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41Y1 -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41Y1
KR200469341Y1 KR2020110010749U KR20110010749U KR200469341Y1 KR 200469341 Y1 KR200469341 Y1 KR 200469341Y1 KR 2020110010749 U KR2020110010749 U KR 2020110010749U KR 20110010749 U KR20110010749 U KR 20110010749U KR 200469341 Y1 KR200469341 Y1 KR 200469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operating
door
opening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479U (ko
Inventor
안정옥
조재왕
Original Assignee
안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옥 filed Critical 안정옥
Priority to KR2020110010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4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부재; 가이드부와, 상기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을 통하여 선회하는 경사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경사부와 걸림부의 동작을 상호 연계하는 매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의 각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잠금부재가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선회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또한 매개부에 의하여 경사부와 연결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동작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작동부재를 록킹시킴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김 상태에서 작동부재가 강제로 잠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잠금부재에 의한 잠김 해제 동작 시, 작동부재가 잠금부재의 걸림부에 걸리거나, 또는 상호간의 분리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ELEVATOR DOOR}
본 고안은 승강기의 운행 시,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작동부재와, 작동부재를 록킹시키는 잠금부재와, 작동부재의 잠김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재 및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은 잠금부재가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선회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또한 매개부에 의하여 경사부와 연결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동작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작동부재를 록킹시킴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김 상태에서 작동부재가 강제로 잠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잠금부재에 의한 잠김 해제 동작 시, 작동부재가 잠금부재의 걸림부에 걸리거나, 또는 상호간의 분리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또는 승강기의 도어 잠금장치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993-0006340호(1993.09.20.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잠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 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승강로의 지지부재에 체결되는 케이스 내에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작동되어 도어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걸림부재를 괘, 해정하는 잠금부재와, 상기 케이스내에 지지축을 지축으로 회동 자제되도록 구비되고 도어의 걸림부재에 의해 회동작동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와 작동부재에 의해 ON, OFF되어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잠금부재는 선회동작을 통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걸림부재를 상부 방향으로 강한 힘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잠금부재가 선회하여 걸림부재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잠금부재의 걸림턱의 하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잠금부재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의 경사면에 걸림부재가 걸려 동작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설령 걸림부재의 상면에 경사면을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잠금부재는 선회하기 때문에 잠금부재의 걸림턱과 걸림부재의 분리 동작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문제는 여전히 남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종래기술은 정전시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해 작동로드와 연결된 링크를 당겨주면, 작동로드에 의해 작동구가 당겨져 잠금부재가 후퇴하여 걸림부재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지는데,
이 경우 작동로드를 당기는 경우 링크에 연결된 잠금부재에 당기는 힘이 제대로 전달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작동로드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 승강기 작동 중에 당겨지는 경우 승강기에 심각한 작동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상에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잠금부재가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선회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또한 매개부에 의하여 경사부와 연결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동작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작동부재를 록킹시킴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김 상태에서 작동부재가 강제로 잠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잠금부재에 의한 잠김 해제 동작 시, 작동부재가 잠금부재의 걸림부에 걸리거나, 또는 상호간의 분리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잠금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에 연결된 개방부재를 강제 회전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이 도입됨으로써 정전 시나, 또는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잠금해제수단이 잠금부재의 개방부재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의 수동 개방 시, 종래와 같은 작동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작동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여 조작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힌지결합부가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단일 힌지구조를 취함으로써,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취부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부재; 가이드부와, 상기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을 통하여 선회하는 경사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경사부와 걸림부의 동작을 상호 연계하는 매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재; 상기 작동부재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의 각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잠금부재의 단부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와 연결된 개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개방부재를 강제 회전시켜 상기 도어의 수동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해제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의 각 단부를 연결하고, 단일 회전중심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를 온/오프시키고, 작동편을 갖는 개폐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에는 상기 개폐스위치의 작동편을 접촉하여 누르고,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누름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는 잠금부재가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선회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또한 매개부에 의하여 경사부와 연결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동작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작동부재를 록킹시킴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김 상태에서 작동부재가 강제로 잠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잠금부재에 의한 잠김 해제 동작 시, 작동부재가 잠금부재의 걸림부에 걸리거나, 또는 상호간의 분리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잠금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에 연결된 개방부재를 강제 회전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이 도입됨으로써 정전 시나, 또는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잠금해제수단이 잠금부재의 개방부재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의 수동 개방 시, 종래와 같은 작동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작동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여 조작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힌지결합부가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단일 힌지구조를 취함으로써,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취부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해제수단에 의한 도어의 수동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의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는 화물용 승강기에서 상하 슬라이드방식의 도어에 적용된 것을 전제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화물용 이외에도 사람을 이송시키거나, 또는 좌우 슬라이드방식의 도어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특정 동작방식이나, 운반 객체에 한정되지 않는 포괄적인 개념의 잠금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부재(10); 가이드부(21)와, 상기 작동부재(10)와 미끄럼 접촉을 통하여 선회하는 경사부(22)와, 상기 가이드부(21)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를 록킹시키는 걸림부(23)와, 상기 경사부(22)와 걸림부(23)의 동작을 상호 연계하는 매개부(24)를 포함하는 잠금부재(20); 상기 작동부재(10)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재(30); 및 상기 잠금부재(20)와 상기 확인부재(30)의 각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는 화물용 승강기에서 상하 슬라이드방식의 도어에 구비되는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부재(20), 확인부재(30) 및 힌지결합부(40)가 장착되는 케이스(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는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에서 작동부재(10)는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기의 도어가 상하 슬라이드방식인 경우에는 작동부재(10)는 도어의 승강 시에 상승하고, 도어의 하강 시 하강하게 되며,
또한 상기 작동부재(10)는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근접하여 배열된다.
