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31Y1 -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731Y1
KR200469731Y1 KR2020130006337U KR20130006337U KR200469731Y1 KR 200469731 Y1 KR200469731 Y1 KR 200469731Y1 KR 2020130006337 U KR2020130006337 U KR 2020130006337U KR 20130006337 U KR20130006337 U KR 20130006337U KR 200469731 Y1 KR200469731 Y1 KR 200469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le
cover plate
condens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창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저제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저제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저제빙기
Priority to KR2020130006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5Other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e.g. internal filling means or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075Supports for plates or plat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빙기에서 발생된 열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응축기를 보호하도록 하면서, 이 응축기를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내판과 커버판의 사이에 유동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주는 거름망을 내장시키되,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기체의 커버공에 전체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커버판을 떼어내는 단순한 클릭 작업만으로 거름망의 청소는 물론 내측의 응축기를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the connecting structure of condenser cover}
본 고안은 제빙기에서 발생된 열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응축기를 보호하도록 하면서, 이 응축기를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내판과 커버판의 사이에 유동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주는 거름망을 내장시키되,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기체의 커버공에 전체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커버판을 떼어내는 작업만으로 거름망의 청소는 물론 내측의 응축기를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냉매사이클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를 칭한다. 이러한 응축기는 에어컨, 냉장고, 제빙기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고온의 열이 발생되면 이 열을 분해하여 냉매를 냉각시키고 열교환을 시키는 기관이다. 물리적인 특징으로는 얇은 모세관으로 냉매를 흐르게 하고, 모세관 외주면에는 다수의 얇은 박막 형태의 발열판을 결합하여 보다 빨리 온도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을 칭한다.
특히 이러한 응축기 중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제빙기에서 사용되는 응축기이다. 에어컨의 경우 실외기의 형태로 응축기를 실외로 빼어 사용하고 있지만, 제빙기의 경우 제빙을 하는 공간과 구획된 공간에 응축기를 구비하여 제빙을 하기에 먼지나 고온의 열기가 발생할 소지가 많다. 따라서 종래의 제빙기는 기체의 후방에 응축기를 내장하고 열원이 빠질 수 있는 별도의 배기공을 형성한다. 이 배기공은 커버공이라고도 칭하는데, 이 커버공을 완벽하게 개방하는 것이 아니고 커버를 씌워 열기는 빼내도록 하지만 내측의 응축기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도시된 도 1에 일반적인 제빙기 응축기 커버판 체결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커버공(3)이 기체(1)의 후방에 마련되면, 그 커버공(3)을 덮는 제1커버판(6)이 스크류체결된다. 기체(1)에 형성된 스크류공(4)과 커버판(6)의 테두리에 마련된 스크류공(7)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강하게 조여 제1커버판(6)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후에 제1커버판(6)에 형성된 거름망삽입공간 내에 거름망(8)을 끼우고 그 상부로 제2커버판(9)을 체결하게 된다.
결합하는 방식은 제1커버판(6)의 하단부분에 형성된 끼움공(16)에 제2커버판(9)의 하단에서 돌출된 끼움돌기(11)를 끼우고, 상부를 올려 밀어주게 되면 탄력스위치(13)가 딸깍하며 완격한 결합을 달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커버판 체결구조의 문제점은 거름망(8)의 청소를 아주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응축기(2) 자체를 청소하기는 무리가 많다. 제2커버판(9)을 벗겨내고 내측의 거름망(8)을 빼내어 털거나 물로서 세척하는 방식이 사용되는데, 응축기(2)의 경우 제작자가 제1커버판(6)으로 밀봉한 상태를 유지하기에 사용자는 거의 응축기(2)의 세척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응축기(2)에 많은 먼지가 쌓이고 열교환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제빙의 효과도 떨어지며 같은 량의 제빙을 위해서도 발생되는 전력의 소비는 증가하기에 실질적으로 응축기의 세척은 중요한데도 이를 못하고 있는 것이다.
