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99Y1 -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 Google Patents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099Y1
KR200469099Y1 KR2020120002914U KR20120002914U KR200469099Y1 KR 200469099 Y1 KR200469099 Y1 KR 200469099Y1 KR 2020120002914 U KR2020120002914 U KR 2020120002914U KR 20120002914 U KR20120002914 U KR 20120002914U KR 200469099 Y1 KR200469099 Y1 KR 200469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tape cleaner
partition plate
housing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환업
Original Assignee
문환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환업 filed Critical 문환업
Priority to KR2020120002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나 이불류 혹은 바닥에 떨어진 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분할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공간부와 상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정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공간부를 개폐시키는 제1도어; 상기 함체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공간부를 개폐시키는 제2도어; 상기 분할판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ADHESIVE TAPE CLEANER BOX}
본 고안은 의류나 이불류 혹은 바닥에 떨어진 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보관함에 대한 기술이다.
점착테이프는 먼지나 머리카락 혹은 작은 입자상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보통 점착테이프 클리너는 손잡이와 손잡이와 연결되는 장착로드 및 장착로드에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롤러에 점착테이프를 끼워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점착테이프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적당량을 구매하여 보관하게 된다.
점착테이프 클리너 및 점착테이프는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부피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보관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사용하고자 할 때 찾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특히 점착테이프 클리너와 점착테이프를 동일한 곳에 보관하지 않으면 각각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도 한다.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점착테이프 클리너와 점착테이프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면 어느 하나를 분실할 염려가 없을 것이고 쉽게 찾아 언제라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0-0001735호(2010.02.18 공개)의 "점착테이프 클리너"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점착테이프 클리너는 점착테이프 롤을 구비하는 클리너부재와, 점착테이프 롤을 둘러싸는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클리너부재는 점착테이프 롤을 삽입 장착한 지지롤러와, 지지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봉에 의해 연결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보호부재는 연결봉과 결합되어 지지롤러와 간격을 두고 지지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부덮개와, 상부덮개의 양측단에 힌지 결합되어 지지롤러를 감싸는 한 쌍의 측면덮개와 측면덮개의 양단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은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클리너부재에 보호부재가 일체로 연결되며, 사용시에만 보호부재를 열어 점착테이프 롤이 노출되게 하고, 보관시에는 보호부재를 닫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보호부재가 클리너부재에 항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불편함이 있었고, 여분의 점착테이프 롤을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고 클리너부재가 노출되기 때문에 보관시 미관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0-0001735호(2010.02.18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점착테이프 클리너와 소모품인 점착테이프를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점착테이프 클리너나 점착테이프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은, 분할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공간부와 상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정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공간부를 개폐시키는 제1도어; 상기 함체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공간부를 개폐시키는 제2도어; 상기 분할판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도어는, 상기 함체의 후방측 상단부근에 상기 제2도어의 후방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도어의 전방단부에 상기 상부 공간부로 연통되는 절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하부 공간부를 갖는 하부 함체와 상기 상부 공간부를 갖는 상부 함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함체의 상면이 하부 분할판이 되고, 상기 상부 함체의 하면이 상부 분할판이 되고, 상기 하부 분할판과 상기 상부 분할판에 동축상으로 상하 관통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분할판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분할판에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함체와 상기 상부 함체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은 점착테이프 클리너뿐 아니라 여분의 점착테이프를 보관할 수 있고,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게 보관할 수도 있고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손잡이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도 있어 필요에 맞게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점착테이프 클리너와 점착테이프가 함께 보관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를 분실할 염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의 사시도.
도 4는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손잡이가 노출되지 않게 함체에 삽입되게 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의 사시도.
도 5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
도 7은 하부 함체에 수용되는 점착테이프 및 툴링박스의 삽입 상태도.
도 8은 툴링박스에 수용되는 연장커넥터의 예시도.
