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526Y1 - 건강 베개 - Google Patents

건강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526Y1
KR200468526Y1 KR2020130002046U KR20130002046U KR200468526Y1 KR 200468526 Y1 KR200468526 Y1 KR 200468526Y1 KR 2020130002046 U KR2020130002046 U KR 2020130002046U KR 20130002046 U KR20130002046 U KR 20130002046U KR 200468526 Y1 KR200468526 Y1 KR 200468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lower body
hole
head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신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철 filed Critical 신영철
Priority to KR2020130002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5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강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이 베개는 상부체에 비하여 경성 재료로 성형된 하부체, 상기 하부체의 상면에 적층되며 하부체에 비하여 연성 재료로 성형된 상부체,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동시에 이용하여 형성되는 머리 지지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베개에 따르면, 사용자의 숙면 및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부드러우면서도 베개의 정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강 베개 {Healthy Pillow}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머리 형태를 고려한 지지구조를 가짐으로써 신체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별도의 지지구조가 없는 보통의 평면형 베개에서, 머리 하중은 돌출 후두부가 접촉한 베개의 한 지점에만 작용한다. 이 베개를 이용하는 경우, 장시간 수면 중에 의식 또는 무의식 중에 머리 유동이 여러 차례 발생하게 마련인데, 사용자는 이를 인식하게 되는 순간마다 또는 필요한 때마다 목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편안한 수면이 지속되기 어려우며, 이때 목 부분에 토크(torque)가 발생하여 목과 어깨에 통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보통의 평면형 베개에서, 베개의 높이는 바로 누웠을 때나 모로 누웠을 때나 동일하게 정해져 있다. 그러나 바로 누웠을 때에 비하여 모로 누웠을 때에, 경추(頸椎)가 수평이 되도록 하여 편안하고 건강한 수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어깨 높이를 고려한 만큼 베개가 높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보통 성인을 기준으로, 그 차이는 4~6cm 가량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베개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다.
우선, 공개특허 제2002-27401호에는 중간부에 머리 뒷통수 모양의 원형 홈을 형성한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측할 수 있는 바, 상기 원형 홈에 뒷통수의 일부분이 홈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머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형태는:
머리 유동을 극도로 제한하여, 수면 중 신체를 불편하게 구속하는 문제;
홈 내부로 공기순환이 불가능하여, 뒷통수에 부압(負壓)이 발생하는 문제;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다음, 공개특허 제2003-89157호 및 제2004-9977호 등에는 내부에 높이 조절장치를 설치한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베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정장치를 조작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제작상의 문제 및 그 작동 및 사용이 불편한 문제 등이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440193호에는 통풍 구멍을 구비한 쿠션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쿠션은 탄성이 있는 라텍스 또는 메모리 폼으로 단일 제작되는 베개 겸용 쿠션으로서, 중앙 부분에는 쿠션의 상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삼각형 모양의 통풍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는 사용자 뒷통수가 상기 구멍에 안착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베개 사용시 뒷통수 돌출 후두부가 쿠션에 직접 접촉 및 지지되지 않고 허공에 놓이게 됨이 따라,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지 못하며;
재료 면에서는 단지 부드러운 촉감의 쿠션재를 사용함으로써, 제작비가 많이 드는 것은 물론 베개로서 필요한 형태와 높이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베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1) 숙면 및 (경추)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며;
2) 제작비 면에서 유리할 수 있고;
3) 부드러움과 필요한 정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건강 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베개는:
상부체에 비하여 경성 재료로 성형된 하부체, 상기 하부체의 상면에 적층되며 하부체에 비하여 연성 재료로 성형된 상부체,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동시에 이용하여 형성되는 머리 지지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상부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각형 홀과, 상기 홀에 안착된 머리의 후두부 주변을 지지하게 되는 홀의 가장자리 각 변;
상기 홀의 바닥면을 제공하여, 홀에 안착된 머리의 돌출 중앙 후두부에 접촉 지지하게 되는 상기 하부체의 상측 노출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베개는 적층된 구조의 상기 하부체와 상부체를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상부체의 홀에 대응하는 개방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체의 노출면 상에는 천이나 부직포 또는 쿠션재 등 커버지가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체의 상면에는 숙면재료 또는 방향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보관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베개는 상·하 적층구조로 형성되며, 머리 지지구조는 상부체와 하부체를 동시에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지지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 머리가 상부체의 중앙 홀에 안착되는데, 이때 후두부는 하부체의 상측 노출면에 접촉 지지되며, 각 측두부는 상기 홀의 가장자리 각 변에 접촉 지지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1) 중앙 후두부 지지점을 포함하여 4 개 이상의 하중 지지점을 포함함으로써,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숙면 및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후두부의 접촉 및 지지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2) 상·하부체에 필요한 연성 또는 경성 재료를 분배 사용함으로써 베개의 부드러움과 정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3) 라텍스, 메모리폼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상부체와 달리 하부체에 대하여는 굳이 고가의 연성 재료를 적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개 제작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a, 3b는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은 도 1의 평면도, 도 3b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a, 4b는 사용자가 모로 누웠을 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a은 도 1의 평면도, 도 4b는 도 1의 B-B선 단면도.
