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79Y1 -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079Y1
KR200469079Y1 KR2020130001825U KR20130001825U KR200469079Y1 KR 200469079 Y1 KR200469079 Y1 KR 200469079Y1 KR 2020130001825 U KR2020130001825 U KR 2020130001825U KR 20130001825 U KR20130001825 U KR 20130001825U KR 200469079 Y1 KR200469079 Y1 KR 200469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exchanger
coil
refrigera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익
Original Assignee
김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익 filed Critical 김영익
Priority to KR2020130001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0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9Improving heat transf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9On-of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 응축, 팽창, 증발 사이클을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로써, 열교환 효율이 높고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는, 전방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냉각시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 팽창부로부터 저압의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에 상기 냉매가 흐르면서 상기 바람의 열을 흡수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로부터 저압의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에 상기 냉매가 흐르면서 상기 제1열교환부를 지나온 상기 바람의 열을 흡수하는 제2열교환부로 구성된 열교환기; 상기 팽창부와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밸브;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측정부가 측정한 실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상기 차단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제1열교환부에 냉매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Heat exchanger of cooling system}
본 고안은 압축, 응축, 팽창, 증발 사이클을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로써, 열교환 효율이 높고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방(냉장) 시스템은,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 장치(22)와 상기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기(24:응축기)와 상기 냉매를 저압으로 감소시키는 팽창 장치(26)와 상기 냉매를 증발시키는 열교환기(28: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냉방(냉장) 시스템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644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은 냉방(냉장)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증발기(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냉각 파이프(10)를 지그재그로 절곡 형성시키고, 복수로 절곡된 냉각 파이프(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20)가 냉각 파이프(10)의 좌,우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증발기(열교환기)는 냉각 파이프(10)로부터 냉기를 전도시킴으로써 냉각 파이프(10)의 표면적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냉각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복수의 냉각핀(30)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증발기(열교환기)는 압축기 및 응축기로부터 순환되는 냉매가 증발기의 냉각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냉각 파이프 및 냉각핀을 통해 주위의 공기와 열교환되게 된다.
그러나 냉각 파이프 및 냉각핀의 표면과 주위 공기 사이에 급격한 온도 차이가 발생하면 주위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냉각 파이프 및 냉각핀 표면에 응결되어 결로가 발생하게 되고, 냉각 파이프 및 냉각핀의 온도가 0℃ 이하가 되면 동결되면서 표면에 성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냉각 파이프 및 냉각핀에 성애가 발생하면 그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냉각 파이프와 냉각 파이프 또는 냉각핀과 냉각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냉각 파이프를 지나가는 냉매와 공기의 열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냉매가 완전히 증발되지 못하고 안개와 같은 작은 알갱이를 갖는 과냉각 상태의 가스냉매가 된다.
이렇게 물방울을 갖는 과냉각 상태의 가스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게 되면 압축기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될 때 발생되는 압축열로 인해 가스냉매 중의 작은 알갱이가 급격히 폭발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압축기의 과부화와 압축기에서의 냉매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압축기의 성능 저하 및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일반적인 종래의 증발기에 별도의 제상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상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하는 열로 냉각 파이프 및 냉각핀 표면의 제상작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상기 제상장치에 의해 냉방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고 전력 소모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의 온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냉매 공급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면서 열교환 효율을 높이고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는, 전방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냉각시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 팽창부로부터 저압의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에 상기 냉매가 흐르면서 상기 바람의 열을 흡수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로부터 저압의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에 상기 냉매가 흐르면서 상기 제1열교환부를 지나온 상기 바람의 열을 흡수하는 제2열교환부로 구성된 열교환기; 상기 팽창부와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밸브;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측정부가 측정한 실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상기 차단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제1열교환부에 냉매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는 각각, 냉매가 지나가는 통로인 코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패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다수의 상기 코일이 상하로 배열된다.
