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02Y1 - 블록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블록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702Y1
KR200469702Y1 KR2020110009374U KR20110009374U KR200469702Y1 KR 200469702 Y1 KR200469702 Y1 KR 200469702Y1 KR 2020110009374 U KR2020110009374 U KR 2020110009374U KR 20110009374 U KR20110009374 U KR 20110009374U KR 200469702 Y1 KR200469702 Y1 KR 200469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oid
block
solid support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598U (ko
Inventor
허영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0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블록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측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솔리드지지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 및 솔리드지지대를 감싸도록 적층되는 복수개의 보이드지지대;를 포함하는 블록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록 지지장치{BLOCK SUPPORT DEVICE}
본 고안은 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건조시 사용되는 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조선이나 대형 선박 등을 생산하기 위해선 선박 구조물을 블록화하고, 상기와 같이 블록화된 선체블록을 각각 조립하는 방식으로 선박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각 선체블록을 조립하여 선박을 제조할 때는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시켜 작업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선체블록을 복수개의 지지대에 지지하여 지면에 대해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한 후 제작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종래에는 지면에 지지대(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의 상측에 복수개의 패드(P)를 위치시켜 선체블록(S)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패드(P)는 선체블록(S)과 지지대(1) 간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삽입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패드(P)를 사용하여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P)를 사용하여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은 복수개의 패드(P)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지진과 같은 횡 하중의 발생시 안정성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0446055호)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20)와 하부몸체(10)를 구비하고, 각각의 몸체를 높이조절핀(30)을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상부몸체(20)와 하부몸체(10)를 높이조절핀(30)을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높이조절은 가능하나, 미세한 높이의 조절은 불가능 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보다 높게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부몸체(20)에 하부몸체(10)를 추가로 올려 놓아야 하기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횡 방향 하중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추가로, 높이조절핀(30)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직방향의 하중이 매우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지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446055호 (2009년 09월 24일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지지대를 상호 결합하여 적층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미세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횡 방향으로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선체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측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솔리드지지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 및 솔리드지지대를 감싸도록 적층되는 복수개의 보이드지지대;를 포함하는 블록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대는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제1 받침부와, 상기 제1 받침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받침부 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받침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보이드지지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솔리드지지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리드지지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이드지지대에 의해 감싸지는 각도조절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지지대는 반구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볼베어링부; 일측이 상기 볼베어링부의 돌출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측이 선체블록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선체블록을 복수개의 지지대가 상호 결합되면서 적층되는 것에 의해 미세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지지대가 상호 결합하여 적층됨으로써, 횡 방향으로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솔리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수직방향의 하중에도 충분한 지지력을 구비한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소요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블록 지지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가 사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에 사용된 각도조절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가 사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선박의 건조시에는 통상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선체블록(S)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도록 하는 지지대가 반드시 필요하다. 즉, 복수개의 지지대를 선체블록(S)의 하부에 설치하여 지면에 대해 선체블록(S)이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이 용이하게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100)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상호 결합하여 적층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횡 방향으로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복수개의 지지대를 연속적으로 적층하도록 하여 설치 및 철거가 쉽고 간편하며 안정적으로 선체블록(S)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100)는 하부받침대(110)와, 상기 하부받침대(11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솔리드지지대(120) 및 상기 하부받침대(110) 및 솔리드지지대(120)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이드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받침대(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하부받침대(110)를 원기둥 형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사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하부받침대(110)는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하도록 하기 위해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받침대(110)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는 솔리드지지대(120)가 놓여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부받침대(110)의 상부는 외주면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받침대(110)의 상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12)가 형성된 제1 받침부(114)와, 상기 제1 받침부(114)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받침부(114)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받침부(116)가 포함될 수 있다.
