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46Y1 - 타이어 가류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746Y1
KR200469746Y1 KR2020110011113U KR20110011113U KR200469746Y1 KR 200469746 Y1 KR200469746 Y1 KR 200469746Y1 KR 2020110011113 U KR2020110011113 U KR 2020110011113U KR 20110011113 U KR20110011113 U KR 20110011113U KR 200469746 Y1 KR200469746 Y1 KR 200469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gment
outer ring
groove
guid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750U (ko
Inventor
김용섭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4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장치는, 타이어 트레드 금형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세그먼트, 수직이동하면서 상기 세그먼트를 수평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외측링 및 상기 외측링에 상기 세그먼트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공되되, 상기 세그먼트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억제토록 구성되는 마찰방지형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찰방지형 연결수단은, 상기 외측링의 상기 세그먼트와 마주하는 경사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돌출부, 상기 세그먼트의, 상기 외측링의 경사면에 마주하는 경사면에, 상기 가이드 돌출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 및 상기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 홈부 사이에 서로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도록 제공되는 마찰억제부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외측링의 수직이동에 의한 세그먼트의 수평이동시 외측링과 세그먼트의 접촉하는 부분을 최소화시켜 부품들의 마모를 억제하고, 이에 따라,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들의 수명이 증가하여 즉 수리 주기가 길어져 수비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장치{TIRE VULCANIZER}
본 고안은 타이어 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린 타이어를 공급받아 압력과 온도를 가하여 완제품의 타이어를 제작할 수 있는 타이어 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는 그린 타이어를 공급받아 압력과 온도를 가하여 타이어 트레드와 측면에 돌기 또는 로그 등을 성형하여 완제품의 타이어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타이어 컨테이너(1')는 도 1과 같이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여 타이어의 측면을 성형시키는 상하 측면금형(10a)(10b)과, 상기 측면금형들 사이에 설치되어 타이어의 트레드 부분을 성형시키는 트레드 금형(20)과, 상기 측면금형을 지지하는 상부판(30a)과 하부판(30b)과, 상기 트레드 금형을 지지하는 세그먼트(40)와, 상기 세그먼트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외측링(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금형(10a)(10b)은 타이어의 옆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성형하는 것으로 측면금형은 문자, 타이어 제품명, 회사명 등 각종 정보가 타이어 측면에 성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레드 금형(20)은 타이어가 노면과 접지되는 부분인 트레드 부분을 성형하는 것으로, 다양한 패턴의 홈 형상의 모양을 가진다.
상기 세그먼트(40)는 트레드 금형(20)을 고정하며, 외측링(5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는 외측링(5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세그먼트(40)는 좌우로 이동하여 그린 타이어에 압력을 가하고, 외부 또는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열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성형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에 의하면, 외측링(50)의 상하이동에 의한 세그먼트(40)의 좌우이동이 반복됨에 따라, 외측링과 세그먼트의 접촉하는 부분이 조기에 마모되고, 이에 따라 수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외측링의 수직이동에 의하여 세그먼트가 수평이동을 하도록 구성되되, 이러한 이동시 외측링과 세그먼트의 접촉하는 부분을 최소화시켜 부품들의 마모를 억제함으로써, 부품 수명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수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타이어 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고안은, 타이어 트레드 금형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세그먼트, 상기 세그먼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직이동하면서 상기 세그먼트를 수평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외측링 및 상기 외측링에 상기 세그먼트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공되되, 상기 세그먼트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억제토록 구성되는 마찰방지형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찰방지형 연결수단은, 상기 외측링의 상기 세그먼트와 마주하는 경사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돌출부, 상기 세그먼트의, 상기 외측링의 경사면에 마주하는 경사면에, 상기 가이드 돌출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 및 상기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 홈부 사이에 서로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도록 제공되는 마찰억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억제부는, 상기 가이드 홈부의 적어도 일 지점에 형성되는 가이드볼홈 및 상기 가이드볼홈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 홈부의 접촉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볼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볼홈은, 상기 가이드볼의 이탈을 방지토록, 상기 가이드볼의 적어도 절반 이상을 수용하되, 입구가 상기 가이드볼의 중심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장치에 의하면, 외측링의 수직이동에 의한 세그먼트의 수평이동시 외측링과 세그먼트의 접촉하는 부분을 최소화시켜 