요즘의 대다수의 제빙기의 경우 사용자는 거름망(8)만을 세척하는 방식으로 사용을 하다가, 고비용의 응축기(2) 세척비용을 들여서 전문가에게 세척을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단하게 스크류(5)를 돌려 제1커버(6)를 빼내는 작업도 사용자에게는 버겁고, 해서는 안 되는 수리 방식임을 인지시키고 있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고안은 제빙기에서 발생된 열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응축기를 보호하도록 하면서, 이 응축기를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고안은 내판과 커버판의 사이에 유동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주는 거름망을 내장시키되,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기체의 커버공에 전체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커버판을 떼어내는 작업만으로 거름망의 청소는 물론 내측의 응축기를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는, 기체(21)의 후방에 응축기의 열에너지가 배출되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넓이를 확개한 끼움부(22a)를 가진 4각형의 커버공(20); 상기 커버공(20)에 끼워지도록 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커버공(20) 내주면과 수직하게 면접하도록 하는 끼움면(22)과, 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ㄱ"자로 꺽어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23)와, 커버공(20)에 비하여 다소 넓은 면적을 가져 기체(21)의 표면에 노출되어 4각의 테두리가 되는 테두리부(31) 및 다수의 관통공(32)이 전후방으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평판(33)을 형성하되 끼움면(22)의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인 거름망삽입공간(35)을 가지도록 형성된 끼움면(22)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평판(33)과, 테두리부(31)의 최 외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되어 원터치방식으로 커버공(20)에 체결을 위한 클릭형 탄력스위치(36)를 가진 커버판(30); 상기 거름망삽입공간(35)에 삽입되도록 거름망삽입공간(35)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과 크기 및 두께를 가진 거름망(40)과; 평판형의 형태로 외곽에 테두리부(52)가 있고, 상기 거름망(40)의 후방으로 덮어 거름망(40)이 커버판(3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도록 거름망삽입공간(35)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다수의 일정한 연통공(51)을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이루어진 내판(50);이 결합되어, 내판(50), 거름망(40), 커버판(3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커버공(20)에 동시에 착탈되어 응축기의 청소를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에 따른, 커버판(30)의 관통공(32)과 내판(50)의 연통공(51)은, 관통공(32)은 "
Figure 112013068991281-utm00001
"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하고, 연통공(51)은 "
Figure 112013068991281-utm00002
" 형상의 사각공으로 형성하되, 연통공(51) ≥ 관통공(32)의 크기를 가져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 커버공(20) 내주면과 수직하게 면접하도록 하는 끼움면(22)은, 일단의 끼움면(22)을 제거한 형태로 제작하며 : 커버판(30)에 내판(50)이 체결될 때, 커버판(30)의 끼움면(22)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의 체결공(61)을 가진 체결리브(60)를 형성하고, 내판(50)의 테두리부(52)에서 돌출되는 끼움돌기(62)를 대응되는 체결리브(60)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끼움돌기(62)를 체결리브(60)의 체결공(61)에 끼워 커버판(30)과 내판(50)이 일체화된다.
또한 본 고안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에 따른, 커버판(30)에 내판(50)이 체결될 때, 커버판(30)의 대응되는 끼움면(22)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형 다수의 4각 끼움공(66)을 형성하고, 대응되는 끼움면(2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걸림부(67)를 형성하며; 이에 대응하는 내판(50)의 테두리부(52)에는, 일측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68)와 최 외곽에 클릭형 탄력스위치(68)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돌기(68)가 끼움공(66)에 끼워지고 탄력스위치(69)가 걸림부(67)에 걸리는 형태로 체결을 완성하고 : 커버판(30) 좌우측방의 끼움면(22) 중심부 내측에는, 장형의 4각 결합공(71)을 형성한 4각체결리브(72)를 하나 또는 다수 개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내판(50)의 좌우측방의 테두리부(52)에는 돌출되는 4각형의 체결돌기(73)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공(71)의 길이 ≥ 체결돌기(73)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한다.