이상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고안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베개는 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베개(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하부체(11)와 상부체(12)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며, 상기한 하부체(11)와 상부체(12)를 동시에 적절하게 이용하여 형성되는 머리 지지구조(1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체(11)는 상부체(12)에 비하여 경성(硬性) 재료로 성형되며, 당연하게 상기 상부체(12)는 하부체(11)에 비하여 연성 재료로 성형된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머리를 부드럽게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그 정형성 즉 형태나 높이 등을 유지할 수 있는 것도 역시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고안의 상기 적층 구조 및 재료 구분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체(11) 재료로서 폴리우레탄 폼을, 상기 상부체(12) 재료로서 부드러운 저탄성 라텍스(latex) 또는 메모리 폼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재료의 예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체(11)와 상부체(12)는 상호 접합되어 적층 구조체를 구성한다. 그러나 예컨대 본 고안의 상기 베개(10)는 적층된 구조의 상기 하부체(11)와 상부체(12)를 둘러싸는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굳이 접합 방식은 불필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후술하는 상부체(12)의 홀(14)에 대응하는 개방창이 형성된 것이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베개(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체(11)와 상부체(12)를 동시에 적절하게 이용하여 형성되는 특별한 형태의 머리 지지구조(13)를 갖는다. 상기 지지구조(13)는 상부체(12)의 중앙 부분에 적출하여 관통으로 형성된 각형 홀(14)과, 상기 홀(14)의 가장자리 각 변(15a,15b,15c)과, 상기 홀(14)의 바닥면을 제공하는 상기 하부체(11)의 상측 노출면(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홀(14)의 바닥면을 하부체(11)가 제공하는 한, 본 고안에서 상기 홀(14)은 편의상 상부체(12)의 중앙 부분을 단지 적출하여 관통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조(13)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는 상기 상부체(12)의 홀(14)에 안착되면서 측두부가 홀(14)의 가장자리 각 변(15a,15b,15c)에 지지되며 동시에, 후두부가 상기 하부체(11)의 상측 노출면(16)에 접촉 지지된다. 이때 사용자의 머리는 후두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4 지점에서 접촉 및 지지되므로, 수면시 사용자에게 편안감 및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체(12)의 두께(t) 및 홀(14)의 깊이는 5cm ~ 10cm 이다. 이는 머리의 하중에 의하여 상부체(12)가 압축되는 정도를 고려하면서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와 모로 누웠을 때 어깨에 의한 머리 높이의 차 약 4cm를 보상함으로써, 경추가 수평이 되도록 하여 편안하고 건강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머리의 하중에 의한 상부체(12)의 압축 정도를 고려하더라도, 베개(10)의 정형성 즉 형태와 기본적인 높이는 하부체(11)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18은 상기 하부체(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숙면재료 또는 방향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보관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체(11)의 상측 노출면(16)은 하부체(11) 재료에 따라 머리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이 없거나 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노출면(16) 상에 천이나 부직포 또는 쿠션재 등 커버지(17)를 부착함으로써 보완 가능하다. 상기 커버지(17) 등이 약간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하부체(11)와 상부체(12) 간의 상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생긴다. 그리고 상기 보관홈(18)을 커버해 줄 수 있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이 상기 홀(14)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구조(13)를 구성하는 홀(14)은 세 변(15a,15b,15c)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 홀이다. 상기 홀(14)이 삼각형 형태인 것은: 머리 접촉선이 다각형에서와 같이 불연속적인 것이 원형과 같이 연속적인 것에 비하여 훨씬 유리하며; 그 중에서도 삼각형의 경우, 인접한 각 변(15a,15b,15c)의 위치가 가장 가깝게 배치됨에 따라 수면시 머리의 유동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홀(14) 내부공간의 통기성을 보장하는데 가장 유리하기 때문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삼각형이 예각 삼각형인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그 구체적인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직각 삼각형이어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14)의 내부공간 측벽은, 단면이 동일한 형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형태는 베개(10)의 사용으로 의하여 상부체(12) 홀(14)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가능한 방지하며, 전체적으로는 상기 지지구조(13)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이익을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 후두부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머리는 상기 지지구조(13)의 4 지점에 접촉 및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돌출 중앙 후두부는 노출면(16)에, 좌상 후두부는 제1변(15a)에, 우상 후두부는 제2변(15b)에, 하부 후두부는 제3변(15c)에 각각 대응된다. 이때 삼각형 홀(14)의 각 꼭지점 부분은 대략 예각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부체(12)가 쿠션 및 탄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후두부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으며 따라서 홀(14)의 내부공간이 밀폐되지는 않는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로 누웠을 때에 사용자 머리는 측두부를 기준으로 삼각형 홀(14)의 각 변(15a,15b,15c)에 의한 3 지점에 접촉 및 지지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각 꼭지점의 적어도 일부분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홀(14)의 내부공간은 외부와 소통 및 통기가 가능하다. 다만, 측두부는 상기 홀(14)에 거의 삽입되지 않는다. 실제로 측두부는 후부두에 비하여 평면적이며, 면적도 넓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 머리의 높이는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와 비교하면 약 4cm 정도 높게 되는 것이다.
10. 베개 11. 하부체
12. 상부체 13. 지지구조
14. 홀 15a,15b,15c. 변
16. 노출면 18. 보관홈

