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13Y1 -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13Y1
KR200469913Y1 KR2020100004988U KR20100004988U KR200469913Y1 KR 200469913 Y1 KR200469913 Y1 KR 200469913Y1 KR 2020100004988 U KR2020100004988 U KR 2020100004988U KR 20100004988 U KR20100004988 U KR 20100004988U KR 200469913 Y1 KR200469913 Y1 KR 200469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repe
fan
main bod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764U (ko
Inventor
서가을
Original Assignee
서가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가을 filed Critical 서가을
Priority to KR2020100004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13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6Humidity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는, 헤드와 프레임 및 본체로 이루어지는 선풍기에 있어서, 선풍기의 헤드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자기가 구비되고, 선풍기 본체 내부에 기 구비된 전기적 구성요소와 구분되도록 구성된 스페이스와 상기 스페이스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장치에 따르면, 선풍기를 사용하지 않는 계절에 선풍기 헤드를 포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보자기를 보관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선풍기 본체 내에 구비하여 보자기가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Keeping Device for Covering Fabric of Electric Fan}
본 고안은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일반적인 선풍기의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선풍기를 사용하지 않는 기간에 헤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자기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보자기를 분실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계절을 가진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에는 선풍기, 에어컨 등의 냉방기기를 사용하여 더위를 식히고, 겨울에는 온풍기, 히터 등의 난방기기가 만연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들은 일정 기간에 사용하고 나머지 기간에는 보관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상술한 가전기기들이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자기 등으로 포장해 두었다가 가전기기를 사용해야 하는 계절이 오면 보자기 등을 제거하여 따로 보관하는바, 많은 경우 다시 포장하여 보관하고자 할 때에 이러한 포장용 물건들을 분실하거나 찾지 못해 매년 비슷한 시기에 다시 비슷한 물건을 사는 것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국내 특허 등록 제 10-0895437호 '계절가전기기용 커버세트' 및 국내 특허 등록 제 10-0906693호'계절가전기기용 커버세트'가 게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기술들은 계절가전기기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커버를 받침 및 받침 샤프트 부분에 일체로 마련하여 언제든지 계절 가전기기를 감싸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전기기를 사용할 때는 받침 및 샤프트 부분에 마련된 커버케이스에 보관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커버케이스에서 커버를 인출하여 가전기기를 포장하는 방법으로 커버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커버와 계절가전기기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가 찢어지는 등의 커버의 파손이 발생한 경우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더불어 커버가 오염되었을 때 세탁도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풍기의 헤드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자기가 구비되고 선풍기 본체 내부에 기 구비된 전기적 구성요소와 구분되도록 구성된 스페이스 및 상기 스페이스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보자기를 선풍기 내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자기의 분실을 예방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페이스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는 격벽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를 보자기 수용부와 보조 수용부로 구획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페이스의 일 측에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스 내에 구비되어 일 측 단에서 공회전하도록 상기 스페이스의 일 측벽에 고정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외주면 일 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벨크로테이프, 상기 롤러의 본체 외부 측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본체 외부 측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된 롤러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보자기의 모서리의 일 측 단에 벨크로테이프를 추가로 구비하여 보자기를 접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더욱 용이하게 상기 보자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추가 목적은, 상기 스페이스의 최하부에 제습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습패드의 상부에 그릴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 부재를 상기 스페이스의 내벽 상에 구비하며, 복수 개의 통공을 구비한 그릴;을 상기 걸림 부재에 얹히도록 하여 구성되는 제습부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보자기 및 본체 내부의 전기적 구성요소들의 손상을 예방한다.