본 고안의 커버판은 응축기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간단하게 클릭하는 방식으로 체결을 완성하지만 견고한 내구성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커버판 체결구조는 한번의 클릭으로 전체적인 커버판 즉, 내판과 거름망은 물론 커버판까지도 동시에 착탈할 수 있기에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커버판은 거름망의 청소는 물론 내판까지도 동시에 분해시킬 수 있기에 통상의 사용자가 특별한 전문지식 없이도 응축기의 청소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커버판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커버판 체결구조 중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커버판 체결구조 중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커버판 체결구조의 뒤집혀진 모습을 제1실시예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커버판 체결구조의 뒤집혀진 모습을 제2실시예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커버판 체결구조의 제1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커버판 체결구조의 제2실시예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커버판 체결구조에서 하단의 끼움부에 탄력스프링을 끼우는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도시된 도 2 내지 도 7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기체(21)의 후방에 응축기의 열에너지가 배출되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넓이를 확개한 끼움부(22a)를 가진 4각형의 커버공(20)이 있고, 상기 커버공(20)에 끼워지도록 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커버공(20) 내주면과 수직하게 면접하도록 하는 끼움면(22)과, 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ㄱ"자로 꺽어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23)와, 커버공(20)에 비하여 다소 넓은 면적을 가져 기체(21)의 표면에 노출되어 4각의 테두리가 되는 테두리부(31) 및 다수의 관통공(32)이 전후방으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평판(33)을 형성하되 끼움면(22)의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인 거름망삽입공간(35)을 가지도록 형성된 끼움면(22)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평판(33)과, 테두리부(31)의 최 외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되어 원터치방식으로 커버공(20)에 체결을 위한 클릭형 탄력스위치(36)를 가진 커버판(30)이 있으며, 상기 거름망삽입공간(35)에 삽입되도록 거름망삽입공간(35)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과 크기 및 두께를 가진 거름망(40)이 있다. 또한 평판형의 형태로 외곽에 테두리부(52)가 있고, 상기 거름망(40)의 후방으로 덮어 거름망(40)이 커버판(3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도록 거름망삽입공간(35)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다수의 일정한 연통공(51)을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이루어진 내판(50)이 결합되어, 내판(50), 거름망(40), 커버판(3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커버공(20)에 동시에 착탈되어 응축기의 청소를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응축기(24)는 제빙기(100)에서 사용되는 응축기(20)이다. 별도의 실외기 형태로 장착되는 응축기(24)가 아니고 제빙기(100)의 기체(21) 내에 장착되는 응축기(24)에서 열교환을 달성할 때, 열기를 빼기 위한 커버판(30)과 그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커버판 체결구조에서 도시된 도 2 내지 도 7에는 끼움부(22a)가 커버공(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커버판(30)의 탄력스위치(36)가 상부에서 장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도시된 도 8에는 이와는 역으로 끼움부(22a)가 하부에 형성되어 커버판(30)의 탄력스위치(36)가 하부에서 장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모든 상세한 설명의 기재는 도 2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지 본 고안은 도 8과 같이 끼움부(22a)를 커버공(20)의 하단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
아무튼 상기 제빙기(100)의 응축기(24)는 기체(21)의 내부에 내장되고, 외부와 커버판(30)을 통해서 차단된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부분은 거름망(40)을 내판(50)과 커버판(30)의 사이에 내장시키되 커버판(30)을 해체시키게 되면 내판(50)도 동시에 착탈되는 구조이다. 즉, 커버판(30)과 내판(50)이 거름망(40)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동시에 착탈된다는 것이다. 이 방식의 유리한 점은 다음에 있다. 착탈이 너무 간단하여 누구라도 커버판(30)을 벗겨내고 거름망(40)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커버판(30)을 탈착하면 응축기(24)가 들여다보이는 커버공(20)이 드러나기에 응축기(24)를 세척하기 유리하다. 종래의 경우 커버판이 제1커버판과 제2커버판으로 구분되어, 기체와 스크류 체결되는 제1커버판은 해체하지 않고, 제1커버판의 전방에 체결되는 제2커버판만을 해체하여 내측의 거름망을 세척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기체의 내측에 비치된 응축기 자체는 세척이 불가능하여 항상 전문가의 수리를 요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 도시된 도 2에서와 같이 내판(50)과 커버판(30)을 가지고, 내판(50)과 커버판(30)이 동시에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 2에서처럼, 본 고안의 커버공(20)에 끼우는 커버판착탈구조는 커버판(30), 거름망(40), 내판(50)이 결합된 일 몸체이다.