상기 코일은, 서로 다른 패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은 각각, 횡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어 순서대로 연결되는 제1배관 내지 제8배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코일은,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3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3배관의 전방에 제4배관 및 제5배관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4배관은 상기 제2배관과 제3배관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배관 및 제5배관의 전방에 제6배관, 제7배관 및 제8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6배관은 상기 제5배관보다 상부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코일은,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3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3배관의 전방에 제4배관, 제5배관 및 제6배관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4배관은 상기 제3배관보다 하부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배관, 제5배관 및 제6배관의 전방에 제7배관 및 제8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7배관은 상기 제5배관과 제6배관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코일은,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 및 제2배관의 전방에 제3배관, 제4배관 및 제5배관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3배관은 상기 제2배관보다 하부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배관, 제4배관 및 제5배관의 전방에 제6배관, 제7배관 및 제8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6배관은 상기 제4배관과 제5배관 사이의 높이에 위치한다.
각각의 상기 제1배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고, 각각의 상기 제8배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냉매가 배출되되, 상기 제1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배출구는 상기 열교환기의 최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유입구는 상기 열교환기의 최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유입구와 상기 제2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배출구는 상기 제1열교환부와 제2열교환부가 상호 마주보는 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열교환부와 제2열교환부는 서로 다른 패턴 형상의 코일이 대면하도록 상기 코일이 상하로 배열된다.
본 고안에 따른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차단밸브를 작동시켜 제1열교환부에 냉매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면서 표면에 결로 및 성애 발생을 억제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고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냉방(냉장)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증발기(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코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코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는 전방에 설치된 송풍기(F)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냉각시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는, 상기 바람과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로 저압의 응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팽창부(미도시)와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미도시),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미도시), 상기 온도 측정부가 측정한 실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상기 차단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냉매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열교환부(100)와 제2열교환부(200)로 구성된다.
제1열교환부(100)는 상기 팽창부로부터 저압의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에 냉매가 흐르면서 바람의 열을 흡수한다.
그리고 제2열교환부(200)는 상기 제1열교환부(10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로부터 저압의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에 냉매가 흐르면서 상기 제1열교환부(100)를 지나온 바람의 열을 흡수한다.
즉, 열교환기는 송풍기(F)가 설치된 전방에 배치되는 제1열교환부(100)와 상기 제1열교환부(10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열교환부(200)로 나누어지며, 상기 송풍기(F)에 의해 발생된 바람은 제1열교환부(100)와 제2열교환부(20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열교환부(100) 및 제2열교환부(200)는 각각, 냉매가 지나가는 통로인 코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패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다수의 상기 코일이 상하로 배열된다.
상기 코일은, 횡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어 순서대로 연결되는 제1배관(1) 내지 제8배관(8)으로 이루어지며, 절곡 형상의 패턴에 따라 제1코일(110,210), 제2코일(120,220) 및 제3코일(130,2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코일에는 다수의 냉각핀을 설치하여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코일(110,210)은, 제1배관(1), 제2배관(2) 및 제3배관(3)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1), 제2배관(2) 및 제3배관(3)의 전방에 제4배관(4) 및 제5배관(5)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4배관(4) 및 제5배관(5)의 전방에 제6배관(6), 제7배관(7) 및 제8배관(8)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4배관(4)은 상기 제2배관(2)과 제3배관(3)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배관(3)과 연결되고, 상기 제5배관(5)은 상기 제1배관(1)과 제2배관(2)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6배관(6)은 상기 제5배관(5)보다 상부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5배관(5)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6배관(6)은 상기 제1배관(1)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7배관(7)은 상기 제4배관(4)과 제5배관(5)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배관(2)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8배관(8)은 상기 제4배관(4)보다 하부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배관(3)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코일(120,220)은, 제1배관(1), 제2배관(2) 및 제3배관(3)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1), 제2배관(2) 및 제3배관(3)의 전방에 제4배관(4), 제5배관(5) 및 제6배관(6)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4배관(4), 제5배관(5) 및 제6배관(6)의 전방에 제7배관(7) 및 제8배관(8)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4배관(4)은 상기 제3배관(3)보다 하부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배관(3)과 연결되고, 상기 제5배관(5)은 상기 제2배관(2)과 제3배관(3)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6배관(6)은 상기 제1배관(1)과 제2배관(2)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7배관(7)은 상기 제5배관(5)과 제6배관(6)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6배관(6)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7배관(7)은 상기 제2배관(2)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8배관(8)은 상기 제4배관(4)과 제5배관(5)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배관(3)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3코일(130,230)은, 제1배관(1) 및 제2배관(2)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1) 및 제2배관(2)의 전방에 제3배관(3), 제4배관(4) 및 제5배관(5)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3배관(3), 제4배관(4) 및 제5배관(5)의 전방에 제6배관(6), 제7배관(7) 및 제8배관(8)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배관(3)은 상기 제2배관(2)보다 하부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배관(2)과 연결되고, 상기 제4배관(4)은 상기 제1배관(1)과 제2배관(2)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5배관(5)은 상기 제1배관(1)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6배관(6)은 상기 제4배관(4)과 제5배관(5)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5배관(5)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6배관(6)은 상기 제1배관(1)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7배관(7)은 상기 제3배관(3)과 제4배관(4)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배관(2)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8배관(8)은 상기 제3배관(3)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기 제1코일(110,210), 제2코일(120,220) 및 제3코일(130,230)은 각각, 상기 제1배관(1)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제8배관(8)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냉매가 배출된다.
