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737U -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 Google Patents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737U
KR20140002737U KR2020120009926U KR20120009926U KR20140002737U KR 20140002737 U KR20140002737 U KR 20140002737U KR 2020120009926 U KR2020120009926 U KR 2020120009926U KR 20120009926 U KR20120009926 U KR 20120009926U KR 20140002737 U KR20140002737 U KR 201400027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dicine
hole
sink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545Y1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2020120009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54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7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5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로써,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에 있어서, 내부에 약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약품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로를 포함하는 약품수용부와 상기 약품수용부의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상기 약품수용부와의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된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약품배출부; 및 상기 배수구커버를 덮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트랩에 설치되고,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구비되며 상시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싱크대의 악취와 세균을 억제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SINK DRAINS COVER}
본 고안은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구비되며 상시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약품이 균일하게 배출되어 싱크대의 악취와 세균을 용이하게 억제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구비되며 상시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약품이 균일하게 배출되어 싱크대의 악취와 세균을 용이하게 억제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에 관한 것이다.
즉, 배수트랩 본체는 걸름망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면은 개방되고, 바닥면 중앙에는 오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배수구를 갖는 배수관이 형성되고, 싱크대의 일측 측면에는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오버 플로우 배출구를 호스로 연결하도록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장기 부재로 인해 싱크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수트랩 저부에 채워진 오수가 증발 건조되어 걸름망체의 바닥판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측면의 배수공이 노출되면 오수에 의한 차단막이 없게 되어 배수구를 통해 하수구에서 역류하는 각종 악취와 가스, 해충이 배수트랩의 상부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수트랩의 경우 악취방지를 위해 고여있는 물이 별도로 공급한 청결한 물이 아니고 하수구로 배출시키는 과정에 있는 생활오수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이 고여 있는 물로 인해 발생하는 미세한 악취로 인하여 완전한 악취제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배수트랩 내부에 청결한 물을 증발되기 전에 자동으로 보충시켜 줄 수 있는 특허등록 제639901호의 "옥내용 배수트랩의 자동급수장치"가 등록되었다.
상기 특허등록된 "옥내용 배수트랩의 자동급수장치"는 사용자의 장기 부재 시에도 일정 시간의 간격마다 자동으로 청결한 물을 외부에서 자동으로 공급하여 주도록 함으로써 고여 있는 물에서의 악취발생을 억제하고 배수트랩의 역류방지용 차단수가 건조되어 역류방지 기능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수트랩은 "옥내용 배수트랩의 자동급수장치"에 의해서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청결한 물을 공급하여 악취를 차단할 수 있으나, 배수트랩의 내부와 걸름망체는 오수에 의해 항상 젖은 습한 상태에서 빛이 잘 들지 않기 때문에 각종 세균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식기를 설거지 하거나 음식물 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균에 오염되어 각종 질병을 인간에게 쉽게 옮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기 때문에 세균이 잘 억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성이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구비되며 상시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약품이 균일하게 배출되어 싱크대의 악취와 세균을 용이하게 억제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에 따르면,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에 있어서, 내부에 약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약품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로를 포함하는 약품수용부와 상기 약품수용부의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상기 약품수용부와의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된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약품배출부; 및 상기 배수구커버를 덮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로는 한쌍의 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벽체중 내측에 구비된 벽체에 배출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에 따르면, 싱크대의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입구를 덮기 위해 설치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상기 덮개판과의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일부분에 약품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약품배출부;와 상기 유출공이 형성된 약품배출부의 상부에 약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이 개구된 약품수용부;와 상기 약품수용부를 덮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품수용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로는 한쌍의 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벽체중 내측에 구비된 벽체에 배출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구비되며 상시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약품이 균일하게 배출되어 싱크대의 악취와 세균을 용이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싱크대 배수구에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1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제2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의 저면을 나타내는 제3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를 나타내는 제4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오로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100,200)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100)에 있어서, 내부에 약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G)과, 수용공간(G)의 외측으로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약품(M)이 용해된 약품용액(미도시)이 유출되는 유출공(112)이 형성된 유출로(111)를 포함하는 약품수용부(110)와 약품수용부(110)의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약품수용부(110)와의 사이에 배수공(121)이 형성되고, 하부에 유출공(112)을 통해 유출된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로(122)가 형성된 약품배출부(120) 및 배수구커버(100)를 덮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131)이 형성된 커버부(130)를 포함한다.