내판(50)이 우선 커버판(30)에 결합될 때 거름망(40)이 그 사이에 끼인다. 내판(50)에는 다수의 연통공(51)을 가지고 커버판(30)에는 다수의 관통공(32)을 가진다. 이 사이에 거름망(40)이 끼인 상태이기에 열기나 공기의 유동은 자유롭다. 기체(2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도 먼지가 거름망(40)을 통해서 걸러진 상태로 유입되고, 내측의 열기도 먼지나 불순불이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된다. 커버판(30)은 도시된 것처럼 커버공(20)의 넓이에 비하여 다소 넓게 형성되는데, 테두리부(31)위만 커버공(20)의 내주면 외곽으로 다소 돌출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실질적으로 커버공(20)에 끼워지는 후면의 끼움면(22)은 커버공(20)의 내주면에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끼움면(22)이 커버공(20)의 내주면과 면접하면서 커버공(20)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커버공(20)은 하단으로 다수의 장형의 끼움공(77)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커버판(30)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끼움돌기(23)가 끼워진다.
커버판(30)의 끼움돌기(23)가 끼움공(20)에 끼워져 커버판(30)의 하단은 외부로 밀려 나오지 않고 기체(21)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커버판(30)의 상부는 도시된 탄력스위치(36)가 일정한 공간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는데, 이 탄력스위치(36)가 커버공(20)의 상단에 끼워져 걸려 체결된다.
이 탄력스위치(36)가 대응되는 커버공(20)의 상단은 일정한 영역 더 확개한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데, 이 홈이 끼움부(22a)이다. 실질적으로 탄력스위치(36)는 이 끼움부(22a)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탄력스위치(36)는 하단으로 내리면 구배진 돌기가 내려와서 끼움부(22a)에서 빠질 수 있는 구조이다. 탄력스위치(36)의 상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기에 탄력스위치(36)를 가압하는 힘이 빠지게 되면 탄력스위치(36)는 그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하여 끼움부(22a)에 걸리게 된다. 실질적으로 한 번의 클릭 작용으로 커버판(30)을 해체하고 커버판(30)을 체결할 수 있는 구조이다.
물론 이 커버판(30)은 내판(50)과 자유롭게 착탈되는 형태인데, 본 고안에서는 2가지 형태로 제안한다. 제1실시예의 경우 단순한 끼움돌기(62)와 체결공(61)의 결합형태를 사용하는 제1실시예이고, 제2실시예의 경우 커버판(30)의 체결방식과 유사한 탄력스위치(69)를 사용하는 실시예이다. 이들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 커버판(30)의 관통공(32)과 내판(50)의 연통공(51)은, 관통공(32)은 "
Figure 112013068991281-utm00003
"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하고, 연통공(51)은 "
Figure 112013068991281-utm00004
" 형상의 사각공으로 형성하되, 연통공(51) ≥ 관통공(32)의 크기를 가져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본 고안과 같은 제빙기는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냉각되는 곳이다. 고열이 방열판을 통해서 발열면적이 넓혀져서 급속도로 열이 배출되는 것이다. 열원은 응축기의 모세관에서 배출되어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기체(21) 내측의 먼지나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 주요한 작용이다. 물론 2차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기체(21)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떨어트리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바로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돕고자 본 고안에서는 "연통공(51) ≥ 관통공(32)"의 규칙을 지킨다.
내판(50)에 형성된 연통공(51)의 넓이가 크기에 보다 많은 량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판(30)의 관통공(32)과 내판(50)의 연통공(51)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기(24)와 더 밀착되는 내판(50)에 형성되는 연통공(51)이 더 넓은 형태로 제작하고, 거름망(40)을 거쳐 커버판(30)의 관통공(32)을 지나게되기에 관통공(32)은 더 작은 넓이로 제작한다. 열기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려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도시된 도 2와 4의 실시예에서는 커버판(30)에 형성되는 최하단의 끼움면(22)이 제거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3과 5에서처럼 커버판(30)에 형성되는 끼움면(22)이 4개가 모두 장착된 실시예도 활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 2과 4에서처럼, 커버공(20) 내주면과 수직하게 면접하도록 하는 끼움면(22)은, 하단의 끼움면(22)을 제거한 형태로 제작한다. 이 실시예는 후술할 내판(50)과 커버판(30)의 체결방식의 실시예 차이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제1실시예의 경우 하단의 끼움면(22)이 필요없고, 제2실시예의 경우 하단의 끼움면(22)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내판(50)과 커버판(30)의 결합방식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시된 도 2, 4, 6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서 상기 커버판(30)에 내판(50)이 체결될 때, 커버판(30)의 끼움면(22)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의 체결공(61)을 가진 체결리브(60)를 형성하고, 내판(50)의 테두리부(52)에서 돌출되는 끼움돌기(62)를 대응되는 체결리브(60)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끼움돌기(62)를 체결리브(60)의 체결공(61)에 끼워 커버판(30)과 내판(50)이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판(30)과 내판(50)이 체결된 상태로 또한 커버판(30)과 내판(50)의 사이에 거름망(40)을 끼운 일체된 상태로 커버공(20)에 체결될 커버판(30)은 내판(50)과의 결합방식에서 독특한 형태로 일체화된다.