도 9는 연장커넥터를 점착테이프 클리너에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점착테이프 클리너의 손잡이가 노출되지 않게 함체에 삽입되게 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하부 함체에 수용되는 점착테이프 및 툴링박스의 삽입 상태도이며, 도 8은 툴링박스에 수용되는 연장커넥터의 예시도이고, 도 9는 연장커넥터를 점착테이프 클리너에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은 점착 테이프 클리너(10)와 점착테이프(20)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함체(100), 제1도어(D1), 제2도어(D2) 및 삽입구멍(H)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함체(100)는 분할판(110a, 110b)을 사이에 두고 하측에 하부 공간부(101)가 형성되고, 상측에 상부 공간부(102)가 형성된다. 분할판(110a, 110b)은 하부 공간부(101)와 상부 공간부(102)를 구분하게 되며, 분할판(110a, 110b)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삽입구멍(H)이 형성된다.
특히, 함체(100)는 하부 함체(100a)와 상부 함체(100b)로 분리될 수 있으며, 하부 함체(100a)와 상부 함체(100b)가 결합되어 함체(100)를 이루게 된다. 보통의 경우 하부 함체(100a)와 상부 함체(100b)는 상호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함체(100a)와 상부 함체(100b)를 분리시켜서 따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하부 함체(100a)에 하부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상부 함체(100b)에 상부 공간부(102)가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하부 공간부(101)에 여분의 점착테이프(20)가 보관되며, 상부 공간부(102)에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롤러(13) 또는 롤러에 결합된 점착테이프(20)가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
그리고 하부 함체(100a)의 하부 공간부(101)에는 툴링박스(30)가 보관될 수 있다. 툴링박스(30)에는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길이를 연장시켜서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연장커넥터(31)들이 수용된다.
연장커넥터(31)들은 원터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필요시에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손잡이(11)에 연결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공간부(101)에 2개의 점착테이프(20)와 하나의 툴링박스(30)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으로 한다.
하부 함체(100a)의 상면이 하부 분할판(110a)이 되며, 상부 함체(100b)의 하면은 상부 분할판(110b)이 된다. 하부 분할판(110a)과 상부 분할판(110b)의 중심부에 삽입구멍(H)이 형성되며, 각 삽입구멍(H)은 동축상으로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다.
하부 분할판(110a)과 상부 분할판(110b)에 형성되는 삽입구멍(H)은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손잡이(11)가 삽입되는 구멍이 된다. 점착테이프 클리너(10)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손잡이(11)가 상부 함체(100b) 외부로 노출되게 보관하는 것이 편리하나, 장시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에는 부피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점착테이프 클리너(10)를 뒤집어 손잡이(11)가 삽입구멍(H)을 향하도록 하면 상부 함체(100b)의 상부 공간부(102)에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롤러(13) 또는 롤러에 결합된 점착테이프(20)가 수용되고 손잡이(11)는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함체(100)의 정면부에 제1도어(D1)가 마련되어 하부 공간부(10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함체(100)의 상면부에는 제2도어(D2)가 마련되어 상부 공간부(10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부 공간부(101)를 개폐시키는 제1도어(D1)는 하부 함체(100a)의 정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 공간부(102)를 개폐시키는 제2도어(D2)는 상부 함체(100b)의 상면에 마련되어야 한다.
제2도어(D2)는 함체(100)의 상단부근에 마련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부 함체(100b)의 후방측 상단부근에 제2도어(D2)의 후방단부가 힌지(1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제2도어(D2)의 후방단부에 돌출되는 힌지(120)를 마련하고 힌지(120)와 연결되어 연장되는 걸림부(1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함체(100b)의 후방측에는 힌지(120)를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힌지브라켓(140)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힌지브라켓(140)에 힌지(120)가 끼워질 수 있는 힌지홀(141)을 형성시켜 제2도어(D2)를 연결한다.
