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148A -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148A
KR20120028148A KR1020100090190A KR20100090190A KR20120028148A KR 20120028148 A KR20120028148 A KR 20120028148A KR 1020100090190 A KR1020100090190 A KR 1020100090190A KR 20100090190 A KR20100090190 A KR 20100090190A KR 20120028148 A KR20120028148 A KR 2012002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lock
square
circular
assembl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015B1 (ko
Inventor
김윤환
Original Assignee
김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환 filed Critical 김윤환
Priority to KR102010009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0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by corresponding projections and re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4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o form symbols or signs by appropriat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평면조립과 직교조립은 물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체되어 조립되는 합체조립도 가능하여 흥미를 배가시킬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조립이 가능하여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가 개시된다. 개시된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는 다수의 사각 조립블록으로 구성되되, 상기 사각 조립블록은,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높이 직설된 외부리브가 형성되고, 후면 내부에는 다수의 조립홈이 분할 형성되도록, 소정높이 직설된 격자형상의 내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조립홈에는 각각 조립공이 형성된 정사각형의 사각 조립몸체와;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측면 중, 일측면과 그 반대측면에 서로 이격되되,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조립공에 끼워 조립되게 돌출된 한 쌍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측면 중, 타측면과 그 반대측면에 서로 이격되되,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조립공에 끼워져 조립되게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회동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결합부와; 상기 다수의 조립공 중, 일부 조립공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립홈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구성되어서 사각 조립블록을 합체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합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ASSEMBLY TOY BLOCL SET}
본 발명은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 평면조립과 직교조립은 물론 서로 합체되어 조립되는 합체조립도 가능하여 흥미를 배가시킬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조립이 가능하여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블록이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어 다양한 모형으로 조립이 가능하며, 블록들을 서로 평면조립하여 연결하였을 때 연결된 부분을 보강할 수 있어 연결부분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주도록 구성된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완구는 일정형태의 블록을 조립하여 조립체를 만들게 함으로서 흥미는 물론 지능개발을 추구하는 완구로서, 도1에는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공지의 사각블록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블록완구는 서로 나란히 배치하여 평면적으로 조립되는 평면조립과, 블록과 블록을 수직으로 조립되는 직교조립은 가능하였으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체되는 합체조립은 할 수 없었고,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다양한 조립이 어려워 어린이들이 쉽게 실증내어 지능개발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블록완구는 단일 블록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움직이는 자동차를 조립하고 싶어도 바퀴의 회전 구조가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쉽게 싫증을 내고 창작 욕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블록완구는 한 쌍의 조립돌기의 사이에 형성된 조립공간에 끼움돌기를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다수 개의 사각블록을 서로 연결하다 보면 연결부분의 결속력이 약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연결부분이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어린이들이 사각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체를 만들어 가지고 놀다 보면 견고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 좋은데 연결부분이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생기며, 따라서 어린이들이 블록을 조립하여 가지고 노는데 쉽게 싫증을 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평면조립과 직교조립은 물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체되어 조립되는 합체조립도 가능하여 흥미를 배가시킬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조립이 가능하여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이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어 다양한 모형으로 조립이 가능하며, 사각블록에 원형블록을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여 바퀴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 어린이들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게 도와주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을 서로 평면조립할 때 지지블록을 사용하여 조립블록이 조립되게 함으로써 