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663Y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663Y1
KR200468663Y1 KR2020080017393U KR20080017393U KR200468663Y1 KR 200468663 Y1 KR200468663 Y1 KR 200468663Y1 KR 2020080017393 U KR2020080017393 U KR 2020080017393U KR 20080017393 U KR20080017393 U KR 20080017393U KR 200468663 Y1 KR200468663 Y1 KR 200468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housing
elastic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006U (ko
Inventor
허현호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7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66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0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6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제 1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과 맞물리어 체결 가능한 커넥터 제 2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제 2 하우징의 각각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 및 커넥터 제 2 하우징의 체결에 의하여 전기적 소통 가능한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커넥터 제 2 케이블을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블;을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 제 1 케이블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상기 커넥터 터미널 소켓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 제 2 케이블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터미널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터미널 소켓에는 상기 커넥터 터미널의 관통 삽입을 허용하는 터미널 장착구와, 상기 터미널 장착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터미널 탄성 관통구와, 상기 터미널 장착구와 상기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터미널 탄성립을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DEVICE}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형 및 수형 커넥터를 연결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구조의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인트 커넥터,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조인트 커넥터는 두 개 혹은 복수 개의 전기적 장치 들간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하여, 전기적 장치 들간의 접속을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구비하되, 수형 커넥터가 암형 커넥터에 삽입되어 통전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수형 커넥터는 핀 타입 단자로 구성되고, 암형 커넥터는 핀 타입의 수형 커넥터를 수용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암형 커넥터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를 밴딩 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암형 터미널을 구비하되, 암형 터미널의 일단은 케이블 와이어(도선)을 압착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암형 커넥터에 수용되고 조인트 바아(joint bar) 등에 의하여 암형 커넥터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암형 커넥터/수형 커넥터 삽탈 장착 구조는 조립 공정의 복잡화 및 구성요소의 증대로 인하여 생산 원가가 상당히 높아지는 문제점이 수반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구조를 단순화시킨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커넥터 제 1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과 맞물리어 체결 가능한 커넥터 제 2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제 2 하우징의 각각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 및 커넥터 제 2 하우징의 체결에 의하여 전기적 소통 가능한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커넥터 제 2 케이블을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블;을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 제 1 케이블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 제 2 케이블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터미널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터미널 소켓에는 상기 커넥터 터미널의 관통 삽입을 허용하는 터미널 장착구와, 상기 터미널 장착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터미널 탄성 관통구와, 상기 터미널 장착구와 상기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터미널 탄성립을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구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각의 터미널 장착구에 대하여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가 구비되되, 상기 터미널 장착구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종방향 길이는 상기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종방향 길이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구는: 상기 커넥터 터미널이 관통 삽입되어 접촉하는 터미널 접촉부와, 상기 터미널 접촉부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탄성립의 탄성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탄성립 강화부를 구비하되,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횡방향에 대하여, 상기 탄성립 강화부의 최대 너비는 상기 터미널 접촉부의 최대 너비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구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탄성립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은,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종방향에 대하여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중심을 향할수록 서로 근접하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구 및 상기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상기 터미널 탄성립을 형성하는 면이 모두 호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상기 터미널 탄성립을 형성하는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상기 터미널 탄성립을 형성하는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와는 달리 커넥터 터미널을 커넥터 터미널 소켓 상에 간단하게 삽탈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인트 커넥터의 생산 공정 및 조립 공정을 대폭 감소 내지 간소화시켜 제품수 감소에 따른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터미널 접촉부 및 탄성립 강화부를 갖는 터미널 장착구의 구성을 취하여 터미널 탄성립에 제공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한 전기 소자 터미널 위치 유지력을 보다 강화함으로써, 커넥터 터미널 소켓 상의 복수 개의 터미널 장착구가 컴팩트한 배치를 이루는 경우 터미널 탄성립 크기 감소에 따른 전기 소자 터미널에 대한 접촉력 약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에 터미널 장착구가 일체화되는 구성을 통하여 제조 공정을 최소화하여 공정 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100)과 커넥터 케이블(1,2)을 구비하는데, 커넥터 케이블(1,2)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100)은 커넥터 제 1 하우징(110)과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을 구비한다.