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004Y1 - 커튼봉 - Google Patents

커튼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004Y1
KR200470004Y1 KR2020110010497U KR20110010497U KR200470004Y1 KR 200470004 Y1 KR200470004 Y1 KR 200470004Y1 KR 2020110010497 U KR2020110010497 U KR 2020110010497U KR 20110010497 U KR20110010497 U KR 20110010497U KR 200470004 Y1 KR200470004 Y1 KR 200470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clip
rod
groov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297U (ko
Inventor
박흥순
Original Assignee
박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순 filed Critical 박흥순
Priority to KR2020110010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00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0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2Curtain rod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을 커튼을 걸어 커튼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커튼을 설치하기 위한 커튼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은 커튼을 설치하기 위한 커튼봉로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상단 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클립홈을 형성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하단 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커튼롤러가 주행하는 주행홈을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봉본체; 및 상기 클립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봉본체를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는 클립을 포함한다. 따라서, 커튼을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커튼봉의 처짐을 방지하고,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튼봉{A curtain bar}
본 고안은 커튼을 걸어 커튼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커튼을 설치하기 위한 커튼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창을 통해 빛이 들어오거나 집안의 내부가 보여져 사생활의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창을 가리도록 창이 위치된 곳에 설치된다.
이러한 커튼은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창이 위치된 부분의 천장에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커튼롤러가 구비된 레일을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고, 커튼롤러에 커튼을 매다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커튼롤러에 커튼을 설치할 경우, 획일적인 커튼의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탈피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고 커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커튼봉이 개시되었다.
커튼봉은 천정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커튼봉을 설치하고 링형상의 고리를 커튼에 설치하여 고리를 커튼봉에 끼우는 형태로 커튼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커튼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커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커튼봉이 개시된 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8982호(공개일자 2011.7.7) 및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65834호(등록일자 2004.10.15)등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커튼봉은 커튼의 무게에 의해 고리와 커튼봉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커튼을 열고 닫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 고리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다르기 때문에 커튼을 닫을 때, 커튼이 고르게 펼쳐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튼봉은 고리의 이동을 위하여 커튼봉의 양측 또는 가운데에만 브래킷이 설치될 수 있어 커튼의 무게에 의해 커튼봉이 하부로 처지고 그에 따라 커튼이 바닥에 끌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커튼봉과 고리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그 형태가 제한되어 인테리어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튼봉은 고리가 커튼봉을 지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간의 낭비가 발생하고, 천정에만 커튼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커튼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제약이 발생하며, 커튼봉의 설치 후 고리와 커튼핀의 개수가 맞지 않는 경우 고리의 개수를 줄이거나 늘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튼을 열고 닫을 때,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커튼의 부드러운 개폐가 가능하며, 강성을 증대시켜 커튼의 무게로 인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테리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튼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은 커튼을 설치하기 위한 커튼봉로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상단 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클립홈을 형성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하단 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커튼롤러가 주행하는 주행홈을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봉본체; 및 상기 클립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봉본체를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는 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클립은 벽 또는 천정에 고정하도록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 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고정부의 끝단과 상기 누름부의 끝단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끝단과 상기 누름부의 끝단을 탄성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홈의 내면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요철형상에 끼워져 상기 클립홈에서 상기 클립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는 하부가 뾰족한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홈은 상기 클립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본체는 측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홈은 상기 커튼봉이 주행하는 면이 상기 주행홈의 중앙을 향해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튼의 개폐 시 커튼봉과 커튼의 사이에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커튼의 부드러운 개폐가 가능하며, 커튼을 지지하는 봉본체에 내측으로 절곡된 주행홈 및 클립홈을 형성하는 형태로 봉본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립을 이용하여 봉본체가 천정이나 벽에 고정되고 커튼롤러가 이동하면서 커튼이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봉본체의 길이나 커튼의 무게에 따라 클립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커튼봉의 처짐과 그에 따라 커튼이 바닥에 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커튼봉의 길이를 실내 공간의 크기에 따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튼봉의 일측 끝단에서 반대측 끝단으로 커튼이 닫히는 스타일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고리가 봉본체를 감싸며 이동하는 형태가 아니므로 봉본체와 고리 사이의 마찰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봉본체의 형상을 원형 뿐만 아니라 삼각형, 마름모, 타원 등 다양한 형태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인테리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클립에 의해 봉본체가 설치되므로 커튼봉을 설치함에 있어서 장소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커튼봉의 설치 후 커튼핀의 개수와 커튼롤러의 개수가 맞지 않는 경우 용이하게 커튼롤러의 개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클립에 봉본체가 끼워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클립에 봉본체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커튼봉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을 구성하는 봉본체의 변형예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을 구성하는 봉본체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7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을 구성하는 봉본체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100)은 봉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봉본체(110)는 커튼(200)이 매달리는 복수 개의 커튼봉(100)이 주행하여 커튼(200)을 열고 닫을 수 있다.