블록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다수의 블록이 안정적으로 평면조립될 수 있도록 한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는 다수의 사각 조립블록으로 구성되되, 상기 사각 조립블록은,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높이 직설된 외부리브가 형성되고, 후면 내부에는 다수의 조립홈이 분할 형성되도록, 소정높이 직설된 격자형상의 내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조립홈에는 각각 조립공이 형성된 정사각형의 사각 조립몸체와;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측면 중, 일측면과 그 반대측면에 서로 이격되되,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조립공에 끼워 조립되게 돌출된 한 쌍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측면 중, 타측면과 그 반대측면에 서로 이격되되,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조립공에 끼워져 조립되게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회동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결합부와; 상기 다수의 조립공 중, 일부 조립공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립홈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구성되어서 사각 조립블록을 합체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합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각 조립블록에 합체되는 원형 조립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원형 조립블록은 후면 내부로는 소정높이 직설된 정사각 형상의 외측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리브 내부에는 정십자 방향으로 형성되는 5개의 제2 원형조립공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리브의 네면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2 원형조립공의 양측단으로 소정높이 직설된 내측리브가 형성된 원형의 원형 조립몸체와, 상기 제2 원형조립공 중, 정중앙에 위치한 제2 원형조립공을 제외한 나머지 제2 원형조립공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돌출형성되는 원형합체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합체돌기는 사각 조립블록의 제1 원형조립공이 형성된 조립홈에 끼워져 합체 조립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외측리브 및 내측리브의 내측으로 끼워져 조립되어 원형 조립블록을 서로 합체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형 조립블록은 상기 사각 조립블록에 결속블록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결속블록은, 일측에 적어도2개 이상으로 분기되되 상기 사각 조립블록의 제1 원형조립공에 끼지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타측에 적어도2개 이상 분기되고 상기 제2 원형조립공 중, 정중앙에 위치한 제2 원형조립공에 끼워져 원형 조립블록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탄성후크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어 다수의 사각 조립블록을 평면조립할 때,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사각 조립블록간의 결합력을 보강시키기 위해, 결합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외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상판, 하판 및 양측판으로 구성되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는 평면조립과 직교조립은 물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체되어 조립되는 합체조립도 가능하여 흥미를 배가시킬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조립이 가능하여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이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어 다양한 모형으로 조립이 가능하며, 사각블록에 원형블록을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여 바퀴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 어린이들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게 도와준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을 서로 평면 조립할 때 지지블록을 사용하여 조립블록이 조립되게 함으로써 블록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다수의 블록이 안정적으로 평면조립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블록완구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조립블록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조립블록의 저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조립블록의 측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조립블록의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조립블록의 저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조립블록의 측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블록의 정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의 사시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곡 조립블록의 사시도이며,
도11 내지 도23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조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조립블록의 저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조립블록의 측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조립블록의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조립블록의 저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조립블록의 측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블록의 정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의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곡 조립블록의 사시도이다.