부품들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들의 수명이 증가하여 즉 수리 주기가 길어져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장치에서 세그먼트와 외측링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라인 A-A'에 의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장치(1)에서 세그먼트(100)와 외측링(200)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도 3은 도 2에서 라인 A-A'에 의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장치(1)는 기본적으로 세그먼트(100), 외측링(200) 및 마찰방지형 연결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가류장치(1)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되어 있는 측면금형, 상부판, 하부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세그먼트(100)는 타이어 트레드 금형(미도시)을 지지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세그먼트(100)는 하부판에 수평이동 도면상으로는 좌우이동이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링(200)은 세그먼트(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직이동하면서 세그먼트를 수평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외측링(200)과 세그먼트(100)의 결합관계에 따라 외측링(200)의 상하이동이 세그먼트(100)의 좌우이동을 만들어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세그먼트(100)와 외측링(200)이 접하는 면은 수직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측링(20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세그먼트(1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외측링(20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세그먼트(1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마찰방지형 연결수단(300)은 외측링(200)에 세그먼트(10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공되되, 세그먼트(100)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억제토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은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측링(200)의 상하이동에 의한 세그먼트(100)의 좌우이동이 반복됨에 따라, 외측링과 세그먼트의 접촉하는 부분이 조기에 마모되고, 이에 따라 수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외측링(200)과 세그먼트(100)의 결합부분에 부품들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특별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부품들이 접촉하는 부분의 마찰을 감소시켜 마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마찰방지형 연결수단(300)은 외측링(200)에 구비되는 가이드 돌출부(310), 세그먼트(100)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부(320) 및 가이드 돌출부(310)와 세그먼트 사이를 연결토록 제공되는 마찰억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가이드 돌출부(310)는 외측링(200)의 세그먼트(100)와 마주하는 경사면(20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링(200)의 경사면(2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경사진다.
또한, 가이드 돌출부(310)는 경사면(202)에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횡단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에 대하여 외측으로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부(320)는 세그먼트(100)의 상기 경사면(202)에 마주하는 경사면(102)에 가이드 돌출부(310)가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세그먼트(100)의 경사면(1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경사져, 외측링(200)의 경사면(202)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홈부(320)는 경사면(102)에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횡단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에 대하여 내측으로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돌출부(310)가 T자형과 가이드 홈부(320)의 T자형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가이드 돌출부(310)가 가이드 홈부(320)에 끼워져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돌출부(310)는 머리부분(312)이 가이드 홈부(320)에 걸려 이탈되지 않으므로, 외측링(200)의 상하이동에 따른 세그먼트(100)의 좌우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출부(310)와 가이드 홈부(320)의 형상은 본 고안에서 T자형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이드 돌출부(310)와 가이드 홈부(320)는 반대로 즉 각각 세그먼트(100)와 외측링(2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외측링(200)이 상방으로 이동시에는 가이드 돌출부(310)의 머리부분(312)의 하면과 상기 하면과 마주하는 가이드 홈부(320)의 걸림면(322)이 마찰하게 된다.
반대로, 외측링(200)이 하방으로 이동시에는 가이드 돌출부(310)의 머리부분(312)의 상면과 상기 상면에 마주하는 가이드 홈부(320)의 바닥면(324)이 마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링(200)의 상하이동에 따른 세그먼트(100)의 좌우이동시 가이드 돌출부(310)와 가이드 홈부(320)의 마찰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이 진행됨에 따라 부품들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방지형 연결수단(300)은 가이드 돌출부(310)와 가이드 홈부(320) 사이에 서로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도록 제공되는 마찰억제부(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마찰억제부(330)는 가이드볼홈(332) 및 가이드볼(3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가이드볼홈(332)은 가이드 홈부(320)의 적어도 일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들볼홈은 복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부(320)의 상부에 하나의 가이드볼홈(332)이 구비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는 나머지 가이드볼홈의 도시를 생략한 것이다.