힌지(120)와 연결되는 걸림부(130)는 상부 공간부(102)를 향해 돌출된 형태가 되고, 걸림부(130)는 제2도어(D2)가 열린상태일 때 점착테이프 클리너(10)를 상부 공간부(102)에 넣을 때 점착테이프 클리너(10)에 결합된 점착테이프(20)가 걸림부(130)에 접촉되어 자동적으로 제2도어(D2)가 닫힐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도어(D2)의 전방단부에는 상부 공간부(102)로 연통되는 절개홀(150)이 형성된다. 절개홀(150)은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손잡이(11)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세워서 보관할 때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장착로드(12)가 간섭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함체(100)가 하부 함체(100a)와 상부 함체(100b)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부 함체(100a)와 상부 함체(100b)는 서로 간단하게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실시예는 하부 함체(100a)의 상면을 이루는 하부 분할판(110a)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체결돌기(160)를 형성시키며, 상부 함체(100b)의 하면을 이루는 상부 분할판(110b)에 체결돌기(160)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홀(170)을 형성시켜서 간단하게 하부 함체(100a)와 상부 함체(100b)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의 구체적인 사용상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은 하부 함체(100a)와 상부 함체(100b)가 결합되어 하나의 함체(100)가 될 수 있고, 하부 함체(100a)의 하부 공간부(101)에는 여분의 점착테이프(20)와 툴링박스(30)가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개의 점착테이프(20)와 하나의 툴링박스(30)가 하부 공간부(101)에 수용되며, 함체(100)의 분할판(110a, 110b)에는 삽입구멍(H)이 형성된다. 삽입구멍(H)의 하부에 어느 하나의 점착테이프(20)가 위치된다.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롤러(13)에 점착테이프(20)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과 함께 제공되는 점착테이프 클리너(10)는 도 3, 도 5, 및 도 6과 같이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손잡이(11)가 삽입구멍(H)을 통해 끼워져 하부 공간부(101)에 위치되며,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롤러(13) 및 롤러에 결합된 점착테이프(20)는 상부 함체(100b)의 상부 공간부(102)에 수용된다.
사용자가 점착테이프 클리너(1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점착테이프 클리너(10)를 함체(100)로부터 꺼내어 청소를 할 수 있고, 청소가 끝나면 손잡이(11)가 상부로 가도록 하여 상부 공간부(102)에 점착테이프 클리너(10)에 연결된 점착테이프(20)를 밀어넣도록 한다.
이때 제2도어(D2)에 형성된 걸림부(130)에 점착테이프(20)가 접촉되면서 자동적으로 제2도어(D2)가 닫히게 된다. 그리고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손잡이(11)는 함체(100) 외부로 돌출되게 되며, 사용자는 점착테이프 클리너(10)를 사용하고자 할 때 함체(100)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11)를 잡고서 당기면 간편하게 점착 테이프 클리너(10)를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은 하부 함체(100a)와 상부 함체(100b)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 함체(100a)에 툴링박스(30)가 수용되며, 툴링박스(30)에는 복수의 연장커넥터(31)가 들어 있다. 사용자는 연장커넥터(31)를 연결하여 점착테이프 클리너(10)의 손잡이(11)에 결합하여 점착테이프 클리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은 점착테이프 클리너 및 점착테이프를 보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10 : 점착테이프 클리너 11 : 손잡이
12 : 장착로드 13 : 롤러
20 : 점착테이프 30 : 툴링박스
31 : 연장커넥터 100 : 함체
100a: 하부 함체 100b: 상부 함체
101 : 하부 공간부 102 : 상부 공간부
D1 : 제1도어 D2 : 제2도어
110a: 하부 분할판 110b: 상부 분할판
120 : 힌지
130 : 걸림부 140 : 힌지브라켓
141 : 힌지홀 150 : 절개홀
160 : 체결돌기 170 : 체결홀
H : 삽입구멍

Claims (4)

  1. 분할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공간부와 상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정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공간부를 개폐시키는 제1도어;
    상기 함체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공간부를 개폐시키는 제2도어;
    상기 분할판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는,