상기 케이스(1)의 전면에는 상부에는 제1 노출공(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노출공(2)의 하부에는 제2 노출공(3)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의 양측벽면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된 장착공(4)이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서, 상기 작동부재(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도어가 잠김 상태에서 잠금부재(20)에 의하여 록킹된다.
상기 작동부재(10)는 도어에 연결되는 결합부재(11)와, 상기 결합부재(11)와 연결되는 블록체(13)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체(13)의 하부에는 경사면(13a)이 형성되어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와 접촉되어 미끄럼 이동을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부재(10)는 도어의 승강 시에 승강하고, 도어의 하강 시에 하강하게 되며,
특히 도어의 하강하는 경우, 즉 도어의 닫힌 경우 작동부재(10)의 블록체(13) 상면이 잠금부재(20)의 걸림부(23) 하면에 걸려 승강이 저지됨으로써 록킹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서, 상기 잠금부재(20)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10)를 록킹하여 도어가 강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잠금부재(20)는 가이드부(21)와, 상기 작동부재(10)와 미끄럼 접촉을 통하여 선회하는 경사부(22)와, 상기 가이드부(21)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를 록킹시키는 걸림부(23)와, 상기 경사부(22)와 걸림부(23)의 동작을 상호 연계하는 매개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는 상단부가 힌지결합부(40)에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의 경사면(13a)과 미끄럼 접촉되는 제1 경사돌출부(22a)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제1 노출공(2)을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돌출부(22a)가 진출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1)는 상기 케이스(1)의 일측 벽면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의 가이드홈(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23)는 상부와 하부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21)의 가이드홈(21a)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21)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상기 제1 노출공(2)을 진출입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매개부(24)는 상기 경사부(22)와 상기 걸림부(23)에 상호 대응하도록 장공(24b)이 형성되고,
상기 각 장공(24b)에는 안내돌기(24a)가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안내돌기(24a)는 볼트를 각 장공(24b)에 삽입한 후, 상기 걸림부(23) 하면에서 볼트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22)에 형성된 장공(24b)은 볼트 헤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이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 헤드가 경사부의 장공에서 분리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의 선회동작 시, 상기 장공(24b)이 안내돌기(24a)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걸림부(23)가 상기 가이드홈(21a)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경사부(22)의 선회동작을 상기 걸림부(23)와 연계시켜 선회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경사부의 장공은 테이퍼진 형태 이외에, 장공의 하부가 단턱을 형성하여 볼트 헤드의 하면이 단턱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0)가 하강을 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10)의 경사면(13a)이 상기 경사부(22)의 제1 경사돌출부(22a)와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상기 경사부(22)가 힌지결합부(40)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를 하게 되고,
이때 상기 걸림부(23)가 상기 매개부(24)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21)를 타고 후방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10)가 계속 하강하여 상기 잠금부재(20)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는 반시계방향으로(도어가 위치한 방향으로) 선회하고, 동시에 상기 걸림부(23)는 전방으로(도어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걸림부(23)의 전방부 하면이 상기 작동부재(10)의 상면과 맞닿아 작동부재(10)가 승강되는 것을 저지하여 작동부재(10)를 록킹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상단에는 힌지결합부(40)와 연결된 제1 탄성부재(25)인 압축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경사부(22)가 시계방향으로의 선회 시, 압축되었다가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금부재(20)를 벗어나는 경우 탄성을 발휘하여 경사부(22)가 반시계방향을 원상 복귀되는 것을 돕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상단에는 개방부재(26)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재(26)는 상기 케이스(1)의 내측벽면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50)의 작동로드(51)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50)의 작동로드(51)가 승강하게 되면, 상기 개방부재(26)는 상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상기 걸림부(23)는 상기 경사부(22)의 선회동작 시, 상기 매개부(24)에 의하여 후진하여 상기 작동부재(10)의 잠김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도어의 수동개방을 위한 잠금해제수단(6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잠금해제수단(60)은 승강기의 정전 시나, 또는 승강기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도어를 강제로 개방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재(20)의 잠김 상태를 강제로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잠금해제수단(6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에 배치되어 키(Key)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키홈(61a)이 형성된 회동체(61)와, 상기 회동체(6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연결된 지지체(63)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63)는 상기 개방부재(26) 하부에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체(61)의 키홈(61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대(65)와, 상기 연결대(65)와 연결된 키뭉치(6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동체(61)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의 장착공(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체(61)의 키홈(61a)은 십자 또는 일자 형태(첨부된 도면에는 십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65)는 상기 키홈(6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나 또는 일자 형태(첨부된 도면에는 일자 형태로 도시되어 있음.)