즉, 복수의 가이드볼홈(332)이 가이드 홈부(320)에 길이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가이드볼홈(332)이 외측링(200)과 가이드 돌출부 머리부분(312)을 연결하는 연결부분(314)의 양쪽으로 가이드 홈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이드볼홈(332)은 가이드 돌출부 머리부분(312)의 하면에 마주하는 가이드 홈부(320)의 걸림면(322)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동에 따른 힘을 동등하게 받기 위하여, 가이드볼홈(332)은 연결부분(314)에 대하여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볼(334)이 상기 가이드볼홈(332)들에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볼(334)이 가이드볼홈(332)에 장착된 때, 가이드볼의 일부가 가이드 홈부(3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볼(334)은 회전하면서 외측링(200)과 세그먼트(100)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가이드볼(334)은 가이드 돌출부(310)와 가이드 홈부(320)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링(200)과 세그먼트(100)가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가이드볼(334)이 회전함으로써, 마찰력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또한, 가이드볼(334)에 의해 가이드 돌출부(310)와 가이드 홈부(320)가 면접촉을 하지 않고, 즉 가이드볼(334)이 상기 머리부분(312)의 하면과 원주상의 선접촉을 하게 되어, 접촉면적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이때, 가이드볼(334)이 가이드볼홈(332)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최대 높이는, 외측링(200)의 경사면(202)과 세그먼트(100)의 경사면(102)이 밀착되지 않고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어 외측링과 세그먼트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가이드볼홈(332)과 가이드볼(334)이 가이드 홈부(320)의 걸림면(322)에만 구비되어 있으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측링(20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가이드 돌출부 머리부분(312)의 상면과 상기 상면에 마주하는 가이드 홈부(320)의 바닥면(324) 사이에 마찰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볼홈(332)과 가이드볼(334)이 가이드 홈부(320)의 바닥면(324)에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방향의 슬라이드 이동 모두에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볼홈(332)과 가이드볼(334)은 가이드 홈부(320)의 걸림면(322) 및 바닥면(324) 모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볼홈(332)과 가이드볼(334)은 상기와 다르게 가이드 돌출부(3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이드볼홈(332)은 가이드볼(334)의 이탈을 방지토록, 가이드볼의 적어도 절반 이상을 수용하되, 입구(332a)가 상기 가이드볼의 중심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외측링(200)이 상방으로 이동시에는 하부의 가이드볼(334)이 가이드 돌출부(310)와 접촉하지 않고, 외측링(200)이 하방으로 이동시에는 상부의 가이드볼(334)이 가이드 돌출부(310)와 접촉하지 않는다.
각각의 경우에는, 가이드 돌출부(310)와 접촉하지 않는 가이드볼(334)은 그 방향에 대하여 지지력을 받지 못하므로 가이드볼홈(33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볼(334)의 가이드볼홈(33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볼홈은 가이드볼의 절반 이상을 수용하되, 그 입구(332a)가 가이드볼(334)의 중심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가이드볼(334)의 중심은 가이드볼홈(332)의 입구(332a)보다 아래 가이드볼홈의 내측에 위치한다. 즉, 가이드볼(334)의 중심은 가이드 홈부 면을 기준으로 가이드볼홈(332) 안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이드볼홈(332)의 입구(332a)는 가이드볼(334)의 중심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볼홈(332)의 입구(332a)의 폭(W) 구체적으로는 입구에서 중심을 지나는 최소 길이가 가이드볼(334)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볼홈(332)은 가이드볼(334) 외면의 절반 이상을 감싸게 되어 가이드볼(334)이 가이드볼홈(33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볼홈(332)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볼홈(332)은 단면이 대략 역사다리꼴 형태이고, 가이드볼(334)을 절반 이상 수용하면서, 가이드볼홈의 입구(332a)의 폭(W)이 가이드볼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볼홈은 단면이 반원을 넘어서는 호가 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볼을 절반 이상 수용하고, 가이드볼홈의 입구의 직경이 가이드볼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가이드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타이어 가류장치 100 ... 세그먼트
200 ... 외측링 300 ... 마찰방지형 연결수단
310 ... 가이드 돌출부 320 ... 가이드 홈부
330 ... 마찰억제부 332 ... 가이드볼홈
334 ... 가이드볼 D ... 가이드볼 직경
W ... 가이드볼홈 입구 폭

Claims (4)