약품수용부(110)는 수용공간(G)에 약품(M)이 수용된다. 즉, 용기형상으로 상측이 개구되고 수용공간(G)에는 고체로 이루어지며 물에 용해가 되고 싱크대의 배수구의 악취를 제거하는 세정작용을 하는 약품(M)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약품수용부(110)의 수용공간(G)에 물이 들어가면 약품(M)이 물에 용해될 수 있다.
약품수용부(110)는 수용공간(G)의 외측으로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약품(M)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유출되는 유출공(112)이 형성된 유출로(111)를 포함한다. 즉, 수용공간(G)의 외측으로 약품수용부(110)의 일부가 연장되어 약품(M)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유출로(111)에 의하여 안내되며 안내된 약품용액이 유출공(112)을 통해 하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유출로(111)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방사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약품용액이 유출로(111)를 지나 유출공(112)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하부로 유출될 수 있다.
약품수용부(110)는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약품수용부(110)와의 사이에 배수공(121)이 형성되고 하부에 유출공(112)를 통해 유출된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로(122)가 형성된 약품배출부(120)가 형성된다. 즉, 약품수용부(110)의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약품수용부(110)와의 사이에 물이 배수되기 위한 배수공(121)이 형성되고, 하부에 유출공(112)을 통해 유출된 약품용액이 싱크대의 배수구로 배출되는 배출로(122)가 형성된 약품배출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로(122)는 한쌍의 벽체(123)가 서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유출된 약품용액이 한쌍의 벽체(123)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약품용액이 균일하게 배수구로 배출될 수 있다.
더불어, 한쌍의 벽체(123)중 내측에 구비된 벽체(123)에 배출공(124)이 관통 형성된다. 예를들면, 배출공(124)는 내측에 구비된 벽체(123)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벽체(123)에 관통된 배출공(124)을 통해 약품용액이 더욱 용이하게 배수구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부는(130) 배수구커버(100)를 덮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131)을 포함한다. 즉, 커버부(130)는 배수구커버(100)의 상측을 덮어 약품수용부(110)를 덮도록 형성되되,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30)는 유출로(111)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출로(111)를 지나는 약품용액이 유출공(112)을 통해 유출되기 전에 물에 의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G)에 수용된 약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약품용액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커버부(130)는 약품수용부(11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130)는 끼움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약품(M) 대부분 용해될 경우 새로운 약품(M)을 용이하게 수용공간(G)에 삽입하여 수시로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동일시 되는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도록 하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싱크대의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200)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입구를 덮기 위해 설치되는 덮개판(210)과 덮개판(210)의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덮개판(210)과의 사이에 배수공(221)이 형성되고 일부분에 약품(M)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유출되는 유출공(212)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로(211)가 형성된 약품배출부(220)와 유출공(212)이 형성된 약품배출부(220)의 상부에 약품(M)이 수용되는 수용공간(G)이 형성되며 상측이 개구된 약품수용부(240)와 약품수용부(240)를 덮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공(231)이 형성된 커버부(230)를 포함한다.
약품수용부(240)는 유출공(212)이 형성된 약품배출부(220)의 상부에 약품(M)이 수용되는 수용공간(G)이 형성된다. 이때, 약품수용부(240)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즉, 예를 들면, 약품배출부(220)의 상부에 방사형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 될 수 있다. 따라서, 약품수용부(240)의 수용공간(G)에 물이 유입되면, 수용공간(G)의 내부에 수용된 약품(M)이 용해되며, 용해된 약품용액이 유출공(212)를 통해 약품배출부(220)로 더욱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약품수용부(240)는 약품수용부(240)를 덮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공(231)이 형성된 커버부(230)를 포함한다.
