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68Y1 - 이중 커튼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커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68Y1
KR200480968Y1 KR2020150000506U KR20150000506U KR200480968Y1 KR 200480968 Y1 KR200480968 Y1 KR 200480968Y1 KR 2020150000506 U KR2020150000506 U KR 2020150000506U KR 20150000506 U KR20150000506 U KR 20150000506U KR 200480968 Y1 KR200480968 Y1 KR 200480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passage
bar frame
doub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어진
Original Assignee
최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어진 filed Critical 최어진
Priority to KR2020150000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2Curtain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47H13/04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by hooks, e.g. with additional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2001/003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rods or rail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커튼장치를 사용하여 이중의 커튼을 설치할 수 있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커튼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이중 커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중 커튼장치는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제1통로를 구비하는 봉프레임 및 상기 봉프레임의 측면에는 봉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커튼이 걸쳐지는 하나 이상의 커튼롤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통로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이중 커튼장치{CURTAIN APPARATUS FOR DOUBLE FOLDS}
본 고안은 창호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커튼을 거치하는 커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프레임과 레일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커튼장치로 이중의 커튼을 설치할 수 있는 이중 커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창을 통해 빛이 들어오거나 집안의 내부가 보여져 사생활의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창이 위치된 곳에 설치된다.
이러한 커튼은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창이 위치된 부분의 천장에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커튼 롤러가 구비된 커튼 레일을 창호와 인접되는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설치하고, 커튼레일에 형성된 레일홈에 끼워진 복수 개의 커튼 롤러에 커튼을 매다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는, 커튼봉을 벽체 또는 천정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 링형상의 고리를 커튼에 설치하여 고리를 커튼봉에 끼우는 형태로 커튼을 설치한다.
이러한 커튼은 실내의 조도, 단열 등을 조정하기 위하여 소재의 조직, 두께, 빛의 투과율, 열 차단율 등이 서로 다른 천을 다중으로 설치하여, 은은한 조명의 가벼운 망사 커튼만 드리우거나, 망사 커튼과 함께 빛이 거의 차단되는 무거운 차광 커튼을 이중으로 드리우기도 하는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운용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중 커튼의 설치가 요구되는 경우, 통상의 커튼 레일 또는 커튼봉은 길이방향으로는 이어서 쓸 수는 있지만, 폭방향으로 잇대어 붙여서 설치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커텐에 커튼봉이나 커튼레일을 별도의 시공과정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과정상 번거로움이 있고, 다중으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튼봉은 커튼의 무게에 의해 고리와 커튼봉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커튼을 열고 닫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 고리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다르기 때문에 커튼을 닫을 때 커튼이 고르게 펼쳐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커튼레일이 개시된 문헌에는 공개실용신안 20-2013-0000576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84582호 등이 있고, 커튼봉이 개시된 문헌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982호 및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65834호 등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커튼장치를 사용하여 이중의 커튼을 설치할 수 있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커튼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이중 커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커튼의 개폐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커튼의 부드러운 개폐가 가능한 이중 커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제1통로를 구비하는 봉프레임 및 상기 봉프레임의 측면에는 봉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커튼이 걸쳐지는 하나 이상의 커튼롤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통로가 구비되는 레일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봉프레임은 측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역삼각형, 마름모형, 육각형, 팔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반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통로에는 하나 이상의 커튼핀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튼핀은 봉프레임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 및 제1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절곡방향이 제1절곡부와 서로 반대인 제2절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튼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하나의 커튼장치를 사용하여 이중의 커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커튼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된다.
본 고안은 커튼의 개폐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커튼의 부드러운 개폐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커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커튼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커튼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커튼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커튼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창호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커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제1통로를 구비하는 봉프레임, 상기 봉프레임의 측면에는 봉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커튼이 걸쳐지는 하나 이상의 커튼롤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통로가 구비되는 레일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봉프레임(100)은 창호의 수평길이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갖으며, 벽체 또는 천장에 일정부분이 고정체결되는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의 양쪽 측부 사이 이상의 일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봉프레임(100)에 설치된 커튼이 창호 전체를 가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봉프레임(100)은 일정부분에 소정의 체결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벽체 또는 천장과 나사못 또는 브라켓 방식으로 견고하게 체결되거나, 프레임의 일정부분에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공을 구비하여 천장에 나사못 체결되거나 소정의 체결부를 구비하여 천장에 브라켓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봉프레임(100)은 관형의 파이프로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프레임(100)의 측단면의 형상은 다각형, 예컨데, 삼각형, 사각형, 역삼각형, 마름모형, 육각형, 팔각형 등과, 원형, 타원형, 반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봉프레임(100)의 측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봉프레임(100)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제1통로(110)를 구비한다.
상기 제1통로(110)는 후술하는 커튼핀(200)이 끼워지기 위한 것으로, 봉프레임(100)의 상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로(110)는 커튼핀(200)을 끼웠을 때, 제1통로(110)에서 커튼핀(2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통로(110)는 커튼핀(200)이 끼워질 수 있다면 크기나 모양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봉프레임(100)의 강성에 무리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1통로(110)에는 하나 이상의 커튼핀(200)이 끼워진다.
상기 커튼핀(200)은 제1통로(110)에 다수개가 끼워지며, 봉프레임(100)과 커튼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끼워지는 후크(H)의 상단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튼핀(200)은 봉프레임(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210) 및 제1절곡부(2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절곡방향이 제1절곡부와 서로 반대인 제2절곡부(22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커튼장치는 커튼이 종래 커튼봉에서와 같이 고리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커튼핀(200)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커튼의 개폐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커튼을 부드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프레임(100)의 측면에는 봉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커튼이 걸쳐지는 커튼롤러(3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통로(310)가 구비되는 레일프레임(300)이 결합된다.
상기 제2통로(310)에는 제2통로(310)를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커튼롤러(3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튼롤러(320)는 커튼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끼워지는 후크(H)를 걸어서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튼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 커튼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커튼롤러(320)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커튼 슬라이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봉프레임(100)과 레일프레임(300)은 일체로 형성하거나, 봉프레임(100)의 측면에 제2통로(310)를 갖도록 절곡되는 레일프레임(300)을 용접 또는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구조로 결합하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커튼장치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커튼장치에서 봉프레임(100)을 소정의 체결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벽체 또는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통로(110)에 복수개의 커튼핀(200)을 적절히 끼운다.
그런 다음, 복수개의 커튼롤러(320)를 레일프레임(300)의 제2통로(310)의 측면으로 삽입한다.
사용자가 빛이 잘 통하는 망사조직부과 빛을 차단하는 차광조직부로 제직된 커튼을 이중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조직부로 이루어지는 커튼 상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끼워 고정한 다수의 후크(H)를 커튼핀(200)의 제2절곡부(220)에 연결고정하여 커튼을 봉프레임(100)의 좌우로 밀어서 열고 닫으며 개방 또는 차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커튼은 종래 커튼봉에서와 같이 링 형태의 커튼 걸이구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커튼핀(200)에 의해 이동하므로 커튼의 개폐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커튼을 부드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조직부로 이루어지는 커튼 상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끼워 고정한 다수의 후크(H)를 커튼롤러(320)의 고리에 연결고정하여 커튼을 레일프레임(300)의 좌우로 밀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커튼장치는 하나의 커튼장치를 이용하여 2중의 커튼을 설치함으로써 커튼장치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커튼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도면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봉프레임
110: 제1통로
200: 커튼핀
210: 제1절곡부 220: 제2절곡부
300: 레일프레임
310: 제2통로 320: 커튼롤러