  1. 타이어 트레드 금형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세그먼트(100);
    상기 세그먼트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직이동하면서 상기 세그먼트(100)를 수평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외측링(200); 및
    상기 외측링(200)에 상기 세그먼트(10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공되되, 상기 세그먼트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억제토록 구성되는 마찰방지형 연결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마찰방지형 연결수단(300)은,
    상기 외측링(200)의 상기 세그먼트(100)와 마주하는 경사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돌출부(310);
    상기 세그먼트(100)의, 상기 외측링(200)의 경사면에 마주하는 경사면에, 상기 가이드 돌출부(310)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320); 및
    상기 가이드 돌출부(310)와 상기 가이드 홈부(320) 사이에 서로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도록 제공되는 마찰억제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억제부(330)는,
    상기 가이드 홈부(320)의 적어도 일 지점에 형성되는 가이드볼홈(332); 및
    상기 가이드볼홈(332)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310)와 상기 가이드 홈부(320)의 접촉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볼(3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볼홈(332)은,
    상기 가이드볼(334)의 이탈을 방지토록, 상기 가이드볼의 적어도 절반 이상을 수용하되, 입구가 상기 가이드볼의 중심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장치.
KR2020110011113U 2011-12-14 2011-12-14 타이어 가류장치 KR200469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13U KR200469746Y1 (ko) 2011-12-14 2011-12-14 타이어 가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13U KR200469746Y1 (ko) 2011-12-14 2011-12-14 타이어 가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750U KR20130003750U (ko) 2013-06-26
KR200469746Y1 true KR200469746Y1 (ko) 2013-11-05

Family

ID=5073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113U KR200469746Y1 (ko) 2011-12-14 2011-12-14 타이어 가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971B1 (ko) * 2019-05-07 2020-03-23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트레드 가류용 가변형 몰드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90B1 (ko) * 2007-11-16 2008-06-09 주식회사 엠케이테크놀로지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90B1 (ko) * 2007-11-16 2008-06-09 주식회사 엠케이테크놀로지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971B1 (ko) * 2019-05-07 2020-03-23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트레드 가류용 가변형 몰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750U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2322A (zh) 轮胎模具
CN203994507U (zh) 一种大斜抽成型车灯模具
CN103552175A (zh) 轮胎硫化内模具
KR200469746Y1 (ko) 타이어 가류장치
JP6734923B2 (ja) タイヤ加硫装置
CN203141856U (zh) 轮胎成型设备
JP6605737B2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CN109689323B (zh) 轮胎硫化模具、轮胎硫化装置以及轮胎的制造方法
CN206201510U (zh) 一种两半活络模
JP6503823B2 (ja)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の予熱方法および装置
JP2013215945A (ja)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およびタイヤの加硫方法
KR101357717B1 (ko) 타이어 가류장치
JPWO2018029727A1 (ja) タイヤ加硫金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5753427B2 (ja)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ト装置
KR100835590B1 (ko)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
KR101022703B1 (ko) 내구성 향상과 유지관리가 용이한 타이어 가류장치
CN109501344B (zh) 一种刚性型芯及轮胎模具
KR101287510B1 (ko) 타이어 가류기의 가류금형
KR20150118350A (ko) Pci 작업용 타이어 중심유지장치
KR101349719B1 (ko) 타이어 가류금형
KR20150059299A (ko) 타이어 제조용 가류금형
WO2018029730A1 (ja) タイヤ加硫金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CN109986817B (zh) 轮胎用模具以及轮胎的制造方法
JP2016179644A (ja)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
US11214028B2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and tire vulcaniz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