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은 암커넥터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의 각각의 단부는 커넥터 제 1 하우징 삽탈구(111) 및 커넥터 제 1 하우징 케이블 관통구(119)가 구비된다. 커넥터 제 1 하우징 삽탈구(111)는 하기되는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커넥터 제 1 하우징 케이블 관통구(119)는 하기되는 커넥터 케이블의 관통을 허용한다. 커넥터 제 1 하우징 삽탈구(111)와 커넥터 제 1 하우징 케이블 관통구(119)의 사이에는 커넥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112)이 구비되는데, 커넥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112)은 커넥터 제 1 하우징 삽탈구(111)와 커넥터 제 1 하우징 케이블 관통구(119)를 통하여 외부와 소통 가능하다. 커넥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112)에는 하기되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이 배치되는데, 커넥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112)은 커넥터 제 1 하우징 삽탈구(111)를 통하여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의 일단을 수용한다.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의 커넥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112)을 구획하는 내면에는 소켓 장착구(115)가 구비되고, 소켓 장착구(115)는 커넥터 제 1 하우 징(110)의 내측면 모두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소켓 장착구(115)에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이 삽입 배치된다.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의 내측면의 소켓 장착구(115)를 구획하는 단부는 커넥터 제 1 하우징 케이블 관통구(119)를 향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를 지지하여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이 커넥터 제 1 하우징 케이블 관통구(119)를 향하여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소켓 장착구(115)의 인근으로 커넥터 제 1 하우징 삽탈구(111)를 향한 측에 소켓 걸림 돌기(117)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소켓 걸림 돌기(117)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에 커넥터 제 1 하우징 삽탈구(111)를 향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이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으로부터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은 커넥터 제 1 하우징(110)과 맞물리어 체결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즉,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의 일단에는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커넥터 케이블(1)로부터의 전기적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커넥터 케이블(2)이 배치되고,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의 일단에는 커넥터 제 2 하우징 삽입부(121)가 구비되는데, 커넥터 제 2 하우징 삽입부(121)는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의 커넥터 제 1 하우징 삽탈구(111)를 통하여 커넥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112)으로 수용된다.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의 커넥터 제 2 하우징 삽입부(121)의 외측면에는 하우징 장착 돌기(123)가 구비되고,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에 하우징 장착 돌기(12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하우징 장착 홈(113, 도 3 참조)이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 제 1 및 제 2 하우 징(110,120)이 서로 맞물리는 경우,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의 커넥터 제 2 하우징 삽입부(121)는 커넥터 제 1 하우징 삽탈구(111)를 통하여 커넥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112)으로 삽입 수용되는데, 하우징 장착 돌기(123)는 하우징 장착 홈(113)과 맞물리어 체결됨으로써 커넥터 제 1 하우징(110)과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이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 케이블(1,2)은 커넥터 제 1 케이블(1)과 커넥터 제 2 케이블(2)을 구비하는데, 커넥터 제 1 케이블(1)의 일단은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의 커넥터 제 1 하우징 케이블 관통구(119)를 통하여 커넥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112)으로 삽입 배치되고, 커넥터 제 2 케이블(2)의 일단은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의 커넥터 제 2 하우징 케이블 관통구(미도시)를 통하여 커넥터 제 2 하우징 내부 공간(미도시)으로 삽입 배치된다. 커넥터 제 1 케이블(1)과 커넥터 제 2 케이블(2)은 서로 전기적 소통 가능하고, 커넥터 제 1 케이블(1) 및 커넥터 제 2 케이블(2)의 각각의 타단은 각각의 전기 요소 내지 전자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제 1 케이블(1)과 커넥터 제 2 케이블(2)은 각각 복수 개의 도선으로 형성된 플랫 케이블(flat cable)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예일뿐 케이블의 형상 및 특성은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은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과 커넥터 터미널(130)을 구비한다.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은 커넥터 제 1 하우징(110)의 커넥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112)에 배치되고 커넥터 터미널(130)은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의 일단에 배치된다.