솔리드지지대(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받침부(116)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받침대(110)가 사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솔리드지지대(120)도 사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받침대(11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솔리드지지대(120) 역시 하부받침대(110)와 상응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이드지지대(1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받침대(110)의 제2 받침부(116)와 솔리드지지대(120)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부받침대(110)의 제2 받침부(116)와 상기 제2 받침부(116)의 상측에 적층되는 솔리드지지대(120)가 보이드지지대(130)의 내측에 각각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이드지지대(130)의 내경은 제2 받침부(116) 및 솔리드지지대(12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이드지지대(130)의 외경은 상기 하부받침대(110)의 제1 받침부(114)와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하여 외관상 미관을 강화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하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솔리드지지대(120)와 상기 보이드지지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호 교번되게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솔리드지지대(120) 간의 적층되는 부분 즉, 각 솔리드지지대(120)의 맞닿는 부분이 상기 보이드지지대(130)의 내측 중간 높이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이드지지대(130)는 하부받침대(110)의 제1 받침부(114)와 제2 받침부(116)의 단턱진 부분에 일단이 상기 제2 받침부(116)를 감싸도록 끼움결합되고, 타단에 솔리드지지대(12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리드지지대(120) 및 보이드지지대(130)는 복수개를 구비하여 연속적으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솔리드지지대(120)와 또 다른 솔리드지지대(120)가 맞닿는 경계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이드지지대(130) 내주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중량물에 따른 횡 방향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횡방향 하중을 보다 적절히 지지하기 위해, 상기 솔리드지지대(120)와 또 다른 솔리드지지대(120)의 맞닿는 경계면을 각각 요철 및 요홈을 형성하도록 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횡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받침부(116)와 솔리드지지대(120)가 맞물리는 면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지지대(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지지대(140)는 상기 보이드지지대(130)에 의해 상기 솔리드지지대(120)와 마찬가지로 외주면 일부가 감싸지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반구 형상의 돌출부(152)가 형성되는 볼베어링부(150)와, 일측이 상기 볼베어링부(150)와 결합되어 선체블록(S)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베어링부(150)는 상술한 솔리드지지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반구 형상의 돌출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베어링부(150)는 하부받침대(110)의 제2 받침부(116) 상부에 직접 적층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솔리드지지대(120)의 상부에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160)는 상기 볼베어링부(150)의 돌출부(152)에 일면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0)는 하부에 상기 볼베어링부(150)의 돌출부(152)와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반구 형상의 슬라이딩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162)의 상부에 선체블록(S)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지지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부(160)가 볼베어링부(150)를 통해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로 상기 지지부(160)를 조절하여 선체블록(S)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100)를 사용하여 선체블록(S)을 지지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 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솔리드지지대(120)와 보이드지지대(130)를 사용하여 높이 조절을 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각도조절지지대(140)를 사용하여 선체블록(S)을 측면에서 지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10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선체블록(S)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횡 방향의 하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추가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솔리드지지대(120)와 보이드지지대(130)의 높이를 서로 달리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미세한 높이 조절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하부받침대 112 : 플랜지부
114 : 제1 받침부 116 : 제2 받침부
120 : 솔리드지지대 130 : 보이드지지대
140 : 각도조절지지대 150 : 볼베어링부
152 : 돌출부 160 : 지지부
162 : 슬라이딩부 164 : 블록지지부
S : 선체블록

Claims (6)

  1.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측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솔리드지지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 및 솔리드지지대를 감싸도록 적층되는 복수개의 보이드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솔리드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보이드지지대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상호 교번되게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솔리드지지대 간의 적층되는 부분이 상기 보이드지지대의 내측 중간 높이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 블록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대는,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제1 받침부와, 상기 제1 받침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받침부 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받침부를 포함하는 블록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대와 맞물리는 솔리드지지대, 상기 솔리드지지대 간의 맞물리는 면은 각각 요철 또는 요홈으로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블록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이드지지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솔리드지지대를 감싸도록 하는 블록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지지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이드지지대에 의해 감싸지는 각도조절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블록 지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지지대는,
    반구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볼베어링부;
    일측이 상기 볼베어링부의 돌출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측이 선체블록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블록 지지장치.