이에 따라 제1열교환부(100)를 구성하는 코일의 배출구는 상기 열교환기의 최전방에 위치하고, 제2열교환부(200)를 구성하는 코일의 유입구는 상기 열교환기의 최후방에 위치하며, 제1열교환부(100)를 구성하는 코일의 유입구와 제2열교환부(200)를 구성하는 코일의 배출구는 상기 제1열교환부(100)와 제2열교환부(200)가 상호 마주보는 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부(100)와 제2열교환부(200)는 서로 다른 패턴 형상의 코일이 대면하도록 상기 코일이 상하로 배열된다.
즉, 제1열교환부(100)는 하부에서부터 제1코일(110), 제2코일(120), 제3코일(130)의 순서로 배열되고, 제2열교환부(200)는 하부에서부터 제2코일(220), 제3코일(230), 제1코일(210)의 순서로 배열되어, 상기 제1열교환부(100)와 제2열교환부(200)는 서로 다른 패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코일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부(100)와 제2열교환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코일의 배열을 반복적으로 하여 확장할 수 있다.
이하,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냉방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를 토출하는 압축단계,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액화시켜 중온 고압으로 만드는 응축단계, 냉매가 증발하기 쉽도록 압력을 낮추는 팽창단계,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단계가 순환된다.
본 고안의 팽창부에서는 상기 팽창단계가 진행되고, 열교환기에서 증발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팽창부는 제1열교환부(100) 및 제2열교환부(200)에 각각 저압의 응축된 냉매를 공급하고, 팽창부와 열교환기 사이에 차단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부(100) 및 제2열교환부(200)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다시 압축단계에서 압축된다.
초기 냉방 시스템의 가동시에는 상기 제1열교환부(100)와 제2열교환부(200) 모두에 냉매가 공급된다.
따라서 송풍기(F)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은 상기 제1열교환부(100) 및 제2열교환부(20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한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바람은 단면상 속도분포에 의해 결로 및 성애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즉, 코일 표면 근처에서 흐르는 바람과 코일과 코일 사이에서 흐르는 바람의 속도차이는 상기 제1열교환부(100)의 전면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고, 상기 제1열교환부(100) 및 제2열교환부(200)를 통과할수록 속도차이가 줄어들게 되며, 바람의 속도분포 차이에 의해 코일 표면 근처에서 얇게 단절된 공기층으로부터 결로 및 성애의 발생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먼저 바람이 통과하게 되는 제1열교환부(100)의 전면부에서는 바람 즉, 공기 중 수분의 물질 전달률 및 온도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결로 발생량이 많고 성애가 두껍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방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가동되면 상기 제1열교환부(100)의 전면부에서 공기의 유동(바람)은 더욱더 방해를 받게 되고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고 전체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냉방 시스템이 가동된 후 온도 측정부가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제어부는 차단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제1열교환부(100)에 냉매 공급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 및 송풍기(F) 등의 부하량이 조절되게 되고, 소비되는 전력량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바람이 상기 제1열교환부(100)를 통과하면서 코일 표면과의 점성 마찰에 의한 속도 분포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2열교환부(200)를 통과할 때는 일정하고 안정된 흐름 특성을 갖기 때문에 결로 및 성애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이 상기 제1열교환부(100)를 통과하면서 냉매가 흐르지 않는 코일의 표면과 접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온도차이로 미리 냉각됨으로써, 상기 제2열교환부(200)를 통과하면서 큰 온도차에 의한 결로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인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제1열교환부, 200 : 제2열교환부,
110,210 : 제1코일,
120,220 : 제2코일,
130,230 : 제3코일,
1 : 제1배관, 2 : 제2배관, 3 : 제3배관, 4 : 제4배관, 5 : 제5배관, 6 : 제6배관, 7 : 제7배관, 8 : 제8배관,

Claims (5)

  1. 전방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냉각시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
    팽창부로부터 저압의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에 상기 냉매가 흐르면서 상기 바람의 열을 흡수하는 제1열교환부와, 상기 제1열교환부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로부터 저압의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에 상기 냉매가 흐르면서 상기 제1열교환부를 지나온 상기 바람의 열을 흡수하는 제2열교환부로 구성된 열교환기;
    상기 팽창부와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밸브;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측정부가 측정한 실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상기 차단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제1열교환부에 냉매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는 각각, 냉매가 지나가는 통로인 코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패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다수의 상기 코일이 상하로 배열되며,