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은 커넥터 제 1 케이블(1)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커넥터 터미널(13)은 커넥터 제 2 케이블(2)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커넥터 제 1 케이블(1)의 단부(3)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의 도전 단자(4, 도 6 참조)에 접속되어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마찬가지로 커넥터 제 2 케이블(2)의 단부(미도시)는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에 장착되는 커넥터 터미널(130)과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과 커넥터 터미널(130)은 커넥터 제 1 하우징(110) 및 커넥터 제 2 하우징(120)이 서로 체결됨에 따라 통전되어 전기 소자 내지 전자 장치(미도시)들 간의 전기적 소통이 이루어진다.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은 구리(Cu) 등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에는 터미널 장착구(210)와,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와, 그리고 터미널 탄성립(230)이 구비된다. 도 4에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평면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미널 장착구(210)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본 고안의 조인트 커넥터(10)는 단일의 터미널 장착구(210)를 구비하는 경우도 포함함은 명백하다. 터미널 장착구(210)는 커넥터 터미널(130)의 관통 삽입을 허용하는데, 커넥터 터미널(130)과 터미널 장착구(210)의 삽입 결합에 의하여 커넥터 터미널(130)은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터미널 장착구(210)는 펀칭(punching) 및/또는 드릴링(drilling)과 같은 기계적 가공을 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커넥터 터미 널(130)과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의 접촉에 의한 마모 내지 스파크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미널 장착구(210)의 내측면은 내구성이 있는 별도의 도전막이 부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는 터미널 장착구(21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는 터미널 장착구(210)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터미널 탄성 관통구 및 터미널 장착구의 종방향은 각각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x-y-z 좌표축의 z축에 평행한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하는데, 이는 커넥터 터미널(130)의 단면에 대한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와 터미널 장착구(21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와 터미널 장착구(210)의 사이에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의 기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터미널 탄성립(230)이 구비된다. 여기서, 터미널 탄성 관통구 및 터미널 탄성립은 각각의 터미널 장착구에 대하여 한 쌍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각각의 터미널 장착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커넥터 터미널의 접속력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각각의 터미널 장착구에 대하여 단일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터미널 탄성립(230)의 외측면을 이루는 선 A1-A1은 터미널 장착구(210)의 중심을 관통하는 선 O-O로부터 dA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터미널 탄성립(230)을 사이에 두고 터미널 장착구(210)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터미널 탄성 관통구(230)는 중심선 O'-O'이 선 O-O로부터 dO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터미널 탄성립(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 평면 상 단면의 종횡비(aspect ratio)가 1 미만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종횡비는 (터미널 탄성립의 x축 방향 단면 길이)/(터미널 탄성립의 y축 방향 단면 길이)로 정의된다. 터미널 탄성립(230)의 x-y 평면상 단면에 대한 종횡비가 1 미만의 값을 가짐으로써, 터미널 탄성립(230)의 x축 방향 이동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하기되는 커넥터 터미널의 터미널 장착구(210)로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제 1 하우징과 커넥터 제 2 하우징이 맞물리어 삽입 체결되는 경우, 커넥터 터미널(130)은 터미널 장착구(210)에 삽입 배치된다. 커넥터 터미널(130)의 너비는 터미널 장착구(210)의 너비보다 큰 값을 가지는데, 터미널 장착구(210)로 커넥터 터미널(130)의 진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커넥터 터미널(1300의 단부가 모따기 가공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터미널 장착구의 진입구 부분이 모따기 가공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커넥터 제 2 하우징(120) 측에 지속적인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커넥터 터미널(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장착구(210)로 완전하게 삽입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미널 탄성립(230)은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 측으로 이동하여 터미널 탄성립(230)의 외면으로 터미널 장착구(210)의 내면을 이루는 부분의 선 A'1-A'1과 터미널 장착구(210)의 중심을 이루는 선 O-O 사이의 거리가 d'A로 변동되고,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의 중심선 O'-O'과 선 O-O 사이의 거리는 d'O로 변동된다. 커넥터 터미널(130)의 완전 삽입에 의하여 터미널 탄성립(230)이 중심선 O-O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터미널 장착구의 너비는 증대되고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너비는 감소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터미널(130)이 터미널 장착구(210)에 삽입되고 위치 변동을 이룸으로써 터미널 탄성립(230)이 변형되는데, 커넥터 터미널(13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터미널 탄성립(230)으로 전달된 외력은 터미널 탄성립(230)이 소성 변형에 달하지 않는 탄성 변형 범위에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 복원력으로 터미널 탄성립(230)에 축적된다. 따라서, 터미널 탄성립(2300의 탄성 변형은 터미널 장착구(210)를 향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터미널 탄성립(230)의 외면과 커넥터 터미널(130)의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 터미널 탄성립(230), 보다 구체적으로 터미널 탄성립(230)과 커넥터 터미널(130)의 접촉면에 대하여 발생하는 터미널 탄성립(2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마찰력보다 큰 값의 외력이 커넥터 터미널(130)에 작용하여 커넥터 터미널(130)을 터미널 장착구(210)로부터 인출하지 않는 이상 커넥터 터미널(210)이 터미널 장착구(230)로부터 원치 않게 위치 이동 내지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커넥터 터미널(130)과 터미널 장착구(210)를 통한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 간의 전기적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터미널(130)과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의 터미널 장착구(210)는 조인트 커넥터의 조립성을 개선시키되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터미널 탄성 관통구는 터미널 장착구에 대하여 한 쌍씩 구비된다. 