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체(63)는 상기 한 쌍의 회동체(61)를 연결하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개방부재(26)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63)는 도어프레임의 외부 판넬에 고정되어 있는 키뭉치(67)의 일측에 배열되고, 상기 연결대(65)는 키홈(61a)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기의 정전 시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도어를 강제 개방하기 위해 상기 키뭉치(67)에 키(미도시)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체(63)가 상기 개방부재(26)의 하부를 떠받쳐 상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를 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23)는 상기 경사부(22)의 선회동작 시, 상기 매개부(24)에 의하여 후진하여 상기 작동부재(10)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게 됨으로써 상기 도어를 유사시에 강제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서, 상기 확인부재(30)는
상기 작동부재(10)가 하강하여 상기 잠금부재(20)에 의하여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10)에 의하여 선회하여 제2 개폐스위치(80)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확인 신호를 제어반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확인부재(30)의 상단이 힌지결합부(40)에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의 경사면(13a)과 미끄럼 접촉되는 제2 경사돌출부(31)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제2 노출공(3)을 통하여 상기 제2 경사돌출부(31)가 진출입하게 된다.
즉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인부재(30)는 상기 작동부재(10)가 하강하여 잠금부재(20)에 의하여 작동부재(10)가 록킹되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부재(10)의 경사면(13a)이 상기 제2 경사돌출부(31)와 접촉되어 확인부재(30)가 밀리면서 힌지결합부(40)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며,
이때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금부재(20)에 의하여 록킹되면서 상기 확인부재(30)는 도어의 록킹된 상태를 제어부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재(20)에 의하여 작동부재(10)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확인부재(30)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제2 노출공(3)을 통하여 케이스(1) 외부로 돌출되어 원상 복귀되는데,
이때 상기 확인부재(30)의 상단부에는 제2 탄성부재(33)인 압축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확인부재(30)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 압축되었다가, 상기 작동부재(10)가 상승하는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 탄성을 발휘하여 확인부재(30)의 원상 복귀 동작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확인부재(30)의 하단에는 스토퍼(32)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확인부재(30)의 스토퍼(32)는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금 해제되어 상승하는 경우 상기 확인부재(30)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시, 상기 제2 경사돌출부(31)가 상기 케이스(1)의 제2 노출공(3)을 통하여 노출되고, 이때 상기 확인부재(30)를 스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32)는 상기 제2 노출공(3) 하부에 형성된 케이스(1)의 정지부(5)에 걸려 상기 확인부재(30)의 동작을 스톱시키고,
이 경우 상기 정지부(5)에는 상기 스토퍼(32)와의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재(6)가 구비되어 부재간의 충돌이나, 이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서, 상기 힌지결합부(40)는
상기 잠금부재(20)와, 상기 확인부재(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의 선회동작 시, 회전중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힌지결합부(40)는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상단에 형성된 제1 힌지공(28)과, 상기 확인부재(3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힌지공(35)에 삽입되는 회전축(41)이 상기 케이스(1)의 내측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41) 단부 부분에 형성된 나선부에 체결볼트(45)를 체결하여 상기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를 결합시키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잠금부재(20), 확인부재(30) 및 체결볼트(45) 사이에는 지지와셔(43)가 구비되어 각 부재의 동작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힌지결합부(40)는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상단에 형성된 제1 힌지공(28)과, 상기 확인부재(3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힌지공(35)을 하나의 회전축(41)로 연결하여 단일 회전중심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가 별도의 힌지결합부(40)를 갖도록 구성되는 경우 각 부재간의 작동범위가 확보되어야 하고, 또한 각 부재와, 이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40)를 별도의 위치에 취부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사이즈를 소형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도입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는 상기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를 하나의 힌지결합부(40)에 연결하여 단일 회전중심을 갖는 힌지구조를 도입하여 각 부재의 취부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특히 케이스의 폭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는 개폐스위치(70)(8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개폐스위치는 제1 및 제2 개폐스위치(70)(80)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의 일측 방향 하부에 배열되어 상기 케이스(1) 하부 내측벽면에 상호 포개지는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개폐스위치(70)(80)에는 탄성을 갖는 제1 및 제2 작동편(71)(81)이 각각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개폐스위치(70)(8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편(71)(81)이 눌리는 경우 작동편에 의하여 스위치를 접속시키는 접속돌기(83)가 각각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하단과, 상기 확인부재(30)의 후방부 하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편(71)(81)을 가압하여 누르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1 누름부(27)와 제2 누름부(34)가 각각 형성된다.