한편, 봉본체(110)는 측벽(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벽(111)은 절곡되거나 굴곡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측벽(111)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점대칭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봉본체(110)는 제1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13)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111)의 상단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113)는 측벽(111)의 내측 더 구체적으로는 측벽(111)의 상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클립홈(114)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클립홈(114)은 하기에 설명될 클립(1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1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클립홈(114)이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되면 클립(150)을 클립홈(114)에 끼웠을 때, 클립홈(114)의 좁은 상부에 클립(150)이 걸쳐져 클립(150)이 클립홈(1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클립홈(114)의 내면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클립홈(114)의 좁게 형성된 상부에 클립홈(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와 같은 요철형상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제1 연결부(113)는 측벽(111)의 상단을 밀폐하여 클립홈(114)이 측벽(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봉본체(110)는 제2 연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15)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상의 측벽(111)의 하단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115)는 측벽(111)의 내측 더 구체적으로는 측벽(111)의 하단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주행홈(116)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주행홈(116)은 커튼(200)이 걸쳐지는 주행롤러가 주행홈(1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주행홈(116)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 주행홈(116)에 커튼롤러(210)를 끼웠을 때, 커튼롤러(210)가 주행홈(116)의 좁은 하부에 걸쳐져 커튼롤러(210)가 주행홈(11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115)는 측벽(111)의 상단을 밀폐하여 클립홈(114)이 측벽(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주행홈(116)에서 커튼롤러(210)가 걸쳐져 주행하는 제2 연결부(115)의 절곡된 면은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주행홈(116)을 중심으로 하향되는 경사면(미도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커튼롤러(210)가 주행홈(116)에서 주행 시 경사면에 의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커튼롤러(210)가 주행홈(116)의 하부에 좁은 부분에 부딪히지 않고 부드러운 주행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봉본체(11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봉본체(110)는 봉본체(110)에 주행홈(116) 및 클립홈(114)이 형성된 단면으로 천공된 금형을 이용하여 인발 또는 압출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봉본체(1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 봉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주행홈(116) 및 클립홈(114)을 절곡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봉본체(110)는 제1 연결부(113) 및 제2 연결부(115)가 주행홈(116) 및 레일홈의 형상으로 절곡되고 측벽(111)을 제1 연결부(113) 및 제2 연결부(115)에 용접 또는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구조로 결합하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봉본체(110)의 측단면의 형상은 더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측벽(111)이 이루는 형상이 다각형 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역삼각형, 마름모형, 육각형, 팔각형 등과, 원형, 타원형 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봉본체(110)의 변형예로서 봉본체(110)가 마름모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6은 봉본체(110)의 다른 변형예로서 봉본체(110)가 역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7은 봉본체(110)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봉본체(110)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봉본체(110)는 상기한 다각형, 원형, 타원형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봉본체(110)의 외면 더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측벽(111)의 외면에는 다양한 무늬 또는 모양 또는 색깔 등이 입혀져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봉본체(110)에 주행홈(116) 및 클립홈(114)이 제1 연결부(113)와 제2 연결부(115)가 측벽(111)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봉본체(1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봉본체(110)에 커튼(200)을 매달았을 때, 커튼(200)의 무게로 인한 봉본체(11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100)은 클립(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클립(150)은 봉본체(110)의 클립홈(114)에 결합되어 봉본체(110)를 벽 또는 천정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클립(150)은 탄성력을 가져 클립홈(114)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클립(150)은 고정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부(151)는 클립(150)을 벽 또는 천정에 고정설치하는 부분으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끝단 부분에는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벽 또는 천정에 클립(15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15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51)는 다양한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로 고정부(151)가 절곡된 경우 천정에 커튼봉(1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로 형성된 경우 벽면에 커튼봉(100)을 설치할 수 있다.