즉,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는 터미널 장착구(210)에 대하여 한 쌍씩 구비되어 커넥터 터미널 소켓(20))에 배치되는데, 터미널 장착구(210)는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 사이에 배칭됨으로써 터미널 장착구(210)와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 사이에 각각의 터미널 탄성립(23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 장착구(210)에 대하여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 및 터미널 탄성립(230)이 배치됨으로써, 커넥터 터미널(130)의 터미널 장착구(310)로의 삽입시 단일의 터미널 탄성립의 하중 집중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커넥터 터미널(130)이 터미널 관통구(210)로 수회 반복적으로 삽탈되더라도 이에 따른 피로(fatigue)로 인한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인트 커넥터는 커넥터 터미널과 터미널 장착구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조인트 커넥터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평면도가 도시되는데,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a)는 터미널 장착구(210a)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되고,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a)의 종방향 길이(l2)는 터미널 장착구(210a)의 종방향 길이(l1)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커넥터 터미널(130, 도 2 참조)과 터미널 장착구(210a) 간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접속 불량 우려를 제거 내지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장착구(210a)는 터미널 접촉부(211a)와, 탄성립 강화부(213a)를 포함한다. 터미널 접촉부(211a)는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a) 사이로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a)의 종방향 길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터미널 접촉부(211a)의 단부에 탄성립 강화부(213a)가 구비된다. 터미널 장착구(210a)의 종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즉 터미널 장착구(210a)의 횡방향에 대하여 탄성립 강화부(213a)의 최대 너비는 d1으로 지시되고, 터미널 접촉부(211a)의 최대 너비는 d2로 지시되는데, 탄성립 강화부(213a)의 최대 너비(d1)는 터미널 접촉부(211a)의 최대 너비(d2)보다 큰 값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터미널 탄성립(220a)에 보다 큰 탄성 복원력이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 터미널(130, 도 2 참조)과의 접촉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터미널 탄성립에 의하여 구획되는 터미널 장착구와 커넥터 터미널 간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 도 2 참조)에 터미널 장착구(210b)가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b) 사이에 배치되는데, 터미널 장착구(210b)의 길이(l6)는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b)의 길이(l5)보다 길다. 터미널 장착구(210b)는 터미널 접촉부(211b)와 탄성립 강화부(213b)를 구비하는데, 터미널 장착구(210b)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 즉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터미널 탄성립(230b)의 서로 마주하는 면은 터미널 장착구(210b)의 종방향 상에서 터미널 장착구(210b)의 중심을 향할수록 서로 근접하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는데, 호상(弧狀)을 이루는 면의 곡률 중심은 터미널 장착구(210b)를 멀리하는 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터미널 탄성립(230b)이 커넥터 터미널(130, 도 2 참조)과 접촉하여 탄성 변형을 이루어 위치 이동하더라도, 커넥터 터미널(130)의 외면과의 접촉 면적으로 보다 증대시켜 양자 간의 마찰로 인해 터미널 장착구의 내측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터 미널 탄성립(230b)의 외면, 즉 터미널 장착구(210b)와 커넥터 터미널(130)과의 전기적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장착구의 내면이 호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터미널 탄성립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를 구획하는 면도 호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더 취하고, 터미널 탄성립의 터미널 장착구를 형성하는 면의 곡률 반경(R6)은 터미널 탄성립(230b)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b)를 형성하는 면의 곡률 반경(R5)보다 큰 값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터미널 탄성립(230b)의 탄성립 지지부(231b)가 터미널 장착구(210b) 및/또는 터미널 탄성 관통구(220b)의 단부를 향할수록 보다 넓은 두께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터미널 탄성립(230b)을 보다 안정적으로 커넥터 터미널 소켓(200) 상에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단일의 터미널 장착구와 이에 대응하는 단일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단일의 터미널 탄성립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커넥터 터미널과 커넥터 터미널 소켓 사이의 접촉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터미널 장착구의 내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 터미널 소켓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분할 구조로 형성되어 각각의 커넥터 터미널 소켓이 소정의 개별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등, 커넥터 터미널 소켓에 터미널 장착구와 터미널 탄성 관통구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터미널 탄성립을 구비하고, 터미널 장착구와 커넥 터 터미널과의 접촉에 의하여 전달되는 외력에 의하여 터미널 탄성 관통구로의 탄성 변형을 이루고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하여 전기 소자 터미널을 소자 터미널 관통구에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터미널 탄성립을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x-y평면 상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터미널 장착구, 터미널 탄성 관통구 및 터미널 탄성립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예에 따른 터미널 장착구, 터미널 탄성 관통구 및 터미널 탄성립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예에 따른 터미널 장착구, 터미널 탄성 관통구 및 터미널 탄성립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조인트 커넥터 100...커넥터 하우징
110...커넥터 제 1 하우징 120...커넥터 제 2 하우징
130...커넥터 터미널 200...커넥터 터미널 소켓
210...터미널 장착구 220...터미널 탄성 관통구
230...터미널 탄성립

Claims (6)

