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95Y1 -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 Google Patents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095Y1
KR200469095Y1 KR2020110003879U KR20110003879U KR200469095Y1 KR 200469095 Y1 KR200469095 Y1 KR 200469095Y1 KR 2020110003879 U KR2020110003879 U KR 2020110003879U KR 20110003879 U KR20110003879 U KR 20110003879U KR 200469095 Y1 KR200469095 Y1 KR 200469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water supply
opening
submersib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818U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2020110003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09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0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염소 소독을 위해 고상의 클로로칼키가 안치된 여과용 필터를 가지는 본체용기를 급수시설 내의 물과 접촉하여 적정한 농도로 클로로칼키가 용해 되도록 하는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염소투입장치는, 상부가 열린 원통형 용기 형상의 용기본체와, 고상의 클로로칼키를 감싸며 용기본체 내부에 담기는 여과용 필터, 및 용기본체의 열린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급수탱크의 원수가 유입되고 클로로칼키와 접촉하여 염소가 희석된 희석수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출입공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는 뚜껑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출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서 잠수된다.

Description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DEVICE FOR PROJECTING CHLORINE IN WATER SUPPLY SYSTEM}
본 고안은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소 소독을 위해 고상의 클로로칼키(CaCl2)가 안치된 여과용 필터를 가지는 본체용기를 급수시설 내의 물과 접촉하여 적정한 농도로 클로로칼키가 용해 되도록 하는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역 상수도나 일반 상수도의 공급이 어려운 농촌 지역의 마을 상수도나 학교, 또는 소규모 급수시설의 경우 급수에 살균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급수를 사용하는 자들이 각종 질병이나 수인성 전염병 등에 항상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 예를 들어, 농어촌지역의 마을 상수도나 소규모 급수시설의 경우 예산상의 부족 등으로 염소투입장치를 설치하지 못한 대부분의 간이 급수시설 등은 마을 관리자 등 전문성이 부족한 자가 중앙정부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공급하는 소독약품인 고상 클로로칼키를 20~30정씩 아무런 기준 없이 그대로 간이 급수시설 등의 저수조 내에 임의로 투입하거나 임시방편으로 양파 망이나 그물망 등에 고상 클로로칼키를 넣어 저수조 내에 직접 투입함으로써 과도한 농도의 냄새 등으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시간 경과로 인해 약효 자체가 없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를 피하고자 많은 경비를 들여 급수시설에 자동 염소투입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관리가 번거롭고, 비전문가가 관리함으로 인해 장치 자체의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대처 미비, 장치 조작의 번거로움 또는 유지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소독효과를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상의 클로로칼키의 직접 투입으로 인해 강한 염소 냄새로 인한 물사용의 기피도 문제지만 클로로칼키 자체의 석회성분이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물과 희석되어 그대로 공급됨으로써 사용자 등의 건강에 또 다른 위험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많은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9-40181 호"에서는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투입관과, 상기 투입관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고정대 및 높이 조정부재로 구성되는 처리조의 고체 염소투입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이 사용하는 급수시설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여기서는 클로로칼키 자체의 석회성분이 그대로 오폐수에 섞여 처리조로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오폐수처리에는 적합할지 몰라도 인간이 사용하는 급수시설에는 석회성분의 유입으로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 354609 호"에서는 간이 상수도에서의 염소소독을 위한 염소투입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수중 펌프 등의 외부동력을 사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그 사용상의 불편함은 물론 클로로칼키로부터 석회유입을 차단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고, 물 탱크 외부에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63571 호"에서는 슬러지 밸브 및 슬러지 유출관을 구비한 상수도용 간이 염소 살균 소독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장치에서는 클로로칼키에서 나오는 석회성분이 상기 슬러지 유출관 등을 폐쇄시킬 수 있어서 그 효능에 의문이 가고, 유입원수 전부가 소독장치를 통하게 되어 있어 실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다른 상수도용 간이 염소 자동 공급장치인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310761 호"에서는 염소수 투입량 조절기 등 자동장치를 장착하므로 그 비용 면에서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탱크 내로 유입되는 원수 모두가 염소 자동 공급장치를 통과하도록 탱크 외부에 설치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실사용에 있어서는 많은 의문점과 염소로부터의 석회 유입 문제 등이 여전히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325796 호"에서는 무동력 염소 투입기를 공개하고 있으나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소독약품 안착판 하부에 슬러지 배출공을 다수 형성하고 있어서 침전 슬러지를 제거한다는 구성은 배출 슬러지가 배출공을 막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 외에 다수의 염소투입장치가 공개되고 있으나 대부분 동력인 모터를 사용하거나, 센서, 농도 조절기 등의 부가설비가 필요하고 또한 클로로칼키로부터의 석회를 처리하지 못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무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클로로칼키가 원수와 희석될 때 발생하는 석회를 용이하게 처리하여 원수와 혼합되지 않게 하고, 뚜껑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의 개폐량을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항상 원하는 일정 농도로 원수에 염소성분이 희석되게 할 수 있는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급수시설용 염소투입장치에 있어서,