우선 도 4a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김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부재(20)의 제1 누름부(27)가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을 눌러 제1 개폐스위치(70)의 접점이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23)가 잠금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c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긴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부재(30)의 제2 누름부(34)가 해당 제2 개폐스위치(80)의 작동편(81)을 누르게 되므로 도어가 잠금위치에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잠금부재(20)의 제1 누름부(27) 역시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을 누른 상태가 되고,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10)의 제2 누름부(34)와 상기 잠금부재(20)의 제1 누름부(27)가 동시에 해당 개폐스위치(70)(80)의 작동편(71)(81)을 누르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가 안전하게 잠겨있는 상태인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걸림부(23)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확인부재(30)가 눌러져서 개폐스위치(70)(80)가 모두 동작해야 잠김확인 신호를 제어반에 보내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각 누름부(27)(34)는 전방부와 후방부가 서로 다른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각 누름부(27)(34)의 경사는 각 경사면(13a)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각 경사면(13a)의 경계부를 기준으로 해당 개폐스위치의 작동편을 가압하여 누르거나,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작동편(71)을 원상 복귀시키게 된다.
우선 도 4a와 같이 도어의 작동이 온(on)된 상태는 상기 잠금부재(20)의 제1 누름부(27)는 후방부 하면이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을 누르고,
이에 반하여 상기 확인부재(30)의 제2 누름부(34)는 후방부 하면이 해당 제2 개폐스위치(80)의 작동편(81)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4b와 같이 도어의 작동이 오프(off)된 상태는 작동부재(10)에 의하여 상기 잠금부재(20)는 시계방형을 선회하고, 이때 상기 제1 누름부(27)도 선회하여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이 제1 누름부(27)의 경계부를 넘어 위치하게 되어 누름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도 4c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금부재(20)의 걸림부(23)에 의하여 잠김 상태가 되면 상기 확인부재(30)는 시계??향으로 선회하고, 이때 해당 제2 개폐스위치(80)의 작동편(81)은 상기 제2 누름부(34)의 경계부를 넘어 전방부 하면에 가압되어 눌러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잠금부재(20)는 반시계방향을 회전하여 상기 제1 누름부(27)는 다시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을 누르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확인부재(30)의 제2 누름부(34)는 해당 제2 개폐스위치(80)의 작동편(81)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덧댄판(36)을 결합하여 제2 누름부(34)의 하면의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케이스 2 : 제1 노출공
3 : 제2 노출공 4 : 장착공
5 : 정지부 6 : 완충부재
10 : 작동부재 11 : 결합부재
13 : 블록체 13a : 경사면
20 : 잠금부재 21 : 가이드부
21a : 가이드홈 22 : 경사부
22a : 제1 경사돌출부 23 : 걸림부
24 : 매개부 24a : 안내돌기
24b : 장공 25 : 제1 탄성부재
26 : 개방부재 27 : 제1 누름부
28 : 제1 힌지공
30 : 확인부재 31 : 제2 경사돌출부
32 : 스토퍼 33 : 제2 탄성부재
34 : 제2 누름부 35 : 제2 힌지공
36 : 덧댄판
40 : 힌지결합부 41 : 회전축
43 : 지지와셔 45 : 체결볼트
50 : 솔레노이드 51 : 작동로드
60 : 잠금해제수단 61 : 회동체
61a : 키홈 63 : 지지체
65 : 연결대 67 : 키뭉치
70 : 제1 개폐스위치 71 : 제1 작동편
80 : 제2 개폐스위치 81 : 제2 작동편
83 : 접속돌기

Claims (4)

  1. 삭제
  2.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부재(10)와;
    상기 작동부재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사부(22)와, 가이드부(21)의 안내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를 록킹시키는 걸림부(23)와, 상기 경사부의 선회동작을 상기 걸림부의 직선동작으로 변환되도록 상호 연계시키는 매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10)를 록킹하여 도어의 강제 개방을 방지하는 잠금부재(20)와;
    상기 작동부재(10)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재(30)와;
    상기 잠금부재(20)와 상기 확인부재(30)의 각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로서,