Claims (7)

  1. 상부체(12)에 비하여 경성 재료로 성형된 하부체(11), 상기 하부체(11)의 상면에 적층되며 하부체에 비하여 연성 재료로 성형된 상부체(12),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동시에 이용하여 형성되는 머리 지지구조(13)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상부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삼각형 홀(14)과, 상기 홀에 안착된 머리의 후두부 주변을 지지하게 되는 홀의 가장자리 세 변(15a,15b,15c);
    상기 홀(14)의 바닥면을 제공하여, 홀에 안착된 머리의 돌출 중앙 후두부에 접촉 지지하게 되는 상기 하부체의 상측 노출면(1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상측 노출면(16) 상에는 커버지(17)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적층된 구조의 상기 하부체(11)와 상부체(12)를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상부체의 홀(14)에 대응하는 개방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1)의 상면에는 숙면재료 또는 방향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보관홈(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베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30002046U 2013-03-19 2013-03-19 건강 베개 KR200468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46U KR200468526Y1 (ko) 2013-03-19 2013-03-19 건강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46U KR200468526Y1 (ko) 2013-03-19 2013-03-19 건강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526Y1 true KR200468526Y1 (ko) 2013-08-22

Family

ID=5139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046U KR200468526Y1 (ko) 2013-03-19 2013-03-19 건강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52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276A (ja) * 1998-09-22 2000-04-04 Harunori Setoyama 医療用枕
JP2002142944A (ja) * 2000-11-10 2002-05-21 Pigeon Corp 低反発枕
KR20110011746U (ko) * 2010-06-15 2011-12-21 남지우 수면유도 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276A (ja) * 1998-09-22 2000-04-04 Harunori Setoyama 医療用枕
JP2002142944A (ja) * 2000-11-10 2002-05-21 Pigeon Corp 低反発枕
KR20110011746U (ko) * 2010-06-15 2011-12-21 남지우 수면유도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02654A1 (en) Pillow
KR10199618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05903086U (zh) 弹性床垫
JP3111334U (ja) 快眠枕
KR200468526Y1 (ko) 건강 베개
KR20140040874A (ko) 접이식 건강베개
KR101767408B1 (ko) 베개
CN209499343U (zh) 一种枕头
KR20170074496A (ko) 기능성 베개
CN209186244U (zh) 枕头
KR20140026740A (ko) 나무 경침 베개
JP3179351U (ja) 枕用シート
CN217524498U (zh) 一种睡枕及高枕
KR20110006879A (ko) 이단 베개
CN205814100U (zh) 一种睡枕枕芯以及睡枕
KR200480282Y1 (ko) 다기능 라텍스 베개
CN108618521B (zh) 枕头
CN204813087U (zh) 呼吸透气型枕头
JP2000175795A (ja)
CN218551887U (zh) 可自行调节局部硬度与高度的床垫
CN210144277U (zh) 一种双面树脂球床垫
KR102646980B1 (ko) 독립 쿠션의 에어셀 분할구조를 갖는 기능성 베개
CN203468167U (zh) 健康睡眠枕
CN215021872U (zh) 一种具有按摩功能拼接3d枕
CN208625048U (zh) 一种缓压空气型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