도2 및 도4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는 다수의 사각 조립블록(100)으로 구성되되, 평면조립과 직교조립은 물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체되어 조립되는 합체조립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사각 조립블록(100)은 사각 조립몸체(110), 제1 결합부(120), 제2 결합부(130) 및 합체돌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각 조립몸체(110)는 실질적인 정사각형의 판재로서,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높이 직설된 외부리브(111)가 형성되고, 후면 내부에는 다수의 조립홈(113)이 분할 형성되도록 소정높이 직설된 격자형상의 내부리브(112)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조립홈(113)에는 각각 조립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113)는 후술하는 합체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조립공(114)에는 후술할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가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제1 결합부(120)는 상기 사각 조립몸체(110)의 측면 중, 일측면과 그 반대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사각 조립몸체(110)의 조립공(114)에 끼워 조립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130)는 상기 사각 조립몸체(110)의 측면 중, 타측면과 그 반대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사각 조립몸체(110)의 조립공(114)에 끼워져 조립되게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부(120)와 회동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합체돌기(140)는 상기 다수의 조립공(114) 중, 일부 조립공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립홈(113)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구성되어서 사각 조립블록(10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 밀착시켰을 때 합체돌기를 통해 사각 조립블록이 서로 합체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각 조립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립홈(113)은 3×3 형태로 배열되어 격자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립공(114)은 상기 사각 조립몸체(110)의 내부 중앙부분에 정십자 방향으로 형성되는 5개의 제1 원형조립공(114a)과,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내부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는 4개의 사각형조립공(114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합체돌기(140)는 상기 사각형조립공(114b)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돌출형성된 사각합체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립공(114)은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가 끼워져 수직결합이 되게 하는 역활을 함은 물론이고, 상기 제1 원형조립공(114a)이 형성된 조립홈(113b)은 후술하는 원형 조립블록이 결합될 수 있는 역활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형조립공(114b)이 형성된 상기 외측리브(111)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사각합체돌기(140)가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사각합체돌기의 외면을 밀착지지하는 제1 합체지지돌기(1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각형조립공(114b)이 형성된 조립홈(113b)으로 상기 사각합체돌기(140)가 끼워져 사각 조립블록(10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체될 때, 상기 합체지지돌기(115)가 조립홈(113b)으로 끼워지는 사각합체돌기(140)의 외면을 가압하여 지지하여 줌으로써 더욱 견고한 사각 조립블록끼리의 합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 결합부(120)는 서로 이격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편(121)과, 상기 한쌍의 지지편(121)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봉(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130)는 내부에 상기 힌지봉(122)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홈(131)이 형성된 클램프(132)인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132)는 탄성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힌지홈(131)으로 상기 힌지봉(122)이 억지 끼움방식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강제적인 힘을 가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의 힌지홈(131)에 힌지봉(122)이 끼워져 사각 조립블록(100)이 평면조립되었을 때, 힌지홈내에서 힌지봉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각 조립블록(100)이 서로 각도조절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힌지봉은 팔각봉으로 마련되고, 상기 힌지봉이 끼워지는 클램프의 힌지홈도 힌지봉과 대응되게 팔각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힌지홈에 힌지봉이 끼워진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할 때, 상기 팔각봉이 이에 대응되는 팔각홈내에서 소정 각도에서 회동된 후 서로 치합되어 멈추면, 사각조립블록이 서로 소정각도에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한쌍의 지지편(121) 사이의 조립몸체(110) 측면에는 회동제한돌기(123)가 일체로 구성되고, 이 회동제한돌기(123)는 상기 힌지홈(131)에 힌지봉(122)이 끼워진 상태에서 사각 조립블록(100)이 회동할 때 크램프(123)의 외면을 밀착지지하여 사각 조립블록(100)이 90도 이상 회동되지 않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동제한돌기(123)는 상기 클램프의 힌지홈(131)에 힌지봉(122)이 끼워져 사각 조립블록이 평면 조립된 후, 상기 사각조립블록의 각도를 조절할 때, 90도까지 회동된 클램프(123)의 외면을 지지하여 사각 조립블록이 90도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블록 세트는 상기 사각 조립블록(100)에 합체되는 원형 조립블록(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원형 조립블록(200)은 상기 사각 조립블록(100)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체되어 조립되는 합체조립도 가능하고, 사각 조립블록(100)이 원형 조립블록(200)에 끼우져 수직방향으로 조립도 가능하며, 후술하는 결속블록을 통해 사각 조립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형 조립블록(200)은 후면 내부로는 소정높이 직설된 정사각 형상의 외측리브(211)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리브(211) 내부에는 정십자 방향으로 형성되는 5개의 제2 원형조립공(212)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리브(211)의 