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895Y1 -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95Y1
KR200468895Y1 KR2020110004473U KR20110004473U KR200468895Y1 KR 200468895 Y1 KR200468895 Y1 KR 200468895Y1 KR 2020110004473 U KR2020110004473 U KR 2020110004473U KR 20110004473 U KR20110004473 U KR 20110004473U KR 200468895 Y1 KR200468895 Y1 KR 200468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tilting
elastic member
sliding
fix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249U (ko
Inventor
이오수
김이화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10004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9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2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회동공간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축가이드홈이 길이방향에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 상부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를 갖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회동공간부 내에 일정반경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기어부가 형성된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틸팅부관통공에 구비된 틸팅부고정축과, 틸팅부고정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판과, 상기 회동체의 틸팅을 제한하는 고정판과,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치합부가 형성된 치합탄성부재를 갖는 틸팅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후 상기 틸팅수단과 연동하여 틸팅되는 뚜껑;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뚜껑을 일정범위 이상 밀어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 후 틸팅수단과 연동하여 틸팅되어 뚜껑에 구비된 거울을 원하는 회동각도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콤팩트 용기{COMPACT CONTAINER}
본 고안은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 상부에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용기본체의 일측에 틸팅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뚜껑이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후 틸팅수단과 연동하여 틸팅되어 뚜껑에 구비된 거울을 원하는 각도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용기는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와 용기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보호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콤팩트 용기는, 뚜껑이 용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콤팩트 용기와, 뚜껑이 용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힌지에 의한 축 결합에 의해 틸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틸팅가능한 콤팩트 용기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가능한 콤팩트 용기는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슬라이딩시켜 개방하고, 사용완료 후에는 뚜껑을 슬라이딩시켜 닫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콤팩트 용기는, 용기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뚜껑을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내에서 끝까지 밀어야 하고, 사용을 마친 후 뚜껑을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내에서 끝까지 밀어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콤팩트 용기의 뚜껑은 용기와 수평을 이루며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울을 사용하고자 할 때 거울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틸팅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틸팅가능한 콤팩트 용기는 용기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할 때는 뚜껑을 틸팅시켜 개방하고, 사용완료 후에는 뚜껑을 회동시켜 닫게 된다. 상기 틸팅가능한 콤팩트 용기의 거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틸팅시켜 개방한 후 뚜껑 내측에 구비된 거울을 사용하여 화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틸팅가능한 콤팩트 용기의 뚜껑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울을 사용하고자 할 때 거울을 원하는 각도에 임의로 위치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 상부에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용기본체의 일측에 틸팅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뚜껑이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후 틸팅수단과 연동하여 틸팅되어 뚜껑에 구비된 거울을 원하는 각도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회동공간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축가이드홈이 길이방향에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 상부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를 갖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회동공간부 내에 일정반경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기어부가 형성된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틸팅부관통공에 구비된 틸팅부고정축과, 틸팅부고정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판과, 상기 회동체의 틸팅을 제한하는 고정판과,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치합부가 형성된 치합탄성부재를 갖는 틸팅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후 상기 틸팅수단과 연동하여 틸팅되는 뚜껑; 을 포함하는 콤팩트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일측으로 상기 틸팅부고정축에 가이드되는 축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틸팅부고정축에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뚜껑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고정축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를 갖는 엑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 각각의 일측면에 스프링을 내재하여 구비되는 원통형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바; 를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가 서로 대면되게 구비되며,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오픈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고정축이 상기 틸팅부고정축의 수평선 이상으로 밀려짐과 동시에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생성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이 발휘되어 뚜껑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시 원위치로 닫음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고정축이 상기 틸팅부고정축의 수평선 이하로 밀려옴과 동시에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생성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이 발휘되어 뚜껑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팅수단은 하부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뚜껑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회동체; 상기 회동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틸팅부관통공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수단과 결합되는 틸팅부고정축; 상기 회동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부고정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의 제동면과 접하여 일정 회동범위내에서 상기 회동체의 틸팅을 제한하는 고정판; 및 상기 회동공간부에 구비되며, 평판형을 이루어 일측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만곡된 형상을 이루되, 끝부분에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치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체가 원하는 회동각도로 틸팅되게 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에 구비되는 거울; 상기 함몰부의 평면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관통공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수단과 결합되는 슬라이딩부고정축; 및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상기 뚜껑이 슬라이딩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내부에 틸팅수단을 설치하고, 용기본체 상부에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콤팩트 용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뚜껑을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틸팅수단과 연동하여 틸팅되게 하는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슬라이딩수단에 의하여 뚜껑을 일정범위 이상 밀어주는 것만으로 미는 힘이 발생하여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되고, 개방된 뚜껑을 일정범위 이하 밀어주는 것만으로 미는 힘이 발생하여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어 폐쇄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의 내부에 틸팅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뚜껑을 회동시켜 틸팅할 때 뚜껑을 원하는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뚜껑을 개폐시 슬라이딩수단에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캡핑감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엑츄에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7은 도1의 'A - A'선 단면도.
