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25Y1 -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25Y1
KR200470225Y1 KR2020110009824U KR20110009824U KR200470225Y1 KR 200470225 Y1 KR200470225 Y1 KR 200470225Y1 KR 2020110009824 U KR2020110009824 U KR 2020110009824U KR 20110009824 U KR20110009824 U KR 20110009824U KR 200470225 Y1 KR200470225 Y1 KR 200470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ver
lever
cooking utensil
suppor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896U (ko
Inventor
어수연
Original Assignee
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수연 filed Critical 어수연
Priority to KR2020110009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2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8Spatulas; Scrapers; Multi-purpose 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2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for fastening kitchen utensi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기구를 평평한 면 위에 놓을 때 음식물이 뭍은 부위가 상기 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깨끗한 조리기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음식물이 뭍은 부위가 다른 물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 음식물의 조리시에 음식물에 오염될 염려가 획기적으로 저감되어 조리기구를 보다 확실하게 위생적이고 깨끗한 사용이 가능하며, 조리기구로부터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구의 수납성 및 취급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구{COOKING UTENSIL}
본 고안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주걱이나 뒤집개 등과 같은 조리기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음식점 등과 같은 업소에서 음식을 다룰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조리기구로는 주걱이나 뒤집개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이러한 조리기구들은 공통적으로 긴 막대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일측 선단부분은 음식물에 직접 접촉하여 음식물을 섞거나 뒤집는 등의 역할을 하고, 타측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주걱 등과 같은 조리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부터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조리에 사용했던 조리기구를 사용자가 임시로 식탁 등에 놓을 때, 음식물에 접촉했던 부분이 그대로 식탁 등에 닿아서, 조리기구를 다시 사용할 때 식탁 등으로부터 뭍은 이물질에 의해 위생에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 식탁 등은 조리기구로부터의 음식물로 지저분해지게 되는 현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과 같은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주걱의 중간 뒷부분에 돌출된 지지돌기가 주걱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 지지돌기 자체에 음식물이 뭍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으며, 상기 지지돌기가 주걱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서 다른 조리기구들과 함께 수납될 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그 취급상에 불편함이 따르는 등의 문제가 있다.
KR 20-0410451 Y1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기구를 평평한 면 위에 놓을 때 음식물이 뭍은 부위가 상기 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깨끗한 조리기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음식물이 뭍은 부위가 다른 물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 음식물의 조리시에 음식물에 오염될 염려가 획기적으로 저감되어 조리기구를 보다 확실하게 위생적이고 깨끗한 사용이 가능하며, 조리기구로부터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구의 수납성 및 취급성이 향상되도록 한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리기구는
조리기구의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됨에 의해 조리기구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와 돌출되지 않고 접힌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된 지지레버와;
상기 지지레버가 조리기구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레버지지수단과;
상기 지지레버가 상기 조리기구에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레버수납유지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조리기구를 평평한 면 위에 놓을 때 음식물이 뭍은 부위가 상기 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깨끗한 조리기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음식물이 뭍은 부위가 다른 물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 음식물의 조리시에 음식물에 오염될 염려가 획기적으로 저감되어 조리기구를 보다 확실하게 위생적이고 깨끗한 사용이 가능하며, 조리기구로부터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구의 수납성 및 취급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기구를 측면에서 본 것으로서, 지지레버가 조리기구에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조리기구를 측면에서 본 것으로서, 지지레버가 조리기구로부터 돌출되게 회동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리기구의 지지레버가 조리기구에 접힌 상태로 조립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배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비교하여 지지레버가 조리기구로부터 돌출되게 회동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 실시예들은 조리기구(1)의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됨에 의해 조리기구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와 돌출되지 않고 접힌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된 지지레버(3)와; 상기 지지레버가 조리기구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레버지지수단과; 상기 지지레버가 상기 조리기구에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레버수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조리기구(1)를 조리에 사용할 때나 수납할 때에는, 상기 지지레버(3)를 조리기구에 접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상기 지지레버에 뭍지 않도록 함은 물론 불필요한 돌출부가 없어서 조리기구의 수납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고, 조리기구를 평평한 곳에 놓을 때에는 상기 지지레버를 조리기구의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회동시켜서 놓음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하는 부분이 식탁 등과 같은 다른 물건 등에 닿지 않아 위생적인 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의 제1실시예를 보면, 상기 지지레버(3)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양단(5)이 상기 조리기구(1)의 중앙부에 양쪽에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레버의 회동축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버지지수단은 상기 조리기구(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된 걸림돌기(7)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수납유지수단은 상기 지지레버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레버의 선경에 비하여 작은 폭의 목을 가지는 걸림홈(9)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지지레버(3)를 회동시키는 조작만으로, 상기 지지레버가 조리기구(1)에 접혀서 그 수납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조리시에 지지레버(3)에 음식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지지레버와 음식물과의 완전에 가까운 격리상태를 지속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위생적인 사용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조리기구(1)를 평평한 식탁 등과 같은 곳에 임시로 거치할 때에는 상기 지지레버에 의해 상기 조리기구의 음식물이 뭍은 부분이 상기 식탁 등 다른 물체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조리기구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식탁 등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레버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양단(5)이 상기 조리기구(1)의 중앙부에 양쪽에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레버(3)의 회동축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버지지수단은 상기 지지레버의 ‘ㄷ’자형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레버(3)가 돌출되는 상태로 회전할 때 상기 조리기구(1)와 간섭되어 지지레버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로드(11)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수납유지수단은 상기 걸림로드(1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레버의 선경에 비하여 작은 폭의 목을 가지는 걸림홈(9)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레버(3)의 길이는 상기 지지레버가 상기 조리기구에 접힌 상태에서 상기 조리기구(1)의 손잡이 단부를 감싸도록 길게 형성된 구조이다.
이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지지레버(3)의 회동축이 위치하는 부위를 조리기구의 손잡이 쪽에 보다 치우치게 설정할 수 있어서, 조리기구(1)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에 지지레버(3)가 음식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격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지지레버(3)의 회동축을 상기 조리기구(1)의 손잡이 쪽으로 보내는 것은, 상기 지지레버(3)를 돌출되게 회동시켜서 조리기구의 음식물 조리부분이 식탁 등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기 지지레버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제1실시예보다 길기 때문에 도 8과 같은 상태로 지지레버를 회동시키면, 지지레버의 회동축을 손잡이 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하고도 지지레버의 하단이 조리기구의 중심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부분 쪽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어서, 본 고안 본연의 목적대로 조리기구(1)의 음식물 조리부분이 식탁 등에 닿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레버(3)가 도 7과 같이 접힌 상태에서는 도 2의 상태보다 더 손잡이 쪽으로 상기 지지레버(3)가 위치하여, 결과적으로 음식물 조리시에 음식물과 지지레버(3)의 접촉 가능성이 더욱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지지레버(3)가 도 1과 같이 접힌 상태는 조리기구 본래의 구조나 부피로부터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이 거의 없는 것과 다름이 없어, 그 취급 및 수납에도 유리하다.
1; 조리기구
3; 지지레버
7; 걸림돌기
9; 걸림홈
11; 걸림로드