네면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2 원형조립공(212b)의 양측단으로 소정높이 직설된 내측리브(213)가 형성된 원형의 원형 조립몸체(210)와, 상기 제2 원형조립공 중, 정중앙에 위치한 제2 원형조립공(212a)을 제외한 나머지 제2 원형조립공(212b)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돌출형성되는 원형합체돌기(230)로 구성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정중앙에 위치한 제2 원형조립공(212a)은 후술하는 결속블록을 통해 사각 조립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있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하고, 상기 원형합체돌기(230)는 제1 원형조립공이 형성된 조립홈(113a)에 끼워져 사각 조립블록(100)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 밀착시켰을 때 사각 조립블록에 서로 합체되어 조립되거나, 상기 외측리브(211) 및 내측리브(213)의 내측으로 끼워져 조립되어 원형 조립블록을 서로 합체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1 원형조립공이 형성된 조립홈(113a)을 형성하는 외측리브 (111)및 내측리브(112) 중, 중앙에 위치한 내측리브를 제외한 나머지 외측리브 및 내측리브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원형합체돌기(230)가 제1 원형조립공이 형성된 조립홈(113a)에 끼워져 결합될 때 원형합체돌기(230)의 외면을 밀착지지하는 제2 합체지지돌기(1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원형 조립블록(200)이 상기 사각 조립블록(100)에 결속블록(30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결속블록(300)은 상기 사각 조립블록에 원형 조립블록을 회전가능하게 조립하여 바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블록(300)은 일측에 적어도2개 이상으로 분기되되 상기 사각 조립블록의 제1 원형조립공(114a)에 끼지는 끼움편(3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적어도2개 이상 분기되고 상기 제2 원형조립공 중, 정중앙에 위치한 제2 원형조립공(211a)에 끼워져 원형 조립블록(20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탄성후크편(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편(310) 및 탄성후프편(320)은 각각 제1 원형 조립공(114a) 및 원형 조립블록의 정중앙에 위치한 제2 원형조립공(211a)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각각 사각 조립블록 및 원형 조립블록에 결합된다. 그리고, 중앙부분에 중앙단턱(330)이 형성되어 사각 조립블록(100)과 원형 조립블록(200)이 서로 간섭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속블록(300)을 통해 상기 사각 조립블록(100)에 결합되는 원형 조립블록(200)은 후크편(320)에 끼워져 빠지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물론, 결속블록(300)은 상기 끼움편 및 후크편이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적으로 작동되어 사각 조립블록 및 원형 조립블록으로부터 강제적인 힘을 가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는 상기 제1 결합부(120)와 제2 결합부(130)가 상호 결합되어 다수의 사각 조립블록(100)을 평면 조립할 때,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사각 조립블록(100)간의 결합력을 보강시키기 위해, 지지블록(400)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사각 조립블록(100)과 사각 조립블록(100)이 서로 평면결합되면, 제1 결합부(120)와 제2 결합부(130)가 서로 조립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지지블록(400)은 서로 조립된 어느 하나의 사각 조립블록의 제1 결합부(120)와 다른 하나의 사각 조립블록의 제2 결합부(130)의 외측면을 지지해 주기 때문에, 사각 조립블록간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블록(400)은 서로 조립된 어느 하나의 사각 조립블록의 제1 결합부(120)와 다른 하나의 사각 조립블록의 제2 결합부(130)의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상판(410), 하판(420) 및 양측판(4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사각 조립블록(100)을 순차적으로 평면조립 하더라도 사각 조립블록(100)간의 결합강도가 향상되어 다수의 사각 조립블록이 안정적으로 평면조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가 보다 다양하고 길이가 긴 사각 조립블록의 평면조립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어린이의 창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400)의 외면에는 끼움돌기(4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400)의 외면에는 상기 끼움돌기(440)가 끼워져 조립되는 끼움홈(451)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45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블록의 끼움돌기(440) 및 고정돌기(450)는 상기 긴 사각 조립블록(100)을 지지블록(400)을 통해 결합 강도를 보강시킨 다음, 긴 사각 조립블록을 적층 결합할 때, 어느 하나의 지지블록의 고정돌기(450)의 끼움홈(451)에 다른 하나의 지지블록의 끼움돌기(440)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긴 사각 조립블록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록(400)의 측면 중, 일측면과 그 반대측면에는 각각 서로 다르게 끼움돌기(440) 및 고정돌기(4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측면과 그 반대측면에는 각각 서로 다르게 끼움돌기(440) 및 고정돌기(4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블록 세트는 상기 사각 조립블록(100)에 합체되는 절곡 조립블록(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절곡 조립블록(500)은 사각 조립블록(100)에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 조립블록(100)은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합체돌기(140)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되는 한쌍의 끼움부(510)와, 상기 한쌍의 끼움부(510)의 상단에서 끼움부와 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절곡판(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의 조립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각 조립블록(100)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조립되는 평면조립의 경우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사각 조립블록의 제1 결합부(120)를 타측 사각 조립블록의 제2 결합부(130)에 끼워 조립하면 된다.