도8은 도1의 'B - B'선 단면도.
도9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100)는 일측에 회동공간부(113)가 구비된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수단(120)과, 회동공간부(112)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틸팅수단(130)과, 슬라이딩수단(120)의 상부에 구비되고, 슬라이딩수단(12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후 틸팅수단(130)과 연동하여 틸팅되는 뚜껑(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본체(110)에는, 도1 내지 도5 및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부(111)가 형성되고, 수납부(111)가 형성된 타측으로 틸팅수단(130)이 설치되는 회동공간부(113)가 형성된다. 용기본체(110)에는 화장품 내용물뿐만 아니라 화장도구 등이 수납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수단(120)은, 도2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판(121)과, 가이드판(1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판(121)은 일측으로 틸팅부고정축(133)이 끼워져 가이드되는 축가이드홈(121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뚜껑(140)에 끼움 결합되도록 후크가 양측으로 각각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엑츄에이터(123)는 제1탄성부재(123a)와 제2탄성부재(123b)가 서로 대면되게 위치하여 가이드판(121)의 상부에 구비된다. 엑츄에이터(123)는 제1탄성부재(123a)와 제2탄성부재(123b) 각각의 일측면에 스프링(123e)을 내재하여 구비되는 하우징(123c)과, 하우징(123c)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바(12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엑츄에이터(123)는, 제1탄성부재(123a)와 제2탄성부재(123b)의 일측면에 각각 스프링(123e)을 내재하는 하우징(123c)과, 하우징(123c)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바(123d)가 적어도 1개 이상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엑츄에이터(123)는, 도6에서 스프링(123e)을 내재하는 하우징(123c)과, 하우징(123c)에 삽입되는 삽입바(123d)가 1개씩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도2 내지 도6에서는 각각 2개씩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탄성부재(123a)와 제2탄성부재(123b)의 일측면에는 각각 슬라이딩부고정홈(123a-1)과 틸팅부고정홈(123b-1)이 형성되고, 틸팅수단(130)에 구비되는 틸팅부고정축(133)과 뚜껑(14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고정축(143)이 각각 슬라이딩부고정홈(123a-1)과 틸팅부고정홈(123b-1)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딩수단(120)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수단(120)에 의해 뚜껑(140)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폐쇄된 상태의 뚜껑(140)을 손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방한다.
이 과정에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123a)에 끼워진 슬라이딩부고정축(143)이 제2탄성부재(123b)에 끼워진 틸팅부고정축(133)의 수평선 이상으로 밀려짐과 동시에 뚜껑(140)은 제1탄성부재(123a)와 제2탄성부재(123b)가 압축되어 생성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이 발휘되어 뚜껑(140)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일정범위까지 자동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140)을 개방하여 수납부(111)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는 개방된 뚜껑(140)을 손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켜 폐쇄한다.
이 과정에서, 제1탄성부재(123a)에 끼워진 슬라이딩부고정축(143)이 제2탄성부재(123b)에 끼워진 틸팅부고정축(133)의 수평선 이하로 밀려짐과 동시에 뚜껑(140)은 제1탄성부재(123a)와 제2탄성부재(123b)가 압축되어 생성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이 발휘되어 뚜껑(140)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일정범위까지 자동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시 폐쇄되는 것이다.