커버판(30)에는 도시된 것처럼 후방으로 수직하게 내려서는 끼움면(22)을 가지는데, 이 끼움면(22)의 폭 즉, 연통공(32)이 형성되는 커버판(30)의 평판에서부터 끼움면(22)의 끝단까지의 간격의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 간격을 본 고안에서는 거름망삽입공간(35)이라고 칭하는데, 이 거름망삽입공간(35)에 거름망(40)을 끼우고, 내판(50)을 체결한다. 내판(50)의 테두리부(52)에는 도시된 것처럼 후방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62)가 일정한 공간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끼움돌기(62)에 대응하는 체결리브(60)가 커버판(3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체결리브(60)의 내측에는 원형의 체결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리브(60)가 형성되는 간격과 끼움돌기(62)가 돌출되는 간격이 동일하기에 서로 대응되고, 끼움돌기(62)의 지름이 체결리브(60)에 형성되는 체결공(61)과 대응되기에 상기 끼움돌기(62)는 체결리브(60)의 체결공(61)에 긴밀하게 끼워진다. 일단 끼워지면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이 결합방식에 따라 커버판(30)과 내판(50)은 일체로 착탈가능하도록 하고, 커버판(30)과 내판(50)의 사이에 거름망(40)이 항상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도시된 도 3, 5, 7에는 제2실시예의 커버판(30)과 내판(50)의 결합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 모두 동일하지만, 내판(50)이 커버판(30)에 체결되는 방식에서 원터치 클릭방식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커버판(30)과 커버공(20)의 체결방법과 유사하다.
즉, 커버판(30)에 내판(50)이 체결될 때, 커버판(30)의 하단 끼움면(22)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형 다수의 4각 끼움공(66)을 형성하고, 상단 끼움면(2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걸림부(67)를 형성하며, 이에 대응하는 내판(50)의 테두리부(52)에는, 하단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68)와 상단의 클릭형 탄력스위치(69)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돌기(68)가 끼움공(66)에 끼워지고 탄력스위치(69)가 걸림부(67)에 걸리는 형태로 체결을 완성한다.
이 제2실시예의 내판(50)과 커버판(30) 결합방식에 따르면 커버판(30)에 형성되는 끼움면(22)이 하단에도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하단 끼움면(22)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형의 끼움공(66)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끼움공(66)에는 내판(50)의 테두리부(52) 하단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68)가 끼워져 견고하게 체결되고, 테두리부(52)의 상단에는 커버판(30)에 형성되는 탄력스위치(36)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탄력스위치(69)가 일체화되야 한다.
탄력스위치(69)는 다수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 건 고안에서는 좌우 양쪽으로 2개가 형성되는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이 탄력스위치(69)에 대응되는 걸림부(67)는 상단 끼움면(22)의 저면에 탄력스위치(69)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67)의 형태로 구비된다. 탄력스위치(69)가 밀착되면서 가압되어 끼움면(22)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그 부피를 축소시키고, 일단 탄력스위치(69)의 상단 걸림돌기가 끼움면(22)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부(67)에 끼워지고 나면 그 탄성력이 작용하여 그 부피를 팽창시키기에 견고히 걸려 빠지지 않는다. 사용자가 커버판(30)을 벗겨낸 상태에서 내판(50)의 상단에 형성되는 탄력스위치(69)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는 작용을 행하여 탄력스위치(69)의 락킹작용을 해체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는 이를 수행할 수 없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67)는 홈이나 돌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커버판(30) 좌우측방의 끼움면(22) 중심부 내측에는, 장형의 4각 결합공(71)을 형성한 4각체결리브(72)를 하나 또는 다수 개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내판(50)의 좌우측방의 테두리부(52)에는 돌출되는 4각형의 체결돌기(73)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공(71)의 길이 ≥ 체결돌기(73)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서 상기 커버판(30)과 내판(50)의 사이, 거름망삽입공간(35)에는 거름망(40)이 삽입된다. 거름망(40)은 탄성을 가져 그 부피가 압력에 의해서 줄어들 수 있는 다공질의 섬유이다. 커버판(30)과 내판(50) 사이에 끼워져 그 부피를 줄이게 되면 다소 복원력이 작용하여 커버판(30)과 내판(50)의 간격을 벌리고자 하는 힘이 발생될 수 있다.