또한, 사각 조립블록(100)을 서로 직교하여 조립하는 직교조립의 경우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조립블록의 조립공(114)에 다른 사각 조립블록의 제1 결합부(120) 또는 제2 결합부(130)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끼워 조립하거나,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사각 조립블록의 제1 결합부(120)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타측 사각 조립블록의 제2 결합부(130)를 결합시키면 된다. 여기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봉(122)이 팔각봉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힌지홈(132)이 팔각홈으로 형성되어, 서로 조립된 상기 일측 사각 조립블록의 제1 결합부(120)에 대해 타측 사각 조립블록의 제2 결합부(130)을 회동시켜 도15와 같이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된 상태에서 조립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사각 조립블록(100)을 서로 일체되게 합체하는 합체조립의 경우에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사각 조립블록(100)에 대해 사각합체돌기(140)가 있는 면과 없는 면을 서로 일치되게 마주보는 방향으로 조립하면 합체조립이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사각 조립블록의 사각합체돌기(130)는 다른 사각 조립블록의 대응되는 조립홈(113)에 끼워져 2개의 사각 조립블록이 서로 합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각 조립블록(100)을 좌우로 서로 비스듬하게 합체하는 합체조립의 경우에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사각 조립블록(100)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합체돌기(130)를 다른 하나의 사각 조립블록의 타측에 형성된 조립홈(113)에 끼우면 두개의 사각 조립블록이 좌우로 비스듬하게 합체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각형조립공(114b)의 후측에는 상기 사각합체돌기의 외면을 밀착지지하는 합체지지돌기(115)가 형성되어, 상기 합체지지돌기(115)가 조립홈(113)으로 끼워지는 사각합체돌기(130)의 외면을 가압하여 지지하여 줌으로써 더욱 견고한 사각 조립블록끼리의 합체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각 조립블록(100)과 원형 조립블록(200)을 서로 일체되게 합체하는 합체조립의 경우에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합체돌기(230)를 사각 조립블록의 제1 원형조립공이 형성된 조립홈(113a)에 끼워져 조립하면 사각 조립블럭(100)과 원형 조립블럭(200)이 서로 합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조립블럭(100)과 원형 조립블럭(200)이 서로 합체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사각 조립블록(100)에 상기 원형 조립블록(200)이 결속블록(30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 조립블록의 제1 원형조립공(114a)에는 결속블록의 끼움편(310)을 끼워 조립하고, 제2 원형조립공 중, 정중앙에 위치한 제2 원형조립공(211a)에는 결속블록의 탄성후크편(320)을 끼워 조립한다. 그러면, 사각 조립블록(100)에 원형 조립블록(200)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바퀴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순 조립완구가 아닌 회전되는 조립완구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형 조립블록과 원형 조립블록의 결속블록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회전되는 조립완구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조립블록의 제1 결합부(120)와 제2 결합부(130)가 상호 결합되어 다수의 사각 조립블록을 평면조립할 때, 제1 결합부와 제1 결합부가 결합된 부분에 지지블록(400)을 조립하여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사각 조립블록간의 결합력을 보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가 보다 다양하고 길이가 긴 사각 조립블록의 평면조립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어린이의 창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길게 조립된 사각 조립블록을 적층 결합할 때, 어느 하나의 지지블록의 고정돌기의 끼움홈에 다른 하나의 지지블록의 끼움돌기가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써, 긴 사각 조립블록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은 독립적으로 어느 하나의 지지블록의 고정돌기의 끼움홈에 다른 하나의 지지블록의 끼움돌기를 끼워 조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조립블럭(100)과 절곡 조립블록(500)의 결합은 일예로 사각 조립블록의 사각 조립몸체의 합체돌기 내측(140)에 대응되게 한쌍이 결합되어 지붕형상을 갖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사각 조립블록 및 원형 조립블록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도면에 도시된 기본적인 조립 활용 외에도 어린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할 것이다.