이러한, 엑츄에이터(123)를 구성하는 제1탄성부재(123a)와 제2탄성부재(123b)는 서로 대면되게 위치하여 구비되므로, 제1탄성부재(123a)와 제2탄성부재(123b)는 서로 반대되게 위치하여도 슬라이딩수단(120)이 작동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틸팅수단(130)은, 도2 및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공간부(113)에 설치되는 회동체(131)와, 회동체(131)의 상부로 구비되는 틸팅부고정축(133)과, 회동체(131)의 하부로 구비되는 마감판(135)과, 마감판(135)의 하부로 구비되는 고정판(137)과, 회동공간부(113) 내부에 구비되는 치합탄성부재(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체(131)에는 상부에 뚜껑(14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31a)가 형성된다. 회동체(131)의 하부로는 기어부(131c)가 형성된다. 회동체(131)는 일측에 힌지부(131d)를 형성하고, 축(121d-2)과 결합하여 회동가능하게 회동공간부(113)에 설치된다. 회동체(131)의 힌지부(131d) 일단면에는 회동체(131)의 틸팅을 제한하도록 일정한 각도를 갖는 제동면(131d-1)이 형성된다.
틸팅부고정축(133)은 회동체(131)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된 틸팅부관통공(131b)에 구비된다.
마감판(135)은 틸팅부관통공(131b)에 구비된 틸팅부고정축(133)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동체(131)의 하부에 결합된다.
고정판(137)은 힌지부(131d)의 일단면에 형성된 제동면(131d-1)이 고정판(137)의 하부에 맞닿아 회동체(131)의 틸팅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회동공간부(113) 일측에 설치된다.
치합탄성부재(139)는 평판형을 이루어 일측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만곡된 형상을 이루되, 끝부분에 기어부(131c)와 치합되는 치합부(139a)가 형성된다. 치합탄성부재(139)는 기어부(131c)와 치합되어 회동체(131)가 원하는 회동각도로 틸팅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회동공간부(113)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수단(130)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축(121d-2) 결합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체(131)를 틸팅시킨다.
이 과정에서, 축(121d-2)을 중심으로 회동된 회동체(131)는 기어부(131c)에 치합된 치합부(139a)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어부(131c)와 치합부(139a)가 치합되는 범위내에서 회동체(131)를 틸팅시켜 원하는 회동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뚜껑(140)은, 도1 내지 도5 및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뚜껑(140)의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140c)에 구비되는 거울(141) 및 함몰부(140c)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부관통공(140b)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고정축(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뚜껑(140)에는 내측면으로 회동체(13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1a)가 끼워져 뚜껑(140)이 슬라이딩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홈(140a)이 형성된다. 뚜껑(140)은 가이드홈(140a)에 가이드돌기(131a)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뚜껑(140)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은 물론, 틸팅수단(130)이 틸팅되는 것과 연동하여 틸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콤팩트 용기(100)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콤팩트 용기(100)를 한 손으로 파지한 후,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폐쇄된 상태의 뚜껑(140)을 밀어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뚜껑(140)은 가이드돌기(131a)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정범위 이상 밀려짐과 동시에 엑츄에이터(123)에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방된다.
다음, 뚜껑(140)에 구비된 거울(141)을 사용하기 위해 개방된 상태의 뚜껑(140)을 틸팅시킨다.
이때, 뚜껑(140)은 회동체(13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1a)가 뚜껑(140)에 형성된 가이드홈(140a)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틸팅수단(130)과 연동하여 틸팅수단(130)에 의해 틸팅되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140)을 틸팅시켜 뚜껑(140)의 상부에 구비된 거울(141)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고정시켜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뚜껑(140)은 회동공간부(113) 내부에 구비된 치합탄성부재(139)에 의해 기어부(131c)와 치합부(139a)가 치합되는 범위내에서 뚜껑(140)을 원하는 회동각도만큼 틸팅시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사용을 마친 콤팩트 용기(100)는 틸팅된 상태의 뚜껑(140)을 회동시켜 용기본체(110)와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시킨 후 뚜껑(140)을 슬라이딩시켜 닫는다.
