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51Y1 -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51Y1
KR200468451Y1 KR2020110009547U KR20110009547U KR200468451Y1 KR 200468451 Y1 KR200468451 Y1 KR 200468451Y1 KR 2020110009547 U KR2020110009547 U KR 2020110009547U KR 20110009547 U KR20110009547 U KR 20110009547U KR 200468451 Y1 KR200468451 Y1 KR 200468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touch
touch pen
pen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718U (ko
Inventor
표한용
Original Assignee
표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한용 filed Critical 표한용
Priority to KR2020110009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5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7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은, 휴대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에 접촉되어 지지 가능하도록 고정부재 단차가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일체로 연장 구비된 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여 접촉 및 이격가능한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되어 장착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기기에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고 휴대기기 거치시에도 간편하게 지지가능하다. 또한, 단차와 우레탄 부재를 이용하여 미끄러짐 없이 휴대기기와 안정적으로 결합 및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TOUCH-PEN FUNCTIONING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본 고안은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 휴대기기에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고, 휴대기기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란 사용자가 들고 다니면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만들어진 소형 기기로서, 예를 들면 셀룰러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에는 키입력 방식 외에 화면에 직접 터치하는 터치입력 방식이 있다. 터치입력 방식 중에서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정전식)의 휴대기기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휴대기기 화면을 터치할 수 있으나, 손가락이 두껍거나 휴대기기 화면의 크기가 작은 경우, 혹은 손에 이물질이 묻었거나 장갑을 낀 경우 부정확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화면을 터치하는 휴대기기에 사용되는 터치펜이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휴대기기에 함께 장착될 뿐만 아니라 시청 등을 위해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도 있는 터치펜에 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5563호(2011.03.22)『휴대기기에 대한 거치 기능이 겸비된 터치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A)에 연결된 연결줄(L)에 터치펜(P)이 장착될 수 있고, 터치펜(P)은 펜부(1)와 거치부(2)로 분리되어 펜부(1)로 휴대기기(A)의 화면에 터치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펜(P)을 연결줄(L)에 장착된 상태로 휴대기기(A)의 화면 반대쪽으로 돌려 거치부(2)의 흡착부(3)로 휴대기기(A)의 후면에 흡착시켜 휴대기기(A)를 거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거치 기능이 겸비된 터치펜(P)은 펜부(1)와 거치부(2)의 탈착이 반복될 경우 헐거워져 펜부(1)가 고정이 잘 되지 않아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치펜(P)으로 휴대기기(A)를 거치시킨 후 떼어낼 때 거치부(2)와 휴대기기(A) 후면 사이에 해제부(4)를 통해 손톱 등으로 삽입해야 하는 등 불편이 따른다. 또한, 휴대기기(A) 후면의 형태와 질감에 따라 터치펜(P)을 휴대기기(A) 후면을 지지하는 데에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휴대기기에 터치펜을 반복적으로 탈착하더라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기기의 형태나 표면 처리에 따른 질감에 구애되지 않으며, 휴대기기 거치시 탈착이 보다 간편한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5563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휴대폰 줄에 연결된 연결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로 연장 구비된 펜부재를 포함하는 터치펜을 제공하여 오랜 반복에도 교체가 필요치 않고 간편하게 휴대기기에 장착할 수 있고 휴대기기 거치시 간편하게 탈착가능하다. 또한, 고정부재의 내면에 고정부재 단차와 우레탄 부재를 형성하여 미끄러짐없이 연결체 또는 휴대기기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은, 휴대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에 접촉되어 지지 가능하도록 고정부재 단차가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일체로 연장 구비된 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여 접촉 및 이격가능한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은, 상기 휴대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되어 장착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 단차의 형상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연결체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단차는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각각의 마주하는 내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단차 전면에는 우레탄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의 일단에는 상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고정부와 이격되도록 조작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부 고정부와 연결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 하부 고정부 및 몸체부 중 하나 이상은 탄소(carbon)가 함유된 나일론 66(Nylon 66)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터치부는 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는, 터치부 고정핀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은 오랜 반복에도 교체가 필요치 않고 간편하게 휴대기기에 장착할 수 있고 휴대기기 거치시 간편하게 탈착가능하다. 또한, 고정부재 단차와 우레탄 부재를 구비하여 우레탄 부재의 탄력성과 마찰력으로 인해, 연결체 또는 휴대기기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미끄러짐없이 안정적으로 결합 및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에 대한 거치 기능이 겸비된 터치펜이 휴대기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이 휴대기기에 연결된 연결체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이 휴대기기에 연결된 연결체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이 휴대기기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의 터치부가 몸체부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터치펜은 정전식 터치펜(capacitive touch-pen)이며 셀룰러폰에 연결된 연결체에 결합 및 분리된 상태, 그리고 셀룰러폰을 거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하기에서 본 고안을 보다 쉽게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적용하고자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이 도면에 도시된 정전식 셀룰러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에 