100: 사각 조립블록 110: 사각 조립몸체
111: 외부리브 112: 내부리부
113: 조립홈 114: 조립공
115: 제1 합체지지돌기 116: 제2 합체지지돌기
120: 제1 결합부 130; 제2 결합부
140: 합체돌기 200: 원형 조립블록
212: 제2 원형조립공 213: 내측리브
230: 원형합체돌기 300: 결속블록
310: 끼움편 320: 후크편
330: 중앙단턱 400: 지지블록
410: 상판 420: 하판
430: 측판 500: 절곡 조립블록
510: 끼움부 520: 절곡판

Claims (13)

  1.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는 다수의 사각 조립블록으로 구성되되, 상기 사각 조립블록은,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높이 직설된 외부리브가 형성되고, 후면 내부에는 다수의 조립홈이 분할 형성되도록, 소정높이 직설된 격자형상의 내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조립홈에는 각각 조립공이 형성된 정사각형의 사각 조립몸체와;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측면 중, 일측면과 그 반대측면에 서로 이격되되,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조립공에 끼워 조립되게 돌출된 한 쌍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측면 중, 타측면과 그 반대측면에 서로 이격되되,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조립공에 끼워져 조립되게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회동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결합부와;
    상기 다수의 조립공 중, 일부 조립공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립홈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구성되어서 사각 조립블록을 합체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합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3×3 형태로 배열되어 격자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립공은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내부 중앙부분에 정십자 방향으로 형성되는 5개의 제1 원형조립공과,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내부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는 4개의 사각형조립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합체돌기는 상기 사각형조립공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돌출형성된 사각합체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조립공이 형성된 상기 외측리브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사각합체돌기가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사각합체돌기의 외면을 밀착지지하는 제1 합체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서로 이격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편과, 상기 한쌍의 지지편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내부에 상기 힌지봉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홈이 형성된 클램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봉은 팔각봉으로 마련되고, 상기 힌지봉이 끼워지는 클램프의 힌지홈도 힌지봉과 대응되게 팔각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홈에 힌지봉이 끼워진 상태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편 사이의 조립몸체 측면에는 회동제한돌기가 일체로 구성되고, 이 회동제한돌기는 상기 힌지홈에 힌지봉이 끼워진 상태에서 사각 조립블록이 회동할 때 크램프의 외면을 밀착지지하여 사각 조립블록이 90도 이상 회동되지 않게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조립블록에 합체되는 원형 조립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원형 조립블록은 후면 내부로는 소정높이 직설된 정사각 형상의 외측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리브 내부에는 정십자 방향으로 형성되는 5개의 제2 원형조립공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리브의 네면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2 원형조립공의 양측단으로 소정높이 직설된 내측리브가 형성된 원형의 원형 조립몸체와, 상기 제2 원형조립공 중, 정중앙에 위치한 제2 원형조립공을 제외한 나머지 제2 원형조립공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돌출형성되는 원형합체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합체돌기는 사각 조립블록의 제1 원형조립공이 형성된 조립홈에 끼워져 합체 조립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외측리브 및 내측리브의 내측으로 끼워져 조립되어 원형 조립블록을 서로 합체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형조립공이 형성된 조립홈을 형성하는 외측리브 및 내측리브 중, 중앙에 위치한 내측리브를 제외한 나머지 외측리브 및 내측리브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원형합체돌기가 제1 원형조립공이 형성된 조립홈에 끼워져 결합될 때 원형합체돌기의 외면을 밀착지지하는 제2 합체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조립몸체에는 제2 원형조립공의 외측으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정사각형을 이루는 4개의 사각형고정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조립블록은 상기 사각 조립블록에 결속블록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결속블록은,