Claims (4)

  1.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로 형성되는 제1통로를 구비하되, 측단면의 형상이 반원인 봉프레임; 및
    상기 봉프레임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커튼이 걸쳐지는 하나 이상의 커튼롤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통로가 구비되는 레일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통로에는 봉프레임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 및 제1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절곡방향이 제1절곡부와 서로 반대인 제2절곡부로 구성되는 커튼핀이 하나 이상 끼워지고,
    상기 제2통로에는 제2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커튼 롤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0506U 2015-01-22 2015-01-22 이중 커튼장치 KR200480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06U KR200480968Y1 (ko) 2015-01-22 2015-01-22 이중 커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06U KR200480968Y1 (ko) 2015-01-22 2015-01-22 이중 커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68Y1 true KR200480968Y1 (ko) 2016-07-28

Family

ID=5661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506U KR200480968Y1 (ko) 2015-01-22 2015-01-22 이중 커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6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983U (ko) * 1986-07-08 1988-01-25
JP2000342438A (ja) * 1999-06-02 2000-12-12 Ritsuko Hotta 多重カーテンレールの保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983U (ko) * 1986-07-08 1988-01-25
JP2000342438A (ja) * 1999-06-02 2000-12-12 Ritsuko Hotta 多重カーテンレールの保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8072B2 (en) Curtain support/swivel assembly
US20080164393A1 (en) Structure of window covering support rack
AU2014208656B2 (en) Window screen with blind function
JP2007154425A (ja) 折畳式スクリーン装置
US9295222B2 (en) Window feline seat and blind protector
KR101550287B1 (ko) 빨래 건조대
KR200480968Y1 (ko) 이중 커튼장치
JP2009533120A (ja) ドレープカーテン金具
JP6832333B2 (ja) カーテンレール装置
JP6297422B2 (ja) サッシ
US6206074B1 (en) Adjustable bracket for decorative finial
US20170058598A1 (en) Covering device for opening of building and headrail structure thereof
KR200470004Y1 (ko) 커튼봉
KR20130005768U (ko) 커튼 레일
US20080060770A1 (en) Panel track curtain system
JP7321472B2 (ja) スライド機構及びスライド機構の可動部分
KR100939232B1 (ko) 커튼의 웨이브 형성기구
JP7138937B2 (ja) スライド機構及びスライド機構の可動部分
RU52688U1 (ru) Набор для перекрывания дверного или оконного проема (варианты)
JP6514554B2 (ja) ガイドレール、ロールスクリーン、ロールスクリーンの設置方法、及び日射遮蔽システム。
KR200490013Y1 (ko) 커튼박스용 차광장치
JP2012241355A (ja) 開口部装置の枠周り部材の設置構造
JP5730796B2 (ja) スクリーン装置
RU61998U1 (ru) Профиль карнизный
KR200427158Y1 (ko) 커튼용 연결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