있어서, 도 2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이 연결체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이 연결체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휴대기기에 구비된 휴대기기 줄(L)에 연결체(C)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체(C)의 일단에 연결체(C)와 일체로 형성되는 반원형 링(R)이 구비되어, 이 반원형 링(R)의 통공에 휴대기기(H)의 줄(L)이 관통되어 연결체(C)가 휴대기기(H)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C)에 반원형 링(R)을 일체로 형성 구비함으로써, 사출 및 조립에 있어서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상기 연결체(C)의 외주면에는 연결체 단차(8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은 고정부재(60) 및 펜부재(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0)는 상기 연결체(C)와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연결체(C)와 결합시, 연결체(C)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체 단차(8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재(60)에 고정부재 단차(6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60)는 상기 연결체 단차(82)와 고정부재 단차(68)가 합치하여 상기 연결체(C)에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펜부재(70)는 상기 고정부재(60)와 일체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0)는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상부 고정부(62)와 하부 고정부(64)는 집게 구조로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힌지부(66)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는 상기 힌지부(66)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여 접촉 및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힌지부(66)는 스프링 및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62)의 일단에는 상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에 의해 상기 힌지부(66)의 핀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고정부(64)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여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돌출부(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돌출부(63)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핀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고정부(62)는 상기 하부 고정부(64)를 향해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가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부재(60)는 집게 구조로서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 사이에 대상물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집게 구조로 인해, 휴대기기(H)의 두께 및 끼워지는 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손쉽게 휴대기기(H)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 각각의 마주하는 내부 전면에는 우레탄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부재는 상기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에 형성된 고정부재 단차(68)의 전면에 형성되어, 높은 마찰계수로 인해 상기 연결체(C)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H)의 재질에 상관없이, 우레탄 부재로 인해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 사이에 휴대기기(H)를 안정적으로 끼워 넣어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60)의 집게 구조로 인해, 특정 기기에 국한되지 않고 범용적인 거치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펜부재(70)는 몸체부(72) 및 터치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72)는 상기 고정부재(60)의 하부 고정부(64)와 일체로 연결 구비될 수 있고,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72)는 사용자가 직접 손 등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소정 길이의 일직선 형태일 수 있고 적당한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72)가 일직선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몸체부(72)의 형태는 일직선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72)는 탄소(carbon)가 함유된 나일론 66(Nylon 66)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72)가 탄소가 함유된 나일론 66 재료로 만들어짐으로서, 가볍고 단단한 몸체부(72)를 형성할 수 있고, 단가절감 및 디자인 완성도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도 탄소가 함유된 나일론 66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몸체부(72),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의 소재는 나일론 66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몸체부(72),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는 탄소가 함유된 나일론 6(Nylon 6), 알루미늄(Al), 기타 전도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터치부(74)는 상기 몸체부(72)가 상기 하부 고정부(64)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쪽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74)는 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고, 휴대기기(H)의 화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원형이거나 뾰족한 형상일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휴대기기(H)에서 상기 터치부(74)의 전도성 실리콘 재질로 인해, 안정적이며 용이한 터치 조작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이 휴대기기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고정부(62)의 일단에 형성된 조작돌출부(63)에 압력을 가해서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를 이격시킨 후 그 사이에 휴대기기(H)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4) 각각의 마주하는 내부 전면에 형성된 우레탄 부재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휴대기기(H)는 미끌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 결합 구조 및 우레탄 부재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연결체(C)와 고정부재(60)의 결합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의 터치부가 몸체부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의 터치부(74)는 터치부 고정핀(76)에 의해 몸체부(7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74)가 마모되거나 손상될 경우 손쉬운 교체 및 상기 몸체부(72)와의 연결성 향상을 위해 상기 터치부 고정핀(76)에 의해 상기 터치부(74)가 몸체부(72)에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결체(C)의 일단에, 연결체(C)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는 링(R)이 구비되어, 이 링(R)의 통공에 휴대기기(H)의 줄(L)이 관통되고, 연결체(C)가 휴대기기(H)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R)은 반원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연결체(C)와 링(R)을 따로 만들어 조립하지 않고,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은 집게 구조로 인해 간편하게 휴대기기(H)에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고 휴대기기 거치시에도 간편하게 지지가능하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부재(60)와 연결체(C)에 단차를 형성하고 또한, 우레탄 부재를 이용하여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미끄러짐 없이 고정부재(60)와 연결체(C) 또는 휴대기기(H) 간에 안정적으로 결합 및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0: 고정부재 62: 상부 고정부