    일측에 적어도2개 이상으로 분기되되 상기 사각 조립블록의 제1 원형조립공에 끼지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타측에 적어도2개 이상 분기되고 상기 제2 원형조립공 중, 정중앙에 위치한 제2 원형조립공에 끼워져 원형 조립블록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탄성후크편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중앙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어 다수의 사각 조립블록을 평면조립할 때,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사각 조립블록간의 결합력을 보강시키기 위해, 결합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외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상판, 하판 및 양측판으로 구성되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외면에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의 외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져 조립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조립블록에 합체되는 절곡 조립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곡 조립블록은 상기 사각 조립몸체의 합체돌기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되는 한쌍의 끼움부와, 상기 한쌍의 끼움부의 상단에서 끼움부와 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절곡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KR1020100090190A 2010-09-14 2010-09-14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KR101261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90A KR101261015B1 (ko) 2010-09-14 2010-09-14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90A KR101261015B1 (ko) 2010-09-14 2010-09-14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148A true KR20120028148A (ko) 2012-03-22
KR101261015B1 KR101261015B1 (ko) 2013-05-07

Family

ID=4613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190A KR101261015B1 (ko) 2010-09-14 2010-09-14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0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22Y1 (ko) * 2012-07-30 2013-12-10 선우윤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KR101723629B1 (ko) * 2015-10-07 2017-04-06 주식회사 중일전기 조명기구의 부품 결합구조
WO2017209344A1 (ko) * 2016-06-03 2017-12-07 최소영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180080027A (ko) * 2017-01-03 2018-07-11 주식회사 이창의스쿨 조립블록완구
WO2019004516A1 (ko) * 2017-06-26 2019-01-03 최소영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2559628B1 (ko) * 2022-11-23 2023-07-26 박재희 Diy 플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116A (en) 1989-06-26 1991-02-05 Chen Tsan L Combining structure for toy blocks
KR200299516Y1 (ko) 2002-09-18 2002-12-31 권용진 어린이들의 지능개발을 위한 모형블록
US20060163809A1 (en) 2005-01-24 2006-07-27 Shih-Hung Chuang Jigsaw puzzle assembly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22Y1 (ko) * 2012-07-30 2013-12-10 선우윤 조립완구용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KR101723629B1 (ko) * 2015-10-07 2017-04-06 주식회사 중일전기 조명기구의 부품 결합구조
WO2017209344A1 (ko) * 2016-06-03 2017-12-07 최소영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170137589A (ko) * 2016-06-03 2017-12-13 최소영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CN107913522A (zh) * 2016-06-03 2018-04-17 崔昭宁 组装式模块玩具套装
KR101866659B1 (ko) * 2016-06-03 2018-06-12 최소영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180080027A (ko) * 2017-01-03 2018-07-11 주식회사 이창의스쿨 조립블록완구
WO2019004516A1 (ko) * 2017-06-26 2019-01-03 최소영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2559628B1 (ko) * 2022-11-23 2023-07-26 박재희 Diy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015B1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015B1 (ko)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US8011156B1 (en) Construction set
CA2303535C (en) A thermoformed toy building plate
US20110294390A1 (en) Interlocking Panel and Kit of Such Panels
WO1998034706A1 (en) Spherical element combination for construction toy set
KR20110069137A (ko) 패싯화된 금속 현수 천장
JP4537397B2 (ja) モジュール式基礎構造体を構築する建物用部材
KR101477410B1 (ko) 프레임 어셈블리
KR20180127312A (ko)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
KR20170042850A (ko) 조립식 완구블럭
KR101611788B1 (ko) 레일 블록 완구
KR101464444B1 (ko) 아동용 블록빌더
KR200469966Y1 (ko) 조립식 블록 완구
CN211215432U (zh) 建筑拼装积木益智玩具
KR200486530Y1 (ko) 베이비룸 패널 벽체고정구
KR200483536Y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완구의 면 블록
KR20110101739A (ko)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JPH0924165A (ja) 組立おもちゃ
KR101430313B1 (ko) 다면체 만들기용 조립구조체
CN209405688U (zh) 一种建筑积木
KR20180093303A (ko)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
KR20110028698A (ko) 조립 완구
KR101916321B1 (ko) 조립식 완구 블록
KR101711559B1 (ko) 칸막이 판넬 코너 연결용 고정 프레임
KR101109171B1 (ko) 블럭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