정되어 더 이상 움직임이 불가능하므로 좀 더 다양하게 변형되는 형상의 완구를 만드는데 부족한 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스토핑 기능이 있으면서 완구와 작용하여 360°회전되면서 조립이 가능한 조립완구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블록의 스토퍼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완구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에 의해 구체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완구용 블록은, 완구에 조립될 때 일정형상을 나타내도록 외주면을 형성하는 몸체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내에 구성된 스토퍼형성부재의 내주면에 완구의 대응부위와 접촉하여 일정각도마다 스토핑 기능을 가지며 회전가능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된다. 스토퍼형성부재의 개방된 면 단부에는 내측면을 향해 소정폭 돌출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블록이 완구에 조립되어 변형된 형상으로 만들어질 때 이탈되지 않고 안정감있게 360°회전이 가능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는, 중간에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 스토퍼로 나누어진 스토퍼가 형성되어, 블록에 형성된 스토퍼와 접촉됨에 따라 블록이 360° 회전 가능해지도록 한다.
본 고안의 블록에 형성되는 스토퍼는 완구에 끼워지도록 개방된 부분을 제외한 둘레면에 형성되고, 완구에 형성되는 스토퍼는 블록의 스토퍼가 접촉되어 블록이 360°회전 가능하도록 상하 스토퍼의 둘레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조립완구용 블록에 따르면, 외주면 형상을 조립될 완구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스토핑 및 회전 기능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여 일반적인 완구가 대체로 고정된 형상만을 유지하던 것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놀이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에 따르면, 외주면 형상을 조립될 완구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스토핑 및 회전 기능을 갖는 구조를 형성한 블록이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조립완구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블록에 형성된 스터퍼에 대응하는 구조를 완구에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완구가 대체로 고정된 형상만을 유지하던 것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놀이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용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완구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완구의 조립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완구용 블록이 조립된 완구의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완구용 블록(10)은, 다양한 형태로 완구가 조립되도록 3면이 폐쇄되고 1면이 개방된 형태의 몸체(11)(19a)(19b)가 구성되고, 이들 몸체(11)(19a)(19b)의 내부에 완구의 대응부위와 접촉하여 일정각도마다 스토핑 기능을 가지며 회전가능하도록 스토퍼(15)가 형성된다. 스토퍼(15)는 스토핑 및 회전기능을 모두 갖는 것이나 편의상 스토퍼라 칭한다.
상기 몸체(11)(19a)(19b)는 블록(10)의 외주면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블록(10)이 완구(20)에 조립되면 이들 몸체(11)(19a)(19b)의 표면 형상이 완구의 전체 형상을 변형시키는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15)는, 블록(10)의 기능이 일정각도씩 스토핑 기능을 가지면서도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블록(10)이 조립될 완구(20)의 대응부위의 크기, 더욱 정확하게는 직경과 같거나 거의 같은 공간을 형성하여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몸체(11)(19a)(19b)의 내부에 스토퍼(15)의 형성을 위해 스토퍼형성부재(16)(17)가 서로 대향 형성되고, 이들 부재(16)(17)들의 길이 또한, 일정각도씩 스토핑 기능을 가지면서도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완구(20)의 대응부위의 폭, 더욱 정확하게는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커야 한다. 상기 스토퍼형성부재(16)(17)는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질적으로 3면이 폐쇄되고, 1면이 개방된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여기서 블록(10)이 조립될 완구(20)의 대응부위의 크기와 폭을 모두 직경으로 표기한 것은 도면상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대응부위가 블록(10)의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둥근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조립완구용 블록(10)은 도 1로부터 확인 가능하듯이 스토퍼(25)가 형성된 스토퍼형성부재(16)(17)의 개방된 면 단부에 내측면을 향해 소정폭 돌출된 돌출부(16a)(17a)가 각각 형성된다.
이 돌출부(16a)(17a)는 실질적으로 조립될 완구(20)의 대응부위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블록(10)이 완구(20)의 대응부위에 조립되는 경우 약간의 강제력에 의해 끼워지는 식으로 조립되며, 별도의 강제력(분리하기 위해 가하는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완구(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여 블록(10)을 안정감있게 움직이면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의 완구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즉 이렇게 끼워지면 상기 스토퍼(15)가 형성된 블록(10)의 내주면이 완구(20)의 대응부위에 접촉되어 완구(20)의 대응부위에 형성된 스토퍼(25)와 부합되면서 다양한 각도로 회전유동되어 완구의 전체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블록(10)은 스토퍼(15)가 형성된 면의 상하폭이 조립될 완구(20)의 대응부위의 폭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설계된다. 즉 조립될 완구(20)의 대응부위의 상하길이가 더 작게 설계될 경우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나, 더 크게 설계될 경우에는 각 스토퍼형성부재(16)(17)의 상하폭이 완구(20)의 대응부위에 끼워지지 못하게 됨을 초래하므로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블록(10)은 또한 부재(11)의 표면에 2개의 돌출형 삽입부(18a)(18b)가 형성되어 완구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기 위해 별개로 제조된 타부재들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구(20)에 구성된 스토퍼(25)는 블록(10)의 스토퍼(15)의 상하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스토퍼(25)는 중간에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연결부(26)를 사이에 두고 상하 스토퍼(25a)(25b)로 나누어져 형성된다.
상하 스토퍼(25a)(25b)의 각 단부에 이어서는 이보다 직경이 큰 완구의 연결부재(28)(29)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블록(10)의 스토퍼형성부재(16)(17)가 완구(20)의 대응부위에 결합되어 스토퍼(15)(25)가 서로 접촉될 경우, 블록(10)의 스토퍼(15)의 돌기(16a)(17a)에 의해 블록(10)이 완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완구의 연결부재(28)(29)에 의해 블록(10)이 안정되게 가이드되면서 360°회전이 가능해진다.
360°회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대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블록(10)을 결합하여 변형된 완구로 조립하는 경우 블록(10)의 스토퍼(15)와 완구의 스토퍼(25)에 의해 서로 일정각도씩 맞물리면서 필요한 각도만큼 유동이 자유로운 것을 말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완구(20)는 또한 연결부재(29)에 사방으로 개방된 형태의 삽입부(29a)가 형성되며, 연결부재(28)에 이어서는 일종의 볼(30)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30)을 삽입부(29a)에 끼우는 식으로 완구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로봇트의 팔에 본 고안의 블록(10)이 결합된 예를 나타내었다. 도 3과 같이 블록(10)이 완구(20)에 결합된 상태는 스토퍼(15)(25)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블록(10)이 횡으로 360°회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정각도씩 스토핑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만 회전시키면서 일정형상을 갖는 완구로 조립하면 된다. 스토핑 구조이므로 스무스한 원형형성일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회전유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 블록 15 : 스토퍼
20 : 완구 25 : 스토퍼