  1. 커넥터 제 1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과 맞물리어 체결 가능한 커넥터 제 2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제 2 하우징의 각각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 및 커넥터 제 2 하우징의 체결에 의하여 전기적 소통 가능한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커넥터 제 2 케이블을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블;을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 제 1 케이블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터미널 소켓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 제 2 케이블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터미널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터미널 소켓에는 상기 커넥터 터미널의 관통 삽입을 허용하는 터미널 장착구와, 상기 터미널 장착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터미널 탄성 관통구와, 상기 터미널 장착구와 상기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터미널 탄성립을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 장착구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터미널 장착구에 대하여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가 구비되되, 상기 터미널 장착구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종방향 길이는 상기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종방향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구는:
    상기 커넥터 터미널이 관통 삽입되어 접촉하는 터미널 접촉부와,
    상기 터미널 접촉부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탄성립의 탄성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탄성립 강화부를 구비하되,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횡방향에 대하여, 상기 탄성립 강화부의 최대 너비는 상기 터미널 접촉부의 최대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구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 탄성 관통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탄성립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은,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종방향에 대하여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중심을 향할수록 서로 근접하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착구 및 상기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상기 터미널 탄성립을 형성하는 면이 모두 호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터미널 장착구의 상기 터미널 탄성립을 형성하는 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터미널 탄성 관통구의 상기 터미널 탄성립을 형성하는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KR2020080017393U 2008-12-30 2008-12-30 조인트 커넥터 KR200468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393U KR200468663Y1 (ko) 2008-12-30 2008-12-30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393U KR200468663Y1 (ko) 2008-12-30 2008-12-30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06U KR20100007006U (ko) 2010-07-08
KR200468663Y1 true KR200468663Y1 (ko) 2013-08-27

Family

ID=4445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393U KR200468663Y1 (ko) 2008-12-30 2008-12-30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66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983U (ja) * 1992-03-16 1993-10-15 松下電工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
JPH08236209A (ja) * 1994-12-14 1996-09-13 Molex Inc プリント回路基板の電気ピンフィールド
JP2002289289A (ja) * 2001-03-28 2002-10-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
JP2003022866A (ja) 2001-07-06 2003-0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983U (ja) * 1992-03-16 1993-10-15 松下電工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
JPH08236209A (ja) * 1994-12-14 1996-09-13 Molex Inc プリント回路基板の電気ピンフィールド
JP2002289289A (ja) * 2001-03-28 2002-10-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
JP2003022866A (ja) 2001-07-06 2003-0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06U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203B1 (ko) 커넥터
KR20070057024A (ko)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US9379475B2 (en) Electric connector
US20110111648A1 (en) Board connector
US9666962B1 (en) Power terminal with compliant pin for electrical power connector
JP7210415B2 (ja) 電気コネクタ
EP2239816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60258210A1 (en) Electrical connector insert and apparatus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
US6394829B1 (en) Self-aligning electrical interconnect
US20220045446A1 (en) Harness component
KR200468663Y1 (ko) 조인트 커넥터
KR200444564Y1 (ko) 조인트 커넥터
KR100976509B1 (ko) 조인트 커넥터
CN114447664B (zh) 连接器和包括该连接器的具有电线的连接器
WO2013153788A1 (ja) コネクタ、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付ハウジング、ハウジングおよびコンタクト
JP4021397B2 (ja) 接続端子及び該接続端子を用いる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764777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597750B2 (ja) 雌型の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US20220069488A1 (en) Harness component
JP2020155383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4813977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WO2024080074A1 (ja) コネクタ、相手側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230076375A1 (en) Terminal and a Connector
JP2018190676A (ja) 端子台
JP7330051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