본 고안의 추가 목적은, 상기 스페이스의 일 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스페이스 중 그릴의 하부 공간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습패드를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서랍과 상기 서랍이 이동할 수 있도록 스페이스 하단의 양 측 모서리에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로 구성되는 서랍식 제습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습패드를 더욱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는, 선풍기의 헤드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자기를 구비하고, 선풍기 본체 내부에 기 구비된 전기적 구성요소와 구분되도록 구성된 스페이스와 상기 스페이스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는 격벽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를 보자기 수용부와 보조 수용부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스페이스의 일 측에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스 내에 구비되어 일 측 단에서 공회전하도록 상기 스페이스의 일 측벽에 고정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외주면 일 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벨크로테이프, 상기 롤러의 본체 외부 측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본체 외부 측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된 롤러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보자기의 모서리의 일 측 단에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페이스는 최하부에 제습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습패드의 상부에 그릴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 부재를 상기 스페이스의 내벽 상에 구비하며 복수 개의 통공을 구비한 그릴을 상기 걸림 부재에 얹히도록 하여 구성되는 제습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페이스의 일 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스페이스 내 그릴의 하부 공간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습패드를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서랍과 상기 서랍이 이동할 수 있도록 스페이스 하단의 양 측 모서리에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로 구성되는 서랍식 제습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에 따르면,
1) 선풍기 헤드 포장용 보자기를 보관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구비하여 보자기의 분실을 예방하고,
2) 상기 스페이스에 격벽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스페이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3) 상기 스페이스에 롤러부를 구비하여 보자기를 접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과 동시에,
4) 제습패드를 구비하여 보자기가 습기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5) 서랍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습패드를 더욱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에 대한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에 격벽을 구비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제습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서랍식 제습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팬과 모터를 포함한 헤드(1)와 프레임(2) 및, 조작부와 컨트롤러를 포함한 본체(3)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는 일반적인 선풍기의 본체(3)의 일 측에 구비되어 헤드(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자기(1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에 대한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는, 보자기(10) 및 스페이스(20)와 커버(4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자기(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풍기를 사용하지 않는 기간 동안 선충기의 헤드(1)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하여 헤드(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각형의 천이나 일단에 고무 밴드를 포함한 것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스페이스(20)는, 선풍기의 본체(3) 내부에 구비된 빈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고안자는 선풍기의 본체(3) 내에 보자기(10) 보관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스페이스(20)는 선풍기의 작동을 위하여 기 구비된 전기적 구성요소와 구분되도록 구성되어 선풍기를 사용하는 기간 동안 선풍기를 감싸 포장하도록 하는 보자기(1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페이스(20)는 반원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원형 기타 여러 가지 형상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커버(40)는, 본체(3)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페이스(20)를 활용하기 위하여 본체(3)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외부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위치는 본체(3)의 밑면(바닥면)이나 옆면의 일 측에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나 더욱 용이한 개폐를 위하여 본체(3)의 상면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개폐 방식에 있어서는 똑딱이식, 버튼식, 고리식, 미닫이식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페이스(20) 내에 보관될 수 있는 보자기(10) 및 기타 물건들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보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커버(40)를 열지 않고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40)의 일정 부위, 혹은 전체에 투명창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20)에 격벽(25)을 구비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페이스(20)에는 격벽(25)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 바, 상기 격벽(25)은 직사각형의 패널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스페이스(20)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스페이스(20) 내 일정 부위에 구비되며, 그 재질은 선풍기의 본체(3)의 재질과 같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특정한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격벽(25)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스(20)는 보자기 수용부(21)와 보조 수용부(22)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자기 수용부(21)는 선풍기를 사용하는 기간 동안 보자기(1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보조 수용부(22)는 상기 보자기(10) 외에 분실하기 쉬운 선풍기 관련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격벽(25)에 의해 추가로 구비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선풍기 리모컨은 선풍기의 본체(3)와 팬을 잇는 프레임(2) 상에 리모컨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이에 장착 및 보관하는 것이 보통인데, 이러한 공간은 리모컨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쉽게 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분실하기 쉬운 실정이기 때문에 상기 보조 수용부(22)에 보관함으로써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분실하기 쉬운 보자기(10)와 기타 물건을 선풍기와 함께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보다 적은 공간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보자기(10)를 보관하기 위해 롤러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는 롤러(31)와 샤프트(32), 손잡이(33) 및 벨크로테이프(34)로 구성되어 있다.
롤러부의 장착을 위해, 본체(3)의 일 측에 통공이 구비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롤러(31)는 실린더 형상으로 상기 스페이스(20) 전체 또는 상기 보자기 수용부(21) 내에 구비되어 일 측 단에는 손잡이(33)와 연결되며 타 측 단에서는 베어링 및 지지축에 의해 공회전 되도록 스페이스(20)의 일 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31)는 스페이스(20)의 일 측벽에 공회전하도록 고정되되 롤러(31) 자체는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자기(10)를 말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구성이다.
손잡이(33)는 사용자가 손잡이(33)를 돌림으로써 발생하는 힘을 롤러(31)에 전달해 궁극적으로는 롤러(3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 손잡이(33)는 타원형, 직사각형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모양은 특정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 재질 역시 마찬가지이다.