염소투입장치는,
상부가 열린 원통형 용기 형상의 용기본체;
고상의 클로로칼키를 감싸며 용기본체 내부에 담기는 여과용 필터; 및
용기본체의 열린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급수탱크의 원수가 유입되고 클로로칼키와 접촉하여 염소가 희석된 희석수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출입공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급수시설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는 뚜껑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출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서 잠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는 기계적, 전기적 조작이 필요치 않아 사용자의 기기조작에 따른 부담감을 덜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염소의 과다농도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잔류 석회성분 등의 이물질이 사용하는 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품 교체가 용이하고 필터의 청소로 장기 사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는 급수시설의 수면 하에 잠수되기 때문에 급수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쓸려 염소투입장치가 수위센서에 감기거나 급수탱크 내 사다리에 걸림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 급수시설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가 급수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량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가 급수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100)는 급수탱크(10) 내부 수면 하에 잠수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100)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 내부에 담기는 여과용 필터(120), 및 용기본체(110)의 열린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용기본체(110)는 상부가 열린 원통형 용기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용기본체(110)의 내부에는 여과용 필터(120)가 담기게 된다.
여과용 필터(120)는 통상의 특수 필터로서 내부에는 고상의 클로로칼키(122)가 수용된다. 즉, 여과용 필터(120)는 내부에 수용된 고상의 클로로칼키(122)를 감싸는 것으로, 후술하는 뚜껑(13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와 혼합될 때 발생하는 석회성분 및 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내부에 축적되게 하고, 또한 클로로칼키(122)가 직접 원수와 접촉되지 않게 하여 클로로칼키(122)의 용해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약품 교체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청소 후 재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10)에 담기는 여과용 필터(120)는 뚜껑(130)에 의해 용기본체(110) 내에 한정된다.
뚜껑(130)은 용기본체(110)의 열린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뚜껑(130)을 용기본체(110)에 여과용 필터(120)를 한정하거나, 또는 여과용 필터(120)를 인출하여 청소하거나, 또는 클로로칼키(122)를 보충하거나 교환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뚜껑(130)의 하부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암나사(132)가 형성되고, 용기본체(110)의 열린 상부에 인접한 내주면 상에는 암나사(132)가 맞물려 체결되는 수나사(112)가 형성된다.
한편, 뚜껑(130)에는 하나 이상의 출입공(134)이 형성된다. 출입공(134)으로는 급수탱크(10) 내의 원수가 용기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원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염소투입장치(100)를 잠수되게 한다. 또한 출입공(134)으로는 클로로칼키(122)와 접촉하여 원수 내에 염소가 희석된 희석수가 배출된다. 그리고 뚜껑(130)의 방사상 양측에는 손잡이(136)가 뚜껑(130)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10)와, 여과용 필터(120), 및 뚜껑(130)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100)는 출입공(134)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개폐량 조절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폐량 조절수단(140)은 뚜껑(130)의 하부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수평한 원판 형상의 개폐디스크(142)와, 개폐디스크(142)의 회전중심부에서 뚜껑(130)을 관통하여 뚜껑(130)의 상부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핸들 어댑터(144)를 구비한다. 여기서 개폐디스크(142)에는 출입공(134)과 연통하는 다수의 개폐량 조절공(146)이 형성되는데, 개폐량 조절공(146)은 출입공(134)의 직경과 동일한 개폐량 조절공(146)에서부터 출입공(1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개폐량 조절공(146)들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량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량 조절수단(150)은 출입공(134)에 끼워지는 관 형상의 개폐량 조절관(152), 및 개폐량 조절관(152)의 연장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뭉치(154)로 이루어진다. 조절뭉치(154)의 내부에는 개폐량 조절관(152)의 유로(156)와 연결되는 연장유로(158)가 형성되며, 조절뭉치(154)의 연장단부, 양측면 및 상하부에는 연장유로(158)와 연결되는 다수의 가지유로(160)가 형성되며, 가지유로(160)에는 가지유로(160)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마개(162)가 끼워진다.
한편, 다수의 가지유로(160)를 형성한 이유로는 마개(162)를 이용해 가지유로(160)를 선택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출입공(134)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가지유로(160)를 형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가지유로(160)가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될 경우 또 다른 가지유로(16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100)는 기계적, 전기적 조작이 필요치 않아 사용자의 기기조작에 따른 부담감을 덜어 줄 수 있고, 염소의 과다농도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잔류 석회성분 등의 이물질이 사용하는 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품 교체가 용이하고 여과용 필터(120)의 청소로 장기 사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100)는 급수시설의 수면 하에 잠수되기 때문에 급수탱크(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쓸려 염소투입장치(100)가 수위센서에 감기거나 급수탱크 내 사다리에 걸림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 급수시설, 대략 5톤 이하의 급수시설에 적합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110 : 용기본체 120 : 여과용 필터
130 : 뚜껑 140, 150 : 개폐량 조절수단