    상기 확인부재(30)는 상기 작동부재(10)가 하강하여 잠금부재(20)에 의하여 작동부재(10)가 록킹되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부재(10)의 하강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며,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금부재(20)에 의해 록킹되면 록킹상태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개폐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재(20)에 의하여 작동부재(10)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확인부재(30)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잠금부재(20)의 단부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51)와 연결된 개방부재(26)가 더 구비되어,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51)가 승강하여 상기 개방부재(26)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잠금부재(20)가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도어를 강제로 수동으로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해제수단(6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잠금해제수단(60)은, 키(Key)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체(61)와, 상기 회동체(61)의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체(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부재(26)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동체가 키 조작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체(63)가 상기 개방부재(26)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40)는 상기 잠금부재(20)와 상기 확인부재(30)의 각 단부를 연결하고, 단일 회전중심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20)와 상기 확인부재(30)에는 상기 개폐스위치의 작동편을 접촉하여 누르고,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누름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KR2020110010749U 2011-12-02 2011-12-02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KR200469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49U KR200469341Y1 (ko) 2011-12-02 2011-12-02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49U KR200469341Y1 (ko) 2011-12-02 2011-12-02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79U KR20130003479U (ko) 2013-06-12
KR200469341Y1 true KR200469341Y1 (ko) 2013-10-08

Family

ID=5073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749U KR200469341Y1 (ko) 2011-12-02 2011-12-02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95Y1 (ko) 2014-04-03 2014-09-23 강만구 화물승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4062B (zh) * 2019-04-16 2024-04-02 杭州优迈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门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686U (ko) * 1991-09-18 1993-04-24 김진후 엘리베이터 도어의 잠금 장치
KR20060040320A (ko) * 2004-11-05 2006-05-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도어잠금 확인장치
KR20080086235A (ko) * 2007-03-22 2008-09-25 (주)동인산전 엘리베이터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686U (ko) * 1991-09-18 1993-04-24 김진후 엘리베이터 도어의 잠금 장치
KR930006340Y1 (ko) * 1991-09-18 1993-09-20 김진후 엘리베이터 도어의 잠금 장치
KR20060040320A (ko) * 2004-11-05 2006-05-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도어잠금 확인장치
KR20080086235A (ko) * 2007-03-22 2008-09-25 (주)동인산전 엘리베이터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95Y1 (ko) 2014-04-03 2014-09-23 강만구 화물승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79U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635B1 (ko) 도어록내 래치볼트의 데드록킹 안내용 장치
CN109538022B (zh) 一种自动上锁开锁且能反倒锁舌的智能锁
KR100907641B1 (ko)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CN103132825B (zh) 门锁装置
JP2004143754A (ja) 電気錠
KR200469341Y1 (ko)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JP7078504B2 (ja) 施解錠装置
KR101450814B1 (ko)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KR100908685B1 (ko)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
KR100785705B1 (ko) 슬라이딩 창호의 개폐틸트장치
JP5003201B2 (ja) 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
KR10126996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버튼식 안전 잠금장치
WO2002066774A1 (en) Control arrangement for a latch bolt in a door lock
CN106760946B (zh) 一种多功能锁具
CN220319344U (zh) 一种具有双锁勾的房车用机械式副锁
CN112502552A (zh) 一种具有锁止功能的家具操纵装置
JP2528753B2 (ja) 窓障子の制御装置
CN214659460U (zh) 一种天地锁的联动锁止结构
CN220580750U (zh) 一种门锁
JP5364406B2 (ja) 開き扉を備えた引戸装置
CN215183623U (zh) 一种断路器
KR20010050059A (ko) 디지털 도어록 개폐장치
KR100581731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CN207934629U (zh) 一种轨道交通滑动门手动解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