Claims (4)

  1.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은 음식물에 접촉하도록 길게 형성된 주걱 형상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1)의 손잡이와 음식물 접촉 부분 사이의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됨에 의해 조리기구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와 돌출되지 않고 접힌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된 지지레버(3)와;
    상기 지지레버가 조리기구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레버지지수단과;
    상기 지지레버가 상기 조리기구에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레버수납유지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버(3)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양단이 상기 조리기구의 중앙부에 양쪽에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레버의 회동축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버지지수단은 상기 조리기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된 걸림돌기(7)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수납유지수단은 상기 지지레버(3)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레버의 선경에 비하여 작은 폭의 목을 가지는 걸림홈(9)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버(3)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양단이 상기 조리기구의 중앙부에 양쪽에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레버의 회동축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버지지수단은 상기 지지레버의 ‘ㄷ’자형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레버(3)가 돌출되는 상태로 회전할 때 상기 조리기구(1)와 간섭되어 지지레버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로드(11)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수납유지수단은 상기 걸림로드(1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레버의 선경에 비하여 작은 폭의 목을 가지는 걸림홈(9)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버(3)의 길이는 상기 지지레버가 상기 조리기구(1)에 접힌 상태에서 상기 조리기구의 손잡이 단부를 감싸도록 길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KR2020110009824U 2011-11-07 2011-11-07 조리기구 KR200470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24U KR200470225Y1 (ko) 2011-11-07 2011-11-07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24U KR200470225Y1 (ko) 2011-11-07 2011-11-07 조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96U KR20130002896U (ko) 2013-05-15
KR200470225Y1 true KR200470225Y1 (ko) 2013-12-05

Family

ID=5075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824U KR200470225Y1 (ko) 2011-11-07 2011-11-07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2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3914U (ko) * 1979-03-14 1980-09-2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3914U (ko) * 1979-03-14 1980-09-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96U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881B2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70040789A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KR101499112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US7600654B2 (en) Container and cookware apparatus providing rest support for utensils
KR200470225Y1 (ko) 조리기구
KR101379754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US20140008315A1 (en) Holder for cookware and cooking utensils
JP2019088607A (ja) ハイブリッドまな板
KR200468194Y1 (ko) 손잡이에 뒤집개 안치대가 형성된 프라이팬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KR101191082B1 (ko) 기능성 뚝배기 받침
KR20170122967A (ko) 회전 냄비
KR101202930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 손잡이
KR20220006342A (ko) 에어프라이어
CN216494994U (zh) 一种厨具
KR20110006565U (ko) 머리부경사면을 갖는 뚜껑용 노브 및 이를 이용한 뚜껑
KR101413463B1 (ko) 교체형 조리기구
KR20110090139A (ko) 조리기구 걸이대
JP2007244708A (ja) なべ等の調理器に対する調理具用のストッパ
KR101852717B1 (ko) 그릇
KR101781128B1 (ko) 후라이팬용 일회용 종이 뚜껑
KR20150059526A (ko) 뒤집기 유도판이 구비된 프라이팬
JP2014168598A (ja) フライパン
KR20240003824A (ko) 조리기구에 거치 가능한 조리기구용 뚜껑
KR200215662Y1 (ko) 전기보온밥통용 보조수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