하단에는 삽입돌기(68)와 끼움공(66)을 통해서 이 팽창을 차단하고 상단에는 탄력스위치(69)와 걸림부(67)를 통해서 이 팽창을 차단하고 있지만 중심부분에서는 이러한 작용을 차단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가운데 중심부분만 배가 부른 형태로 일체화될 우려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커버판(30)에 4각체결리브(72)를 형성한다. 대체적으로 중심부분에 형성되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4각체결리브(72)에는 결합공(71)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공(71)에 대응되는 구성이 내판(50)에서 돌출되는 4각형의 체결돌기(73)이다. 4각형의 체결돌기(73)의 길이에 비하여 결합공(71)의 길이가 더 길도록 한 이유는 내판(50) 하단의 삽입돌기(68)가 끼움면(22)의 끼움공(66)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로 회동하여 체결을 완성할 때, 체결돌기(73)가 용이하게 결합공(7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돌기(73)가 결합공(71)에 끼워지면 내판(50)의 중심부분을 꽉 물어 그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된 내용은 모두 도시된 도 2 내지 7에서 실시한 내용을 설명하였다. 물론 본 고안은 언급한 것처럼 도시된 도 8과 같은 형태로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끼움부(22a)를 커버공(20)의 하단에 형성하고, 대응되는 탄력스위치(36)가 하부로 올 수 있도록 커버판(30)을 뒤집은 상태로 체결해도 무방하다.
20; 커버공 21; 기체
22a; 끼움부 22; 끼움면
23; 끼움돌기 30; 커버판
31; 테두리부 32; 관통공
33; 평판 35; 거름망삽입공간
36; 탄력스위치 40; 거름망
50; 내판 51; 연통공
52; 테두리부

Claims (6)

  1.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에 있어서,
    기체(21)의 후방에 응축기의 열에너지가 배출되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넓이를 확개한 끼움부(22a)를 가진 4각형의 커버공(20);
    상기 커버공(20)에 끼워지도록 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커버공(20) 내주면과 수직하게 면접하도록 하는 끼움면(22)과, 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ㄱ"자로 꺽어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23)와, 커버공(20)에 비하여 다소 넓은 면적을 가져 기체(21)의 표면에 노출되어 4각의 테두리가 되는 테두리부(31) 및 다수의 관통공(32)이 전후방으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평판(33)을 형성하되 끼움면(22)의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인 거름망삽입공간(35)을 가지도록 형성된 끼움면(22)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평판(33)과, 테두리부(31)의 최 외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되어 원터치방식으로 커버공(20)에 체결을 위한 클릭형 탄력스위치(36)를 가진 커버판(30);
    상기 거름망삽입공간(35)에 삽입되도록 거름망삽입공간(35)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과 크기 및 두께를 가진 거름망(40)과;
    평판형의 형태로 외곽에 테두리부(52)가 있고, 상기 거름망(40)의 후방으로 덮어 거름망(40)이 커버판(3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도록 거름망삽입공간(35)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다수의 일정한 연통공(51)을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이루어진 내판(50);이 결합되어, 내판(50), 거름망(40), 커버판(3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커버공(20)에 동시에 착탈되어 응축기의 청소를 더욱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커버판(30)의 관통공(32)과 내판(50)의 연통공(51)은,
    관통공(32)은 "
    Figure 112013068991281-utm00005
    "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하고, 연통공(51)은 "
    Figure 112013068991281-utm00006