63: 조작 돌출부 64: 하부 고정부
66: 힌지부 70: 펜부재
72: 몸체부 74: 터치부
68: 고정부재 단차 76: 터치부 고정핀
82: 연결체 단차 C : 연결체
L: 휴대기기 줄 R : 링
H: 휴대기기

Claims (10)

  1. 휴대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에 접촉되어 지지 가능하도록 고정부재 단차가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일체로 연장 구비된 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여 접촉 및 이격가능한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펜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부 고정부와 연결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되어 장착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 단차의 형상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연결체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단차는 상기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 각각의 마주하는 내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단차 전면에는 우레탄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의 일단에는 상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고정부와 이격되도록 조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 하부 고정부 및 몸체부 중 하나 이상은 탄소(carbon)가 함유된 나일론 66(Nylon 66)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터치부 고정핀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겸용 터치펜.
KR2020110009547U 2011-10-27 2011-10-27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 KR200468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547U KR200468451Y1 (ko) 2011-10-27 2011-10-27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547U KR200468451Y1 (ko) 2011-10-27 2011-10-27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18U KR20130002718U (ko) 2013-05-07
KR200468451Y1 true KR200468451Y1 (ko) 2013-08-13

Family

ID=5139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547U KR200468451Y1 (ko) 2011-10-27 2011-10-27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5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84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자유방향으로 휘어지는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3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분리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0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귀걸이 타입의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2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레이저포인터와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1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79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골진동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613Y1 (ko) 2003-01-24 2003-04-18 이창훈 휴대폰 어깨 거치대
KR200378928Y1 (ko) 2004-12-22 2005-03-16 이화산업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거치 구조
US20100159997A1 (en) 2008-12-22 2010-06-24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613Y1 (ko) 2003-01-24 2003-04-18 이창훈 휴대폰 어깨 거치대
KR200378928Y1 (ko) 2004-12-22 2005-03-16 이화산업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거치 구조
US20100159997A1 (en) 2008-12-22 2010-06-24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84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자유방향으로 휘어지는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3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분리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0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귀걸이 타입의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2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레이저포인터와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1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79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골진동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18U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451Y1 (ko)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
KR100992558B1 (ko) 휴대 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US9545147B2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ing tool
US10342323B2 (en) Ergonomic phone support device
JP5665035B1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US20130031289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detachable assembled electronic device and detachable assemble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80297491A1 (en) Stylus for a touch-screen device
KR101234453B1 (ko) 스타일러스 터치펜
KR20130035523A (ko) 핸드폰용 손가락 거치대
US20120086674A1 (en) Touch screen operating pen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0985061B1 (ko) 도전성 터치펜
KR10113240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기구
KR101492181B1 (ko) 손가락 마우스
CN104461062A (zh) 多功能触摸指套
JP3175262U (ja) 把持具
KR20120036478A (ko) 착용식 터치펜
US20150378451A1 (en) Portable sheath
KR20150129978A (ko)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거치수단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케이스
KR101025563B1 (ko) 휴대기기에 대한 거치 기능이 겸비된 터치펜
KR20100027255A (ko) 휴대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구조
JP2020004305A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補助具
CN108810217B (zh) 佩戴式通讯设备
KR200462844Y1 (ko) 스타일러스펜 어셈블리
CN107888734A (zh) 手机辅助握持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