클립(150)은 누름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누름부(153)는 사용자가 고정부(151)와 함께 누름부(153)를 가압하여 누름으로써, 클립(150)과 누름부(153)와 고정부(151)의 거리가 축소되어 클립홈(114)에서 클립(150)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부(153)는 고정부(151)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클립(150)은 끼움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끼움부(155)는 서로 이격 배치된 누름부(153)와 고정부(151)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여 누름부(153)와 고정부(151)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끼움부(155)는 중앙부분이 누름부(153)의 끝단과 고정부(151)의 끝단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끼움부(155)의 양측단이 누름부(153)의 끝단 및 고정부(151)의 끝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부(155)가 연결되는 누름부(153)의 끝단과 고정부(151)의 끝단의 사이 거리보다 끼움부(155)의 마주보는 양측의 사이 거리가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부(151)와 누름부(153)를 끼움부(155)로 연결하면 고정부(151)와 누름부(153)는 끼움부(155)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되어 누름부(153)와 고정부(151)가 서로 만나도록 사용자가 가압하고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153)와 고정부(151)가 초기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다.
한편, 끼움부(155)는 하부가 뽀족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에서의 끼움부(155)는 클립홈(114)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부가 뽀족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하였으며, 클립홈(114)도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끼움부(155)로 연결된 누름부(153)의 끝단과 고정부(151)의 끝단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끝단은 상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누름부(153)와 고정부(151)가 상부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구성되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누름부(153)와 고정부(151)를 눌러 봉본체(110)에 형성된 클립홈(114)에 클립(150)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클립(150)은 고정돌기(15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156)는 클립홈(114)에 클립(150)이 끼워졌을 때, 클립홈(114)을 따라 클립(15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돌기(156)는 클립홈(114)에 형성된 요철형상과 대응형상을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홈(114)에 클립(150)이 끼워졌을 때, 클립홈(114)에 형성된 요철형상과 대응되는 클립(150)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고정돌기(156)는 클립에서 끼움부(115)의 바로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부(151) 및 누름부(153)의 서로 대향되는 외면에서 톱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클립홈(114)의 톱니와 같은 요철형상에 고정돌기(156)가 끼워져 클립홈(144)에서 클립(114)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아울러, 클립(150)은 봉본체(11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100)은 먼저 봉본체(110)가 설치될 부분에 클립(150)의 고정부(151)를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이때, 클립(150)은 봉본체(110)의 길이에 따라 복수 개를 적절히 배치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봉본체(110)에 커튼(200)이 걸쳐진 복수 개의 커튼롤러(210)를 주행홈(116)의 측면으로 끼운 상태에서 클립(150)에 봉본체(110) 더 구체적으로는 봉본체(110)의 클립홈(114)을 끼워 커튼(200)을 설치한다.
여기서, 클립(150)에 봉본체(110)를 끼울 때에는 클립(150)의 끼움부(155)를 봉본체(110) 더 구체적으로는 제1 연결부(113)로 형성된 클립홈(114)에 가압하면, 클립(150)의 끼움부(155)가 탄성력에 의해 축소 즉, 누름부(153)와 고정부(151)의 사이가 좁아져 클립홈(114)으로 용이하게 삽입되고 클립홈(114)에 완전히 삽입된 끼움부(155)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누름부(153)와 고정부(151)의 사이가 벌어지는 형태로 클립(150)이 클립홈(114)에 결합된다.