    " 형상의 사각공으로 형성하되, 연통공(51) ≥ 관통공(32)의 크기를 가져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커버공(20) 내주면과 수직하게 면접하도록 하는 끼움면(22)은, 일단의 끼움면(22)을 제거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커버판(30)에 내판(50)이 체결될 때, 커버판(30)의 끼움면(22)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의 체결공(61)을 가진 체결리브(60)를 형성하고, 내판(50)의 테두리부(52)에서 돌출되는 끼움돌기(62)를 대응되는 체결리브(60)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끼움돌기(62)를 체결리브(60)의 체결공(61)에 끼워 커버판(30)과 내판(50)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커버판(30)에 내판(50)이 체결될 때, 커버판(30)의 대응되는 끼움면(22)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형 다수의 4각 끼움공(66)을 형성하고, 대응되는 끼움면(2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걸림부(67)를 형성하며;
    이에 대응하는 내판(50)의 테두리부(52)에는, 일측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68)와 최외곽의 클릭형 탄력스위치(68)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돌기(68)가 끼움공(66)에 끼워지고 탄력스위치(69)가 걸림부(67)에 걸리는 형태로 체결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커버판(30) 좌우측방의 끼움면(22) 중심부 내측에는, 장형의 4각 결합공(71)을 형성한 4각체결리브(72)를 하나 또는 다수 개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내판(50)의 좌우측방의 테두리부(52)에는 돌출되는 4각형의 체결돌기(73)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공(71)의 길이 ≥ 체결돌기(73)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KR2020130006337U 2013-07-30 2013-07-30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KR200469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37U KR200469731Y1 (ko) 2013-07-30 2013-07-30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37U KR200469731Y1 (ko) 2013-07-30 2013-07-30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731Y1 true KR200469731Y1 (ko) 2013-11-05

Family

ID=5073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337U KR200469731Y1 (ko) 2013-07-30 2013-07-30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3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039Y1 (ko) * 1996-05-30 1999-05-15 김광호 드럼세탁기의 밸런싱장치
KR19990034023U (ko) * 1998-01-12 1999-08-16 전주범 쇼케이스의 기계실커버 고정구조
KR100340420B1 (ko) * 2000-06-21 2002-06-15 이형도 건조기 일체형 과냉각 응축기
KR100622111B1 (ko) * 2004-11-10 2006-09-19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039Y1 (ko) * 1996-05-30 1999-05-15 김광호 드럼세탁기의 밸런싱장치
KR19990034023U (ko) * 1998-01-12 1999-08-16 전주범 쇼케이스의 기계실커버 고정구조
KR100340420B1 (ko) * 2000-06-21 2002-06-15 이형도 건조기 일체형 과냉각 응축기
KR100622111B1 (ko) * 2004-11-10 2006-09-19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5103B2 (ja) 製氷装置用蒸発器アセンブリ、および、製氷方法
KR20160132442A (ko) 건조기 및 세탁건조 복합기
TW200903135A (en) Projector with externally mounted air filtering device
KR200469731Y1 (ko) 제빙기용 응축기 커버 체결구조
CN211233295U (zh) 一种应用于中央空调的通风管道
CN210345675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08299618U (zh) 一种冷却器
CN215597744U (zh) 一种滤网组件及家用电器
KR101017574B1 (ko) 점착 및 접착식 공기여과필터
CN216300767U (zh) 一种具有循环水冷功能的汽车散热器
CN109002098A (zh) 一种计算机用具有电源散热功能的计算机机箱
CN215112926U (zh) 空调室内机
CN213478692U (zh) 一种蜗壳组件及空调器
CN211233507U (zh) 方便抽取的水箱组件及家用电器
CN204102061U (zh) 一种机箱用高效气冷壳体
JPH0733105Y2 (ja) 筐体へのルーバ取付構造
KR20080003373U (ko) 형광등 케이스
KR100537338B1 (ko) 룸 에어컨의 필터장착구조
JPH0625810Y2 (ja) 通風用ルーバ
CN217064153U (zh) 一种防尘温控器
EP3252223A1 (en) Heat pump drying or washing-drying machine
CN210385215U (zh) 一种通风除臭用过滤网
CN219202871U (zh) 一种液体冷却式电阻器
CN210346042U (zh) 一种风力制冷设备的防尘罩壳
CN219868421U (zh) 进风栅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