Claims (3)

  1. 삭제
  2. 완구에 조립될 때 일정형상을 나타내도록 외주면이 형성된 몸체(11)(19a)(19b); 상기 몸체(11)(19a)(19b)의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형성부재(16)(17); 상기 스토퍼형성부재(16)(17)의 개방된 면 단부에 내측면을 향해 소정폭 돌출된 돌출부(16a)(17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형성부재(16)(17)의 내주면에 완구의 대응부위와 접촉하여 일정각도마다 스토핑 기능을 가지며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토퍼(15); 및 상기 몸체(11)의 표면에 형성되어 완구의 형상을 변형하기 위해 별개로 제조된 연결부재들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형 삽입부(18a)(18b)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립완구용 블록(10); 및
    중간에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연결부(26)를 사이에 두고 상하 스토퍼(25a)(25b)로 나누어져 형성된 스토퍼(25); 상기 상하 스토퍼(25a)(25b)의 각 단부에 접하여 스토퍼(2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연결부재(28)(29); 및 상기 연결부재(29)에 사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삽입부(29a); 상기 연결부재(28)에 형성된 볼(30)을 포함하여 구성된 완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5)는 완구에 끼워지도록 개방된 부분을 제외한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스토퍼(15)가 접촉되어 블록(10)이 360°회전 가능하도록 상하 스토퍼(25a)(25b)의 둘레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KR2020120006850U 2012-07-30 2012-07-30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KR200470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850U KR200470322Y1 (ko) 2012-07-30 2012-07-30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850U KR200470322Y1 (ko) 2012-07-30 2012-07-30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322Y1 true KR200470322Y1 (ko) 2013-12-10

Family

ID=5075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850U KR200470322Y1 (ko) 2012-07-30 2012-07-30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32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963U (ja) * 1993-08-19 1995-03-14 フジツール株式会社 形態変化自在人形
KR0132210B1 (ko) * 1990-12-11 1998-04-18 아이. 글리크맨 조엘 조립식 완구
KR20120028148A (ko) * 2010-09-14 2012-03-22 김윤환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WO2012052541A1 (en) * 2010-10-22 2012-04-26 Lego A/S A toy building s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210B1 (ko) * 1990-12-11 1998-04-18 아이. 글리크맨 조엘 조립식 완구
JPH0714963U (ja) * 1993-08-19 1995-03-14 フジツール株式会社 形態変化自在人形
KR20120028148A (ko) * 2010-09-14 2012-03-22 김윤환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WO2012052541A1 (en) * 2010-10-22 2012-04-26 Lego A/S A toy building 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621B2 (ja) 玩具組立要素
US20190299088A1 (en) Three-dimensional logic puzzle
JP4378661B2 (ja) 組み付け玩具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US20130012098A1 (en) Construction kit
KR101773024B1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KR101722678B1 (ko) 조립완구
US20170014727A1 (en)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US9086087B1 (en) Multi-force resistant mechanical joint
JP7078306B2 (ja) 三次元構造物を作る構築システム
US10286332B2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JP2016154769A (ja) ジャングルジム
CN114450075A (zh) 可变形模块化玩具元件
US20040224601A1 (en) Interconnectable model construction elements
KR200470322Y1 (ko)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US1050141A (en) Puzzle.
EP3600585B1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KR101389927B1 (ko)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블록 커넥터
JP3180833U (ja) フィギュア用の関節構造
JP2017006605A (ja) 組立ブロックおもちゃ用ジョイント
KR101237610B1 (ko) 유아용 변형완구
JP3217458U (ja) 乳幼児向けマルチスキル育成・教育ビーズ玩具、及び前記のビーズから成る玩具アクセサリー
US20240042339A1 (en) Toy track set
JP3147667U (ja) 楕円柱組み立て回動ブロック
KR200460490Y1 (ko) 조립식 블록완구용 스윙연결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