    상기 코일은 서로 다른 패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은 각각, 횡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어 순서대로 연결되는 제1배관 내지 제8배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코일은,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3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3배관의 전방에 제4배관 및 제5배관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4배관은 상기 제2배관과 제3배관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배관 및 제5배관의 전방에 제6배관, 제7배관 및 제8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6배관은 상기 제5배관보다 상부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코일은,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3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3배관의 전방에 제4배관, 제5배관 및 제6배관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4배관은 상기 제3배관보다 하부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배관, 제5배관 및 제6배관의 전방에 제7배관 및 제8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7배관은 상기 제5배관과 제6배관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코일은,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 및 제2배관의 전방에 제3배관, 제4배관 및 제5배관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3배관은 상기 제2배관보다 하부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배관, 제4배관 및 제5배관의 전방에 제6배관, 제7배관 및 제8배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6배관은 상기 제4배관과 제5배관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상기 제1배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고, 각각의 상기 제8배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냉매가 배출되며,
    상기 제1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배출구는 상기 열교환기의 최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유입구는 상기 열교환기의 최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유입구와 상기 제2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배출구는 상기 제1열교환부와 제2열교환부가 상호 마주보는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열교환부와 제2열교환부는 서로 다른 패턴 형상의 코일이 대면하도록 상기 코일이 상하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1825U 2013-03-12 2013-03-12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KR200469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25U KR200469079Y1 (ko) 2013-03-12 2013-03-12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25U KR200469079Y1 (ko) 2013-03-12 2013-03-12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079Y1 true KR200469079Y1 (ko) 2013-09-17

Family

ID=5139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825U KR200469079Y1 (ko) 2013-03-12 2013-03-12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07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704B1 (ko) * 1996-09-23 1999-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2005225329A (ja) * 2004-02-12 2005-08-25 Calsonic Kansei Corp 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704B1 (ko) * 1996-09-23 1999-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2005225329A (ja) * 2004-02-12 2005-08-25 Calsonic Kansei Corp 空気調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9000B1 (en) Refrigeration cycle of refrigerator
JP2009264729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CN102200365A (zh) 冰箱
JP6420686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WO2013051166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5847198B2 (ja) 冷蔵庫
JP5424310B2 (ja) 凝縮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1158250A (ja)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搭載した冷凍冷蔵庫
KR20230035103A (ko) 증발기, 이의 제어 방법 및 냉장 진열장
JP3145551U (ja) 空調装置
KR20110106545A (ko) 냉동차량용 평관식 증발기
JP5447438B2 (ja) 冷蔵庫
KR200469079Y1 (ko) 냉방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CN104823010A (zh) 冷藏库
TWI646293B (zh) Heat exchanger and freezer for refrigeration unit
JP6157729B2 (ja) ユニットクーラ
KR101890826B1 (ko) 실외열교환기
KR102035521B1 (ko) 냉매의 균등분배가 가능한 냉동용 증발기
JP4762266B2 (ja)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搭載した冷凍冷蔵庫
TWI794745B (zh) 冷卻裝置
KR20200061222A (ko) 제빙기용 응축기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
CN1719144B (zh) 空调器的室外机的排水结冰防止装置
KR20020038005A (ko) 증발기의 전열핀
JP2012013269A (ja) 熱交換器、その熱交換器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並びに、その冷凍サイクル装置を用いた空気調和機及び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2009270787A (ja) 熱交換器、冷蔵庫及び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