KR2020110009374U 2011-10-21 2011-10-21 블록 지지장치 KR200469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74U KR200469702Y1 (ko) 2011-10-21 2011-10-21 블록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74U KR200469702Y1 (ko) 2011-10-21 2011-10-21 블록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98U KR20130002598U (ko) 2013-05-02
KR200469702Y1 true KR200469702Y1 (ko) 2013-11-08

Family

ID=5074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374U KR200469702Y1 (ko) 2011-10-21 2011-10-21 블록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655B1 (ko) * 2020-09-25 2021-12-21 주식회사 미래이앤지 선박용 스툴 어셈블리
KR102475214B1 (ko) * 2021-07-22 2022-12-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 프로펠러 제작 정밀도 검증을 위한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77B1 (ko) * 2013-07-12 2015-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전도 및 블록 의장품 간섭 방지용 장치
CN108691306A (zh) * 2018-06-07 2018-10-23 中国石油集团海洋工程(青岛)有限公司 一种海洋工程专用垫墩及使用方法
KR102028158B1 (ko) * 2018-10-31 2019-10-02 이길수 숫돌 고정장치
CN112124497A (zh) * 2020-09-17 2020-12-25 衢州学院 一种船舶船体停泊防碰撞稳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3358B2 (ja) * 1997-04-30 2004-03-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底支持用盤木装置
KR200359923Y1 (ko) * 1998-12-15 2004-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평블록의높이레벨조정장치
JP2008024157A (ja) * 2006-07-21 2008-02-07 Shibata Ind Co Ltd 盤木装置
KR20090080598A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길이 조절 부재를 구비하여 천공 깊이에 맞추어 설치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말뚝 및 그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3358B2 (ja) * 1997-04-30 2004-03-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底支持用盤木装置
KR200359923Y1 (ko) * 1998-12-15 2004-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평블록의높이레벨조정장치
JP2008024157A (ja) * 2006-07-21 2008-02-07 Shibata Ind Co Ltd 盤木装置
KR20090080598A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길이 조절 부재를 구비하여 천공 깊이에 맞추어 설치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말뚝 및 그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655B1 (ko) * 2020-09-25 2021-12-21 주식회사 미래이앤지 선박용 스툴 어셈블리
WO2022065585A1 (ko) * 2020-09-25 2022-03-31 주식회사 미래이앤지 선박용 스툴 어셈블리
KR102475214B1 (ko) * 2021-07-22 2022-12-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 프로펠러 제작 정밀도 검증을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98U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702Y1 (ko) 블록 지지장치
USD853740S1 (en) Spool stool
USD738589S1 (en) Tiltable lockable elevating pedestal joist support
USD824682S1 (en) Chair with inflatable seat
US8418982B1 (en) Self supporting table base
USD837543S1 (en) Rocker stool
US20140241789A1 (en) Locking device for an extendible tube assembly
US11452381B2 (en) Storage table/stool
USD794746S1 (en) Propane tank support base
USD644459S1 (en) Support base
KR101884041B1 (ko) 스탠드
KR200475933Y1 (ko) 과일 보관용 상자
KR101706704B1 (ko) 야전 침대
JP6189150B2 (ja) 脚部の伸縮構造、及び、テーブル
JP6031330B2 (ja) 家具
CN104770977A (zh) 一种有具堆栈装置的折叠桌
KR101440035B1 (ko) 접이식 테이블
USD703413S1 (en) Base for a lifting apparatus
EP1833328B1 (en) Foldable support element
KR20150003516U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KR101451032B1 (ko) 전자파 흡수체 보관장치
USD991925S1 (en) Stand for mobile phone
CN103465879A (zh) 一种锁止机构及工程机械
JP3144444U (ja) 高低変更可能テーブル
JP6189152B2 (ja) 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