즉, 커버부(230)는 약품수용부(240)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230)는 약품수용부(240)의 수용공간(G)에 수용된 약품(M)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입공(231)을 통해 유입된 물을 통해 약품(M)이 용이하게 용해되면 유출공(212)을 통해 약품용액이 유출되고, 유출된 약품용액은 한쌍의 벽체(223)의 사이로 유입되어 균일하게 싱크대의 배수구로 유입된다.
더불어, 한쌍의 벽체(233)로써, 내측에 구비된 벽체(223)에 배출공(224)이 관통형성됨으로 더욱 용이하게 배수구로 약품용액이 배출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100,200)에 따르면,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M)이 구비되며 상시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약품용액이 균일하게 배출되어 싱크대의 악취와 세균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200: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M): 약품 (G): 수용공간
110: 약품수용부 210: 덮개판
111: 유출로 211: 유출로
112: 유출공 212: 유출공
120: 약품배출부 221: 배수공
121: 배수공 220: 약품배출부
122: 배출로 222: 배출로
123: 벽체 223: 벽체
124: 배출공 224: 배출공
130: 커버부 230: 커버부
131: 유입공 231: 유입공
240: 약품수용부

Claims (8)

  1.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에 있어서,
    내부에 약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약품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로를 포함하는 약품수용부;
    상기 약품수용부의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상기 약품수용부와의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된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약품배출부; 및
    상기 배수구커버를 덮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한쌍의 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체중 내측에 구비된 벽체에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5. 싱크대의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입구를 덮기 위해 설치되는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되, 상기 덮개판과의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일부분에 약품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약품배출부;
    상기 유출공이 형성된 약품배출부의 상부에 약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이 개구된 약품수용부;
    상기 약품수용부를 덮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수용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수용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체중 내측에 구비된 벽체에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KR2020120009926U 2012-10-31 2012-10-31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KR200473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26U KR200473545Y1 (ko) 2012-10-31 2012-10-31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26U KR200473545Y1 (ko) 2012-10-31 2012-10-31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37U true KR20140002737U (ko) 2014-05-09
KR200473545Y1 KR200473545Y1 (ko) 2014-07-11

Family

ID=5199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926U KR200473545Y1 (ko) 2012-10-31 2012-10-31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5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085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배수관 세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KR20180009165A (ko) * 2016-07-18 2018-01-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면대 배수관 세정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027B1 (ko) * 2023-09-12 2023-12-15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배수유도기능을 구비한 배관트랩 및 이를 이용한 배수유도 방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7741B2 (ja) 2000-03-01 2011-03-09 日本曹達株式会社 排水口用ヌメリ取り具
JP3958632B2 (ja) 2002-06-11 2007-08-15 日本曹達株式会社 拡散型浴室排水口用ヌメリ取り器
JP4404601B2 (ja) * 2003-10-23 2010-01-27 日本曹達株式会社 ヌメリ防除機能付流し台用排水口蓋
JP4512687B2 (ja) 2004-07-15 2010-07-28 丸一株式会社 ヌメリ取り排水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085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배수관 세정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KR20180009165A (ko) * 2016-07-18 2018-01-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면대 배수관 세정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545Y1 (ko)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6015C2 (ru) Вставка для сливного отверстия писсуара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JP2010007358A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200473545Y1 (ko)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KR200483266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KR200476742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KR100748404B1 (ko) 세정기능을 구비한 배수트랩 자동 급수장치
KR20140040440A (ko) 배수 안정성 향상과 배수소음 최소화를 갖춘 통합 배수트랩 장치
JP5756938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200480074Y1 (ko) 양변기용 세정액 자동 배출장치
JP2014070375A (ja) 男性用水洗トイレ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100779045B1 (ko) 세척수 분사구조를 갖는 배수트랩
KR200444600Y1 (ko) 싱크대 배수구 악취제거장치
KR101348450B1 (ko)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JP5597845B2 (ja) サイフォン式トラップおよび家具
JP4861936B2 (ja) アダプター
JP5012211B2 (ja) 食器洗い機の排水構造、並びに、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システム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JP2004052292A (ja)
JP6185454B2 (ja) 製剤容器
KR101726293B1 (ko)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를 차단하면서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소변기용 카트리지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356294Y1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JP5270881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