샤프트(32)는 본체(3) 내부에서 상기 롤러(31)의 본체(3) 외부 측 끝단과 연결되어 본체(3)의 일 측에 구비된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본체(3) 외측에서 손잡이(33)와 연결된다. 이러한 샤프트(32)는 상기 손잡이(33)에서 발생하는 힘을 롤러(31)에 전달토록 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샤프트(32)는 상기 롤러(31)의 일단과 상기 손잡이(33)의 중앙 일정 부위에 접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보다 나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끼움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모든 구성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벨크로테이프(34)는 상기 롤러(31)와 보자기(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31)의 외주면 일 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보자기(10)의 일정 부위에 상기 롤러(31)에 부착된 것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호 벨크로테이프(34)가 고정 부착됨으로써 상기 롤러부에 의해 보자기(10)가 감겨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부의 작용예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보자기(10)를 본체(3) 내에 보관코자 할 경우에, 상기 본체(3)의 상측에 구비된 커버(40)를 열어 보자기(10)와 롤러(31)에 각각 부착된 벨크로테이프(34)를 서로 붙여 고정시킨 후, 상기 손잡이(33)를 이용하여 롤러(31)를 회전시킴으로써 보자기(10)가 점차적으로 롤러(31)에 말리도록 하여 보자기(10)를 접을 필요 없이 본체(3) 내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보자기(10)를 꺼내고자 할 때에는 보자기(10)의 끝단을 잡고 당기는 방식으로 보자기(10)를 풀어낸 후 상호 고정 부착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34)를 떼어내어 보자기(10)를 롤러(31)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롤러부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는 보자기(10)를 보자기 수용부(21)에 맞도록 접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더욱 적은 공간으로 보자기(10)를 보관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제습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습부는 상기 스페이스(20)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제습패드(36)와 걸림부재(37) 및 그릴(38)을 포함한다.
제습패드(36)는 습기를 없애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스(20)의 최하부에 구비되어 상부에 안착될 보자기(10)의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재(37)는 그릴(38)을 지지하여 안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스(20)의 내벽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개수는 둘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나 그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그릴(38)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걸림부재(37)는 돌기 형으로 구성되어 좌/우 벽 측에 하나 이상씩, 혹은 좌/우/앞/뒤 벽 측에 각각 하나 이상씩 형성할 수 있고, 각 벽면을 따라 돌출 바를 이은 형태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그 방식은 여러 가지로 변형 응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그릴(38)은 복수 개의 통공을 구비한 직사각형의 얇은 패널과 같은 형상을 가지되, 후술할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 측에 리세스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위해 상술한 통공을 손가락보다 조금 더 큰 크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그릴(38)은 보자기(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함과 동시에 보자기(10) 내의 습기를 제습패드(36)가 흡수할 수 있도록 수분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그릴(38)은 녹이 슬어 손상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그 재질은 특정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제습부의 일사용예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식으로 구성되되, 최하층에 제습패드(36)가 구비되고, 그 위에 그릴(38), 그 위에 보자기(10)를 안착시킨 후 상기 커버(40)를 닫아 보관할 수 있다. 장기간 상기 제습패드(36)를 사용하여 제습패드(36)를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커버(40)를 열어 보자기(10)를 꺼낸 후 걸림부재(37)에 안착된 그릴(38)을 상술한 통공 또는 리세스를 이용하여 본체(3) 외부로 꺼내고, 최하층에 구비된 제습패드(36)를 새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습부는 보자기(10)를 주로 보관하게 되는 계절이 선풍기를 사용하는 여름임을 감안하여, 습기가 많은 곳에 섬유제품을 보관할 경우 생길 수 있는 곰팡이가 본체(3) 내 보자기(10)에 생기지 않도록 제습패드(36)를 구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자기(10)에서 일정량의 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과량의 습기로 인해 선풍기 본체(3) 내의 전기적 구성요소들이 일으킬 수 있는 고장 및 오류 또한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구성으로도 제습패드(36)를 보관 및 교체케 하는 기능은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겠으나 제습패드(36)를 더욱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해, 서랍식 구성을 응용할 수 있다.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제습부에 서랍(39)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습패드(36)를 구비하는 제습부는 서랍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서랍식 제습부는 상기 그릴(38)의 하부, 즉 제습패드(36)가 안착되는 공간에 서랍(39)과 슬라이드 레일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서랍(39)의 출입을 위하여 전제적으로, 상기 본체(3)의 일 측면에 서랍(39)이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홈을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서랍(39)은 상술한 상기 그릴(38)의 하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습패드(36)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서랍(39)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스페이스(20) 하단의 양 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그 형상은 공지된 바와 같으니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그릴(38)을 본체(3) 외부로 꺼낼 필요가 없이 서랍식으로 제습패드(36)를 꺼내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걸림부재(37)를 생략하고 상기 그릴(38)이 고정되도록 연결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를 이용한 절단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헤드 2: 프레임