이 과정에서, 뚜껑(140)은 틸팅수단(130)에 의해 용기본체(110)와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뚜껑은 가이드돌기(131a)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정범위 이하 밀려짐과 동시에 엑츄에이터(123)에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시 폐쇄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고안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콤팩트 용기 110 : 용기본체
111 : 수납부 113 : 회동공간부
120 : 슬라이딩수단 121 : 가이드판
121a : 축가이드홈 123 : 엑츄에이터
123a : 제1탄성부재 123b : 제2탄성부재
123c : 하우징 123d : 삽입바
123e : 스프링 130 : 틸팅수단
131 : 회동체 131a : 가이드돌기
131b : 틸팅부관통공 131c : 기어부
131d : 힌지부 131d-1 : 제동면
133 : 틸팅부고정축 135 : 마감판
137 : 고정판 139 : 치합탄성부재
140 : 뚜껑 140a : 가이드홈
140b : 슬라이딩부관통공 141 : 거울
143 : 슬라이딩부고정축

Claims (5)

  1.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회동공간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축가이드홈이 길이방향에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 상부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를 갖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회동공간부 내에 일정반경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기어부가 형성된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틸팅부관통공에 구비된 틸팅부고정축과, 틸팅부고정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판과, 상기 회동체의 틸팅을 제한하는 고정판과,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치합부가 형성된 치합탄성부재를 갖는 틸팅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후 상기 틸팅수단과 연동하여 틸팅되는 뚜껑; 을 포함하는 콤팩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일측으로 상기 틸팅부고정축에 가이드되는 축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틸팅부고정축에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뚜껑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고정축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를 갖는 엑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 각각의 일측면에 스프링을 내재하여 구비되는 원통형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바; 를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가 서로 대면되게 구비되며,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오픈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고정축이 상기 틸팅부고정축의 수평선 이상으로 밀려짐과 동시에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생성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이 발휘되어 뚜껑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시 원위치로 닫음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고정축이 상기 틸팅부고정축의 수평선 이하로 밀려옴과 동시에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생성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이 발휘되어 뚜껑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하부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뚜껑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회동체;
    상기 회동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틸팅부관통공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수단과 결합되는 틸팅부고정축;
    상기 회동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부고정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의 제동면과 접하여 일정 회동범위내에서 상기 회동체의 틸팅을 제한하는 고정판; 및
    상기 회동공간부에 구비되며, 평판형을 이루어 일측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만곡된 형상을 이루되, 끝부분에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치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체가 원하는 회동각도로 틸팅되게 하는 치합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에 구비되는 거울;
    상기 함몰부의 평면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관통공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수단과 결합되는 슬라이딩부고정축; 및
    상기 뚜껑의 내부 양측면에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상기 뚜껑이 슬라이딩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KR2020110004473U 2011-05-23 2011-05-23 콤팩트 용기 KR200468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73U KR200468895Y1 (ko) 2011-05-23 2011-05-23 콤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73U KR200468895Y1 (ko) 2011-05-23 2011-05-23 콤팩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49U KR20120008249U (ko) 2012-12-03
KR200468895Y1 true KR200468895Y1 (ko) 2013-09-10

Family

ID=4751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473U KR200468895Y1 (ko) 2011-05-23 2011-05-23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9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084Y1 (ko) 2007-03-13 2008-03-19 (주)연우 거울 인출식 컴팩트 용기
KR200452234Y1 (ko) 2009-01-06 2011-02-16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KR200456827Y1 (ko) 2009-02-27 2011-11-24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084Y1 (ko) 2007-03-13 2008-03-19 (주)연우 거울 인출식 컴팩트 용기
KR200452234Y1 (ko) 2009-01-06 2011-02-16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KR200456827Y1 (ko) 2009-02-27 2011-11-24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49U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4162B2 (en) Stay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KR100657558B1 (ko) 화장품 용기
JP7216938B2 (ja) スライド式化粧料容器
US10092079B2 (en) Liquid cosmetics case
KR101058055B1 (ko) 화장품 용기
JP2005106278A (ja) 回転支持機構および携帯端末
EP148041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with hinge mechanism
KR100860288B1 (ko) 화장품 용기
JP4904222B2 (ja) 扉開閉機構及び冷蔵庫
KR200466011Y1 (ko) 콤팩트 용기
KR200456827Y1 (ko) 콤팩트 케이스
KR200468895Y1 (ko) 콤팩트 용기
WO2013094455A1 (ja) 化粧料容器
KR200466892Y1 (ko) 콤팩트 용기
KR101478294B1 (ko) 화장품 용기
KR102504926B1 (ko) 화장품 케이스
CN209921946U (zh) 枢纽器与使用其的置物盒
JP2005192709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200005140A (ko) 이중 수납형 화장품 수납용기
JP5210689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KR100610373B1 (ko)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90107315A (ko) 화장품 컴팩트 용기
JP5420446B2 (ja) 鏡付きコンパクト容器
KR20200005141A (ko) 수평회전 틸트 개방형 화장품 수납 용기
CN110382291A (zh) 包含枢转物体钩的辅助拉手组装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