아울러 클립(150)에서 봉본체(110)를 분리할 경우에는 클립(150)의 누름부(153)와 고정부(151)가 서로 맞닿도록 누른 상태에서 클립(150)의 하부로 봉본체(110)를 당기면 클립(150)이 클립홈(114)에서 용이하게 이탈되어 봉본체(110)를 클립(15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봉(100)은 측벽(111)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립홈(114) 및 주행홈(116)이 측벽(111)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봉본체(110)의 강성을 증대시켜 봉본체(110)의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봉본체(110)가 클립(150)에서 용이하게 탈착되어 커튼(2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립(150)의 설치가 자유롭고 클립(150)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벽 또는 천정 등 다양한 장소에 커튼봉(10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커튼(200)이 종래와 같이 고리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커튼롤러(210)에 의해 이동하여 커튼(200)을 부드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커튼봉 110: 봉본체
111: 측벽 113: 제1 연결부
114: 클립홈 115: 제2 연결부
116: 주행홈 150: 클립
151: 고정부 152: 체결공
153: 누름부 155: 끼움부
156: 고정돌기 200: 커튼
210: 커튼롤러

Claims (7)

  1. 커튼을 설치하기 위한 커튼봉로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상단 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클립홈을 형성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하단 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커튼롤러가 주행하는 주행홈을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봉본체; 및
    상기 클립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봉본체를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벽 또는 천정에 고정하도록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고정부의 끝단과 상기 누름부의 끝단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끝단과 상기 누름부의 끝단을 탄성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홈의 내면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요철형상에 끼워져 상기 클립홈에서 상기 클립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하부가 뽀족한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홈은
    상기 클립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본체는
    측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홈은
    상기 커튼봉이 주행하는 면이 상기 주행홈의 중앙을 향해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KR2020110010497U 2011-11-25 2011-11-25 커튼봉 KR200470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97U KR200470004Y1 (ko) 2011-11-25 2011-11-25 커튼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97U KR200470004Y1 (ko) 2011-11-25 2011-11-25 커튼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97U KR20130003297U (ko) 2013-06-04
KR200470004Y1 true KR200470004Y1 (ko) 2013-11-19

Family

ID=5074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497U KR200470004Y1 (ko) 2011-11-25 2011-11-25 커튼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0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13Y1 (ko) 2018-09-17 2019-09-09 주식회사 룩스온 커튼박스용 차광장치
CN210961397U (zh) * 2019-03-25 2020-07-10 宁波利洋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窗帘安装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246Y1 (ko) * 1978-09-23 1979-07-30 김덕환 카텐 레일
KR920005467Y1 (ko) * 1990-07-18 1992-08-13 강종영 휨방지용 보강철편이 내장된 복수형 커어텐 지지체
KR200410183Y1 (ko) * 2005-12-07 2006-03-07 박희제 커튼봉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246Y1 (ko) * 1978-09-23 1979-07-30 김덕환 카텐 레일
KR920005467Y1 (ko) * 1990-07-18 1992-08-13 강종영 휨방지용 보강철편이 내장된 복수형 커어텐 지지체
KR200410183Y1 (ko) * 2005-12-07 2006-03-07 박희제 커튼봉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97U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4500B2 (en) Foldable window blind structure
WO2007063685A1 (ja) 折畳式スクリーン装置
KR200470004Y1 (ko) 커튼봉
KR101618356B1 (ko) 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RU193397U1 (ru) Профиль для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US20090038761A1 (en) Drapery hardware
BE1024265A1 (nl) Scherminrichting
KR20050027232A (ko) 빨래 건조대
KR101813668B1 (ko) 창문틀용 미세먼지망 고정 어셈블리
US20080060770A1 (en) Panel track curtain system
KR200400101Y1 (ko) 차양장치의 레일용 클립구조
KR200480968Y1 (ko) 이중 커튼장치
KR102022849B1 (ko) 층고 낮춤 구조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KR100939232B1 (ko) 커튼의 웨이브 형성기구
RU207757U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полотна в профиле гарпунного крепления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с отступом от стены
US1786052A (en) Curtain fixture
JP2012075460A (ja) パネル型カーテン
RU49855U1 (ru) Потолок подвесной реечного типа
RU165891U1 (ru) Карниз
CN202960012U (zh) 新型塑钢复合柔性帘轨
RU49856U1 (ru) Потолок подвесной реечный
KR101366508B1 (ko) 연동 미닫이문을 문틀프레임에 결합하는 장치
KR20100010962U (ko) 커튼봉 연결구
KR101140266B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200460162Y1 (ko) 엘리베이터 스크린 도어 슬라이딩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