    상기 함체의 후방측 상단부근에 상기 제2도어의 후방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도어의 전방단부에 상기 상부 공간부로 연통되는 절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하부 공간부를 갖는 하부 함체와 상기 상부 공간부를 갖는 상부 함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함체의 상면이 하부 분할판이 되고, 상기 상부 함체의 하면이 상부 분할판이 되고, 상기 하부 분할판과 상기 상부 분할판에 동축상으로 상하 관통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할판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분할판에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함체와 상기 상부 함체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KR2020120002914U 2012-04-10 2012-04-10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KR200469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14U KR200469099Y1 (ko) 2012-04-10 2012-04-10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14U KR200469099Y1 (ko) 2012-04-10 2012-04-10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099Y1 true KR200469099Y1 (ko) 2013-09-23

Family

ID=5139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914U KR200469099Y1 (ko) 2012-04-10 2012-04-10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0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967B1 (ko) 2013-11-14 2015-04-07 문환업 점착 테이프 클리너 보관대
CN109110553A (zh) * 2018-07-10 2019-01-01 浙江纳鑫胶带制品有限公司 一种粘尘胶带滚筒及其收纳盒
KR200492046Y1 (ko) * 2019-05-21 2020-07-27 박 헌 규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청소용 점착롤 테이프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90A (ja) * 1993-05-11 1995-01-27 Hiroshi Fukuba 粘着式清掃具用収納ケース
JPH1189786A (ja) * 1997-09-22 1999-04-06 Sekisui Chem Co Ltd 粘着ロールクリーナー収納ケース
JP2004073562A (ja) * 2002-08-20 2004-03-11 Nitomuzu:Kk 粘着式清掃具およびその保管用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90A (ja) * 1993-05-11 1995-01-27 Hiroshi Fukuba 粘着式清掃具用収納ケース
JPH1189786A (ja) * 1997-09-22 1999-04-06 Sekisui Chem Co Ltd 粘着ロールクリーナー収納ケース
JP2004073562A (ja) * 2002-08-20 2004-03-11 Nitomuzu:Kk 粘着式清掃具およびその保管用カバ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967B1 (ko) 2013-11-14 2015-04-07 문환업 점착 테이프 클리너 보관대
CN109110553A (zh) * 2018-07-10 2019-01-01 浙江纳鑫胶带制品有限公司 一种粘尘胶带滚筒及其收纳盒
KR200492046Y1 (ko) * 2019-05-21 2020-07-27 박 헌 규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청소용 점착롤 테이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5257B2 (ja) 物入れの押込み式蓋開閉装置及び押込み式蓋開閉ユニット
KR200469099Y1 (ko) 점착테이프 클리너 보관함
USD888549S1 (en) Small foldable snap box
US20040206651A1 (en) Wet sheet container
KR101589086B1 (ko) 수납용기
KR200467505Y1 (ko)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JP4190195B2 (ja) 粘着式清掃具
USD888548S1 (en) Large foldable snap box
US8371764B2 (en) Handle sanitizer
US20110062174A1 (en) Bathroom Caddy
KR200467895Y1 (ko) 표시창 보호 부재를 구비한 수첩형 휴대폰 보호 케이스
US2820685A (en) Broom head holder and cover
JP2019134146A (ja) 電子機器保護用ケース構造体
US20190021559A1 (en) Wipes storage box
KR200444097Y1 (ko) 변기 청소구 조립체
KR200466315Y1 (ko) 칫솔
JP3086985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ケース
JPS6140415B2 (ko)
KR200286615Y1 (ko) 전개식 개폐구조를 갖는 칫솔걸이
CN211323037U (zh) 一种香烟盒
KR200174389Y1 (ko) 수납용 상자
KR200206764Y1 (ko) 다용도 수납장
KR200336648Y1 (ko) 진공 청소기 악세사리
KR200440234Y1 (ko) 티 팩 함체
KR200403049Y1 (ko) 휴대용 담배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