3: 본체 10: 보자기
20: 스페이스 21: 보자기 수용부
22: 보조 수용부 25: 격벽
31: 롤러 32: 샤프트
33: 손잡이 34: 벨크로테이프
36: 제습패드 37: 걸림부재
38: 그릴 39: 서랍
40: 커버

Claims (5)

  1. 헤드와 프레임 및 본체로 이루어진 선풍기에 이용되는 보자기 보관장치로서,
    선풍기의 헤드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자기;
    선풍기 본체 내부에 기 구비된 전기적 구성요소와 구분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스페이스;
    상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스를 개폐하는 커버;로 구성되되,
    상기 스페이스는,
    일 측에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스 내에 구비되어 일 측 단에서 공회전하도록 상기 스페이스의 일 측벽에 고정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외주면 일 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벨크로테이프, 상기 롤러의 본체 외부 측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본체 외부 측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된 롤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보자기는,
    모서리의 일 측 단에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벨크로테이프와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는,
    상기 스페이스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는 격벽;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를 상기 보자기를 수용하는 보자기 수용부와 보조 물건을 수용하는 보조 수용부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는,
    최하부에 안착되어 제습 기능을 하는 제습패드;
    상기 제습패드의 상부 위치인 상기 스페이스의 내벽에서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된 걸림 부재;
    상기 걸림 부재에 의하여 안착되어 상기 보자기를 지지하도록 하되 복수 개의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제습패드가 상기 보자기와 내통되도록 하는 그릴;로 구성된 제습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4. 삭제
  5. 삭제
KR2020100004988U 2010-05-12 2010-05-12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KR200469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88U KR200469913Y1 (ko) 2010-05-12 2010-05-12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88U KR200469913Y1 (ko) 2010-05-12 2010-05-12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64U KR20110010764U (ko) 2011-11-18
KR200469913Y1 true KR200469913Y1 (ko) 2013-11-19

Family

ID=5074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988U KR200469913Y1 (ko) 2010-05-12 2010-05-12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1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168Y1 (ko) * 1986-12-31 1989-06-26 김종생 자동차용 보호커버의 인출 및 수납장치
KR920001338Y1 (ko) * 1988-12-14 1992-02-22 대우전자 주식회사 선풍기의 콘트롤부 보호구조
KR200403055Y1 (ko) 2005-09-22 2005-12-07 주식회사 쓰리쎄븐상사 골프가방의 일체형 보호커버
KR20060023939A (ko) * 2005-07-12 2006-03-15 정우정 전자 모기향 겸용 선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168Y1 (ko) * 1986-12-31 1989-06-26 김종생 자동차용 보호커버의 인출 및 수납장치
KR920001338Y1 (ko) * 1988-12-14 1992-02-22 대우전자 주식회사 선풍기의 콘트롤부 보호구조
KR20060023939A (ko) * 2005-07-12 2006-03-15 정우정 전자 모기향 겸용 선풍기
KR200403055Y1 (ko) 2005-09-22 2005-12-07 주식회사 쓰리쎄븐상사 골프가방의 일체형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64U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4483B (zh) 其中并入了干燥系统的运动器材包
US20080264983A1 (en) Apparatus for Folding, Stacking and Storing Bedsheets
WO2016082506A1 (zh) 一种保鲜功能单元、储藏盒及冰箱
US20140261193A1 (en) Multilayer pet bed cover
KR101381039B1 (ko) 통풍기능 손잡이를 구비한 로커
US20180168333A1 (en) Ventilated makeup case
JP6588713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KR200469913Y1 (ko) 선풍기용 보자기 보관 장치
US3200418A (en) Innerspring mattress with plastic foam cover
JP3954425B2 (ja) 除湿ユニットおよび厨房家具
US9265315B1 (en) Insert and method for preserving a portable receptacle
US20130104806A1 (en) Hybrid cover for the construction of a pillow bed for pets
CN209337320U (zh) 一种衣服收纳箱
JP3181317U (ja) カーテン隙間覆い装置
US1930180A (en) Sink cabinet
US6669016B1 (en) Shoe carrier and storage device
JP2017507094A (ja) 新鮮な生産物の格納デバイス
JP2007135887A (ja) 乾燥装置及び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KR101861177B1 (ko) 흡음과 제습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롤스크린이 구비된 포스트형 행거
CN113927981B (zh) 一种方便收纳的阻燃eva泡棉
KR200468679Y1 (ko) 의류 보관함
US20120042782A1 (en) Air filtering assembly
WO2021190744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and moisture-absorbing sheet
KR20150003360U (ko) 기능성 장롱
KR100604373B1 (ko) 통기구가 구비된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