Claims (5)

  1. 급수시설용 염소투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소투입장치는,
    상부가 열린 원통형 용기 형상의 용기본체;
    고상의 클로로칼키를 감싸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담기는 여과용 필터; 및
    상기 용기본체의 열린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급수탱크의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클로로칼키와 접촉하여 염소가 희석된 희석수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출입공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로서, 상기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는 상기 출입공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개폐량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량 조절수단은,
    상기 뚜껑의 하부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수평한 원판 형상의 개폐디스크와, 상기 개폐디스크의 회전중심부에서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핸들 어댑터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디스크에는 상기 출입공과 연통하는 다수의 개폐량 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량 조절공은 상기 출입공의 직경과 동일한 상기 개폐량 조절공에서부터 상기 출입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기 개폐량 조절공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시설 잠수식 염소투입장치는 상기 뚜껑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출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서 잠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량 조절수단은,
    상기 출입공에 끼워지는 관 형상의 개폐량 조절관, 및 상기 개폐량 조절관의 연장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절뭉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뭉치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량 조절관의 유로와 연결되는 연장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뭉치의 연장단부, 양측면 및 상하부에는 상기 연장유로와 연결되는 다수의 가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지유로에는 상기 가지유로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마개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KR2020110003879U 2011-05-06 2011-05-06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KR200469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79U KR200469095Y1 (ko) 2011-05-06 2011-05-06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79U KR200469095Y1 (ko) 2011-05-06 2011-05-06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18U KR20120007818U (ko) 2012-11-14
KR200469095Y1 true KR200469095Y1 (ko) 2013-10-01

Family

ID=4751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79U KR200469095Y1 (ko) 2011-05-06 2011-05-06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0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857B1 (ko) * 2005-11-16 2006-05-18 유림기업주식회사 급수 시설 내 염소투입장치
KR100624397B1 (ko) 2006-06-13 2006-09-15 장인봉 상수도 및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KR20090006677U (ko) * 2007-12-28 2009-07-02 장인봉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KR20110005443A (ko) * 2009-07-10 2011-01-18 장인봉 상수도 및 수조의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857B1 (ko) * 2005-11-16 2006-05-18 유림기업주식회사 급수 시설 내 염소투입장치
KR100624397B1 (ko) 2006-06-13 2006-09-15 장인봉 상수도 및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KR20090006677U (ko) * 2007-12-28 2009-07-02 장인봉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KR20110005443A (ko) * 2009-07-10 2011-01-18 장인봉 상수도 및 수조의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18U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6639B2 (en) Gravity feed water treatment system
US20160340217A1 (en) Water treatment system
US6419821B1 (en) Apparatus for low cost water disinfection
ES2961889T3 (es) Sistema residencial de reciclado de aguas grises
JP2000515803A (ja) 紫外線水殺菌装置
US6051140A (en) Water decontaminating system and method
KR100578857B1 (ko) 급수 시설 내 염소투입장치
US20030085239A1 (en) Chemical feeder
KR200469095Y1 (ko)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RU108445U1 (ru) Система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плавательного бассейна
KR100923424B1 (ko) 태양 광 에너지모듈을 구비한 급수장치
KR20140023032A (ko) 용수의 고형물 제거 및 정화장치
KR101966304B1 (ko) 수질관리가 특별한 수영장
CN100553544C (zh) 具冲洗功能的饮水机及其冲洗方法
WO2005003042A1 (ja) ミネラル水供給装置
KR20090120622A (ko) 간이 집수정
WO2021166628A1 (ja) 薬剤溶解装置、水処理システム及び固形薬剤カートリッジ
KR200399250Y1 (ko) 급수 시설 내 염소투입장치
KR20140002737U (ko)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CN206375711U (zh) 小型医疗废水一体化处理装置
KR100624397B1 (ko) 상수도 및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JP2007319801A (ja) 循環浄水装置の洗浄方法及び循環浄水装置
TWM268106U (en) Cabinet type sterilizing tank
KR101564265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JPH11114580A (ja) 無菌化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